{{{#!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d428b>역사 | 역사 전반 |
구성국 | 구성국 목록(틀) | |
상징 | 쌍어 | |
왕사 | 왕조(왕사) 전반 · 국왕 | |
외교 | 외교 전반 · 대외관계(후한 · 백제 · 신라) | |
문화 | 문화 전반 · 가야금 · 가야어 · 토기 · 가야 고분(세계유산 지정목록) · 도성 및 궁궐 | |
경제 | 덩이쇠 | |
무기 | 가야 무기 | |
인물 | 인물 | |
기타 | 사국시대설 · 가락국기 · 개황력 · 변한의 국가 · 망산도 | }}}}}}}}} |
1. 개요
망산도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위치한 섬이다. 행정구역은 부산이지만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앞 바다에[1] 있다.2. 상세
망산도에서 동쪽으로 70 m 떨어진 유주암[2]에서 허왕후 일행이 타고 온 배가 뒤집혔고, 수로왕이 보낸 신하들이 인도 아유타국에서 가락국으로 온 허왕후를 망산도에서 맞이하였다고 전한다.본래 진해시 관할이었으나 2007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부산광역시 강서구 영역이 되었다.[3] 유주암과 함께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7호로 지정되었다.
섬이긴 섬이로되 징검다리로 건널 수 있을 만큼 뭍에 가깝거니와 그나마도 간조 때에는 물이 다 빠져 육지나 다름없는 곳이다. 녹산국가산업단지와 용원시가지, 부산신항에 둘러 쌓인 용원 수로에 있기 때문에 파도가 거의 없어 수면도 잔잔하다.
진해구 용원동 시가지와 맞닿아 있을 정도로 진해구 본토와 가깝다. 섬 옆에는 유주정이라는 정자가 있고 끝에는 비석이 서 있다. 인근 용원동 산기슭(용원교회 근처)에는 대한제국 순종 융희 2년(1908)에 허왕후의 전설을 전하기 위해 건립된 유주비각이 있다.
3. 교통
청안동까지 가는 부산 버스 58-1번을 제외한 진해행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종점 정류장과 시외버스 정류장이 근처에 있고 섬 입구 바로 앞에는 창원시 시내버스 정류장도 있다.4. 김해의 입장
김해시에서는 대동여지도를 근거로 망산도가 용원 앞바다의 이 섬이 아니라 김해시 삼정동 전산마을에 있는 작은 봉우리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외 김해시 칠산동의 칠산도 거론되고 있다.5. 견마도 = 망산도 설
한편 부산신항 최동단, 가덕대교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서쪽에 있는 견마도[4]가 망산도라는 주장도 있다.#[1] 신항 안이라 바다느낌은 안나지만 바다다.[2] 녹산국가산업단지 최서단 앞바다에 있는 작은 암초.[3] 이와 관련된 헌법재판소 판례가 있다.[4] 오늘날에는 부산신항 매립으로 육지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