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스콘(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8102E><colcolor=#fff> 잉글랜드 계열 | 피시 앤드 칩스, 스테이크, 로스트 디너(구운 치킨, 칠면조 구이), 베이크드 빈즈, 샌드위치, 토스트 샌드위치, 스카치에그, 잉글리시 브렉퍼스트, 애플 파이, 민스 파이, 미트파이, 셰퍼드 파이, 패스티, 블랙 푸딩, 트라이플, 빅토리아 케이크, 장어 젤리, 요크셔 푸딩, 스타게이지 파이, 비프 웰링턴, 우스터소스, 쇼트케이크, 핫 크로스 번 |
스코틀랜드 계열 | 포리지, 해기스, 쇼트브레드 쿠키, 스콘, 스토비스, 스카치 위스키 | |
웨일스 계열 | 바라 브리스, 카울, 글래모건 소시지, 파래빵 | |
북아일랜드 계열 | 감자빵, 박스티, 베이컨, 소다브레드 | |
인도 계열 | 커리 - 치킨 티카 마살라, 비르야니, 탄두리 치킨 | |
기타 | 홍차, 밀크티, 애프터눈 티, 비스킷, 다이제, 버터 맥주, 식빵, 파운드 케이크, 당근 케이크, 그레이비, 브라운 소스, 아이스크림, 살마군디 |
스콘 관련 틀 | ||||||||||||||||||||||||||||||||||||||||||||||||||||||||||||||||||||||||||||||||||||||||||||||||||||||||||||||||||||||||||||||||||||||||||||||||||||||||||||||||||||||||||||||||||||||||||||||||||||||||||||||||||||||||||||||||||||||||
|
스콘 \textit{Scone}</math> |
[clearfix]
1. 개요
비스킷과 비슷하게 스코틀랜드에서 기원한 빵 혹은 과자로 효모(이스트)로 부풀리는 일반적인 빵과 달리 베이킹파우더 같은 화학적 팽창제를 사용하여 빠르게 부풀린 퀵브레드의 일종이다. 대중화되면서 스콘은 오븐에서 구운 빵으로 변화했다. 오늘날 스콘은 머핀과 같은 주식으로 영국 빵집, 식료품점, 슈퍼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다. 2005년 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의 스콘 시장은 6,400만 파운드[1]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햇갈리기 쉬운 비슷한 빵이 많은데, 먼저 미국식 플러피 비스킷은 주로 중력분을 사용하며 스콘보다 더 담백하고 찰진 느낌이 강한 빵에 가깝다. 그리고 영국식 머핀은 스콘보다 좀 덜 부풀리고 소량의 이스트를 첨가하기도 하며 샌드위치 빵처럼 쓰인다. 스콘이 생크림을 곁들이는 다과에 가깝다면 이들은 좀 더 주식에 가깝다.
2. 만드는 법
재료: 박력분 150g, 베이킹파우더 1ts, 설탕 25g, 소금 약간, 버터 50g, 우유 50g, 달걀 25g, 바닐라 에센스 2ml, 달걀물 15ml
여기서 밀가루는 글루텐 함량이 적은 박력분을 주로 사용한다. 반대로, 글루텐 함량이 많은 강력분을 사용하려면 컨트롤이 필요한데, 실패하면 딱딱하고 질겨진다. 밀가루뿐만 아니라 보리, 오트밀을 재료로 해도 상관없다.
- 버터를 그릇에 넣고 열심히 부순 후에 체로 걸러낸 밀가루, 베이킹파우더에 설탕, 소금을 같이 넣고 섞는다. 그리고 손바닥으로 비비면서 밀가루와 버터가 부슬부슬하게 만든다.
- 푸드프로세서 등에 버터와 밀가루 섞은재료를 함께 넣고 분쇄해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단, 밀가루를 적당히 넣어야 버터가 크림화되지 않고 분쇄할 때에도 너무 오래 분쇄하게 되면 반죽이 뭉쳐 실패할 수 있다.
- 준비해둔 달걀에 우유를 넣어 섞고 밀가루 그릇에 넣고 섞는다.
- 한덩어리로 뭉쳐서 뚜껑에 랩을 씌운후에 냉장고에 30분 동안 냉동시킨다.[2]
- 냉장고에서 꺼내서 밀가루를 조금씩 뿌리면서 반죽을 밀대로 밀고 적당히 자른다.
- 반죽에 달걀 물을 칠하고 190도에서 예열된 오븐에 20분간 구우면 완성.
3. 맛있게 먹는 법
애프터눈 티의 필수 요소. 갓 구운 따끈따끈한 스콘에 클로티드 크림과 달콤한 과일 잼을 바른 뒤 향긋한 홍차와 함께 먹으면 완벽한 궁합을 느낄 수 있다. 잼 중에서는 딸기잼이 가장 대중적이다.한편 그냥 먹기에는 영 좋지 않다. 미국의 비스킷처럼 주식으로 쓰인 적이 있는 빵이기 때문에 단맛은 거의 없는데다 반죽 레시피 특성상 식감이 매우 퍽퍽해서 일반적인 빵처럼 냉장보관하던 것을 대충 꺼내서 먹으면 굉장히 우울해진다.(...) 적어도 우유나 차를 곁들여야 목 막힐 일 없이 넘어가며, 기왕 먹을 거라면 역시 크림이나 잼을 발라 먹는 편이 낫다.
퍽퍽한 스콘의 특성 자체가 마음에 안 든다면
4. 배녹
한 편, 스코틀랜드 등 영국에서 먹는 빠르게 만들 수 있는 납작한 빵을 '배녹(bannock)'이라고 부르며, 이 납작빵을 한 조각 자르면 스콘이 된다.5. 창작물에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게임 중 달라란 분수에서 낚을 수 있는 금화 중 아서스의 금화는 '뭐 벌써, 생각해보면 벌써 다스릴 왕국과 땅이 있는데 뭘 빌겠나? 그냥 시원한 거나 하나 먹는다면 모를까…'라는 내용인데, 여기서 말하는 '시원한 것'의 원문이 frozen scone이다.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냉동 스콘 이야기인 것 같은데… 스콘 대신 더 시원한 걸 먹어버렸다. 원문은 frozen scone인데 frozen throne(얼어붙은 왕좌)과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점에서[3] 언어유희인 듯 하다.스크루지 맥덕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스콘이다. 스코틀랜드 출신인 것을 반영한 듯.
애니메이션 오쟈마녀 도레미 3기에서는 첫 번째 파티시에 시험의 과제로 등장한다. 더 정확히는 시험관인 마조미라가 200년 전 영국 런던에서 먹었던 스콘. 이에 도레미 일행은 마법을 사용해 과거로 가서 마조미라의 어머니[4]에게 스콘 레시피를 배워온다. 마조미라는 처음에 "그때 먹었던 스콘과 비슷하지만 뭔가 다르다"며 불합격 판정을 내리려 했지만, 하즈키가 과거에서 보았던 마조미라 모녀의 모습을 떠올리고 밀크티를 함께 대접하자 그녀는 어머니를 회상하며 도레미 일행의 스콘을 합격으로 인정해준다.
연민의 굴레에서 등장인물인 채승은이 스콘을 만들었다가 잘못 만들어서 야구공 대용으로도 쓸 수 있을만큼 딱딱하게 만든 적이 있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는 2.0 버전에 추가된 요리 레시피로 등장하는데, 4가지 바리에이션으로 나온다. 기본(플레인), 당근, 과일, 호박.
6. 여담
비스킷 계열 음식답게 부스러기가 매우 많이 나온다. 길거리에서 들고 다니면서 먹으면 헨젤과 그레텔의 주인공을 체험할 수 있다.리암 갤러거는 호주로 가는 캐세이퍼시픽항공 기내에서 스콘을 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만취상태로 흡연을 하며 폭언을 했다가 이 항공사에서 영구제명을 당했다. 이로서 리암은 평생 캐세이 퍼시픽을 탈 수 없게 되었다.
베이커리를 취급하는 CU에서도 '초코 플레인 스콘' 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다. 초코칩이 박혀있어 적당히 달며 그냥 먹어도 맛있긴 한데 전자렌지에 15초 돌려먹으면 이것도 이거대로 맛이 좋다.[5]
트레이더스에서도 판다. 삼각형 모양의 초코칩이 들어간 스콘을 12개에 7,990원이라는 파격 세일가격에 판다. 크기는 롯데리아 햄버거만하다.
스타벅스에서도 스콘을 팔며 전자레인지에 적당히 돌려먹으면 맛있다.
뚜레쥬르에서 또한 스콘을 판다. 초코칩, 고구마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꽤 맛있다. 다만, 스콘답게 식감 자체는 퍽퍽한 편.
KFC에서도 스콘을 판매하며 동봉되는 딸기잼을 발라 먹으면 굉장히 맛있다는 것이 중론.[6]
2020년대에는 대파나 쪽파를 넣어 만드는 일명 '파 스콘'이 등장했다.
본고장인 영국에서 스콘에 잼을 먼저 바르고 크림을 얹느냐, 크림을 먼저 바르고 잼을 얹느냐는 한국의 부먹 vs 찍먹에 비견되는 끝나지 않는 논쟁이다. 데번 지역은 크림이 먼저, 콘월 지역은 잼이 먼저다. 두 지역에서 자기 방식에 대한 자부심도 어마어마하다. '데번 크림티'와 '코니쉬 크림티'라고 아예 따로 부를 정도. 외래어 표기법상으론 똑같이 '스콘'인 scone의 발음도 2가지로 갈리는데 gone의 발음을 따르는 skɒn(스컨)과 tone의 발음을 따르는 skəʊn(skoʊn)(스코운)으로 나뉜다고 한다. 호주와 캐나다에선 전자를 많이 쓰고 미국과 아일랜드에선 후자를 많이 쓰는 편이라 큰 문제가 없는 반면, 영국에선 딱히 뭘 더 많이 쓴다 단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한다. 대체로 전자는 스코틀랜드를 위시한 북부에서 많이 쓰고 후자는 중, 남부에서 많이 쓴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