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6:08:47

원수(계급)/실존 인물

1. ~18세기

1.1. 프랑스

1.2. 오스트리아

1.3. 스페인 (카스티야-아라곤)

1.4. 프로이센

1.5. 조선

2. 19세기

2.1. 영국

2.1.1. 나폴레옹 전쟁 시기

2.2. 프랑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654><tablebgcolor=#002654>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654><tablebgcolor=#002654> 파일:프랑스 제1제국 국장.svg||Maréchal ďEmpire
프랑스 제1제국 제국원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육군 <colcolor=#000,#ddd>
제정 초기 18원수
피에르 오주로 |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 | 루이알렉상드르 베르티에 |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 기욤 마리 안 브륀 | 루이니콜라 다부 | 장바티스트 주르당 |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 | 장 란 | 프랑수아 조제프 르페브르 | 앙드레 마세나 | 아드리안 쟈노 드 몽세 | 에두아르 모르티에 | 조아킴 뮈라 | 미셸 네 | 도미니크 카트린 드 페리뇽 | 장 마티유 필리베르 세뤼리에 | 장드디외 술트
제4차 대프랑스 전쟁
클로드 빅토르
제5차 대프랑스 전쟁
자크 마크도날 | 오귀스트 마르몽 | 니콜라 우디노
이베리아 전쟁
루이가브리엘 쉬셰
러시아 원정
로랑 구비옹 생 시르
제6차 대프랑스 전쟁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
백일천하
에마뉘엘 그루시
<colcolor=#000,#ddd>※ 윗첨자 †: 전사 }}}}}}}}}

2.3. 독일

2.3.1. 프로이센 왕국

2.3.1.1. 나폴레옹 전쟁 시기

2.3.2. 독일 제국

2.4. 러시아 제국

2.4.1. 나폴레옹 전쟁 시기

2.5. 스페인 왕국

2.5.1. 나폴레옹 전쟁 시기

2.6. 일본 제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원수
大元帥
[[메이지 덴노|
파일:일본 황실.svg1871년
메이지 천황]]
[[다이쇼 덴노|
파일:일본 황실.svg1912년
다이쇼 천황]]
[[쇼와 덴노|
파일:일본 황실.svg1926년
쇼와 천황]]
육군원수
陸軍元帥
1872년
사이고 다카모리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원수육군대장
元帥陸軍大將
1898년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1898년
야마가타 아리토모
1898년
오야마 이와오
1915년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
1915년
하세가와 요시미치
1916년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9년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1929년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1932년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1943년
데라우치 히사이치
1943년
스기야마 하지메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원수해군대장
元帥海軍大將
1898년
사이고 주도
1913년
도고 헤이하치로
1922년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
1923년
가토 도모사부로
1932년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1943년
야마모토 이소로쿠
1943년
나가노 오사미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2.6.1. 메이지 시대

2.7. 미국

2.7.1. 미국 내전 직후

3. 20세기

3.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3.1.1. 미국

3.1.2. 영국

3.1.2.1. 제1차 세계대전

3.1.3. 프랑스

3.1.3.1. 제1차 세계대전

3.1.4. 독일

3.1.4.1. 제1차 세계대전

3.1.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3.1.5.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

3.1.6. 소련

노농적군은 1935년도에 군사 계급 제도를 부활시키면서 투하쳅스키, 예고로프, 블류헤르, 보로실로프, 부됸니를 처음으로 원수직에 올렸다. 그중 투하쳅스키, 예고로프, 블류헤르는 2차 대전 이전에 숙청당한다.

3.1.7. 일본 제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원수
大元帥
[[메이지 덴노|
파일:일본 황실.svg1871년
메이지 천황]]
[[다이쇼 덴노|
파일:일본 황실.svg1912년
다이쇼 천황]]
[[쇼와 덴노|
파일:일본 황실.svg1926년
쇼와 천황]]
육군원수
陸軍元帥
1872년
사이고 다카모리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원수육군대장
元帥陸軍大將
1898년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1898년
야마가타 아리토모
1898년
오야마 이와오
1915년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
1915년
하세가와 요시미치
1916년
데라우치 마사타케
1919년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1929년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1932년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1943년
데라우치 히사이치
1943년
스기야마 하지메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원수해군대장
元帥海軍大將
1898년
사이고 주도
1913년
도고 헤이하치로
1922년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
1923년
가토 도모사부로
1932년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1943년
야마모토 이소로쿠
1943년
나가노 오사미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3.1.8. 한국

대한제국 당시 대내외적 위협에 대응하여 황권을 강화할 목적으로 원수부를 설치하면서 수관급 계급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일반적인 군사 계급은 아니었다.

3.1.9. 이탈리아

3.1.10. 튀르키예

3.1.11. 핀란드

3.2.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2차 세계 대전은 비록 짧은 시기이기는 했지만, 가장 많은 원수가 배출된 시기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1939년 9월 1일에서 1945년 8월 15일 시기에 임명되었거나, 그 이전에 임명되었지만 현역으로 활동한 인물들만 담도록 하겠다.

3.2.1. 독일

파일:나치 독일 국장.svg
독일 국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국원수
Reichsmarschall
파일:Si_1ab.png
공군
Luftwaffe
1940
헤르만 괴링
원수
General-feldmarschall / Großadmiral

파일:Si_2a.png · 파일:Si_2c.png · 파일:LGFME.png / 파일:AA-1A.png
육군
Heer
1936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1940
발터 폰 브라우히치 | 페도어 폰 보크 | 빌헬름 카이텔 | 귄터 폰 클루게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빌헬름 리스트 | 발터 폰 라이헤나우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 에르빈 폰 비츨레벤
1942
게오르크 폰 퀴힐러 | 에리히 폰 만슈타인 | 에르빈 롬멜
1943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 에른스트 부슈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1944
발터 모델
1945
페르디난트 쇠르너
명예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해군
Kriegsmarine
1939
에리히 레더
1943
카를 되니츠
공군
Luftwaffe
1940
알베르트 케셀링 | 에르하르트 밀히 | 후고 슈페를레
1942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1945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파일:Si_2a.png : 1942년전까지 적용된 원수 계급장
파일:Si_2c.png : 1942년부터 적용된 원수 계급장
{{{#!wiki style="margin: -12.5px -5px; color: #000; border-radius: 30px; font-size: 0.8em" ※ 둘러보기 }}}
}}}}}}}}}

독일 육군은 총사령부참모본부가 별도로 존재하다보니 "독일군에는 원수들이 수두룩했는데 참모총장은 겨우 상급대장이냐?"라는 오해가 생기고는 하는데, 독일 육군 참모본부는 육군 총사령부의 하위조직으로, 참모총장은 참모본부의 장으로서 야전군 작전을 기획하고 지시하는 업무만을 담당한다.

3.2.2. 미국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
미합중국군 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원수
General of the Armies / Admiral of the Navy
육군
Army
조지 워싱턴
율리시스 S. 그랜트
존 조지프 퍼싱
해군
Navy
조지 듀이
원수
General of the Army / Fleet Admiral
General of the Air Force
육군
Army
윌리엄 테쿰세 셔먼
필립 셰리든
조지 C. 마셜
더글러스 맥아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헨리 아놀드
오마 브래들리
해군
Navy
윌리엄 리히
어니스트 킹
체스터 니미츠
윌리엄 홀시
공군
Air Force
헨리 아놀드
* 헨리 아놀드의 원수 진급 당시 공군은 육군 항공대였다. }}}}}}}}}
3.2.2.1. 미합중국 육군
3.2.2.2. 미합중국 해군

3.2.3. 소련

파일:소련 국방부 휘장.svg
소비에트 연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파일:USSRGeneralissimooftheSoviet Union.png파일:투명.png
이오시프 스탈린P
파일:USSRMarshal.png파일:투명.png
소비에트 연방 원수
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소비에트 연방 초기 5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P · 미하일 투하쳅스키 · 세묜 부됸니 · 알렉산드르 예고로프 · 바실리 블류헤르
제2차 세계 대전기

세묜 티모셴코 · 그리고리 쿨리크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게오르기 주코프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오시프 스탈린P · 이반 코네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표도르 톨부힌 · 키릴 메레츠코프
냉전기

바실리 소콜롭스키 · 니콜라이 불가닌P · 이반 바그라먄 · 세르게이 비류조프AD, SRF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안드레이 예료멘코 · 키릴 모스칼렌코SRF · 바실리 추이코프 · 마트베이 자하로프 · 필리프 골리코프P · 니콜라이 크릴로프SRF · 이반 야쿠봅스키 · 파벨 바티츠키AD · 표트르 코셰보이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P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빅토르 쿨리코프 · 니콜라이 오가르코프 · 세르게이 소콜로프 · 세르게이 아흐로메예프 · 세묜 쿠르콧킨 · 바실리 페트로프 · 드미트리 야조프
NKVD
제2차 세계 대전기

라브렌티 베리야
해군
파일:CCCP-Navy-OF-10_(1943–1955).svg.png파일:투명.png
함대 제독
{{{-2 Адмирал Флота}}}
제2차 세계 대전기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파일:USSRAdmiraloftheFleetoftheSovietUnion.png파일:투명.png
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
Адмирал Флота Cоветского Cоюза
냉전기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비고 P : 정치장교, AD : 방공군, SRF : 전략로켓군
※ 진급시기 기준 세분, 2차 대전기는 전간기부터 1945년 8월까지 해당.
}}}}}}}}}

소련군의 원수는 연방원수(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해군원수(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병과상원수(Главный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병과원수(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네 종류가 있었는데, 타국의 원수에 해당하는 계급은 연방원수와 해군원수 뿐이었다. 병과상원수, 병과원수는 육군의 기갑, 포병, 공병, 통신 병과와 공군에만 존재하는 대장과 연방원수 사이의 계급이었다. 이 두 계급은 서방식으로 직접 대입할 수 있는 계급은 아니라 번역에 애로사항이 꽃피는데, 굳이 따지자면 조선인민군 차수에 해당한다. 다만, 병과원수나 병과상원수는 서구권 기준 상급대장 취급받는 대장보다 의전서열상 높기에 수관급 장교로 분류한다. 공군의 경우 육군을 보조하는 군종이라는 소련 특유의 군 분류 탓에[1] 연방원수까지 진급한 장성은 한 명도 없으며, 항공 상원수가 진급 한계였다. 비록 이론상 항공상원수도 연방원수로 진급할 수는 있었지만, 그렇게 되면 강제로 육군으로 전군되었다.
3.2.3.1. 연방원수
3.2.3.2. 병과상원수
포병, 항공, 전차병, 공병, 통신병으로 분류되며, 병과원수보다 한 단계 위인 계급이며 연방원수보다는 낮다.
3.2.3.3. 병과원수
대장과 동급이나 의전서열상 대장보다 살짝 더 높은 계급이다. 해당 병과를 지닌 상장들은 대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해당 계급으로 올라간다. 이들 병과 외의 상장들은 당연히 대장으로 올라간다.

3.2.4. 영국

3.2.5. 이탈리아

3.2.6. 일본

일본에서의 원수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장 위의 별도 계급이 아니라 대장 중 공적이 큰 자에게 수여하는 명예 칭호였다. 따라서 원수가 되어도 군 계급은 여전히 대장으로 원수 육군대장, 원수 해군대장으로 불린다. 물론 일본도 초기에는 계급으로서 원수를 두었다. 다만 훗날 규정을 개정했다.

3.2.7. 그 외 국가들

3.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3.1. 미국

3.3.2. 영국

3.3.3. 소련

3.3.3.1. 연방원수
3.3.3.2. 병과상원수
3.3.3.3. 병과원수
3.3.3.4. 해군 원수
소련군이 지상전 위주의 군대라서 그런지 위의 원수들과는 달리 해군에선 원수를 단 사람이 고작 다음 세 사람 뿐이다.

3.3.4. 러시아 연방

3.3.5. 프랑스

3.3.6. 중국

중국의 경우는 1955년 제정되었다가 1964년 폐지했다.

3.3.7. 북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인민군 원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8. 그 외 국가들

4. 21세기

큰 전쟁이 없는 시기이므로, 몇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거의 국가원수나 그것을 자칭했던 자들이며, 혹은 정부에서 군벌 두목을 회유하느라 원수를 준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


[1] 이런 구조로 말미암아 소련을 포함한 공산권 국가들은 영공 방위 임무만 집중적으로 맡는 방공군이라는 별도의 군종을 창설한다.[포] [항] [항] [포] 포병[포] [항] 항공[항] [항] [항] [항] [항] [차] 전차병[차] [차] [통] 통신병[공] 공병[18] 소련군에서는 준장이 없으므로 일성장군이다.[19] 타국 총리에 해당한다.[로] 전략로켓군[방] [로] [방] [포] [포] [26] CIA와 MI6의 간첩이었던 올레그 펜코프스키 대령과의 친분으로 인해 1953년에 계급이 박탈됨.[포] [차] [차] [항] [항] [항] [항] [항] [포] [포] [포] [포] [포] [포] [포] [포] [차] [차] [차] [통] [통] [통] [공] [공] [공] [공] [공]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항] [73]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집권시절 대통령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18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