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50%, #d52b1e 50%), linear-gradient(to right, #0032a9 25%, #fff 2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32a9>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잉카 제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칠레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칠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 |
경제 | 경제 전반 · 칠레 페소 | |
국방 | 칠레군 · 칠레 해군 · 칠레 공군 | |
교통 | 마타베리 국제공항 · 코모도로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스 국제공항 · 산티아고 지하철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 포도주/칠레 · 스페인어 · 세계유산 | |
인물 | 베르나르도 오이긴스 · 살바도르 아옌데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지리 | 산티아고(칠레) · 아타카마 사막 · 이스터 섬 · 파타고니아 · 티에라델푸에고 · 발파라이소 · 콘셉시온(칠레) · 푸에르토 몬트 · 푼타아레나스 · 안토파가스타 · 라 세레나 · 테무코 · 이키케 · 랑카과 · 탈카 · 아리카(칠레) · 치얀 · 칼라마 · 코로넬(칠레) · 로타(칠레) · 코피아포 · 발디비아 · 퀼로타 · 오소르노 · 쿠리코(칠레) · 산 안토니오(칠레) · 푸에르토 바라스 · 코이아이케 · 지진/칠레 | |
민족 | 칠레인 · 마푸체 · 스페인계 칠레인 · 독일계 칠레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 아랍계 칠레인(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그리스계 칠레인 · 아일랜드계 칠레인 · 영국계 칠레인 · 한국계 칠레인 · 프랑스계 칠레인 · 이탈리아계 칠레인 · 중국계 칠레인 | |
기타 | 그란 토레 산티아고 |
스페인어: Franco-chilenos
프랑스어: Franco-Chiliens
1. 개요
프랑스계 칠레인들은 칠레에 거주하는 프랑스 출신 후손들을 의미한다.2. 이민사
18세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 부르봉 가문이 스페인 왕위를 차지하였고, 스페인 왕위에 오른 보르본 가문은 프랑스의 태평양 방면 식민지 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당시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페루와 칠레의 항구들을 프랑스 상인들에게 개항시켰다. 이를 계기로 일부 프랑스인들이 칠레로 이민 오는데, 이들이 오늘날 프랑스계 칠레인들의 직계 기원이라 할 수 있다.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18세기 초 이민 온 프랑스인 이민자의 후손. 본인은 '피노셰'라고 불리는 것을 더 좋아했다고 한다. 모계는 카스티야-바스크 귀족 가문.[1] |
한 편 동시대 스페인에서는 상당수의 바스크인들이 칠레로 이민오는데 이들은 바스크인들의 경우 원래 프랑스 국경 지대 출신인 것도 있고, 여타 스페인들과 비교해서 해외와의 교류 경험도 풍부했던 편이었다. 바스크인 출신 크리오요들은 상업 수완을 발휘하며 칠레 사회의 부유층으로 떠오르는데, 이들을 “카스티야-바스크 귀족(Aristocracia castellano-vasca)“이라고 부른다. 프랑스계 이민자들은 카스티야-바스크 귀족 사회로 편입되었다.
칠레가 독립한 이후 1840년에서 1940년 사이에 20,000명에서 25,000명의 프랑스인들이 칠레로 이민을 갔다. 칠레는 라틴아메리카에서 아르헨티나(239,000명), 브라질(150,341명), 우루과이(25,000명 이상)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수의 프랑스인의 이주 이민을 받았다.
오늘날 약 50만에서 80만 명의 가량 인구가 프랑스계 혈통을 물려받은 것으로 조사된다.
[clearfix]
3. 문화
오늘날 칠레는 세계적인 와인 수출국인데, 상당수의 프랑스의 와인 양조가들이 칠레에 정착하면서 와인 양조법을 전수하였기 때문이다. 칠레는 와인용 포도를 재배하기 적합한 기후이지만, 칠레가 스페인의 식민지였을 당시에는 스페인 식민 당국에서 아메리카 식민지 내 와인 양조를 엄격히 제한하는 바람에 와인 양조 기술이 발전하지 못하였었다.19세기 후반 유럽에서 포도나무진디가 퍼져서 프랑스의 와인 산업이 몰락하자, 일부 프랑스인 와인 양조업자들이 칠레에서 포도 농장을 새로 짓기 시작하였고. 이는 오늘날 칠레 와인 산업과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를테면 아르헨티나의 와인 문화의 경우 평소에 자주 흔하게 마시는 목적으로 스페인이나 이탈리아의 와인 문화와 마찬가지로 와인을 일상음료로 생각하고 대량으로 양조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칠레의 경우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같은 남유럽 국가보다는 프랑스나 영국 등 서유럽의 와인 문화를 이어받았다고 보면 된다. 아르헨티나산 와인이 상당수 아르헨티나 내수를 우선으로 양조된다면, 칠레 와인이 수출을 우선하여 외국 수요에 맞추어 양조되는 것은 이러한 연유이다.
칠레가 자국을 백화하는 과정에서, 칠레 전통 서민 음식의 지위를 차지하던 감자는 프랑스식 빵으로 대체되었다. 오늘날 칠레인들이 주식으로 즐겨 먹는 빵인 마라케타 역시 프랑스계 칠레인들이 개발한 빵이다.
상술한 것처럼 칠레 사회의 상류층 출신이랑 연계도가 높다보니, 오늘날 칠레 문화산업계에도 프랑스계들이 다소 포진해 있다. 이를테면 2023년 미스 칠레로 꼽힌 셀레스테 비엘(사진)은 아버지가 칠레 유명 배우에 본인은 미국 마이애미주 출생이다.
4. 여담
19세기 당시 프랑스가 유럽 여러 나라에서 이민을 받던 국가이다보니 프랑스 내 체류하던 이민자들이 다시 칠레로 이민하는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폴란드인 난민 출신이었다 칠레 대학교 총장까지 올라갔던 이그나시 도메이코를 들 수 있다.[2]스페인어 이름은 모계성과 부계성을 함께 사용하는데, 미국으로 이민 혹은 체류하는 칠레인들은 모계 성씨가 프랑스계 성씨인 경우 히스패닉 관련한 스테레오타입이 자기 이름에 반영되지 않길 바래서인지 프랑스계 성씨를 우선 사용하는 성향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페드로 파스칼을 들 수 있다.
5. 기타 유명인물
6. 관련 문서
[1] 스페인계 칠레인 문서 참조[2] 참고로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모두 이그나시 도메이코를 자국 출신 위인으로 기념하는 편이며, 한 편으로는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들이 아르헨티나 내 폴란드 문화 기념관을 세우면서 이그나시 도메이코 이름을 갖다 붙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