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화 도입 이전 통화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원년 통화 | 프랑스 프랑 | 네덜란드 길더 | 벨기에 프랑 | 룩셈부르크 프랑 |
독일 마르크 | 오스트리아 실링 | 아일랜드 파운드 | 핀란드 마르카 | ||
이탈리아 리라 | 스페인 페세타 | 포르투갈 에스쿠도 | 그리스 드라크마 | ||
추가 통화 | 슬로베니아 톨라르 | 몰타 리라 | 키프로스 파운드 | 슬로바키아 코루나 | |
에스토니아 크론 | 라트비아 라트 | 리투아니아 리타스 | 크로아티아 쿠나 |
서유럽의 통화 |
|
유로 ( ( |
|
영국 파운드 (스코틀랜드 파운드, 북아일랜드 파운드) (맨섬 파운드, 건지 파운드, 저지 파운드) |
동아프리카의 통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소말리아 실링 | 소말릴란드 실링 | 지부티 프랑 | 남수단 파운드 | |
에티오피아 비르 | 에리트레아 낙파 | 르완다 프랑 | 부룬디 프랑 | |
케냐 실링 | 탄자니아 실링 | 우간다 실링 | 말라위 콰차 | |
모잠비크 메티칼 | 모리셔스 루피 | 세이셸 루피 | 코모로 프랑 | |
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 ( | 유로( (마요트, 레위니옹) | }}}}}}}}} |
북아메리카의 통화 | ||
캐나다 달러 | 미국 달러 | 멕시코 페소 |
버뮤다 달러 | 유로( (생피에르 미클롱) | 덴마크 크로네 (그린란드) |
카리브의 통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미국 달러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카리브 네덜란드) | ||||
| ||||
동카리브 달러 (도미니카 연방,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그레나다,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앵귈라, 몬트세랫) | ||||
유로(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생마르탱, 생바르텔레미) | ||||
카리브 길더 (퀴라소, 신트마르턴) | 아루바 플로린 | |||
바베이도스 달러 | 바하마 달러 | 자메이카 달러 | 케이맨 제도 달러 | |
트리니다드 토바고 달러 | 쿠바 페소 | 도미니카 페소 | 아이티 구르드 | }}}}}}}}} |
남아메리카의 통화 | |||
콜롬비아 페소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 페루 솔 ( | 볼리비아 볼리비아노 |
칠레 페소 | 파라과이 과라니 | 아르헨티나 페소 | 우루과이 페소 |
브라질 헤알 ( | 가이아나 달러 | 수리남 달러 ( | 유로( (프랑스령 기아나) |
미국 달러 ( | 포클랜드 파운드 (포클랜드 제도,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Franc Français (프랑스어)
1. 개요
프랑스와 그 해외령(과들루프[1], 마르티니크, 프랑스령 기아나, 생피에르 미클롱, 레위니옹, 마요트)의 옛 통화. 모나코에서도 유로화 도입 전 자국의 통화로 사용하였다.ISO 4217 코드는 FRF, 기호는 F 또는 Fr. 유니코드에는 프랑스 프랑의 기호로 ₣가 등록되어 있으나 이 기호가 공식적인 프랑스 프랑의 기호로 사용된 적은 없다. "FF"로 표기하거나, 아예 깔끔하게 생략하기도 했다.[2] 보조단위는 상팀(Centime).
근대의 유럽을 주름잡던 기축 통화 중 하나였고 그만큼 역사가 매우 길었으며 코모로와 일부 아프리카와 태평양 국가에서 프랑스 프랑 고정환율값을 가지고 있었고, 지금은 유로로 전환했기 때문에 따라가며 유로 고정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최종 인플레는 독일과 더불어 양대 유로화 주도국답게 겨우 0.2%.
발행주체는 프랑스은행이었으며 자국에 은행 본사와 인쇄국, 주조국까지 갖춘 몇 안 되는 통화로, 크고 아름다운 프랑스식 화폐 디자인을 고수한 주체이기도 하다. 유로와의 교환비는 6.55957프랑/EUR. 2012년 중순기준 한화로 약 215원/FRF.
정확히 2002년 2월 17일부터 통용이 중지되었고, 2012년 2월 17일부터 유로화 교환도 종료되어 이제는 정말로 종잇조각이 되었다.[3]
2. 리브르 투르누아
Livre Tournois. 1360년 쟝 2세에 의해 도입되어 1641년까지 쓰인 것으로, 프랑스 프랑의 전신이다. 이 통화의 별칭이 "프랑"이었는데, 그때 나라가 "프랑크 왕국(Francorum Rex)"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3. 1기 프랑
시민혁명으로 왕족을 갈아엎은 직후 국민회의를 통해 1795년, 100상팀을 1프랑으로 정하는 10진법 통화로서 도입되었다. 1/4프랑부터 5프랑까지는 은화로, 그 이상의 액면부터는 금화로 발행되었다. 그러나 금속화폐의 발행량이 적었던데다가 종이화폐는 휴지쪼가리인 것은 여전했기 때문에 국민들의 신뢰를 얻지 못했고, 완전히 자리를 잡게 된 것은 1803년도였다. 이후 프랑은 자잘한 변화가 있었지만 부르봉 왕조 복고기와 7월 왕정, 제2공화정, 제2제국, 제3공화국 전기때까지는 안정적으로 통화가치를 유지했고, 1866년에 라틴통화동맹을 결성하여,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와 함께 페그제를 맺었고, 이후 상당수 국가들도 이러한 페그시스템에 참여하였다.그러나 1차 세계대전 당시에 전비마련을 위해 금본위제를 폐지한채, 화폐발행을 남발했고, 프랑스 프랑의 가치는 급속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프랑스 프랑의 가치하락은 물가상승으로 이어졌고, 프랑스가 베르사유 조약에서 독일에게 가혹하리만큼 막대한 배상금을 요구한 주요요인이었다. 1928년에 금본위제로 복귀했지만, 경제대공황이 닥쳐오면서 프랑스는 경기침체에 직면하게 되었고, 1936년도에는 다시 금본위제를 폐지했다. 이후 프랑의 가치는 꾸준히 하락하였다.
3.1. (1939 ~ 44)
앞면 | 뒷면 | ||
5F | 프랑스의 상징 | 부두의 작업자 | |
10F | 미네르바 | 여성 농부 | |
20F | 과학과 노동의 상징 | 일하는 화학자, 산업 현장 | |
50F | 케레스, 베르사유의 정원 | 머큐리, 풍요의 뿔 | |
100F | 여인과 아이, 파리 풍경 | 쉴리 공작, 시골 풍경 | |
500F | 한 여성 | 한 남녀 | |
1,000F | 한 남녀 | 노동자와 메르쿠리우스 | |
5,000F | 월계관을 쓰고 승리의 조각상을 든 여성 |
3.2. (1940 ~ 50)
앞면 | 뒷면 | ||
5F | 피레네의 양치기 | 아쟁 여성 | |
10F | 곡괭이 든 광부 | 아기와 괭이 든 여자 | |
20F | 밧줄 당기는 어부 | 아이와 함께있는 두 브르타뉴 여성 | |
50F | 자크 쾨르 | 실잣는 여인 | |
100F | 르네 데카르트 | 방패 든 청동상 | |
1,000F | 케레스와 메르쿠리우스 | 메르쿠리우스 동상 | |
5,000F | 프랑스 식민제국 |
3.2.1. AM 프랑 (1944 ~ 45)
Allied Military Franc의 준말로, 속칭 "깃발 티켓(Billet Drapeau)"이라 한다. 말 그대로 나치 독일에게 점령 당한 프랑스를 다시 연합군 정부(A.M. Government)가 점령함에 따라 기존의 라이히스마르크 대신 쓰도록 발행한 통화.그러나 샤를 드 골이 이를 못마땅하게 생각해서 "아무런 이점도 없는 위폐"라 주장하며 기존의 프랑화를 다시 쓰도록 권장하였고, 그러다 보니 널리 퍼지지 못한 통화가 되었다.
3.3. (1945 ~ 57)
브레튼 우즈 체제에 참여했을 당시에는 알제리 전쟁에 따른 전비 증가로 인해 화폐가치는 꾸준히 떨어졌고, 화폐개혁 직전에는 달러당 493.1프랑에 달했다.앞면 | 뒷면 | ||
50F | 위르뱅 르베리에 | 넵투누스 | |
100F | 농기구 걸친 농부와 소 | 선원, 게 갖고 노는 여인과 아이들 | |
500F | 프랑수아 르네 드 샤토브리앙 | 명상에 잠긴 뮤즈 여신들 | |
1,000F | 미네르바와 허큘리스 | 한 여자 | |
5,000F | 바다와 시골 여인상 | 머큐리와 고대 여인상 | |
10,000F | 한손에 책을 들고 한손을 지구본에 걸친 소녀 |
3.4. (1953 ~ 58)
지폐: 500, 1000, 5000, 10000F 4종으로, 아래 누보프랑 1차와 도안이 비슷하다.동전: 1, 2, 5, 10, 20, 50, 100프랑 7종.
4. 2기 누보(신) 프랑
4.1. 1차 (디노미네이션 직후)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고, 비율은 1:100. 구권 프랑과 구분하기 위해 이 당시에는 NF로 표기하였다. 도안도 직전판을 그대로 가져다가 0을 2개 지운 것이 전부.다만 500프랑권이 하나 더 추가되었으나 발행 당시 가치로는 현재 기준 체감상 100만 원 혹은 1000 스위스 프랑을 지니는 가치의 고액권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공급을 멈췄고 이후 3차의 파스칼로 교체크리를 먹어 굉장히 희귀해졌다.
N1 | 앞면 | 뒷면 | |
5NF | 빅토르 위고와 팡테옹 | 빅토르 위고 박물관 | |
10NF | 리슐리외 추기경과 팔레 루아얄 | 리슐리외 문 | |
50NF | 앙리 4세와 퐁 뇌프 다리 | 포 성 | |
100NF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에투알 개선문 | 앵발리드 | |
500NF | 몰리에르와 당시의 팔레 루아얄 | 베르사유 궁전 극장 |
4.2. 2차 (변혁기 종료)
N2 | 앞면 | 뒷면 | |
5F | 루이 파스퇴르와 파스퇴르 연구소 | 약학 실험도구와 환자 치료 모습(?) | |
10F | 볼테르와 튈르리 정원 | 샤틀레 부인의 저택 | |
50F | 장 라신과 포르 루아얄 드 샹 수도원 | 라 페르테 밀롱 | |
100F | 피에르 코르네유와 베르사유 궁전의 오페라 극장 | 루앙 |
4.3. 3차 (장수기)
1968년에 500프랑을 시작으로 1970년대에 교체된 시리즈. 이후 1980, 81년에 각각 20, 200프랑이 추가되었다.나름 20년 넘게 유통되면서 장수기라고 부르며 20프랑권은 유일하게 계승되어 4차와도 병행 통용되었다.
N3 | 앞면 | 뒷면 | |
10F | 엑토르 베를리오즈와 관현악단 | 로마의 빌라 메디치 | |
20F | 클로드 드뷔시와 작품 "바다" |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 |
50F |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와 베르사유 궁전 | 켕탱 시청 | |
100F | 외젠 들라크루아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 들라크루아의 생가 | |
200F | 몽테스키외와 정의의 여신 | 라 브레드 성 | |
500F | 블레즈 파스칼과 생 자크 교회 | 포르루아얄의 수도원 |
4.4. 4차 (최종)
1993~1997년에 풀리기 시작했는데, 풀린 수량에 비하자면 유통기간이 짧은 편이다. 최고액권인 500프랑은 굉장히 오랜 기간 장수한 기존의 파스칼 500프랑보다 잔존수량이 적다. 메인 인물 도안의 앞뒷판 맞춤 전통이 깨졌으나, 조그만 그림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는 유로화 환산가격.
N4 | 앞면 | 뒷면 | |
50F (€7.62) |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와 유럽-아프리카 지도 | 생텍쥐페리의 비행기 | |
100F (€15.24) | 폴 세잔, 그의 작 '카드놀이하는 사람들' | 그의 작 '사과와 비스킷' | |
200F (€30.49) | 귀스타브 에펠, 에펠탑 | 에펠탑 아래 사요 궁이 보이는 3월 공원 | |
500F (€76.22) |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4] | 실험용 기구들 |
원래는 100프랑권의 인물로 에펠이 들어가고, 200프랑권에 뤼미에르 형제가 들어갔었다. 그렇게 계획하고 배포를 위해 초판 인쇄까지 마친 상태에서 뤼미에르 형제의 국가상징성 비판[5]이 화제가 되어 뭇매를 맞자 눈물을 머금고 모조리 갈아버려야만 했던 흑역사가 있었다. 때문에 세잔은 얼떨결에 한 자리를 받은 셈이 되었다.
4.5. 동전
최종적으로 5, 10, 20상팀과 ½(50상팀), 1, 2, 5, 10, 20프랑 9종.
다만 20프랑은 고액(약 3.05유로)인 특성상 지폐가 훨씬 많이 사용되어 사용량이 적었는데, 해당 동전은 1992년 세계 최초로 통용 목적으로 발행된 트라이메탈 주화(Tri-metallic coin)이기도 하다.
5. 해외령 프랑
5.1. 안틸레스 프랑
본래 기아나, 과들루프, 마르티니크는 각자 분리된 화폐를 사용해 왔지만, 1961년부터 프랑스령 안틸레스라는 이름으로 화폐를 통합했다.이후 1975년부터는 본토와 동일한 프랑을 사용하다가 2002년부터 유로로 전환.
앞면 | 뒷면 | ||
5F | 두 여성 | 곡물 실은 소달구지 | |
10F | 소녀, 해안가 | 사탕수수 베는 사람들 | |
50F | 바나나 수확하는 사람들 | 남녀, 해안가 주택 | |
100F | 빅토르 쇨셰르 |
5.2. 폴리네시아 프랑
자세한 내용은 CFP 프랑/폴리네시아 문서 참고하십시오.6. 연계통화
7. 둘러보기
[1] 당시 생마르탱과 생바르텔레미 포함[2] 예로 50프랑이면 50FF 혹은 50.-[3] 교환되지 않은 발행잔액은 국고로 귀속된다. 일반적인 구권 화폐와 마찬가지로 수집품으로서의 가치만 남는다.[4] 기묘하게도 폴란드 출신인 마리가 앞에, 프랑스 출신인 피에르가 뒤쪽에 그려져 있다. 아무래도 업적 순으로 그려놓은 모양. 게다가 왼편에 마차드립까지 확실하게(...) 저 차량은 피에르를 치어죽인 마차가 아니라 마리가 1차대전 때 야전병원에서 운영했던 이동 X-Ray 검사 차량을 묘사한 것이다.[5] 기회주의자였던 뤼미에르 일가가 나치 치하의 괴뢰정부 아래서 빌빌거렸던 점이 꼬리잡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