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성|]]
- [ 정규 & 미니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fff><-3> 정규 ||
Like A Movi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2. 4. 3.It's Rea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3. 8. 21For the momen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4. 10. 16.Love.. Love..? Lov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5. 9. 21.Eternal Essence of Musi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7. 9. 4.Vocola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9. 10. 8.미니 With All My Heart And Sou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8. 10. 29놈들이 온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1. 10. 10.The Best Ma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4. 5. 12.Transformatio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6. 6. 14우주속에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8. 10. 11.
- [ 싱글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She's Min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4. 5. 24.Against All Odd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6. 4. 16.Love Sea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8. 4. 1.우린 미치지 않았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8. 5. 27.Insomnia (불면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9. 2. 18.The Artist (조덕배 25주년 기념앨범 Part.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0. 1. 19.Realslow Is Back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0. 8. 26.Winter Nigh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0. 12. 22.가슴 시린 이야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1. 3. 15.감기라도 걸릴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2. 6. 7.DOKKUN Project Part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2. 9. 27.Special Lov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3. 11. 29.호호호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4. 1. 17.얼마짜리 사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4. 8. 25.친구로 남아줄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4. 10. 2.아무 말 없었다는 듯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4. 12. 9.Kis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5. 2. 12.진짜 사랑 노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7. 10. 23.Realslow17102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7. 10. 23.호빵이 좋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7. 12. 15.연애는 하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7. 12. 18.ACC Son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8. 11. 7.생각난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9. 3. 14.
- [ OST 음원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회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4. 10. 26.손톱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6. 11. 23.살아서도 죽어서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8. 10. 15.Rain Drop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9. 4. 2.세상이 우릴 갈라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0. 7. 1.My Way (Dr.Champ)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0. 11. 2.눈물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2. 1. 26.For You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4. 8. 18.다녀와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5. 12. 8.자꾸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6. 7. 2.독백 (Monologu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8. 3. 27.내가 기다리는 이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18. 10. 13.FANTASY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22. 3. 2.
- [ 기타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Prince Of The Win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1999. 05. 06.Color Of The Soul Train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2003. 12. 17.
<colbgcolor=#000><colcolor=#fff> 휘성 RealSlow|WHEESUNG | |
| |
본명 | 최휘성 (崔輝晟, Choi Whee-Sung) |
출생 | 1982년 2월 5일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면목동 (現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 |
사망 | 2025년 3월 10일[1] (향년 43세)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 |
장지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마명리 134 광릉 추모공원 |
국적 |
|
본관 | 해주 최씨 (海州 崔氏) |
신체 | 171cm|60kg|O형 |
가족 | 아버지 최광복(1954~2018)[2] 어머니 김용숙[3] 남동생 최혁성(1983년생)[4] |
학력 | 서울면목국민학교 (졸업) 염창중학교 (졸업) 마포고등학교 (졸업) 아현직업학교 (실용음악과 / 졸업)[5] 선문대학교 (신문방송학 / 중퇴) 국제사이버대학교 (경영정보학 / 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문화컨텐츠학 / 석사) |
종교 | 증산도 → 무종교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육군훈련소 조교) (2011년 11월 7일 ~ 2013년 8월 9일)[6] |
소속사 | 타조엔터테인먼트 |
데뷔 | 1999년 [include(틀:음반 표시, 배경색=#09090D, 음반종류=정규 1집, 문서명=휘성/음반 목록 , 음반명=Princess Of The Wind , 글자색=#f7cf7b)] (데뷔일로부터 [dday(1999-05-06)]일, [age(1999-05-06)]주년) |
2002년 [include(틀:음반 표시, 배경색=#09090D, 음반종류=정규 1집, 문서명=Like A Movie , 음반명=Like A Movie , 글자색=#A2AAB4)] (데뷔일로부터 [dday(2002-04-03)]일, [age(2002-04-03)]주년) |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2. 데뷔 전
어린 시절 집안이 매우 가난했다고 자서전에서 밝힌 바 있다. 자신도 그렇고 동생도 가난한 환경에서 자라왔고, 남들 다 휴대전화 있을 때 자기만 삐삐를 빌려쓰고, 당시 13만 원이던 음악 학원비 때문에 부모님한테 얘기할까 말까 고민하다 간신히 얘기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린 나이임에도 알바도 꽤나 많이 했다.연예계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중학교 때 댄스 팀에 들어가 백댄서 활동을 하게 된 것[7], 1997년-1999년 댄스 팀 'ING' 소속으로 S.E.S., J.ae 등 주로 당시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의 백댄서로 활동했다고 한다.
3. A4 활동
그 후 베이비복스 소속사 DR 뮤직에서 배출된 A4라는 4인조 그룹의 멤버로 1999년 5월 정규 1집 'Princess Of The Wind '를 발표하면서 잠시 활동한 적도 있는데, 당시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지금의 모습이 쉽게 연상되지 않는 하이톤의 고운 목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물론 이때는 자신도 인정하듯 썩 노래를 잘하는 편은 아니었다.A4 - 용서해줄래 |
하지만 이때의 가수 활동으로 박효신, 환희와 같은 직업고등학교[9]인 아현직업학교 음악반에 들어가게 되었다. 당시 주위 사람들이 모두 하나씩 뛰어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10] 자신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너무 부끄러워서 밤에 산속에 들어가 노래 연습을 했는데, 며칠 후에 경찰이 웬 미친놈이 산에서 본드하고 소리 지른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하는 바람에 장소를 바꿔 6개월 간 매일 매우 시끄럽고 악취가 나는 하수도 관리 시설에서 8시간씩 노래 연습을 해서 데뷔할 당시의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11]
이후 나우누리의 흑인 음악 동호회 SNP에서 활동했으며 버벌진트, 4WD, 데프콘, 피타입, 정인 등 당시 같이 활동했던 회원들과의 교류를 통해 음악적인 역량을 넓혀 나가게 됐다. 이때는 흑인 보컬 그룹 Dru Hill의 멤버 시스코를 동경하는 의미에서 휘스코라는 닉네임을 사용했다. 이 당시 휘성은 흑인음악과 백인음악을 매니악적으로 좋아했고 철저히 탐구했다.
그러던 중 'MAME' 이라는 밴드에 보컬리스트로 들어가 강변가요제에 출전하게 되었는데 그때 심사위원이었던 이상우의 눈에 띄어 자신이 운영하는 기획사 연습생으로 발탁했다. 그곳에서 박경진[12] 씨를 만났고 1년 후에 함께 나와서 만든 'M-boat'와 계약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소속사로 알고 있는 YG엔터테인먼트의 경우는 이 소속사와 제휴를 한 경우다. 주로 홍보와 매니지먼트를 YG가 담당했다.
선문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 진학하나 중도에 그만두고 국제디지털대학교(현재 국제사이버대학교)에서 경영정보학 학사학위를 수여받고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과정에 적을 두고 있다.
화려하게도, 가수 데뷔 전 장나라의 대표곡 중 하나인 <4월이야기> 피처링을 한 경력이 있다. 장나라 1집 안의 <make it right>과 <blue>에서도 랩 파트에 참여했으며, <약속>에서는 아예 듀엣곡까지 불렀다. '최휘성'이라는 본명으로 작사가로 참여했다고 앨범에 적혀 있다.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가수 죠앤의 1집 수록곡 <사랑하기 좋은 날>에도 랩 피처링으로 참여한 바 있다.
4. 솔로 활동
휘성 - 안되나요 (데뷔 무대) |
휘성 - With Me |
데뷔 초에는 휘성이 부르는 노래 = 어려운 노래라는 인식이 있을 정도로 타 발라드 가수보다 기교가 많이 필요한 화려한 노래들을 중점적으로 활동을 펼쳤다. 2집의 With Me와 3집의 불치병은 휘성의 불후의 명곡이자 국내 R&B의 새로운 문을 연 명곡 중의 명곡. 다만 다양한 음악을 시도해보고 싶다는 이유로 소속사를 바꾼 후 발표한 5집부터는 퍼포먼스 위주의 노래로 바꾸어 재등장했다. 사실 4집 때부터 그런 분위기는 있었고, 소속사를 이적한 이후 본격적으로 퍼포먼스 위주로 나아가기 시작.
기교가 많이 필요한 어려운 노래들을 부르는 데 비해 선천적으로 기관지가 약하고 어려서부터 만성 비염을 앓고 있는 등 목이 튼튼하지 않은 편이다. 거기에 데뷔 때부터 라이브를 고집한 탓에 오랫동안 성대결절로 고생해온 적이 있다. 2008년 초 낭종 제거 수술을 한 뒤 현재는 많이 회복된 모습이다. 이 이후로 발성에 더욱 중점을 두고 노래를 하는데, 대중의 반응은 '노래가 훨씬 안정되었다'는 긍정적인 평과 '휘성만의 느낌이 줄어들었다'는 부정적인 평으로 엇갈린다.
세계적인 해외 아티스트들에게 인정받는 일이 많은데, 2006년 박정현과 함께 현대자동차의 차종인 투싼의 CM송으로 1984년 필 콜린스가 발표한 'Against all odds' 를 불렀는데, 휘성이 부른 걸 듣고 필 콜린스가 '휘성을 만나보고 싶다'고 했으며, 유명한 영국의 R&B 뮤지션 크레이그 데이빗은 휘성을 개인적으로 지목해, 2009년에 휘성이 Insomnia의 아시아 버전인 'Insomnia (불면증)'를 싱글 발매하기에 이른다. 또 미국 진출을 위해 음반 작업을 할 때 유명 프로듀서인 로드니 져킨스가 휘성이 부른 팝송을 듣고 너희 어머니가 흑인이냐 고 물어본 것은 매우 유명한
국내에서는 친한 형이자 과거 god의 멤버였던 김태우가 자신이 랩을 잘한다고[17] 허세를 부리길래 부재중인 용준형 대신 생방으로 피처링을 참여시켰었는데, 이로인해 큰 방송사고가 난 적이 있다. 김태우가 즉석 피처링을 하면서 가사를 노인마냥 반박자 어긋나게 타면서 랩을 하였고, 가사나 발음도 뭉개져 마지막에는 '너와나의 치킨이야' 라고 하는 등 큰 개그랩을 하자 휘성이 웃음을 참지 못하고 터져버렸으나, 프로답게 곧 마음을 다잡으며 곡을 끝까지 완창하였다. 이에 김태우는 "저도 왜 그렇게 했는지 모르겠다. 휘성에게 너무 미안해서 울고 싶고 숨고 싶었는데 너무 흥분해서 가사를 컨닝하려고 베껴 쓴 손바닥마저 내밀기도 하였다." 고 실토하기도 하였다.god 김태우, 과거 컨닝페이퍼 방송사고 비하인드 "휘성에 너무 미안했다"
2002년 데뷔 이후로 2007년까지 꾸준히 상을 받아 왔다. 가장 최근에 받은 것으로는 2007년 제22회 골든 디스크상 디스크부문 본상 수상. 그 후에도 꾸준히 음반을 발매하거나 OST 앨범에 참여하는 등 데뷔 때부터 꾸준히 롱런 하고 있는 모범적인 케이스.[18]
R&B라는 장르를 대중화를 시킬 정도로 많은 히트곡을 내놓았다. 발성을 떠나 그만의 개성이 있는 독보적인 가수였던건 분명하다.
4.1. 보컬
휘성 라이브 모음 |
휘성 라이브 모음 |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다소 두꺼우면서도 탁한 휘성의 음색은 그가 평소에 존경하던 가수 'Sisqo'를 동경하며 가꾸어온 음색이다. 휘성의 자서전 '그래도 나는 ing...'에서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시끄럽고 악취나는 하수처리시설에서 매일 8시간씩 연습한 결과물인 셈.
흔히 휘성을 하면 많은 사람들이 고음을 내지르거나 기교를 사용하는 휘성을 생각한다. 실제로도 기교를 타 가수보다 한 곡에 2~3개씩 더 넣어 부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성향이 가장 두드러졌던 것은 2, 3, 4집 때 타이틀 곡들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19]
생목으로 쥐어짜는 것 같다고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휘성이 벨팅을 통해 의도적으로 강렬한 소리를 내려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주 부분에서 여린 톤으로 부를 때 갈라지는, 즉 허스키한 목소리가 난다. 자신이 원하는 장르인 알앤비와 자신의 원래 목소리인 미성과는 맞지 않았다고 생각한 모양. 정말 휘성이 생목으로 쥐어짰다면 콘서트에서 여러 곡 소화하기도 힘들었을 것이다. 유려하고 공명이 가득찬 두성으로 기교를 구사하는 나얼과는 정반대의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20]
진성으로 내지르는 파트[21]부터 가성까지 한 곡에 여러 번 들어가며, 후반부는 아예 기교로 다 채워버려 내려올 생각을 안 한다.
하지만 휘성이 본래 가진 목소리는 미성인데[22]추구하는 음악은 R&B라 인위적으로 목소리를 두껍게 낸 것이 목에 안 좋은 영향을 끼쳤고,[23]거기에다 벨팅까지 사용하다보니 과도한 스케쥴을 견디지 못하고 2집과 3집 공백기부터 목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기 시작했다.[24] 이로 인해 5집부터는 타이틀곡에 기교를 다소 줄였고 전에 부르던 곡들의 애드리브나 기교도 일부 변경 (With Me, 불치병 고음 생략, 일년이면... 가성 애드리브를 고음으로 바꾼다든지 등)했다.
물론 목 상태가 최악이던 5집 이후에 성대결절 수술도 하고 목 상태가 나아지자[25] 바로 가슴 시린 이야기나 결혼까지 생각했어 같은 곡에 지르는 특성이 잘 드러난다. 이 곡들이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면서 휘성은 고음만 내지르는 가수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는 휘성의 곡들 중 대중성이 강한 곡들이 워낙 내지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정작 커버한 곡이나 수록곡들을 다 들어보면 다양한 휘성의 목소리들을 알 수 있다.
4.2. 음역대
휘성의 가성 음역대가 매우 높은 편인데 행사에서 대표곡으로 자주 부르는 'With Me'만 봐도 4옥타브 도(C6)를 매번 찍는 돌고래쇼를 보여줬고 4옥타브 레♯(D♯6)을 쟈니 길의 'My My My'를 부르면서 올린적도 있다.진성 음역대는 활동 시 '불치병'이라는 곡에서 3옥타브 도♯(C♯5)을 라이브로 올렸고 3옥타브 레(D5)는 1집 활동 당시 환희 브라이언과 있을 때 목을 풀면서 'Doin' just fine' 애드립 부분을 부르면서 올리거나 라이브로 'Basketcase'을 부르면서 3옥타브 레#(D#5)을 올리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4집 때 부른 'Too Hot'이란 곡은 진성 옥타브는 3옥타브 레(D5)이고 가성 옥타브는 4옥타브 도(C6)인 곡이다.
그리고 깔끔한 고음역대가 안 된다는 게 안티들의 주 비난 이유인데[26] '우린 미치지 않았어'라는 곡과 'Choco Luv'라는 곡을 들어보면 그만의 강렬한 벨팅이 아닌 깔끔한 음색으로 3옥타브 미(E5) 고음을 내주고 있다. 그것도 성대 물혹으로 인해 기량이 평가절하 당하는 2008년에 발표한 곡들이다. 아마 성대수술을 하고나서 녹음해서 그런지 깔끔하게 나왔을 수도 있다. 같은 년도에 나온 '물랑루즈'라는 곡은 진성 최고음이 3옥타브 파(F5)이다.
2023년부터 보컬적으로 눈에 띄게 좋아졌다! 그간에 휴식기간동안 발성훈련에 매진했는지, 발성이 탁월하게 좋아졌다. 이로 인해 기존에 부르던 노래들을 좀 더 편하게 부를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데뷔 이후로 발성적으로 여러 변화를 시도 하였으나, 큰 틀은 변하지 못했는데, 발성자체가 좋아진 느낌은 거의 처음이다.
4.3. 랩
대중들은 보컬리스트 휘성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래퍼로도 활동한다. 휘성이 작사한 가사가 각운이 도드라지는 이유는 그가 랩을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데뷔 전에는 랩을 주로 했었다.나우누리 흑인음악 동호회 SNP에서 활동한 영향인건지 수준급의 랩 실력을 보여준다. 강력한 플로우와 적절한 톤을 갖춘 전형적인 정박랩이지만 보컬을 주로하는 가수치고는 대단한 편. 본인의 앨범에서도 랩을 많이 하는 편이며, 피처링 목록 중에는 래퍼로써 피처링 한 사례가 상당히 많다. 애초에 딕션이 깔끔한 편이긴 한데다가 두꺼운 발성이 랩에 굉장히 잘 붙는 편. 5집 타이틀곡 ‘사랑은 맛있다’는 아예 랩이 주가 되는 곡이다. 같은 앨범 수록곡인 ‘만져주기’에서는 아예 래퍼로만 참여하고, 보컬은 윤하가 맡았다. 마마무의 데뷔 전 프리 싱글이었던 '썸남썸녀'에서도 랩 피처링을 했다.
4.4. 보컬 트레이너
휘성은 보컬 트레이너로도 활동했는데 대표적으로 그의 트레이닝을 받은 대표적인 가수로는 아이유, 빅뱅의 멤버 태양, 대성, 승리인데 특히 휘성을 롤모델이라 했었던 대성을 가르치는 모습을 볼 수있다. 당시 같은 연습생 활동을 했던 비스트의 장현승, 2AM의 조권과 소녀시대의 써니, SHINee의 키, 대성과 마찬가지로 휘성을 롤모델이라 이야기했던 종현 등이 알려져 있다. YG에서 소속사를 바꾼 후에 주로 JYP, SM엔터테인먼트에서 연습생들을 가르친 듯 하다. 이 덕분에 방송 안팎으로 아이돌 멤버들과 친밀한 모습이 많이 보이며 아이돌 팬덤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는 편이며 트레이너 휘성에 대한 평가는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잘 가르치지만 깐깐하고 무서운 트레이너'라는 평이 많다. 본인도 자신이 유일하게 자신있는 것이 누군가를 가르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래에 대해 무던히도 많은 노력과 연구를 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노하우를 많이 알고 있다고 한다.5. 음반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휘성/음반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휘성/음반 목록#|]][[휘성/음반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99년 아이돌 그룹인 A4의 정규 1집 'Princess Of The Wind'의 타이틀곡 '용서해줄래'라는 곡으로 활동했었다.
- 솔로 데뷔 전 2001년 버벌진트의 EP 'Modern Rhymes EP'의 타이틀곡 '사랑해 누나'의 보컬 피처링을 맡았다.
- 솔로 데뷔 전 2001년 장나라의 정규 1집 '눈물을 얼굴에 묻는다'의 수록곡 '약속'에서 장나라와 듀엣을 했다.
- 생전 마지막으로 발표한 음원은 'FANTASY'이며, 생전 마지막으로 참여해 작사, 작곡, 피처링한 음원은 'Do or Die'로서 그의 유작이 되었다.
5.1. 대표곡
- [ 펼치기 · 접기 ]
- ||<table bgcolor=#fff,#1f2023><width=1000> 안되나요 ||<width=33.3%> 전할 수 없는 이야기 ||<width=33.3%> With Me ||
휘성의 히트곡들 |
휘성의 히트곡들 |
- 안되나요[27]
- 전할 수 없는 이야기[28]
- 아직도
- 하늘에서
- 제발
- With Me[29]
- 다시 만난 날
- I Am Missing You[30]
- 말을 해줘
- 미인
- 불치병[31]
- 누구와 사랑을 하다가
- 7 Days
- 하나가 더해진 생일
- 일생을
- Good-bye Luv[32]
- 일년이면
- 하늘을 걸어서
- 울보
- 내가 너를 잊는다
- 사랑은 맛있다♡[33]
- 다쳐도 좋아
- 차안남녀
- My Way
- 안녕히 계시죠
- Love Seat
- 우린 미치지 않았어
- 살아서도.. 죽어서도..
- 별이 지다
- Insomnia (불면증)[34]관련영상2관련영상3]
- Rain Drop
- 주르륵
- 눈물 쏟고 또 쏟고
- 사랑.. 그 몹쓸병
- Rose
- 타임머신
- 결혼까지 생각했어
- 가슴 시린 이야기
- 설마
- 놈들이 온다[35]
- 눈물길
- 너라는 명작
- Special Love[36]
- Night and Day
- 모르고 싶다
- For You
- 제껴
- 아로마
- Rainy Day[37]
- 우주속에서
- 생각난다[38]
- Do or Die[39]
5.2. 노래방 수록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휘성/노래방 수록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휘성/노래방 수록 목록#|]][[휘성/노래방 수록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수상
휘성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올해의 음악인 | |||||
- | → | 남가수: 휘성 여가수: 이상은 그룹: 빅마마 (2004년) | → | 남가수: 이승철 여가수: 이소라 그룹: 클래지콰이 프로젝트 (2005년) |
}}} ||
6.1. 수상 경력
- 2002년
- SBS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 한국 인기 연예 대상 신세대 가수 수상
- 제17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신인상 수상
- KMTV KOREAN MUSIC AWARDS 신인상 수상
- MBC 10대 가수 가요제 신인상 수상
- SBS 가요대전 R&B 부분 수상
- 2003년
-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남자 솔로 부문 수상
- 2003년 제18회 골든 디스크 시상식 본상 수상 - With Me
- KMTV 2003 KOREA MUSIC AWARDS 올해의 가수상 수상
- SBS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 SBS 가요대전 본상 수상
- MBC 10대 가수 가요제 본상 수상
- 2004년
- 제1회 한국 대중 음악상 올해의 가수상 남자 솔로 부문 수상
- 2004년 제19회 골든 디스크 시상식 본상 수상 - 불치병
-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수상
- MBC 10대 가수 가요제 본상 수상
-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R&B 부문 수상
- 2005년
-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R&B 부문 수상
- 2005년 제20회 골든 디스크 시상식 본상 수상 - Good Bye Luv..
-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수상
- MBC 10대 가수 가요제 본상 수상
- SBS 가요대전 본상 수상
- 2007년
- 2007년 제22회 골든 디스크 시상식 본상 수상 - 사랑은 맛있다
- 제15회 한국인기연예대상 신세대가요 10대가수상
- 2010년
- 제17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남자 R&B 가수상
- 제2회 코리아 주얼리 어워드 루비상
- 2011년
- 2011 아시아 모델 시상식 BBF 인기 가수상
- 보건복지부 장관상
- 2014년
- 서울 석세스 어워드 가수부문 대상
- 22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K-POP 10대가수상
- SBS MTV Best of the Best Best Male Solo
- 2018년
-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Voice Award
- 2019년
- 대한민국 예술문화인대상 음반프로듀서 부문
- 2024년
- 2024 대한민국 사회공헌상
6.2. 음악 방송 수상
휘성 음악 방송 수상 총 26회 1위 | ||||||||
<rowcolor=#FFFFFF> 날짜 | 방송사 | 방송명 | 곡명 | 비고 | ||||
2002년 | ||||||||
7월 5일 | | | 안되나요 (6관왕) | |||||
7월 19일 | ||||||||
7월 20일 | | | ||||||
7월 26일 | | | ||||||
7월 28일 | | | ||||||
8월 4일 | ||||||||
2003년 | ||||||||
10월 4일 | | | With Me (3관왕) | |||||
10월 5일 | | | ||||||
10월 12일 | ||||||||
11월 22일 | | | 다시 만난 날 (3관왕) | |||||
11월 29일 | ||||||||
12월 7일 | | | ||||||
2004년 | ||||||||
11월 18일 | | | 불치병 (7관왕) | |||||
11월 27일 | | | ||||||
12월 3일 | | | ||||||
12월 11일 | | | ||||||
12월 16일 | | | ||||||
12월 17일 | | | ||||||
12월 18일 | | | ||||||
2005년 | ||||||||
11월 6일 | | | Good-bye Luv (1관왕) | |||||
12월 11일 | 일년이면 (1관왕) | |||||||
2007년 | ||||||||
9월 28일 | | | 사랑은 맛있다♡ (3관왕) | |||||
10월 6일 | | | ||||||
10월 7일 | | | ||||||
2011년 | ||||||||
11월 18일 | | | 가슴 시린 이야기 (1관왕) | |||||
2014년 | ||||||||
5월 21일 | | | Night and Day (1관왕) |
7. 프로듀서 활동
작곡가나 프로듀서로도 장기간 활동하고 있다. 린의 "이별살이"를 작사, 작곡하였고 윤하, 태군, 에일리 등을 발굴했다. 스튜디오에서는 매우 무서운 사람.[40] 아예 실시간으로 보컬 트레이닝을 시키면서 악센트를 교정하고 노래를 다듬는데 자기만큼 불러야 만족한다는 소문이 있다. 무한도전에서 2008년 YOU&ME 콘서트 특집에서의 모습을 보면 그 분위기를 대충 알 수 있을 듯. Executive 프로듀서라기보다 보컬이 주가 되고 편곡에 일부 관여하는 수준.본인 스스로는 자신이 녹음실에서 무서운 사람이라는 것에 대해서 항상 아니라고 해명하고 다닌다. 라디오에서 "이런 얘기들이 내 장가를 막는 거다."라면서 유머 있게 대처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 뒤에 자신들이 울린 가수들을 하나둘씩 이야기하면서 자신이 무서워서 운 게 아니라 녹음이 잘 안돼서 속상해서 운 것일 거라고 변명하기도 했다.
7.1. 작사가
작사가로도 활동했으며 본인의 '일년이면', '사랑은 맛있다♡', 윤하의 '비밀번호 486', 이효리의 'HEY MR.BIG(boys in girl)', 슈퍼스타, 티아라의 '너 때문에 미쳐', 오렌지캬라멜의 '마법소녀', TWICE의 'Dance The Night Away' 등이 그의 대표 작사곡이다. 작사가로서 여러 의미로 명성이 높다. 이런 특유의 자극적인 자신의 가사에 대해 휘성은 대중들에게 가수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해 일부러 그러한 가사를 쓴다고 말했다. 어쩌면 지나치게 상업화된 가요계의 안타까운 현실일지도 모른다. 자신이 작사한 가사에 대한 대중의 좋지 않은 시선이 싫었던 휘성은 이후 이러한 가사는 쓰지 않겠다고 하였다.[41][42]휘성이 대체로 아이돌에게 써주는 가사는 오글거리지만 본인 앨범의 직접 쓴 가사는 평가가 좋은 편이다. 특히 4집 앨범 수록곡 '일년이면'의 가사는 그가 작사한 가사가 비난받을 때 팬들이 이를 반박하기 위해 언급되는 근거 중 하나였다.
2010년 하반기부터 2011년 상반기까지 G.NA의 '꺼져줄게 잘 살아', SG워너비 7집 타이틀곡인 '겨울나무', 제시카의 솔로곡인 'Sweet Delight', 틴탑의 'Supa Luv' 등 작사가로서 대단히 많은 활동을 했다. 작사에 관한 이야기가 많은 만큼 확실한 홍보가 되고 자극적인 특유의 가사가 사람들에게 많이 호감을 사기 때문에 많은 작사 요청을 받는 듯. 덕분에 가수 활동으로 버는 돈보다 가사의 저작권 수입이 더 많았던 적도 있었다고 한다.
휘성의 작사에서 좋게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일상적인 우리말과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가사를 짓는다는 것. 휘성의 작사 대표작으로 악명높은 '아잉♡'의 경우, 가사 전체를 통틀어서 사용된 외래어라고는 '알러지' 단 하나뿐이다!
본인 노래의 가사의 경우에는 다양한 어휘나 랩을 연상하게 하는 각운을 자주 사용하며 극적이고 애절하다 못해 처절한 상황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 특히 이런 애절한 상황과 심정을 정말 제대로 묘사하기 때문에 '(좋은 의미로)찌질하다'는 평도 많이 듣는데 본인은 그런 평가를 매우 싫어한다고 한다.
7.2. 음반 참여 목록
- 타 가수 음반 참여 목록. 숫자, 영문, 한글 순서로 기재합니다.- ANTIK - Movin' on 피처링, 작사, 작곡
- A:ga - 그 자리에서 널 작사
- B1A4 - 못된 것만 배워서 작사
- Babylon - Do or Die 피처링, 작사, 작곡[43]
- Baby Soul(러블리즈) - 남보다 못한 사이 피처링
- 비투비 - 그 입술을 뺏었어 작사
- 포맨 - 오아시스 작사
- 2AM - 내꺼였는데 작사
- 4WD - 학교 피처링[44]
- JOO - 그게 사랑이야 (아빠셋엄마하나OST) 작사
- P-Type - 돈키호테 피처링, 작사
- TGUS - Player 작사
- Tha Lowdown - Trip 2 Da Bay 피처링
- TWICE - Dance The Night Away 작사
- YG패밀리 - YMCA 야구단 피처링
- Face - 사귀어줄래 작사
- Ray - 침묵애 작사
- Ray - without you 작사
- Road For Hope - 선물 피처링
- SE O - 눈이 올 텐데 피처링
- G.NA - 꺼져줄게 잘살아 작사
- G.na - Supa Solo 작사
- G.na - TOP Girl 작사
- G.na - 처음 뵙겠습니다 피처링,작사
- NC.A - Hello baby 작사
- I Love Asia - Smile Again 피처링
- 케이윌, 마마무 - 썸남썸녀 피처링
- M.Flo - I'm Da 1 피처링, 작사
- SG워너비 - 겨울나무 작사
- 틴탑 - Supa Luv 작사
- WELL - Settle 피처링
- WELL - 사.젤.중 피처링, 작곡, 코러스
- WELL 자기야, 나는 니 여자니까 피처링, 작곡, 코러스
- 가인 - Free Will 작사
- 고유진 - Happy 세레나데 작사
- 고유진 - 사랑 끝났다 작사
- 거미 - Do It 피처링
- 거미 - Tonight 피처링
- 거미 - 나는 피처링, 코러스
- 거미 - 어른아이(Unplugged) 피처링
- 거미 - 가버려 피처링, 코러스
- 거미 - 그녀보다 내가 뭐가 작사
- 거미 - 사랑했으니 됐어.. 작사
- 거미 - 지금 행복하세요 작사
- 거미 - Round 1 작사
- 거미 - Trap 작사
- 거미 - 갈곳이 없어 작사, 작곡
- 거미 - Luving u 작사, 작곡
- 김범수 - My baby 작사, 작곡, 피처링
- 김우주 - 낭만전설 작사
- 김연지 - 봄날에 작사
- 김영철 - 안되나용 피처링
- 길건 - A. U Ready 피처링
- 길건 - 태양의 나라 작사
- 니엘 - 손가락질 작사, 작곡
- 다비치 - 나쁘고 아픈 나 작사
- 다비치 - 모래성 작사, 작곡[45]
- 더 네임 - 웃으며 만나 작사,작곡
- 더 네임 - 사랑, 이별 그리고 추억 작사
- 더 네임 - 오늘도 사랑해 작사
- 동방신기 - 낙원 작사
- 디바 - 76-70=♡ 피처링
- 렉시 - 맹세 피처링
- 렉시 - 내게서 벗어나 작사
- 렉시 - 기꺼이 피처링, 작사, 코러스
- 린 - 그녀에게 피처링, 작사, 작곡, 코러스
- 린 - 날 모르죠 피처링
- 린 - 뒤에서 안아줘 작사, 작곡
- 린 - 이별살이 작사, 작곡
- 마스타우 - It'z Time 피처링, 작사
- 미스티 - 이 노래 때문에 작사
- 문근영 - &Design 작사
- 문지은 - 여우가 피처링, 작사
- 민훈 - 꿈 작사
- 박태진 - 구해줘 작사
- 바비킴 - 맴맴맴 작사
- 바비킴 - 나만의 길 작자
- 버벌진트 - 사랑해 누나 피처링
- 버벌진트 - 무간도 피처링
- 베이식, 김진호 - 그 집 앞 작사
- 별 - 세상의 반 작사,작곡
- 보아 - I'm Ok 작사
- 배치기 - 물랑루즈 피처링, 작사,작곡
- 브라이언 - 눈물이 마르면 작사
- 비록 - Sick Of You 작사, 작곡
- 비바소울 - FALLIN' DOWN 피처링
- 비바소울 - Swing My Brother 피처링
- 비바소울 - Delight Funk 피처링
- 빅마마 - Wine 피처링
- 샤이니 - 그녀가 헤어졌다 작사
- 샤이니 - 사랑의 길 작사
- 서인국 - 사랑해 U 작사
- 서인국 - 애기야 작사
- 소녀시대 - 단짝 작사
- 소리 - Hero 작사,작곡
- 손담비 - 입다 질린 옷 작사
- 세븐 - 아쉬운 이별 피처링,작사
- 세븐 - Luz Control 피처링,작사
- 세븐 - Honey I Know 피처링,작사
- 세븐 - Love Story 작사
- 세븐 - 벌레 작사
- 세븐 - 내 입좀 막아줘 작사
- 세븐 - Run 작사
- 슈퍼주니어 - 사랑이 죽는 병 작사
- 시진 - Do The Dance 피처링, 작사, 작곡
- 신소희 - 그랬단 말이야 피처링
- 신혜성 - URBAN FEVER 작사
- 씨리얼 - 뭐야 뭐야 작사
- 아이비 - 유혹의 소나타 피처링,작사
- 아이비 - 좋아 피처링, 작사,작곡
- 아이비 - CUPIDO 피처링,작사
- 아이비 - 이별이 다 그렇죠 작사
- 아이비 - 1 To 10 작사
- 알리 - 말 돌리지 마 작사
- 알리 - What Is Luv 작사
- 알리 - 섬 작사
- 양파 - 아파 아이야 작사
- 여은(멜로디데이) - 날 보러와요 피처링
- 에디 - 왜 그래 피처링
- 에일리 - Heaven 작사
- 에일리 - Shut up 작사,작곡
- 에일리 - 노래가 늘었어 작사,작곡
- 엠블랙 - 남자답게 작사,작곡
- 엠투엠 - 괜히 내가 작사
- 엠투엠 - 사랑이 죄겠니 작사
- 오렌지 캬랴멜 - 마법소녀 작사
- 오렌지 캬라멜 - 아잉♡ 작사
- 오종혁 - 사랑이 그래요 작사
- 옥주현 - Sweet Rainyday 작곡
- 왁스 - 해 뜨는 방향 작사, 작곡
- 원티드 - Believe 피처링
- 유리 - 난 이제 어쩌죠 작사
- 유리 - U Can Do It 작사, 작곡
- 유병열 - Love tesnsion 피처링
- 윤하 - 비밀번호 486 작사
- 윤하 - 어린 욕심 피처링,작사,작곡
- 인소윤 - 그땐 피처링
- 이승우 - 감기라도 걸릴까 피처링,작사,작곡
- 이경선 - 사랑해주세요 작사
- 이효리 - Hey MR Big 작사
- 이효리 - LESSON 작사
- 이효리 - Sexy Boy 피처링,작사
- 임정희 - Yes 작사
- 임창정 - 마지막 악수 작사,작곡
- 일락 - 헤픈여자 작사
- 영지 - 토닥토닥 작사
- 장나라 - 4월이야기 피처링
- 장나라 - 눈물에 얼굴을 묻는다 피처링
- 장나라 - 약속 피처링,작사
- 장나라 - Make it Right 피처링, 작사
- 장나라 - Blue 피처링, 작사
- 정재욱 - 몸부림 작사
- 제시 - 살찐 사랑 피처링, 작사, 작곡, 코러스
- 제시카 - Sweet Delight 작사
- 제이 - 수천번 잠들고 깨어나도 작사,작곡
- 종현 - 할렐루야 공동작사
- 죠앤 - 사랑하기 좋은 날 피처링
- 주석 - Most Wanted - 피처링,작사
- 지누션 - Good time 피처링
- 지누션 - 미스터 지누션 피처링
- 지은 - 선택 피처링, 작사
- 타이키즈 - 다 그렇지 작사
- 태군 - Superstar 작사
- 태군 - 네까짓 게 작사,작곡
- 태빈 - Real Luv Story 피처링,작사
- 태빈 - 널 보낼께 피처링,작사,코러스
- 태완 - Watch Out! 피처링,작사
- 토이 - Please 피처링,코러스
- 통일염원 - 그날이 오면 피처링
- 통일염원 - 한 마음으로 피처링
- 투빅 - 뒤로걷기 작사
- 트랙스 - 치유 작사
- 티아라 - 너 때문에 미쳐 작사
- 팀 - 애착 작사
- 헤이니 - 내맘이 작사
- 헤이즈 - Me, Myself & I 피처링
- 헨리 - 제목 없는 Love Song 작사
- 하동균 - Hot Time Lover 작사
- 본인 음반 참여 목록. 발매 순으로 기재합니다.
- 1588-7179 - 작사[46]
- 악몽 - 작사
- Luz Control - 작사
- 말을 해줘 - 작사
- Dilemma - 작사
- Pretty lady - 작사
- 탈피 - 작사
- Corea new school 제비스딸 - 작사
- It'z Time - 작사
- She's beautiful - 작사
- 일년이면 - 작사
- 왜 나만 - 작사
- 날아가다 - 작사
- 내가 너를 잊는다 - 작사
- 가 - 작사
- Luv Shine - 작사,작곡
- 커다란... 너무 커다란... - 작사
- 사랑은 맛있다♡ - 작사
- 어쩌다 보니 비밀 - 작사
- 만져주기 - 작사
- TICK TOCK - 작사
- 벌 - 작사
- 우린 미치지 않았어 - 작사
- 나락 - 작사
- 별이 지다... - 작사
- 완벽한 남자 - 작사
- Interlude (With 효리) - 작사
- Choco Luv - 작사,작곡
- PRAYER 4 SOUL - 작사, 작곡
- Insomnia (불면증) - 작사
- 네 심장이 쉬는날 - 작사, 작곡
- 눈물 쏟고 또 쏟고 - 작사
- 사랑 그 몹쓸병 - 작곡
- 사랑해... - 작사
- 주르륵 - 작사,작곡
- Girls - 작사
- Over U - 작사
- Rose - 작사
- Show me Girl - 작사, 작곡
- Alone - 작사
- One Kiss - 작사
- 결혼까지 생각했어 - 작사
- 가슴 시린 이야기 - 작사
- 설마 - 작사, 작곡
- 아는 사람 - 작사, 작곡
- 놈들이 온다 - 작사
- Music - 작사, 작곡
- UUU - 작사
- OJ - 작사,작곡
- Oh lonely - 작사, 작곡
- 너라는 명작 - 작사
- Special Love - 작사
- 호호호빵 - 작사
- Best Man - 작사
- 노래가 좋아 - 작사
- Night and Day- 작사
- 네 옆에 누워 - 작사
- 모르고 싶다 - 작사
- 돈 벌어야 돼 - 작사, 작곡
- 아무 일 없었다는 듯 - 작사, 작곡
- Kiss - 작사
- 아로마 - 작사, 작곡
- 호빵이 좋아 - 작사
- Single Life - 작사, 작곡
- Rainy Day - 작사, 작곡
- MoonNight Blues - 작사, 작곡
- 우주속에서 - 작사, 작곡
- Breaking Down- 작사
- 기적이 일어났으면 좋겠어 - 작사, 작곡
- Present - 작사, 작곡
- 생각난다 - 작사, 작곡
- 기타
- MBC 드라마 '로드 넘버원' OST 세상이 우릴 갈라도 - 작사
-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OST 눈물길 - 작사, 작곡
- MBN 드라마 '스폰서' OST FANTASY - 작사
- MBC 음악캠프 스타 금연송 Don't Smoke - 작사
- 대한항공 미주편 CM (Luv Flight, 꿈을 만나러 떠나다, Top of the Sky, Departure, Rock In The Air) - 작사, 작곡
- Fly to the Sky의 텐텐클럽 로고송 - 작사, 작곡 (환희, 박효신과 같이 부름) #
- 이은하의 아이스포츠 로고송 - 노래
- 제이의 '굿바이', 거미의 '그대 돌아오면'과 마마무의 'Mr.애매모호'의 뮤직비디오 출연
8. 음악 외 활동
8.1. 저서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black><rowcolor=white><width=20%> 연도 || 제목 || 저자 ||<width=20%> 비고 ||
2009년 | 그래도 나는 ing | 휘성 |
2009년 10월 28일 본인의 인생을 담은 자서전인 '그래도 나는 ing'를 출간하였었다.
8.2. 영화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black><rowcolor=white><width=20%> 연도 || 영화 || 배역 ||<width=20%> 비고 ||
2010년 | 라이브 인 3D 휘성 : 잇츠 리얼 | 휘성 |
가수 휘성이 국내 최초로 3D 공연실황을 담은 영화 '라이브 인 3D 휘성 : 잇츠 리얼'을 제작 발표하며 2010년 9월 30일 개봉하였었다.
8.3. 드라마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black><rowcolor=white><width=20%> 연도 ||<width=20%> 방송사 || 제목 || 배역 ||<width=20%> 비고 ||
2018년 | | 으라차차 와이키키 | 휘성 |
8.4. 뮤지컬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black><rowbgcolor=black><rowcolor=white><width=20%> 기간 || 제목 || 배역 || 장소 ||<width=20%> 비고 ||
<rowcolor=white> 2014년 | ||||
8월 27일 ~ 10월 26일 | 조로 | 조로 | 충무아트홀 대극장 | |
<rowcolor=white> 2014 ~ 2015 년 | ||||
12월 5일 ~ 1월 3일 | 조로 | 조로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 |
<rowcolor=white> 2016년 | ||||
6월 17일 ~ 8월 28일 | 올슉업 | 엘비스 프레슬리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
<rowcolor=white> 2017 ~ 2018 년 | ||||
11월 24일 ~ 2월 11일 | 올슉업 | 엘비스 프레슬리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9. 논란 및 사건 사고
9.1. 스캔들 논란
2007년 아이비 스캔들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47] 당시에 아이비가 (휘성이 모르는 상황에서) 휘성과 남자친구 사이에서 양다리를 걸쳤다는 소문인데 아이비 남자친구 미니홈피 캡쳐에다가 휘성 싸이월드 미니홈피 캡쳐나 라디오 녹음 등이 돌아다니면서 소문을 키웠다. (엄지손가락 반지가 결정적이었다.) 하여튼 이 스캔들 때문에 휘성은 작사, 특히 이별을 주제로 한 가사를 쓸 때마다 '휘성은 자기 과거를 가사로 쓰는 찌질한 남자'로 오해 받았다.9.2. 프로포폴 불법투약 사건
프로포폴 불법투약 수사 혐의가 꾸준히 불거졌던 연예인 중 한 명이다. 어느 종편에서는 휘성이 조폭을 동원해 협박까지 하면서 불법 투약 사실을 알리지 못하게 했다는 인터뷰 영상이 방송되기도 했었으나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2013년 군대에서 프로포폴을 투약한 것은 맞으나 당시에는 전부 부상 치료를 위한 의료용이었으며 투약 횟수가 10회 정도였다며[48] 불법 투약이 아니라고 밝혔다. 실제로 불법 투약한 의사가 휘성에게도 투약을 했었지만 불법 투약을 해줬다는 사람들 중에 휘성이 없었다는 점부터 이미 경찰 조사에서 의료용이라는 증거까지 다 제출하면서 일단락되는 듯 했다. 하지만 이 때 휴대전화를 쓴 거 때문에 말년에 전역을 앞두고 영창에 갔다 왔다. 그래도 프로포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했기에 정상참작되어 최저징계량인 3일 영창 징계가 부과되었다. 이때 담당 변호사가 손수호 변호사다.2020년 3월 26일, 다시금 휘성이 프로포폴 상습투약 혐의로 수사받고 있음이 알려졌다. 참고
2020년 3월 31일 오후 8시 30분쯤 서울 송파구의 한 건물 화장실에서 수면마취제류 약물을 투입 후 쓰러진 채 발견됐다. 소변검사에서는 음성으로 확인됐으며 경찰은 일단 귀가시킨 뒤 추후 다시 조사할 계획이라고. # 이때 사용한 약물은 프로포폴이 아닌 에토미데이트라고 하며, 에토미데이트를 개인이 저렇게 소유하고 투약하는 것은 불법이지만 법적 분류상 마약은 아니다. 하지만 에토미데이트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법적으로 마약은 아니라 해도 실질적으로는 프로포폴과 비슷한 약물이다.
2020년 4월 2일 경찰은 휘성이 쓰러지기 전 주변 상가의 CCTV를 통해 인터넷에서 알게 된 사람과 약물을 직거래하고 은행 ATM을 4번이나 들락거리는 모습을 포착했다. #1 #2 #3
2020년 4월 2일 오후 9시 15분쯤, 서울 광진구의 한 호텔 1층 화장실에서 또다시 쓰러진 상태로 발견됐다. 현장에는 주사기와 수면마취유도제로 추정되는 약병이 놓여있었다. 경찰은 모발과 소변 검사를 진행했으며, 약물에 대한 감정을 의뢰했다. 휘성은 조사 후 귀가 조치됐다. 경찰은 휘성이 쓰러져 있던 현장 근처 CCTV 영상 등을 분석하면서 그가 약품을 입수한 경위 등을 파악하고 있다. #1 #2
2020년 4월 3일, 경찰은 휘성에게 수면유도제를 제공한 유력한 범인을 약사법 위반으로 긴급 체포했다.
2020년 4월 11일, 중앙일보 보도에 의하면 이미 휘성은 2019년에도 에토미데이트 투약으로 경찰조사를 받았었다고 한다. 경북경찰청이 휘성에 대해 프로포폴 투약으로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기각되었다.
2019년 12월 보컬 트레이너 전 씨[49]와 함께 여러 차례 프로포폴을 구매하고 투약한 혐의로 2020년 8월 31일 대구지방검찰청에 의해 불구속 기소되었다.
2021년 1월 19일 열린 공판에서 휘성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에 대한 검찰의 공소 사실 대부분을 인정했다. # 휘성에게 프로포폴을 판매한 혐의로 기소된 2명은 실형이 선고되었다. 휘성은 징역 1년형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40시간, 약물치료강의 40시간을 선고받았다. 기사 검찰은 항소하여 징역 3년을 구형했으나 재판부가 기각했다. 기사 기사
이 사건으로 인해 2021년 11월 13일 자로 KBS 출연정지 명단에 올랐다.[50]
10. 사망
대구에서 KCM과의 합동 콘서트 The Story를 불과 5일 앞둔 2025년 3월 10일, 서울 광진구 소재의 자택에서 향년 43세로 숨진 채 발견되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 "휘성, 서울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 향년 43세" 2025. 3. 10. YTN |
그는 9일 중국에서 귀국한 후 매니저를 만나기로 되어 있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에 아파트 같은 동에 거주하는 어머니가 휘성의 집을 찾았다가 쓰러진 휘성을 발견한 후 119에 신고했으나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
경찰은 "현재까지 외부 침입 흔적 등의 타살 범죄 혐의점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망한 지 꽤 시간이 지난 것으로 보인다."며 "유서 여부와 구체적인 사망 경위 등은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사망일자는 아직 나오지 않았으며 집에서 혼자 살고 있었기 때문에 발견이 늦었다고 한다.
그의 소속사 타조엔터테인먼트는 10일 입장문을 내고 "갑작스러운 비보에 유가족을 비롯한 타조엔터테인먼트 동료 아티스트 및 임직원 모두 비통한 심정으로 고인을 애도하고 있다"고 했다. #
마지막으로 올린 글은 인스타그램에 올린 2025년 3월 5일자 글인데, '다욧 끝 3월 15일에 봐요\'라는 글을 인스타그램에 올리며, 다이어트를 완료했고 예정대로 대구에서 KCM과의 콘서트를 진행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네티즌들의 추모 댓글이 수천 개에 달하고 있다. # # 이 여파로 콘서트 역시 10일 공식적으로 취소되었다.
사인이 확인될 때까지 장례식은 보류되었으며 경찰은 구체적인 휘성의 사인을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
소속사 측은 장례 절차에 관해 유가족들의 마음이 추스르는 대로 진행할 예정이며, 가족 및 지인들만 참석해 조용히 치를 예정이라고 알렸다. #
3월 12일 1차 부검 소견으로는 '사망 원인 미상'이라고 알려졌다. 시신에는 외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국과수 관계자는 "사인 판단 보류에 가깝다"며 "부검을 통해 즉시 사인을 판단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사건은 정밀 검사 결과까지 취합해야 판단을 내릴 수 있다"설명했다. #, #. 약물 검사 확인은 2주 가량 소요된다고 한다.
소속사 측은 3월 14일~15일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 빈소가 마련되며, 16일 발인이라고 알렸다.[51] 동생 최혁성은 "팬 분들도 부담 없이 편하게 빈소에 방문하시어 형이 떠나는 길 외롭지 않게 함께 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 오전 11시부터 조문객을 맞이했다. # 조문객들 중에는 김태우, 하동균, KCM, 아이유, 이효리 등 연예계 친구 및 동료들이 있었다.
3월 16일 오전 6시 20분 휘성의 영결식과 발인이 엄수되었다. 영결식에는 상주였던 친동생을 비롯해 김나운[52], 추플렉스, 그리고 휘성의 팬클럽 회장이 추도사를 했으며, 이후 연예계 동료들과 팬들의 슬픔 속에서 발인이 엄수되었다. 이후 서울추모공원에서 화장 절차를 거쳐 광릉추모공원에 안치되었다.
휘성의 유족 측은 장례 기간 동안 들어온 조의금 전액을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
2025년 3월 31일 휘성의 사망 원인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부검 결과가 나온 가운데, 범죄 혐의점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 경찰은 고인의 명예 훼손 및 유족의 2차 피해 등을 막기 위해 사망 원인을 구체적으로 밝히긴 어렵다는 입장을 냈다.
11. 여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휘성/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휘성/여담#|]][[휘성/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둘러보기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word-break: keep-all" 출신 아티스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3.3%"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 연도 | 아티스트 | 리더 | 비고 | |||||
현기획 (1996) | |||||||||
1996 | 킵식스 | 이새영 | 3인조 보이그룹 | ||||||
MF기획 (1996) | |||||||||
1996 | 지누션 | 지누 | 남성 듀오 | ||||||
양군기획 (1998 ~ 2001) | |||||||||
1998 | 원타임 | 테디 | 4인조 보이그룹 | ||||||
1999 | YG FAMILY | 양현석 | |||||||
YG엔터테인먼트 (2001 ~ 현재) | |||||||||
2002 | SWi.T | 안내영 | 3인조 걸그룹 | ||||||
2003 | 빅마마 | 신연아 | 4인조 여성 그룹 | ||||||
2004 | XO | - | 남성 듀오 | ||||||
2005 | 소울스타 | 이창근 | 3인조 남성 그룹 | ||||||
2006 | 무가당 | 송백경 | 4인조 혼성 그룹 | ||||||
BIGBANG | G-DRAGON | 5인조 보이그룹 | |||||||
2008 | YMGA | 마스타 우 | 남성 듀오 | ||||||
2009 | 2NE1 | CL | 4인조 걸그룹 | ||||||
2010 | GD&TOP | - | 유닛 그룹 | ||||||
2013 | BOM&HI | - | 유닛 그룹 | ||||||
2014 | AKMU | - | 혼성 듀오 | ||||||
WINNER | 강승윤 | 5인조 보이그룹 | |||||||
HI SUHYUN | - | 유닛 그룹 | |||||||
GD X TAEYANG | - | 유닛 그룹 | |||||||
2015 | iKON | B.I | 7인조 보이그룹 | ||||||
2016 | BLACKPINK | - | 4인조 걸그룹 | ||||||
MOBB | - | 유닛 그룹 | |||||||
2020 | TREASURE | 최현석, 지훈 | 12인조 보이그룹 | ||||||
2023 | T5 | - | 유닛 그룹 | ||||||
BABYMONSTER | - | 7인조 걸그룹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3.3%"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5px -1px 0" | <rowcolor=#000> 연도 | 아티스트 | 성별 | 소속 그룹 | ||
양군기획 (1998 ~ 2001) | |||||||||
1998 | 양현석 | ♂ | - | ||||||
YG엔터테인먼트 (2001 ~ 현재) | |||||||||
2001 | 페리 | ♂ | - | ||||||
2002 | 휘성 | ♂ | - | ||||||
2003 | 거미 | ♀ | - | ||||||
SE7EN | ♂ | - | |||||||
렉시 | ♀ | - | |||||||
마스타 우 | ♂ | - | |||||||
2004 | 태빈 | ♂ | 원타임 | ||||||
2007 | 지은 | ♀ | - | ||||||
Red Roc | ♂ | - | |||||||
2008 | 태양 | ♂ | BIGBANG | ||||||
대성 | ♂ | BIGBANG | |||||||
2009 | G-DRAGON | ♂ | BIGBANG | ||||||
산다라박 | ♀ | 2NE1 | |||||||
박봄 | ♀ | 2NE1 | |||||||
2010 | T.O.P | ♂ | BIGBANG | ||||||
2011 | 승리 | ♂ | BIGBANG | ||||||
강승윤 | ♂ | - | |||||||
타블로 | ♂ | 에픽하이 | |||||||
2012 | 이하이 | ♀ | - | ||||||
2013 | CL | ♀ | 2NE1 | ||||||
2017 | BOBBY | ♂ | iKON | ||||||
ONE | ♂ | - | |||||||
2018 | 제니 | ♀ | BLACKPINK | ||||||
송민호 | ♂ | WINNER | |||||||
2019 | 김진우 | ♂ | WINNER | ||||||
2020 | 방예담 | ♂ | TREASURE | ||||||
이수현 | ♀ | AKMU | |||||||
2021 | 로제 | ♀ | BLACKPINK | ||||||
리사 | ♀ | BLACKPINK | |||||||
2022 | 이찬혁 | ♂ | AKMU | ||||||
2023 | 지수 | ♀ | BLACKPINK | ||||||
2024 | 이승훈 | ♂ | WINNER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3.3%" {{{#!folding [ 영입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000"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 연도 | 아티스트 | 리더 | 비고 |
2005 | 45RPM | 이현배 | 3인조 남성 그룹 | ||||||
스토니 스컹크 | 스컬 | 남성 듀오 | |||||||
2012 | 에픽하이 | 타블로 | 3인조 남성 그룹 | ||||||
2016 | 젝스키스 | 은지원 | 5인조 보이그룹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000"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0> 연도 | 아티스트 | 성별 | 소속 그룹 | |||||
2010 | 싸이 | ♂ | - | ||||||
2019 | 은지원 | ♂ | 젝스키스 | }}}}}}}}} |
- [ 영입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000><color=#000,#fff> ||
- [ 그룹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000> 데뷔 년도 영입 년도 아티스트 비고 2002년 2011년 휘성 2005년 2014년 제시 럭키제이 멤버 J'Kyun 2007년 2015년 주희 8eight 멤버 백찬 2008년 2012년 SHORRY J 마이티 마우스 멤버
[1] 발견 당일인 3월 10일 새벽 2시경 지인과 연락을 주고 받은 걸 보아 최소 발견 당일 새벽 2~3시까지는 살아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2] 2018년 5월 26일에 별세했다. 생전 2014년 5월 불후의 명곡 가정의 달 특집에 휘성과 함께 출연해 우승한 적이 있다. 여담으로 공교롭게도 이름과 같이 생일이 광복절이다.[3] 아버지는 광복절에 생일인 반면에 어머니는 3.1절에 생일이다. #[4] 기혼자. 포항공대를 졸업했다. 고려대 의학 대학원 졸업 후 재활의학과 의사가 되었다.[5] 현 아현산업정보학교.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위탁 교육을 진행하는 직업학교로 고3 때 주 1회만 마포고를 가고 다른 요일들은 아현직업학교로 등교를 했다. 동창으로는 박효신, 환희가 있다.[6] 본래는 8월 6일에 전역 예정이었으나, 하술한 프로포폴 불법투약 의혹을 받을 당시 휴대전화를 반입하고 변호사와 통화를 위해 이를 사용한 혐의로 3일 영창 처분을 받게 되면서 3일 늦게 전역했다.[7] 계기가 상당히 재밌는데, 당시 방송에서 가수 이상의 인기를 얻은 엄정화의 백댄서 김종민을 보고 "나도 저런 백댄서가 되고 싶다" 해서 시작했다고 한다. 물론 김종민이 본격적으로 입을 열기 전에는 백댄서 시절에 중고등학생 사이에 인기가 하늘을 찌를 듯해서 가능한 일.[8] A4는 그 이후 2000년 말에 2집 타이틀곡인 Chance로 활동했지만.. 그나마 메인보컬이던 휘성이 빠졌던 터라 결국 별다른 히트를 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노래를 못해서 잘렸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정확한 이유는 휘성이 어느 날 흑인 소울이 너무 마음에 든다고 비활동기에 흑인소울들에 푹 빠져버려서 당시 관계자들이 아이돌 리드 보컬이 흑인 소울하면 어떡해...라는 반응이었기 때문에 결국 탈퇴한 것이다.[9] 정확히 말하면 공업고등학교나 상업고등학교와 같은 전문 계열 고등학교가 아니라 일반계 고등학교 내부에 편성되어 있는 교육 과정이다. 직업 계열이 아니라 진로 수정을 위해 위탁해서 고등학교 3학년 1년 간 직업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것. (한 마디로 직훈) 참고로 휘성은 마포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참고로 이런 학교도 학교알리미에 등재되어 있으며, 해당 사이트에는 '각종학교'로 분류되어 있다. 여기서 각종학교는 직업학교, 대안학교, 기술학교, 공민학교 등이 속한다.[10] 다만 다른 음악반 동창들은 A4 데뷔 경력이 있는 휘성을 보고 부러워하는 반응을 가졌다고한다.[11] 이때부터 Realslow란 이명을 사용했는데 그냥 단어의 어감이 좋아서 사용했다고 한다.[12] 소속사 M-boat의 사장이자 작사가다. 휘성의 데뷔 타이틀 곡 '안 되나요...'를 작사했다. 여담이지만 '안 되나요'는 그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작사했으며, 이분은 이 곡의 '그대'와 결국 결혼에 성공했다고. 상대는 전 YTN 아나운서 이은영 씨.[13] 당시 서태지, 신승훈이 극찬한 신인이라는 언플로 후광 효과를 받아 대중의 관심도가 신인임에도 높았다. 서태지의 10주년 기념 콘서트에서 처음 데뷔 무대를 가졌을 정도. 이는 휘성의 소속사인 M.BOAT와 제휴를 맺고 있던 YG엔터테인먼트 양현석 대표가 서태지에게 홍보를 부탁해서 이루어졌다. 당시 브라운 아이즈로서 큰 성공을 거두어 유명해졌던 나얼도 '휘성이 나보다는 동생이지만 노래에서만큼은 나보다 한 수 위다.'라며 언플해준 적이 있었다.[14]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휘성이 태진아가 회장으로 있는 대한가수협회의 부장이기 때문.[15] 그래서 휘성은 대한민국에는 자기보다 노래를 잘하는 사람도 많이 있으니 한국을 무시하지 말라고 했단다...참고로 히든싱어 휘성 모창편에 참가한 한 흑인(당시 영어 강사였던 그렉 프리스터)은 휘성의 노래를 좋아하는 이유를 '보컬 스타일에 흑인 소울이 있어서'라고 했다.[16] Out Came The Horn 이라는 곡이나 미국 진출이 무산되는 바람에 미발매곡으로 남게되었다.[17] 여담이지만 김태우는 god에서 유일하게 랩을 한번도 맡아본 적이 없는 멤버이다. 김태우와 함께 보컬 라인을 이끌었던 손호영도 꾸준히 랩을 했지만, 김태우는 오직 노래만 했다.[18] 다만 2집과 3집의 대성공에도 대상이 없는데 당시 2집 때 이효리가 초대박을 쳤고 3집은 대상감이라는 말이 많았지만 발매시기도 연말인데다가 이수영이 대박을 치는 바람에 가요대상과는 인연이 없었다.[19] 이는 1집의 대중적인 지지 덕에 과감히 시도할 수 있던 결과물이다. 1집 타이틀 곡은 아무래도 첫 시도라 대중성을 의식해 비교적 발라드의 성향이 강할 수밖에 없었던 반면, 기교가 많이 가미된 소울 음악은 1집 수록곡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많이 포함된 편이다.[20] 사실 나얼의 경우 자신의 생일 파티에서 (흑인 특유의) 허스키한 목소리를 동경하는 의사를 보인 적 있다. 휘성이 데뷔할 때 나얼이 "나이는 동생이지만 노래에선 나보다 한 수 위다"라고 괜히 언플해준 게 아니다. 물론 그 당시 나얼의 보컬의 완성도가 현재보다는 비교적 떨어졌었던 까닭에 둘의 평가가 지금과는 사뭇 달랐다지만, 단순한 '립 서비스'는 아니었던 셈.[21] 보통 남성의 파사지오 영역대인 2옥타브 후반부터 3옥타브 초반대[22] 솔로 데뷔 전에 A4라는 4인조 그룹으로 데뷔한 적이 있는데 목소릴 들어보면 지금과는 영... 딴판이다.[23] 특히 1집 음악방송 활동 때 두드러졌다.[24] 원래 벨팅은 조금만 발성이 잘못되도 목이 가버린다. 미성으로 타고난 목소리를 벨팅으로 두껍게 부르는 것이 소위 "팔리는 음색"인 것인지 폭발적 전성기를 누렸으나 금방 목이 가버린 점이 민경훈과 비슷하다.[25] 수술 후 예전만큼의 기량이 안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사실 차이가 전무한 수준이다.[26] 그도 그럴 게 휘성이 여지껏 내걸었던 타이틀곡들의 최고음이 후반 하이라이트에서 2옥타브 시(B4)부터 3옥타브 초반을 잠깐 내는 수준이였기 때문이다.[27] 데뷔 곡으로 휘성의 메인 대표 곡 중 하나이다. 데뷔할 때부터 얼마나 인기 있었는 지를 반증하는 예.[28] 1집 후속곡으로, 한 때 많은 가수 지망생들의 오디션 곡으로 통했다. 빅뱅의 대성, 황치열도 이 노래를 오디션 곡으로 커버한 적이 있다.[29] 휘성의 메가 히트곡.[30] 케이윌이 이 노래 모창을 많이 했다.[31] 안되나요, With Me, 불치병 3연타 대히트곡. 노래가 워낙 어려워 휘성 본인도 삑사리 낸 적 있는 노래다.[32] 이 곡 또한 음악방송 1위를 했지만 후속곡인 일년이면 더 인기가 많았다.[33] 휘성이 랩도 잘하는 것을 증명해 주는 노래.[34] 크레이그 데이빗의 동명의 곡에서 가사와 가수만 바꿨다. 이 곡은 크레이그 데이빗이 휘성에게 당신 목소리가 너무나 탐이 나니 번안해 불러주면 좋겠다고 직접 요청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곡은 Feels like insomnia 우우우~ 하는 구절이 "필살기 써 언니야 우우우~"로 들리는 몬더그린으로도 유명하다. 덕분에 격투게임 관련 영상에 자주 등장한다. 노래음이 빅뱅의 Tonight와 연결되기도 한다[[https://youtu.be/xmq7K81nxvY]|관련영상1][35] 상기되었듯이 당시 연습생이었던 에일리가 피처링했다.[36] 거미와의 듀엣 곡. 음원에 가수명은 휘성 단독에 Duet with 거미가 아닌 '휘성, 거미' 이렇게 둘 다 올라가 있다.[37] 더 콜에서 태일(블락비)과 청하랑 같이 부른 노래다. 비트 부분까지 하면 청하 파트와 휘성 파트가 비슷하다.[38] 휘성 노래 중에서 부르기 쉬운 노래[39] 휘성이 마지막으로 발표한 곡. 유작이다.[40] 윤하가 말하길 스튜디오에서 화장실도 못 갔다고 한다.[41] 정확히는 EBS 스페이스 공감의 PD가 트위터로 지인에게 이를 거론하면서 '어쩌면 팀 명도 휘성이 지었을 수도, 정말 휘성의 작사 센스는 그의 찌질한 캐릭터 만큼이나 구리다' 라고 비난에 가까운 이야기를 했는데, 휘성이 이에 대해 '난 왜 이렇게 찌질한 걸까...'라고 트위터에 글을 달아 논란이 되었다. 결국 그 PD가 트위터로 휘성에게 사과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자 결국 이러한 가사를 쓰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42] 그리고 논란이 있는 휘성의 가사에 대해 마냥 작사 탓만 하기도 애매한 게, 작사가와 작곡가가 만든 곡은 본인이 원하는 대로 만드는 것보다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춰 만들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애초에 오렌지캬라멜의 마법소녀나 아잉♡ 같은 노래도 소속사에서 만든 그룹의 컨셉트에 맞는 곡을 요청받았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이라고 봐야지 휘성 마음대로 그렇게 만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가 작사한 곡 중에서 논란이 되는 경우는 주로 클라이언트의 난해한 요구나 가수의 컨셉이 일반적인 선을 넘은 경우가 많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체로 괜찮은 편이다.[43] 휘성의 유작 곡이기도 하다.[44] 미발매곡이다.[45] 신진서라는 이름으로 작사 작곡을 등록했다.[46] A4 아이돌 활동 당시 작사 했던 곡[47] 아이비의 2집 앨범 제작에 참여했다. '유혹의 소나타', '큐피도'를 작사, 휘성이 작곡해준 곡은 방송금지 당했다.[48] 같이 연루된 연예인으로 박시연, 이승연, 장미인애, 현영 등이 있었으며 각각 185회, 111회, 95회, 42회를 투약받은 걸로 알려져 있다.[49] 몇몇 네티즌들은 과거 복면가왕에 출연해 휘성과의 친분과 사제 관계를 과시한 트레이너로 추정한다.[50] 2025년 3월 10일에 사망하면서 해제되었다.[51] 본래 유가족들은 빈소를 차리지 않고 부검이 완료되는 대로 바로 화장 절차에 돌입하려 했으나, 동료들의 설득으로 빈소를 마련했다.[52] 2005년 결혼 당시 휘성이 축가를 불러준 이후부터 인연을 이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