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9:23:20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회 지선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0대
2022년 3월 9일
제21대
미정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2025년
2025년 4월 2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대한민국 지방선거
1998년 6월 4일 2002년 6월 13일 2006년 5월 31일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MBC 출구조사 영상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1석 4석 1석
68.75% 25.00% 6.25%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0석 44석 16석 2석 30석
60.34% 18.96% 6.89% 0.86% 12.9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의회의원 선거 결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467석 143석 33석 11석 2석 26석
68.47% 20.96% 4.83% 1.61% 0.29% 3.81%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의회의원 선거
3,485석[1]
파일:무제14.png 파일:3기기초장.png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노동당 무소속

1. 개요

2002년 6월 13일 치러진 대한민국전국동시지방선거로 34,744,232명 유권자 중에서 16,946,236명이 투표함에 따라 투표율은 48.8%를 기록했다. 이 기록은 6년 후인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46.1%로 깰 때까지 국내에서 전국단위 선거 중 최저 투표율이라는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2]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진행 중의 선거라 투표율이 매우 저조했다. (지방선거 다음날이 한국-포르투갈 경기) 심지어 선거 다음날 방송 3사 메인뉴스(KBS 뉴스 9, MBC 뉴스데스크, SBS 8 뉴스)도 지방선거 소식은 뒷전으로 밀려나서 한국이 16강에 갔다는 소식이 먼저였고, 심지어 일본이 동시에 16강 갔다는 꼭지가 나온 뒤에야 지방선거 소식이 배치될 정도였다. 물론 그 당시에 한국이 2라운드에 진출한 것 자체가 엄청난 뉴스거리였다는 것을 감안해야 하겠지만...

애초 2002년 7월 1일에 새 자치단체 임기가 출발하는데 불과 2주 전인 6월 13일에 치러진 것도 월드컵 탓이었다. 원래 지방선거일로 계획된 5월 31일[3]이 월드컵 개막으로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이었다.[4][5] 게다가 한 주 뒤인 6월 6일현충일이어서 그 다음주까지 밀렸다.[6][7]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인 건 외신에서 대한민국에 많은 특파원을 내보냈을 때이기 때문에 한국 지방선거 얘기는 세계 각국에 알려지기는 했다는 것이다.

2. 진행 과정

사실 선거 운동 초반만 해도 노풍이 강하게 불면서 노무현 후보가 이회창 후보를 10~20% 이상의 격차로 승리하는 여론조사가 많았기에 새천년민주당이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고, 선거 결과를 자신에 대한 재신임으로 생각하겠다는 후보 발언도 있었다. 한나라당은 당초 텃밭으로 여겨졌던 울산시장도 위태위태했던 상황이었고, TK에서도 한국미래연합이 상당수의 기초단체장과 광역의원을 내줄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등 영남권에서도 부진을 면치못할것이라는 예측도 있었다.

그러나 선거 운동 중후반 들어 당시 김대중의 아들인 김홍걸이 구속 수감된데다가 노풍이 점차 주춤해지면서 한나라당이 선거초에 비해 상승세를 보이면서 1당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고, 당초 새천년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예측되었던 서울특별시와 경기도가 경합으로 돌아서는 등 새천년민주당 우세 지역은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거기에 설상가상으로 월드컵에 관심이 쏠리면서...[8]

3. 투표율

파일:1B5AD757-49E7-417D-BF7B-7261B4A1C445.jpg
20~29세[9]의 투표율이 특히 낮다. 선관위 공식 자료.

4. 출구조사

광역자치단체장 MBC-한국갤럽 출구조사 결과 (총 16석)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11 3
자유민주연합 경합
1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 예측 1위 예측 2위
서울 이명박 <colbgcolor=#ffffff,#1c1d1f> 50.9% 김민석 <colbgcolor=#ffffff,#1f2023> 43.6%
부산 안상영 67.0% 한이헌 17.1%
대구 조해녕 63.5% 이재용 36.5%
인천 안상수 58.8% 박상은 32.3%
광주 박광태 47.0% 정동년 27.9%
대전 염홍철 48.7% 홍선기 43.1%
울산 박맹우 51.8% 송철호 45.7%
경기 손학규 54.3% 진념 41.4%
강원 김진선 75.6% 남동우 24.4%
충북 이원종 66.3% 구천서 28.2%
충남 심대평 71.7% 박태권 28.3%
전북 강현욱 74.9% 손주항 18.0%
전남 박태영 55.2% 송재구 29.5%
경북 이의근 87.4% 조영건 12.6%
경남 김혁규 80.6% 김두관 12.4%
제주 {{{#ffffff '신구범'}}} 49.3% {{{#ffffff '우근민'}}} 47.7%
예측 1·2위 후보명이 기울임체로 표시된 것은 출구조사 결과가 경합이다. }}}}}}}}}
광역자치단체장 KBS-미디어리서치&코리아리서치 출구조사 결과 (총 16석)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11 3
자유민주연합 경합
1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 예측 1위 예측 2위
서울 이명박 <colbgcolor=#ffffff,#1c1d1f> 53.6% 김민석 <colbgcolor=#ffffff,#1f2023> 42.9%
부산 안상영 63.1% 한이헌 19.6%
대구 조해녕 66.9% 이재용 33.1%
인천 안상수 60.8% 박상은 29.9%
광주 박광태 48.0% 정동년 25.5%
대전 염홍철 48.8% 홍선기 39.6%
울산 박맹우 55.8% 송철호 42.3%
경기 손학규 60.0% 진념 35.5%
강원 김진선 77.6% 남동우 22.4%
충북 이원종 63.9% 구천서 31.7%
충남 심대평 64.7% 박태권 35.3%
전북 강현욱 74.5% 손주항 17.7%
전남 박태영 60.8% 송재구 24.0%
경북 이의근 89.4% 조영건 10.6%
경남 김혁규 77.7% 김두관 16.8%
제주 {{{#ffffff '우근민'}}} 49.3% {{{#ffffff '신구범'}}} 48.9%
예측 1·2위 후보명이 기울임체로 표시된 것은 출구조사 결과가 경합이다. }}}}}}}}}
광역자치단체장 SBS-TN 소프레스 출구조사 결과 (총 16석)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자유민주연합
11 4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 예측 1위 예측 2위
서울 이명박 <colbgcolor=#ffffff,#1c1d1f> 53.3% 김민석 <colbgcolor=#ffffff,#1f2023> 42.6%
부산 안상영 70.8% 한이헌 20.3%
대구 조해녕 62.6% 이재용 37.4%
인천 안상수 60.4% 박상은 31.4%
광주 박광태 46.3% 정동년 30.1%
대전 염홍철 52.4% 홍선기 36.9%
울산 박맹우 55.0% 송철호 43.1%
경기 손학규 56.4% 진념 39.6%
강원 김진선 76.6% 남동우 23.4%
충북 이원종 64.2% 구천서 28.7%
충남 심대평 67.1% 박태권 32.9%
전북 강현욱 79.3% 손주항 15.5%
전남 박태영 62.5% 송재구 22.3%
경북 이의근 90.0% 조영건 10.0%
경남 김혁규 82.6% 김두관 13.8%
제주 우근민 51.5% 신구범 46.1% }}}}}}}}}
MBC의 경우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만 유일하게 출구조사 결과와 실제 당선인이 다르게 나왔다. SBS는 16곳의 결과를 모두 맞췄으며 KBS는 한나라당 11, 새천년민주당 3, 자유민주연합 1 제주도를 경합으로 분류했다.

5. 선거 결과

광역자치단체장 개표 결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1 4 1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경북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충남
이명박 안상영 조해녕 안상수 염홍철 박맹우 손학규 김진선 이원종 이의근 김혁규 박광태 강현욱 박태영 우근민 심대평
선거 결과 발표 직후 서울특별시장 양측 캠프 반응
결국 새천년민주당의 참패. 한나라당의 대승으로 이어졌다.

2002년 12월 19일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기준으로 한나라당이 11곳, 새천년민주당이 4곳, 자유민주연합이 1곳을 각각 차지하면서 한나라당의 승리로 돌아갔다. 특히 한나라당은 제6공화국 처음으로 한 정당이 전국 단위 선거에서 과반 득표를 하는 기록을 세웠고[10] 압승의 정도도 1991년 지방선거에서 투표율 저조와 야권 분열로 압승했던 민주자유당보다도 더 강세였다.

새천년민주당이 참패하는 대신 민주노동당이 대약진한 선거였다. 수도권 지역에서는 부진했지만, 부산광역시[11]울산광역시에서 선거비용 전액 보전 기준인 15%를 넘었고, 인천광역시, 경기도, 광주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에서도 5%를 상회하는 득표율을 올리는 등의 선전을 보였다. 특히 울산광역시는 한나라당 후보와 민주노동당 후보가 그야말로 박빙의 대결을 펼친 이 선거의 하이라이트였다. 결국 민주노동당은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약진을 시작으로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권영길 후보의 선전을 거쳐,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때 드디어 국회에 입성하게 된다.

새천년민주당으로서는 경선 이변으로 경선에서 승리한 노무현 후보의 노풍의 여세를 몰아 젊은 후보를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승리하겠다는 복안을 내세웠지만 정작 지방선거 패배로 노풍이 위태롭게 되고 정몽준 후보가 부상하며 여론조사 3위로 추락하고 만다. 하지만 이 패배가 만들어 낸 몽풍과 단일화, 그리고 뒤이은 나비효과는 정말로 굉장한 것이었다(...). 반면 한나라당은 지방선거 승리의 기운을 타고 이회창 후보의 지지율도 함께 치솟으며 정권교체를 노렸지만,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노무현이 대역전승하여 이회창은 다시 패배의 쓴맛을 보게 된다.

5.1. 광역자치단체장

한나라당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11곳에서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은 텃밭인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12] 네 곳에서 승리하였다.

자유민주연합충청남도 한 곳을 건졌다.

민주노동당은 광역자치단체장에서 당선인을 내지 못했지만 울산광역시에서 무려 43%를 얻는 괴력을 보여주었다.

여담으로 이때는 교섭단체 정당에만 고정기호가 부여되었기 때문에 1번2번만 전국 공통기호였다.

5.1.1. 서울특별시장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명박(李明博) 1,819,057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2.28% 당선
2 김민석(金民錫) 1,496,754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3.02% 낙선
3 임삼진(林三鎭) 28,034 5위


파일:녹색평화당글자.png
0.80% 낙선
4 이문옥(李文玉) 87,965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2.52% 낙선
5 원용수(元容秀) 12,982 6위


파일:사회당 1998년 글자.svg
0.37% 낙선
6 이경희(李京熹) 34,31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98% 낙선
선거인 수 7,665,343 투표율
45.80%
투표 수 3,510,898
무효표 수 31,793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인 이명박이 당선된 선거다.

5.1.2. 부산광역시장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상영(安相英) 729,589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3.76% 당선
2 한이헌(韓利憲) 221,938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39% 낙선
3 김석준(金錫俊) 192,594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6.83% 낙선
선거인 수 2,784,721 투표율
41.77%
투표 수 1,163,040
무효표 수 18,919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c16_208_i1.jpg
파일:한이헌 2.jpg
파일:김석준 1.jpg
}}}}}}}}}

5.1.3. 대구광역시장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해녕(曺海寧) 452,943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1.18% 당선
3 이재용(李在庸) 287,39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81% 낙선
선거인 수 1,814,278 투표율
41.45%
투표 수 751,994
무효표 수 11,655
범여권 무소속 이재용 후보는 비록 낙선했지만 보수의 심장 대구광역시에서 민주당계 후보로 4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얻으며 대단히 선전했다. 게다가 자신이 재선 남구청장을 지냈던 남구에서는 51.26%의 득표율로 조해녕 후보를 꺾었는데, 이는 현재까지 대구광역시장 선거에서 비보수 정당 후보가 기초자치단체 단위로나마 승리한 유일한 기록이다.

5.1.4. 인천광역시장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상수(安相洙) 393,932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6.17% 당선
2 박상은(朴商銀) 225,210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2.11% 낙선
3 신맹순(申孟淳) 29,473 4위


파일:녹색평화당글자.png
4.20% 낙선
4 김창한(金昌漢) 35,234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5.02% 낙선
5 김영규(金榮圭) 17,404 5위


파일:사회당 1998년 글자.svg
2.48% 낙선
선거인 수 1,809,907 투표율
39.31%
투표 수 711,602
무효표 수 10,349

5.1.5. 광주광역시장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환의(李桓儀) 43,695 3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1.00% 낙선
2 박광태(朴光泰) 185,938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6.81% 당선
3 박종현(朴鍾賢) 29,427 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7.40% 낙선
4 정구선(鄭求宣) 9,87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8% 낙선
5 정동년(鄭東年) 107,415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7.04% 낙선
6 정호선(鄭鎬宣) 20,796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23% 낙선
선거인 수 954,481 투표율
42.31%
투표 수 403,821
무효표 수 6,673
[광주광역시장 구별 개표 결과 보기]
||<-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aa7b><bgcolor=#00aa7b><color=#ffffff>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구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eee,#333333> 정당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투표 수
(투표율)
후보 박광태 정동년
[[광주광역시|
전체
]]
185,938
(46.81%)
107,415
(27.04%)
403,821
(42.31%)
표차 +78,523
19.77%p ▷
[[동구(광주광역시)|
동구
]]
20,363
(48.30%)
9,445
(22.40%)
42,924[13]
(47.81%)[14]
표차 +10,918
25.90%p[15]
[[서구(광주광역시)|
서구
]]
39,589
(46.94%)
22,435
(26.60%)
85,482
(41.74%)
표차 +17,154
20.34%p ▷
[[남구(광주광역시)|
남구
]]
34,966
(49.72%)
18,855
(26.81%)
71,438
(44.73%)
표차 +16,111
22.91%p ▷
[[북구(광주광역시)|
북구
]]
55,377
(43.71%)
38,680
(30.53%)
128,528[16]
(39.61%)[17]
표차 +16,697
13.18%p ▷
[[광산구|
광산구
]]
35,643
(48.37%)
18,000
(24.42%)
75,449
(42.91%)
표차 +17,643[18]
23.95%p ▷

5.1.6. 대전광역시장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염홍철(廉弘喆) 191,832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6.61% 당선
3 홍선기(洪善基) 165,426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0.20% 낙선
4 김헌태(金憲泰) 15,780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3% 낙선
5 정하용(鄭夏容) 38,44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34% 낙선
선거인 수 987,180 투표율
42.32%
투표 수 417,809
무효표 수 6,326
대전광역시 산하 구청장들은 모두 자유민주연합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대전광역시장은 한나라당의 염홍철 후보가 승리하여 당선되었다.

5.1.7. 울산광역시장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맹우(朴孟雨) 197,772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3.07% 당선
3 송철호(宋哲鎬) 162,546 2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43.61% 낙선
4 안승천(安承千) 12,329 3위


파일:사회당 1998년 글자.svg
3.30% 낙선
선거인 수 722,806 투표율
52.31%
투표 수 378,121
무효표 수 5,47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하이라이트, 다른 곳에선 비교적 쉽게 승부가 결정된 반면 여기선 접전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송철호 후보는 북구와 동구에서 승리를 거뒀고, 박맹우 후보는 나머지 지역에서 승리를 거뒀다. 특히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인 남구에서 투표율이 낮게 나와 무려 20%p 가까이 되는 격차로 박맹우 후보가 이긴 게 박맹우 후보의 승리에 결정타를 날렸다.

5.1.8. 경기도지사

파일:경기도 휘장(1995-2005)_White.svg 경기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손학규(孫鶴圭) 1,744,291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8.37% 당선
2 진념(陳稔) 1,075,243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5.98% 낙선
3 김준기(金準基) 168,357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5.63% 낙선
선거인 수 6,777,575 투표율
44.63%
투표 수 3,024,844
무효표 수 36,953
[경기도지사 시군구별 개표 결과 보기]
||<-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00a8><bgcolor=#0000a8><color=#ffffff>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시군구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eee,#333333>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투표 수
(투표율)
후보 손학규 진념
[[경기도|
전체
]]
1,744,291
(58.37%)
1,075,243
(35.98%)
3,024,844
(44.63%)
표차 +669,048
22.39%p ▷
[[장안구|
수원시 장안구
]]
59,603
(60.64%)
33,422
(34.00%)
99,253
(42.44%)
표차 +26,181
26.64%p ▷
[[권선구|
수원시 권선구
]]
55,604
(60.67%)
31,178
(34.02%)
92,598
(40.98%)
표차 +24,426
26.65%p ▷
[[팔달구|
수원시 팔달구
]]
53,550
(61.37%)
29,845
(34.20%)
88,058
(39.29%)
표차 +23,705
27.17%p ▷
[[수정구|
성남시 수정구
]]
37,715
(48.71%)
34,523
(44.59%)
78,431
(40.72%)
표차 +3,192
4.12%p ▷
[[중원구|
성남시 중원구
]]
36,501
(48.66%)
33,577
(44.76%)
76,103
(38.22%)
표차 +2,924
3.90%p ▷
[[분당구|
성남시 분당구
]]
86,423
(64.15%)
44,447
(32.99%)
135,540
(48.16%)
표차 +41,976[19]
31.16%p ▷
[[의정부시|
의정부시
]]
61,852
(56.67%)
40,860
(37.43%)
110,516
(42.48%)
표차 +20,992
19.24%p ▷
[[만안구|
안양시 만안구
]]
44,315
(56.92%)
29,802
(38.27%)
78,621
(41.07%)
표차 +14,513
18.65%p ▷
[[동안구|
안양시 동안구
]]
60,990
(59.04%)
38,365
(37.14%)
104,102
(46.35%)
표차 +22,625
21.90%p ▷
[[원미구|
부천시 원미구
]]
60,252
(54.26%)
45,344
(40.83%)
112,168
(40.73%)
표차 +14,908
13.43%p ▷
[[소사구|
부천시 소사구
]]
32,070
(55.78%)
22,600
(39.31%)
58,149
(40.24%)
표차 +9,470
16.47%p ▷
[[오정구|
부천시 오정구
]]
23,447
(51.73%)
19,490
(43.00%)
45,895
(34.62%)[20]
표차 +3,957
8.73%p ▷
[[광명시|
광명시
]]
63,955
(58.89%)
40,497
(37.29%)
109,572
(45.63%)
표차 +23,458
21.60%p ▷
[[평택시|
평택시
]]
68,398
(57.69%)
37,148
(31.33%)
120,511
(48.08%)
표차 +31,250
26.36%p ▷
[[동두천시|
동두천시
]]
17,931
(61.69%)
9,684
(33.32%)
29,600
(54.69%)
표차 +8,247
28.37%p ▷
[[양주시|
양주군
]]
27,911
(57.60%)
17,785
(36.70%)
49,252
(49.85%)
표차 +10,126
20.90%p ▷
[[안산시|
안산시
]]
78,495
(53.36%)
59,482
(40.43%)
148,725
(36.53%)
표차 +19,013
12.93%p ▷
[[덕양구|
고양시 덕양구
]]
62,170
(57.18%)
40,888
(37.61%)
109,883
(41.83%)
표차 +21,282
19.57%p ▷
[[일산구|
고양시 일산구
]]
74,810
(60.14%)
44,131
(35.48%)
125,331
(42.01%)
표차 +30,679
24.66%p ▷
[[과천시|
과천시
]]
15,790
(57.42%)
10,401
(37.82%)
27,753
(56.76%)
표차 +5,389
19.60%p ▷
[[의왕시|
의왕시
]]
24,076
(57.95%)
15,537
(37.39%)
41,993
(48.82%)
표차 +8,539
20.56%p ▷
[[구리시|
구리시
]]
31,973
(57.27%)
21,314
(38.18%)
56,391
(43.25%)
표차 +10,659
19.09%p ▷
[[남양주시|
남양주시
]]
66,832
(58.35%)
41,499
(36.23%)
116,021
(43.39%)
표차 +25,333
22.12%p ▷
[[오산시|
오산시
]]
21,109
(57.88%)
12,842
(35.21%)
37,011
(47.56%)
표차 +8,267
22.67%p ▷
[[화성시|
화성시
]]
47,557
(61.12%)
23,837
(30.63%)
79,223
(49.47%)
표차 +23,720
30.49%p ▷
[[시흥시|
시흥시
]]
46,732
(55.17%)
33,352
(39.37%)
85,637
(37.84%)
표차 +13,380
15.80%p ▷
[[군포시|
군포시
]]
48,706
(56.03%)
33,922
(39.02%)
87,627
(47.04%)
표차 +14,784
17.01%p ▷
[[하남시|
하남시
]]
27,413
(61.91%)
15,085
(34.07%)
44,831
(49.41%)
표차 +12,328
27.84%p ▷
[[파주시|
파주시
]]
49,467
(61.23%)
26,113
(32.32%)
82,234
(49.33%)
표차 +23,354
28.91%p ▷
[[이천시|
이천시
]]
40,245
(63.89%)
18,538
(29.43%)
64,100
(49.37%)
표차 +21,707
34.46%p ▷
[[용인시|
용인시
]]
93,848
(61.28%)
52,478
(34.27%)
154,700[21]
(46.15%)
표차 +41,370
27.01%p ▷
[[안성시|
안성시
]]
33,309
(59.13%)
19,038
(33.79%)
57,425
(54.76%)
표차 +14,271
25.34%p ▷
[[김포시|
김포시
]]
36,991
(60.28%)
21,136
(34.44%)
62,190
(47.45%)
표차 +15,855
25.84%p ▷
[[여주시|
여주군
]]
25,703
(65.18%)
11,179
(28.35%)
40,157
(52.63%)
표차 +14,524
36.83%p ▷
[[광주시|
광주시
]]
36,504
(60.78%)
20,953
(34.89%)
60,943
(53.17%)
표차 +15,551
25.89%p ▷
[[포천시|
포천군
]]
33,018
(56.44%)
19,031
(32.53%)
59,891
(57.21%)
표차 +13,987
23.91%p ▷
[[연천군|
연천군
]]
14,043
(56.50%)
8,650
(34.80%)
25,360[22]
(66.19%)
표차 +5,393
21.70%p ▷
[[양평군|
양평군
]]
27,134
(69.01%)
9,283
(23.61%)
40,123
(63.96%)
표차 +17,851
45.40%p[23]
[[가평군|
가평군
]]
17,849
(62.96%)
7,987
(28.17%)
28,926
(68.24%)[24]
표차 +9,862
34.79%p ▷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서는 IMF 체제 조기 종료에 기여한 진념기획재정부장관이 경기도지사 후보로 선출되어 출마했고, 야당인 한나라당에서는 손학규 전 의원이 재도전했다. 선거 기간 초기에는 두 후보의 지지도가 호각세를 이루었으나 개표 결과 손학규가 모든 선거구에서 우세를 점하며 22%p가 넘는 큰 격차로 승리하고 4년 전의 패배를 설욕했다.

국민의 정부 말기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들이 비리 혐의로 연이어 구속되는 홍삼 게이트가 드러나는 등 대통령 지지도의 하락과 레임덕,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열기로 인한 청년층의 투표율 저조[25]가 손학규 후보의 압도적 승리에 도움을 주었다. 반면 진념 후보는 경제 관료 시절의 커리어 및 업적에도 불구하고 경기도와는 별 지역적 연고가 없었다는 점 때문에 크게 부진했다. 임기 중 수뢰 혐의로 구속되어 옥중 결재 및 도정 마비로 논란을 일으킨 현직 임창열 전 지사와 같은 관료 출신이었기 때문에 후보의 이미지에 있어 신선함을 주기 어려운 측면도 있었다.

5.1.9. 강원도지사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강원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진선(金振兟) 468,987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1.11% 당선
2 남동우(南東佑) 190,451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88% 낙선
선거인 수 1,129,859 투표율
59.40%
투표 수 671,242
무효표 수 11,804

5.1.10. 충청북도지사

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_White.svg 충청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원종(李元鍾) 343,546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8.59% 당선
3 구천서(具天書) 196,253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3.47% 낙선
4 장한량(張漢良) 46,45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92% 낙선
선거인 수 1,076,451 투표율
55.78%
투표 수 600,550
무효표 수 14,292

5.1.11. 충청남도지사

파일:충청남도 휘장(1998-2012)_white.svg 충청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태권(朴泰權) 251,005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3.03% 낙선
3 심대평(沈大平) 508,796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66.96% 당선
선거인 수 1,397,105 투표율
56.24%
투표 수 785,742
무효표 수 25,941

5.1.12. 전라북도지사

파일:전라북도 휘장(1997-2009)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나경균(羅庚均) 63,661 3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8.30% 낙선
2 강현욱(姜賢旭) 571,650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74.56% 당선
3 손주항(孫周恒) 131,320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12% 낙선
선거인 수 1,431,722 투표율
54.98%
투표 수 787,135
무효표 수 20,504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나경균 3회 지선.jpg
파일:bc16_229_i1.jpg
파일:손주항 3회지선.jpg
}}}}}}}}}

5.1.13. 전라남도지사

파일:전라남도 휘장(2000-2016)_White.svg 전라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황수연(黃守淵) 51,504 4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27% 낙선
2 박태영(朴泰榮) 563,545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57.76% 당선
3 송재구(宋載久) 236,55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24% 낙선
4 송하성(宋河星) 89,48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17% 낙선
5 안수원(安銖源) 34,439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3% 낙선
선거인 수 1,533,059 투표율
65.63%
투표 수 1,006,148
무효표 수 30,615

5.1.14. 경상북도지사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의근(李義根) 1,028,080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85.49% 당선
3 조영건(曺泳健) 174,47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50% 낙선
선거인 수 2,044,215 투표율
60.37%
투표 수 1,234,095
무효표 수 31,543
이의근 전 지사가 얻은 득표율은 역대 경상북도지사 최다 득표율(85.49%)을 기록하고 있다.

5.1.15. 경상남도지사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혁규(金爀珪) 920,706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4.50% 당선
2 김두관(金斗官) 208,641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6.88% 낙선
3 임수태(林守泰) 106,367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8.60% 낙선
선거인 수 2,227,548 투표율
56.53%
투표 수 1,259,142
무효표 수 23,428

5.1.16. 제주도지사

파일:제주도기(1966-2009).svg 제주도지사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구범(愼久範) 119,502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5.41% 낙선
2 우근민(禹瑾敏) 135,283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40% 당선
3 신두완(申斗完) 8,373 3위


[[민주국민당(2000년)|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
3.18% 낙선
선거인 수 387,982 투표율
68.94%
투표 수 267,479
무효표 수 4,321

5.2. 기초자치단체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7명을 뽑는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한나라당은 136명을 당선시켰고, 새천년민주당은 44명, 자유민주연합은 16명, 민주노동당은 2명, 무소속이 29명 당선되었다.

5.3. 정당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득표율

정당별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득표율
정당 득표수 당선인
득표율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8,820,102 11명
52.87%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74,653 4명
29.22%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26,757 -
7.35%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870,475 1명
5.22%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782,490 -
4.69%


파일:녹색평화당글자.png
57,507 -
0.34%


파일:사회당 1998년 글자.svg
42,715 -
0.26%


[[민주국민당(2000년)|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
8,373 -
0.05%
선거인 수 34,744,232 투표율
48.85%
투표 수 16,973,662
무효표 수 290,500

5.4. 지방의회의원

광역의회(시·도의회)의 정당 비례대표 의원을 직접투표로 선출하기 시작한 선거였다.[26][27] 이로서 민주노동당은 자민련을 넘는 7.89%의 득표를 올리며 서울, 경기, 강원, 전남북, 경남, 울산(각 1석)에서 광역의회 의석을 확보하게 되었다. 특히 울산에서는 28.7%의 득표로 새천년민주당의 8.6%를 관광 태우며 비례대표 3석 가운데 1석을 차지했다.

5.4.1. 광역의회의원

파일:3회지선광역의원.png
680명을 뽑는 광역의원에서는 한나라당이 467석, 새천년민주당이 143석, 자유민주연합이 32석, 한국미래연합이 2석, 민주노동당이 11석, 무소속이 26석을 건졌다.

그야말로 수도권에서 한나라당의 대약진. 서울에서는 지역구 의원 92명 가운데 10곳에서만 민주당이 승리했고, 비례의석 10석은 한나라 5(51.8%) : 민주 4(37.0%) : 민노 1(6.06%)로 나눠서 가졌다.[28]

박근혜의 1인정당이었던 한국미래연합은 고작 8% 득표로 대구와 경북에서 비례 의원만 확보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비례의석이 3석인 대구에서는 7%의 새천년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의석을 차지했다.
제6대 서울특별시의회
(총 재적 102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87석 14석 1석
제4대 부산광역시의회
(총 재적 44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42석 1석 1석
제4대 대구광역시의회
(총 재적 27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6석 1석
제4대 인천광역시의회
(총 재적 29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25석 3석 1석
제4대 광주광역시의회
(총 재적 19석)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8석 1석
제4대 대전광역시의회
(총 재적 19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9석 9석 1석
제3대 울산광역시의회
(총 재적 19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15석 3석 1석
제6대 경기도의회
(총 재적 104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90석 10석 1석 3석
제6대 강원도의회
(총 재적 43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33석 7석 1석 2석
제7대 충청북도의회
(총 재적 27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석 3석 1석 2석
제7대 충청남도의회
(총 재적 36석)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석 8석 4석 3석
제7대 전라북도의회
(총 재적 36석)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29석 1석 1석 5석
제7대 전라남도의회
(총 재적 51석)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47석 1석 1석 2석
제7대 경상북도의회
(총 재적 57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51석 1석 1석 4석
제7대 경상남도의회
(총 재적 50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47석 1석 1석 1석
제7대 제주도의회
(총 재적 19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석 6석 2석

5.4.2. 광역비례 합산 전국 득표율

위에서 서술했듯이 광역의회(시·도의회)의 정당별 비례대표 의원을 직접 선출하기 시작한 선거였다.[29][30] 전국 정당별 비례 득표는 다음과 같았다.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한나라당 8,595,174표 52.15%
새천년민주당 4,796,391표 29.10%
민주노동당 1,340,376표 8.13%
자유민주연합 1,072,782표 6.51%
사회당 261,960표 1.59%
녹색평화당 220,505표 1.34%
한국미래연합 184,261표 1.12% [31]
노년권익보호당 11,110표 0.07% [32]

5.4.3. 기초의회의원

기초의원에서는 정당 공천제도가 실시되지 않아 별다르게 작성할 것이 없다. 지역 유지들이 나와서 소선거구제 선거를 통해 알아서 당선되었다(...). 사실 이것 때문에 재보궐선거를 할 때마다 지나치게 좁은 선거구들이 난립하게 되었고[33], 결국 차기 지방선거부터 중선거구제를 실시하면서 정당 공천제도가 실시된 것.

6. 격전지

마치 2년 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연상케 하는 초접전 지역구들이 유난히 많았다. 두 자리 수 표차로 당선자가 결정된 기초단체장이 무려 6곳이나 되었다. 반면 광역단체장은 1,000표차 이내의 지역구가 단 2곳에 불과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6.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장 선거는 양대 진영의 인물론으로 호각세를 벌였다. 386의 대표 주자 중 한명이었던 새천년민주당 김민석[35] 후보와 샐러리맨의 신화를 이룬 현대건설 회장 출신의 한나라당 이명박[36] 후보가 나와서 뜨겁게 맞붙었다.

당시 김민석은 대선주자 여론조사에서 대세론을 형성한 이인제와 격차를 좁힐 정도로 전도유망한 정치인이었다. 다만 나이가 안 되어서 대선 출마는 포기했고[37], 원래는 중앙정치계에 계속 머물 계획이었지만, 고건이 불출마를 선언하고 난 이후 서울시장 선거 여론조사에서 유일하게 이명박을 앞지르는 후보가 바로 본인이어서 출마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민석 캠프는 당시로선 낯선 개념인 '생활 정치'를 표방하며 승기를 잡는가 했지만 곧, 새천년민주당 지도부의 비리가 탄루되어 대세를 굳히지 못했다. 결국 9% 차이로 패했지만, 여타 수도권 후보들이 20%대 차이로 줄줄이 패배한 것을 볼 때 선전한 셈이다.

당시 여론조사 초반에서부터 오차범위 내로 나타나 치열한 경합이었고, 선거전에 돌입하면서부터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자 판세는 더더욱 오리무중으로 빠져들었다. 이명박 후보는 청계천 복원공사와 중앙버스전용차로 제도 시행을 내놓으면서 분위기를 잡았고, 김민석 후보는 이에 질세라 강남강북을 비교하며 강북지역 재개발을 하고 이에 따른 재원은 지방세법 개정을 통해 세원을 마련하자고 주장했다. 기사 1, 기사 2, 기사 3. 또한 김민석 후보는 이명박 후보의 각종 의혹들을 끊임없이 제기하며 이명박 후보를 공격했다.

그런데 정작 선거날에는 FIFA 월드컵 분위기에 밀려서 투표율이 서울시에선 45.7%밖에 안 나왔고 특히 민주당 우세 지역인 강북 지역 투표율은 40% 초반대에 머무르는 등 김민석 후보한테 유리할 수 있는 요인이 전부 떨어져나간 영향으로 결국 이명박 후보가 52% vs 43%라는 넉넉한 차이로 승리하였다.

마이너한 이야기지만, 진보 계열에서는 "옥석논쟁"도 있었다. 청렴한 공무원 출신의 이문옥 민주노동당 후보와 김민석 새천년민주당 후보 가운데 누구를 지지해야 하냐는 이야기인데, 키보드 워리어의 달인 진중권강준만 교수(인물과 사상 편집자)가 제대로 맞붙었다. 물론 이문옥 후보의 실제 득표는 겨우 2.52%(8만8천표)에 불과했다.

사회당원용수 후보 역시 TV토론에 나와 민노당과의 차이점을 부각시켰는데, 이때 이명박 후보는 "저는 사회주의잡니다"라는 원 후보의 말에 "이 얼마나 좋습니까? 토론도 하고."라는 발언으로 받아쳤다. 원 후보는 역대 선거를 통틀어 '종북'이란 단어를 최초로 사용한 인물이다.

6.2. 울산광역시

이 선거의 최대 하이라이트. 16년 후에 치른 선거와 같이 울산광역시로 유이하게 관심이 쏠린 선거다.[38]

울산시청 공무원 출신 한나라당 박맹우 후보와 노동변호사였던 민주노동당 송철호 후보간 맞대결이 펼쳐졌다. 4년 전 2회 지방선거에서 심완구(한나라당) vs 송철호(무소속) 대결의 재현. 박맹우 vs 송철호 대결이 얼마나 뜨거웠는지 여당새천년민주당은 이번에도 울산에 후보조차 못 냈다.[39] 사회당이 후보를 내긴 했지만, 3%대에서 못 벗어났으니 논외.

영남 지역의 한나라당 지역 버프가 있는 박맹우 후보와 울산광역시 지역 특유의 범 현대가 노동조합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은 송철호 후보는 여론조사에서도 예측을 불허하는 팽팽한 접전을 계속했다. 박맹우 후보는 송철호 후보가 앞서고 있다고 평가했고, 송철호 후보는 박맹우 후보가 앞서고 있다고 평가할 정도로 두 후보 역시 박빙의 대결이었음을 인정. 기사. 이 기사에서는 한나라당의 분위기만 나왔는데, 민주노동당도 비슷한 분위기였다. 여론조사에선 좀 앞섰지만, 월드컵 때문에 투표율이 많이 안 나올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 민노당 측에서도 자기네들이 불리하다고 생각했었다.

하여간 박맹우 후보는 태화강 재생사업, 송철호 후보는 KTX 경부고속선 울산역 유치를 공약으로 들고 나와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접전을 펼쳤다. 박맹우 후보는 송철호 후보가 노동자들의 피와 땀을 모르는 귀족 변호사인데다 전라북도 출신이라며 지역감정까지 듬뿍 담아 공격했고, 송철호 후보는 박맹우 후보야말로 중앙정부 낙하산 인사 후보고 울산에서는 5년밖에 일 안 한 인간이 울산에서 15년 동안 일한 사람을 지역드립 치면서 욕하는 것은 제 얼굴에 뱉는 꼴이라며 맞불을 놨다. 송 후보는 마지막 출마라는 주장도 했다. # 울산 시민들은 두번째 도전에 나선 송철호 후보가 좀 더 당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봤는데... # 1일 전 예측.

6월 13일 당일 월드컵 분위기에 휩쓸리는 바람에 울산의 투표율은 고작 52.3%밖에 안 나왔다. 민주노동당의 텃밭이자 구청장 배출에 성공한 동구북구는 60%에 가까운 투표율이 나왔지만, 당시 한나라당의 텃밭이였던[40] 울주군이 58%가 나와버렸고, 경합지들였던 중구남구에서 50%를 밑도는 투표율이 나와서 박맹우의 득표율이 60% 가까이 나왔다.

결국 낮은 투표율로 인한 민주노동당 조직력 약화로 인해 박맹우 후보가 53.07% vs 43.61%로 송철호 후보를 크게 누르고 막판 대역전을 벌여 당선되었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진보 진영은 그야말로 멘붕. #

사실 민주노동당의 뒷심 부족은 여러 면에서 드러났는데, 이때 울산시의회 선거에서는 민주노동당이 동구에서 3석 가운데 2석을 한나라당과 무소속에게 석패로 내주고, 북구에서도 역시 제법 큰 차이로 2곳을 내주며 간신히 동구, 북구에서 1석 씩만을 차지했다. 신생 정당인 탓도 있었지만, 여하간 4년 뒤보다 못한 결과였다. 4년 뒤에는 동구에서 2석을 얻어 4석.

여담으로 송철호 후보는 본래 소속은 민주당으로, 14대 총선부터 16대 총선까지 3연속 출마했었다(16대는 무소속).[41]

서울시의 이문옥 후보처럼 송철호 후보도 신생 개혁정당으로서의 민주노동당에 참여한 명망가에 가까웠다. 그래서 NL/PD 논쟁에서 뒷전으로 밀릴 수 밖에 없었다. 송 후보는 이 선거 낙선 이후 2003년 열린우리당 창당 과정에서 민주노동당을 떠나 열린우리당으로 들어갔고,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후 19대 총선에서도 민주통합당으로 울산 중구에 출마하였으나 37.5%를 득표하며 고배를 마셨다. 이후 한동안 정치와는 거리를 두었다.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송철호 vs 박맹우의 리벤지 매치가 벌어졌다. 그런데 결과는 10% 차이로 송철호 후보가 또 고배를 마셔야 했다. 2년 뒤인 20대 총선서도 또 고배를 마셨고, 2018년 드디어 10% 이상 차이로 울산광역시장에 당선되었다. 송 후보의 무려 8전 9기만의 당선이었다.[42]

6.3. 제주도

전직 도지사였던 한나라당 신구범 후보와 현직 도지사였던 새천년민주당 우근민 후보가 나와서 박빙의 경합을 펼쳤다. 다른 지역 개표가 거의 끝난 6월 14일 오전에도 개표가 안 끝나고 박빙의 경합을 펼쳤는데, 제주도가 경합인 건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부터 매번 그래왔던지라 박빙의 경합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주목은 받지 못했다.

하여간 우근민 후보가 신구범 후보를 아슬아슬하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참고로 MBC 출구조사에서는 신구범 후보가 앞섰다. 기초단체장으로는 제주시장에 무소속 김태환(단독 출마), 북제주군은 한나라당 신철주, 서귀포시는 무소속 강상주(새천년민주당 이영두를 꺾음), 남제주군은 새천년민주당 강기권(단독 출마) 후보가 당선 되었다.

이 선거는 제주시장과 서귀포시장을 선거로 뽑은 마지막 선거였다. 2006년부터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함에 따라 제주시와 서귀포시,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을 모두 폐지하고 통합 제주시와 통합 서귀포시를 설치하였는데 두 시 모두 행정시로 설치됨에 따라 시장 역시 임명직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시의회 역시 행정시 전환과 함께 해체되어 이 선거를 끝으로 더 이상 뽑지 않게 되었다.

7. 선거 이후

특이하게 이 선거로 당선된 남해안권 광역자치단체장들은[43]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시즌을 앞두고 뇌물 수수나 공직선거법 위반, 성추행, 자살 등으로 몽땅 단체장 직을 잃었다. 결국 2004년 재보궐선거는 1회 남해안권 시장 및 도지사 선거가 되었다. 또한 이날은 경기도 양주시에서 미군 여중생 압사 사건이 발생하여 큰 충격을 주기도 하였다.[44]

이 선거 중 경기도 용인시의회 원삼면 선거구에서는 이우현 후보의 단독 출마로 이우현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1]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는 기초의회의원직에 정당공천제가 실시되지 않아 정당 소속이 없었다.[2] 참고로 2002년 선거는 만 20세 이상이고, 2005년 이후 만 19세 이상으로 바뀌었다. 즉 만 20세 이상 선거에서는 이 선거가 투표율이 가장 낮다.[3] 5월 30일로 선거날을 하루 땡길 수도 있었다. 근데 이 당시 공직선거법으로는 목요일 선거이다. 헌데 5월 31일이 금요일이었다.[4] 당시는 선거일이 당연공휴일이 아니라 대통령 지정 임시공휴일이었다. 당연공휴일이 된 건 2006년 지방선거 이후 공직선거법이 바뀌면서부터이며, 선관위에 의해 선거공휴일을 달력에 반드시 휴일로 표기하도록 된 것은 2017년부터였다. 이틀 연속 공휴일이 되면 정치적으로 부담이 되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었다.[5] 하지만 정작 개막식은 임시 공휴일로 정해지지 않았고, 대신 4강 선전에 힘입어 정부는 7월 1일을 월드컵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물론 야당에서는 공휴일 남발이라며 반대했지만. 이는 선거를 제외하고는 1988년 9월 17일(1988 서울 올림픽 개막일) 이래 14년 만의 최초의 임시공휴일이었다. (이는 2002년이 어린이날석가탄신일 모두가 일요일인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 월드컵 개막 31일 임시공휴일 검토 # "월드컵 개막식 공휴일 아닙니다" 이후 역시 13년 뒤인 2015년 광복절 70주년까지 선거가 아닌 임시공휴일은 추가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6] 결국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어 목요일이 아니라 수요일에 선거를 치르도록 변경되었다. 수요일로 바뀐 건 이 이유라기보다는 주5일제 시행으로 금요일에 휴가를 내고 연휴를 보내면서 투표일을 그냥 휴일로 보내려는 것을 차단하려는 목적이 더 크다는 견해도 있다.[7] 여담으로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현충일이 수요일이라 이 해와 똑같이 6월 13일 당첨. (월드컵까지 겹치는데, 정확히는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개막일이 선거일 다음날이라 경기와 겹치지 않는다.)[8] 특히 월드컵 응원을 길거리에서 열렬히 하는 20대의 투표율이 낮았다. 20대 전반은 36.3%였고, 20대 후반이 무려 27%밖에 안되었다. 그나마 20대 전반이 높은건 당연히 군인 버프. 30대 전반도 34.5%였다. 반면에 투표율이 극도로 높았던 세대는 50대와 60대 이상이다. 이 세대는 70%대다. 거기에 대도시 투표율은 전국 투표율보다도 낮았다. 월드컵 개최도시다보니 당연히 분위기에 휩쓸릴 수밖에..[9] 1973~1982년생. 당시에는 참정권 연령이 만 20세가 기준이다.[10] 그 이전까지 전국에서 과반 득표를 달성한 후보와 정당이 나온 것은 직접 선거로 따진다면 7대 대선이 마지막이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전에는 한 정당이 압승을 거둔다해도 득표율은 40% 초반이 고작이었다.[11] 이때 출마한 김석준 후보가 12년 뒤 교육감 선거에 나와 드디어 당선되었다.[12] 이 선거 때는 그냥 제주도였고 제주시서귀포시, 북제주군, 남제주군 모두 기초자치단체였다.[13]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소 투표수.[14]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고 투표율.[15] 박광태 승리 선거구 중 최고 득표율 차.[16]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다 투표수.[17]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저 투표율.[18] 박광태 승리 선거구 중 최다 득표수 차.[19] 손학규 승리 선거구 중 최다 득표수 차.[20] 경기도 선거구 중 최저 투표율.[21] 경기도 선거구 중 최다 투표수.[22] 경기도 선거구 중 최소 투표수.[23] 손학규 승리 선거구 중 최고 득표율 차.[24] 경기도 선거구 중 최고 투표율.[25] 특히 농촌에 비해 월드컵 열기가 강했던 수원시, 부천시 등 대도시의 투표율이 유달리 낮았다.[26] 기초의회의 정당 공천과 비례대표의원 선출은 4년 뒤인 2006년부터이다.[27] 직전 지방선거에서는 비례대표 선거가 분리되지 않고, 지역구 결과의 따라 비례대표를 배정하였다.[28] 후에 열린우리당 - 새천년민주당 분당 사태에서는 의원이 5:5(여기에 민주당적을 버릴 수 없는 비례 4명이 민주당에 추가되어 5:9)로 나뉘었는데, 민주당 성동구 시의원이 총선 나간다고 사퇴한 지역구를 열린우리당이 차지하고, 한나라당 4명이 열린우리당으로 이적해서 총선 후에는 5:9에서 10:8이 되었다.[29] 비례대표 광역의원은 1회 지방선거와 2회 지방선거 때도 광역구라는 개념으로 있었지만 독립적인 비례대표 투표를 통하여 선출하지는 않았다.[30] 2001년 헌법재판소에서 1인 1표제가 위헌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2년 후인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도 이 방식으로 투표하기 시작하였다.[31] 대구(8.25%), 인천(1.97%), 충남(6.02%), 경북(5.46%)에서만 출마. 대구의 경우 자유민주연합이 출마하지 않은 반사이익도 있었을 것이다. 참고: 경북 자유민주연합 득표율 4.41%.[32] 경북에서만 비례 출마로 0.93% 득표.[33]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기초의회 선거구는 하나의 행정동이나 /으로만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좀 규모가 큰 곳은 2개의 선거구로 나눠서 뽑는 곳도 있었고, 규모가 작은 곳끼리는 여러 곳이 하나의 선거구로 구성된 곳도 있었다.[34] 출마한 5명의 후보 득표율이 27:22:19:17:13으로 적절하게 분배된 결과 1등과 5등 후보의 표차도 879표차에 불과했다. 인구가 만 명밖에 안 되는 울릉군의 특수성으로 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35] 철새라며 놀림받기 전의 김민석은 굉장한 정치인이었다. 30대였음에도 불구, 김대중과 민주당의 적자라는 호칭으로 불렸으며 차차기 지도자급 No.1이었다. 서울시장 선거 낙선 이후 후단협 과정에서의 엇박자로 김민라고 놀림받으며 몰락했다가 서울시장 낙선 18년 후인 2020년 21대 총선에서 자신을 재선 국회의원으로 키워주었던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 더불어민주당 공천을 따내 출마했다. 결국 영등포구 을에서 당선(3선)되어 정치적 재기에 성공했다.[36] 우리가 아는 '대통령' 이명박 맞다.[37] 규정상 한국 대통령 선거는 선거일 기준 만 40세 이상부터 출마가 가능한데, 이 때 김민석은 만 40세가 되기 한참 전이었다. 2020년대 초반의 이준석과 비슷한 포지션이다.[38] 참고로 이 선거에서 이 때 낙선한 후보울산광역시장으로 당선된다.[39] 심완구 전 시장이 재선 직후 새정치국민회의로 입당했다는 걸 생각하면 놀라운 결정이다.[40] 지금이야 범서읍의 개발로 인하여 젊은 층들이 많이 유입되어서 민주당계 지지층이 늘어나고 있지만, 당시엔 보수정당의 세가 상당히 강한 지역이였다.[41] 15대 총선에서는 꼬마민주당(통합민주당)으로 35.7%를 득표했는데, 이는 신한국당 김태호 후보와 불과 2.5%(2400표)차였다. 3.45%를 득표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와 더하면 간발의 차로 이겼을 정도. 16대 총선에서는 KBS - SBS 출구조사에서 경합 우세로 나왔으나 정작 개표에서는 약 10% 차(송철호 38.2%, 김태호 47.9%)로 김태호 후보에게 또 졌다. 14대 총선에선 송철호 본인은 중구에서 3위를 기록했는데, 이때 고작 11표차로 1~2위 당락이 갈렸다. 당선자는 통일국민당 차화준 후보로, 이후에 민자당 입당. 참고로 차화준 후보는 다른 의미로도 유명한 분이다(...). 14대 총선 항목 참조.[42] 심지어 패한 8번 중 7번이 35% 이상의 득표율을 얻어 2위를 기록하며 낙선했었다.[43] 안상영부산광역시장(자살), 김혁규경상남도지사(총선 출마 사퇴), 박태영전라남도지사(자살), 우근민제주특별자치도지사(지사직 상실).[44] 다만 사건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그해 말에 가해 미군들에 대해 무죄 판결이 내려진 후의 일이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