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1:36:50

90식 철모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용 베레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파일:90식-8.jpg

1. 개요2. 상세3. 전후의 90식 철모4. 타국에서의 활용5. 매체에서의 90식 철모
5.1. 대한민국5.2. 미국5.3. 중국5.4. 일본
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九〇式鉄帽(きゅうまるしきてつぼう)
1930년 개발이 완료되어 1945년까지 일본군이 사용한 제식 방탄모.

2. 상세

1930년(황기 2590년) 육군에 채용되어 90식 철모라는 명칭이 붙었다.[1] 이후 해군도 채택해 썼다. 초기에는 방탄모, 방독면같은 장구류 일부를 무기로 간주하던 일본군의 장구류 분류에 따라 철투구(鐵兜)[2]라 부르다가, 1932년에 피복류로 분류되면서 철모(鐵帽)로 개칭했다.

이전부터 프랑스엘랑 비탈 전술을 도입하던 일본군은 제1차 세계 대전기 연합군으로 참전하면서 프랑스군의 아드리안 헬멧(Adrian helmet)을 공여받거나 입수해 자기 스타일에 맞게 개량한 사쿠라 헬멧을 착용했는데, 여기에 다시 독일군, 영국군 등 외국 방탄모를 분석해 얻은 결과를 반영하고 일본인의 체형에 맞게 개량한 것이 90식 철모이다.[3] 이마 부분에 육군용은 별, 해군용은 사쿠라이 겹쳐진 형태의 부착물이 용접돼 있었다.

약 1mm두께의 크로몰리 합금강판으로 제작된 90식 철모는 적의 도탄을 유도하기 위해 앞뒤 양옆이 각각 대칭형이 되도록 디자인되었으나, 처음으로 실전에 배치된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45% 분량이 당시 중국군이 쏘는 독일제 게베어 1888게베어 1898 소총의 탄알에 쉽게 관통당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현대 방탄모조차 당시 볼트액션에 사용되는 7~8mm급 탄알을 막아내기 어려우므로[4] 이것만으로 90식 헬멧이 실패작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돌격소총이 개발되기 이전의 주력소총탄은 장거리에서 높은 관통력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으며 7.92mm 마우저 소총은 그 중에 가장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진 대형 탄환이다.
90식 철모 테스트 영상
이런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1938년 소총탄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한 후속모델로 98식 철모#가 도입, 일선에 보급되었지만 일본군답게 보급 능력이 영 좋지 않아 일선에서 운용하는 제식 방탄모는 여전히 90식 철모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상황이었다.
파일:IMG_4830-2-600x701.jpg
철모의 내부출처
무게는 내피를 제외하고 1kg로[5] 정수리 부근에 작은 4개의 통기구가 있어 머리의 체열을 배출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사이즈는 머리 차이에 따라 대형(大号)과 소형(小号) 두 종류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대형은 높이 153mm, 너비 236mm, 길이 280mm, 소형은 높이 150mm, 너비 234mm, 길이 268mm였다.
파일:IMG_20170708_163502.jpg
전투모와 같이 철모를 쓴 형태출처
착용시에는 내피(부유대) 안에 전투모를 쓰고 그 위에 방탄모를 쓴다음 방탄모의 턱끈을 묶는 식으로 착용했었다.[6][7]

3. 전후의 90식 철모

1945년, 태평양전쟁을 비롯한 일본 제국군이 개입하던 모든 전쟁이 끝났고, 복원성[8]을 통해 귀환하거나 본토 결전을 준비하던 일본군은 해산과 함께 무장해제가 이루어졌다. 새롭게 조직된 일본 자위대주일미군으로부터 공여받은 M1 철모를 도입해[9] 90식 철모는 과거의 유물로 남게 되었다.

이걸 놀리기만 하는것이 아까웠던 일본 경찰은 이것을 입수해 다시 도색한 다음 일선 경찰 기동대와 타격대, 경찰특공대의 방탄모/방석모[10]로 재보급했는데, 이렇게 남은 물량은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파일:90식-9.jpg

1948년 한신교육투쟁사건 당시 90식 철모를 쓰고 조선학교에서 재일동포 어린이들을 끌어내는 일본 경찰

파일:砂川事件.jpg

1957년 스나가와 사건 당시 90식 철모를 쓰고 시위대와 대치 중인 경찰 기동대

파일:90식-1.jpg

1965년 시부야 총격전당시 90식 철모를 착용한 경찰 타격대

파일:90식-2.jpg

파일:external/img01.militaryblog.jp/%E3%81%82%E3%81%95%E3%81%BE%E5%B1%B1%E8%8D%98%E9%95%B7%E9%87%8E%E7%9C%8C%E8%AD%A6.jpg
파일:아사마.jpg

1972년 아사마 산장 사건 당시 90식 철모를 착용한 경찰 기동대. 마지막 사진속의 경찰들이 서로 방탄모가 다른데, 회색빛이 도는 푸른색 방탄모를 쓴 경찰들이 90식 철모를 쓴 나가노현 현경 기동대이다. 반면 더 짙은 파랑색의 방탄모를 쓴 경찰들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급파된 경시청소속 타격대로 주일미군에게 공여받은 M1 철모를 썼다. 이들은 나가노 현경과 경시청 타격대간 지휘권 문제로[11] 마찰을 빚었고 계급간 알력과 기동대의 특성상 일본군에서 특채된 인원들의 전역 전 계급, 짬밥타령까지 겹치며 진압작전에 난항을 겪었다고 전해진다.

4. 타국에서의 활용

4.1. 대한민국

대한민국8.15 광복 직후부터 일본군으로부터 몰수한 90식 철모의 물량을 조선경비대에 보급해 사용했는데, 6.25 전쟁 개전 직전인 1950년 6월 15일에는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이 한국 정부가 과거 조선군을 무장해제하며 노획한 300톤 이상의 구 일본군 군수물자를 부평-서울 일대의 조병창에 그대로 묻어놓고 활용시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정부는 장비들을 그대로 활용해 한국군과 경찰을 무장시켰지만, 북한의 기습 남침에 전방 방어망이 붕괴되면서 서울과 인천이 함락당하는 바람에 미처 후송하지 못하고 남아있던 장비는 조선인민군의 손에 들어갔다.

이후 미군의 물자 공여가 이루어지면서 M1 철모로 교체된 이후에는 경찰이나 대한청년단, 서북청년단 등 2선급 병력 내지 정치깡패, 민병대 등지에서 사용되었으며, 1970년대 M1 나일론 방탄 헬멧(이른바 "구형방탄")이 보급되기 전까지 예비군 치장물자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파일:90식-3.jpg
90식 철모를 착용하고 99식 소총으로 무장한 조선경비대대원. 허리에 찬 대검은 일본군의 제식 대검으로 쓰이던 30년식 총검이며, 무릎앉아를 하고있어 잘 보이지 않지만 신고 있는 전투화 역시 일본 육군기병용 부츠이다.

파일:90식-4.jpg

1948년 여수·순천 10.19 사건 당시 경계근무를 서는 청년단원. 역시 99식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파일:90식-5.jpg

1948년 여수·순천 10.19 사건 당시 좌익혐의자들을 감시하는 경찰관. 마찬가지로 99식 소총을 메고 있다.

파일:90식-6.jpg
파일:90식--7.jpg

1950년 6.25 전쟁공주 형무소 재소자 학살 당시 재소자들을 연행하는 경찰관. 이들이 타고 있는 트럭은 일본 육군이 주력으로 사용하던 닛산 트럭을 해방 후 노획한 것이며 재소자들을 압송하는 경찰관들은 마찬가지로 99식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왼쪽의 군 특무대원이 M1 카빈으로 무장한 것과 대조된다.[12]

파일:진해안민고개.jpg

1950년 6.25 전쟁마산 전투 당시 진해 인근에서 임시 방어선에 투입된 해군사관학교생도들.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다루는 사수와 부사수 둘다[13] M1 카빈으로 무장하고 있다. 정황상 진해요항부를 접수하면서 일본 해군 육전대의 장비를 노획해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Screenshot_20230109_212935_YouTube.jpg

1977년 12월 민방위의 날 훈련당시 90식 철모를 착용한 예비군의 모습

일부는 일본군이 결7호 작전을 위해 준비했던 일제 아리사카소총 등의 화기류와 함께 남로당의 무장대에 확보되어 제주 4.3 사건 당시 사용하기도 했으며, 민간으로 흘러들어간 90식 철모 일부는 군화, 반합, 수통 등 일본군의 비전투장비가 그러하듯 바가지나 개밥그릇(...)등 새간살이로 쓰이기도 했다.[14] 그렇게 남은 파편화된 유물들이 다랑쉬굴제주도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4.2. 북한

파일:빨90.jpg

大구[15]
조선인민군관동군을 무장해제 시키며 확보했거나 소련/중국이 지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부 물량을 착용으며, 앞서 언급한 대한민국 국군이 일본군으로부터 몰수했다가 미처 챙기지 못한 물량을 확보해 착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인천 상륙 작전9.28 서울 수복을 거치면서 이런 물량들은 대부분 소진되었고, 소련에서 지원한 СШ-40 철모로 대체되면서 사라진다.

4.3. 중화민국

파일:8817_17_50-helm-earcut-china.jpg
파일:1461588270-3945063973_wn.jpg

중일전쟁이 끝난 후 중국 국민혁명군은 중국 본토와 대만 섬의 일본군을 무장해제시키며 확보한 90식 철모를 철모 중앙에 붙은 별을 청천백일문장으로 바꾸는 식으로 약간의 개조를 한 후 지급했다.

국공내전시기에는 국민당군의 양적 주력 철모로 사용되었다. 국공내전을 다룬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국민당군이 M1 철모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편이지만 실제로 대다수의 부대에서 90식 철모를 사용하고 정예 사단에서만 M1 철모를 사용하였다. 국부천대 이후에는 미군에게 공여받은 M1 철모를 사용했으며 남은 물량들은 진먼현, 마쭈 열도의 민방위 대 같은 2선급 병력에게 돌려진다.

파일:DruvXadUcAAvaW4.jpg
자세가….?
파일:DruvYwGVYAIINUU.jpg
파일:DruvaTSUwAENvU5.jpg

1968년, 중국군의 상륙을 가장한 대비훈련에 참가중인 진먼섬 민방위대의 모습

4.4. 중국

파일:90짱.jpg
파일:짱902.jpg
파일:짱903.jpg

소련군으로부터 무장해제당한 일본군의 장구류를 넘겨 받았던 중공 홍군 역시 90식 철모를 사용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군의 상징이었던 별은 겸사겸사 빨간 칠만 하거나 떼어내고 그 자리에 붉은 별을 칠하는 식으로 사용했다. 90식 철모는 인민해방군으로 개편된 이후에도 사용하다가 70년대 무렵 국공내전 당시 중화민국 국군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의 M1 헬멧을 노획하여 M1 헬멧의 라이너를 참고해서 GK80이라는 이름으로 국산화하여 생산한다. 80식 철모는 엔베르 호자가 통치하던 공산주의 알바니아에서도 수입하여 제식 방탄모로 사용했다. 반수정주의를 고수하며 소련, 미국, 유고슬라비아 등 주요 국가들마저도 모두를 적으로 돌리며 쇄국주의를 펼치던 엔베르 호자 정권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제외하면 군사장비를 수입할 국가가 없었기 때문이다. 알바니아는 유럽 국가이고 80식 철모가 일본군 90식 철모의 설계에 기반했음을 생각하면 흥미로운 대목이다.

파일:GK80.jpg

중국군의 GK80 철모

중월전쟁이나 천안문 사태 당시에도 제식 철모였다. 중월전쟁 당시에는 부족한 생산량 때문에 모든 병력에게 지급하지 못했다. GK80은 1997년 홍콩 반환이후 현대적 케블라 방탄헬멧인 QGF02로 대체되었다.

4.5. 동남아시아

파일:90식태국.jpg
태평양 전쟁당시 쁠랙 피분송크람 치하에 있던 태국은 일본의 지원을 받으며 친일 성향을 띄던 추축국이었으므로 태국 육군에서도 일부가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파일:war-20200628-202346-002.jpg
파일:war-20200628-202344-001.jpg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민북베트남정규군 역시 착용했다. 일본군이 인도차이나에 남기고 갔거나 중공이 지원해준 것으로 추정.

5. 매체에서의 90식 철모

태평양 전쟁이나 중일전쟁, 대한민국의 무장 독립 투쟁등 일본군을 다룬 매체에 등장한다. 특히 태평양 전쟁에서는 특유의 위장용 그물을 덮은 모습으로 많이 나온다. 단 국내 매체에서의 일본군은 줄곧 헝겊으로 만든 전투모를 착용한 모습으로 나오다가 2010년대에 들어서야 90식 철모가 고증되는데, 제작비(...)문제가 만만치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16]

5.1. 대한민국

2015년 개봉된 영화 암살에서 독립군과 교전을 벌이는 일본군이 착용하고 나온다.

파일:external/pics.imcdb.org/myway_003538_c35.jpg

마이웨이(2011)

파일:external/ab6e695fed1c9bc50a0aff8b51bb4f58aa62ec9561dcbd139c6778ac6f1ee999.jpg

대호(2015)[17]

5.2. 미국

파일:external/www.imfdb.org/Pac09_003.jpg

더 퍼시픽

파일:external/www.imfdb.org/FOOFArisaka99-3.jpg

아버지의 깃발

파일:90식영화-6.jpg
파일:90식영화-7.jpg

씬 레드 라인

파일:90식영화-8.jpg
파일:90식영화-9.jpg
파일:대깨쪽수류탄.jpg

윈드토커

파일:90식영화10.jpg
파일:90식영화11.jpg
파일:90식영화12.jpg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18]

파일:external/i0.wp.com/mummy-3-movie-screencaps.com-3648.jpg
파일:external/i0.wp.com/mummy-3-movie-screencaps.com-9714.jpg
파일:external/i0.wp.com/mummy-3-movie-screencaps.com-9791.jpg

미이라 3: 황제의 무덤에서 양장군의 사병 병사들이 착용하고 있는 모습이 나온다. 국공내전 직전의 시기인 1945~49년 시기인 만큼 고증

5.3. 중국

파일:external/www.imfdb.org/FlowersOfWar-Type11.jpg
파일:external/www.imfdb.org/FlowersOfWar-Type11-2.jpg
금릉십삼채(진링의 13소녀)

파일:90식영화13.jpg
파일:90식영화14.jpg
파일:90식영화15.jpg
난징! 난징![19]

파일:90식영화-1.jpg
파일:90식영화-2.jpg
파일:90식영화-3.jpg
파일:90식영화-4.jpg
파일:90식영화-5.jpg

장예모 감독의 영화 인생에서 푸궤이를 비롯한 국민혁명군 패잔병들이 착용하고 있는 장면이 등장한다.

5.4. 일본

파일:SID0028671_fwxga.jpg

남자들의 야마토

아르키메데스의 대전

6. 여담

파일:wwii-japanese-civil-defense-helmet_1_0f7eb98ab64eaf8c0221a35f026bf2c4.jpg}}} ||
태평양 전쟁 당시 해당 철모를 본떠서 만들어진 안전모출처[20]
* 당시 일본군 군부의 군국주의로 폭주하던 일본 제국 국민들에게도 친숙한 물건이었기에 전시 구호업무를 맡은 경방단[21]의 안전모도 90식 철모를 본떠서 만들었다. 일본 본토 공습이 극심해진 대전 말에는 공습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어린이들에게도 해당 안전모를 축소한 물건이 지급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Park_Japan.jpg}}} ||
만주군 견습사관 시절 90식 철모를 착용한 박정희
* 박정희 전 대통령도 이 철모를 착용한 사진이 남아있다.

7. 관련 문서


[1] 일본 제국군의 제식 무기 중 ○○식 과 깉이 숫자가 나오는 것은 보통 황기(진무 천황 즉위기원)를 사용했다.[2] 일본어로는 테츠카부토. 이를 제식명칭까지 함께 한국 한자음으로 부르면 90식 철두다.[3] 일설에 의하면 처음에는 전근대 일본의 삿갓 모양 투구인 진가사(陣笠)를 현대적인 철모로 재탄생시키자는 안도 있었지만 진가사의 삿갓 형태는 참호전이나 전차병 같은 현대전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다수여서 폐기되었다는 얘기가 있다.[4] 현대 방탄모들은 대부분 NIJ 레벨 3A의 방호력을 제공하는데 권총탄만 방호를 보장하는 물건이다. 다시말해 소총탄엔 시원하게 뚫린다. 가끔 방탄모에 맞아서 살았다는 케이스는 너무 멀리서 쏘거나, 상대 탄환이 다른 방해믈 때문에 관통력이 약해지거나 총알이 불량이거나 도탄된 것.[5] 라이벌이었던 미군의 M1철모와 똑같다.[6] 다른 나라들처럼 버클로 조이는 방식이 아니라 옛날 일본식 투구들 마냥 매듭으로 묶어서 조이는 전통적인 방식이었다.[7] 내피 부유대 구조가 시원찮은 경우 머리를 잘 잡아주지 못해 모자를 쓰고 철모를 써야 편한 경우가 있다. 소련군의 SSH-60/68 철모도 부유대 구조가 시원찮아 많은 소련군인들이 필롯카, 전투모나 반다나를 쓰고 그 위에 철모를 쓰곤 했다.[8] 과거 육군성해군성을 개편해 만든 조직으로 전신이 전신이니만큼 제1복원성, 제2복원성으로 나뉘어졌다. 업무는 일본 본토 내에서 종전을 맞은 장병들과 식민지•전선에서 귀환한 포로들의 전역 조치와 귀가 여비 지급등 행정 업무에 국한되었다.[9] 과거 일본군과의 관계를 끊으려는 의미도 있었을 것이다. 단 단번에 바꾸는 것이 어려웠던 소총 등의 화기는 계속해서 운용했다.[10] 폭력 시위 현장에서 날아다니는 투석을 막기 위한 용도[11] 경시청은 실질적으로는 일본 경찰의 본부 구실을 하지만 법적으로는 도쿄지방의 경찰조직에 불과하다. 일본 경찰은 전 경찰관이 국가직 공무원인 대한민국 경찰청과 달리 중앙공안위원회의 산하기관으로 편성된 일본 경찰청과 지방 도도부현 관할로 지방공안위원회의 감독을 받는 경찰본부로 이원화되어있다. 과거 일본 제국 경찰고등경찰과 특별고등경찰등으로 국민에게 패악질을 저질러 댄것에 대한 일종의 자기반성이자 견제구인 셈이다.[12] 이 사진은 사진기자 헤이우드 마기(Haywood Magee)가 찍어 1950년 7월 「픽쳐포스트」지에 실렸다. 처음에는 "공산주의자 동조 혐의자", "스스로 무덤을 파서 총살됐다"라고 적어놓았으나, 나중에는 무고한 민간인들이 남북 모두에게 학살을 당했다고 보다 중립적인 시각으로 서술되었다.[13] 사실 총열밑에 부사수 한명이 더 있다.[14] 특이할 것도 없는데 피켈하우베 문서에서도 나오듯이 미국에서 승전기념탑으로 쓰이듯이 이런 건 많다. 1990년 초에 베트남 여행간 이가 쓴 책에서는 사진과 같이 나오길 당시 베트남 시골 마을에 바가지로 쓰던 게 바로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 철모였다...[15] 잘리지 않은 사진에는 "해방된 大田을 떠나면서... 다음은 대구 부산!"이라고 쓰여있다.[16] 이 점은 6.25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을 다룬 매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소련제 철모 쓴 인민군은 태극기 휘날리며에서야 제대로 고증되었는데 이때도 제작비 때문에 최정예부대를 맡은 엑스트라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씌워줄 수밖에 없었다.[17] 사실 대호의 배경은 1925년으로 90식 철모의 채용 시기인 1930년보다 5년이 더 빠르다. 일본군 정예 병력을 상징해 준비한 소품인듯.[18] 두번째 사진의 병사가 쓴 철모 밑에 전투모의 챙이 보인다. 표정이 우스꽝스러운 것은 자폭용으로 수류탄을 격발시키기 직전 죽음을 앞둔 모습이기 때문.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수류탄은 안전레버가 없이, 안전핀을 덮고 있는 안전캡을 아래로 꾹 누르면 격발핀이 힘에 의해 아래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밑의 뇌관을 때려 불꽃을 일으키고 지연신관에 점화되는 방식으로 격발되었다. 그런데 손으로 눌러주는 정도로는 제대로 확실하게 점화하기 힘들어서, 일본군은 수류탄을 격발시키기 위해 신관부를 돌이나 전투화 굽으로 찍거나 수류탄을 쥐고 철모에 때리는 짓을 반복해야 했다. 이 항목에 예시로 올라온, 윈드토커 영화의 한 장면도 그것을 재연한 것.[19] 마지막 사진의 꼬마는 일본군에 부역하는 한간이 아니라(...) 중국군 사이에서 잔심부름을 하거나 장전 등을 도와주는 소년병이다. 쓰고 있는 철모는 노획한 물건.[20] 철모 정수리 부분에 4개의 통기구가 있는지, 정중앙에 오각별 표시가 있는지의 여부로 경방단의 철모임을 알 수 있다.[21] 경찰에 소속되어 소방보조업무와 전시 치안유지를 맡던 지역단체로, 당시에는 일본 소방 조직 전체가 일본 제국 경찰의 산하 기관이었기에 준군사조직적 성격이 강했고, 경찰서장의 지휘를 받았다. 오늘날도 일본 소방 소속 자율소방대인 소방단으로 개편되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