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20:55:30

성 에드워드 왕관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1em"
{{{#!folding [ 정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웨일스 공비 · 프린세스 로열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말버러 공작 · 케임브리지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영국의 경찰제도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가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스코틀랜드 경찰청 · 영국 철도경찰 · 영국 국방부경찰 · 영국 원자력경찰대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JUSCANZ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역사 전반역사 전반()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영국 통일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시대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엘리자베스 시대 · 찰스 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국가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왕조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세력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TERF의 섬}}}}}}}}}{{{#!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문화 전반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종교 ·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 · 장로회(스코틀랜드 교회) · 영국/관광
예술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로빈 후드 전설 · 마더 구스 · 캔터베리 이야기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언어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어리 · 콘월어 · 영어영문학과(영어교육과)
음식요리(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애프터눈 티) · 홍차 · · 아침식사 · 피시 앤드 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스포츠축구(어소시에이션 풋볼) · 프리미어 리그 · FA(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대표팀) · NIFL · IFA(대표팀) · 럭비(RFU · SRU · WRU · IRFU) · 프리미어십 럭비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 · 윔블던 · 영국 그랑프리 · F1
서브컬처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영국인 캐릭터
기타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킬트}}}}}}}}}{{{#!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군사 전반국방부(국방위원회) · 영국군(스코틀랜드군) · 해외 주둔군 · 계급 · 전투식량/영국군 · 징병제(폐지) ·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 · NATO · 군기분열식
장비군복(레드 코트) · 군장/영국군 · 군함(1차대전 · 2차대전 · 현대전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항공기(2차대전) · 핵무기(튜브 앨로이스, AWE)
부대육군(연대 · 제3사단 · 제1사단 · 왕립 독일인 군단 · 원정군 · 블랙와치 · 사관학교) · 통합해군(해군 · 해병대 · 함대 보조전대 · 대함대 · 본토함대 · 사관학교) · 공군(제617비행대대 · 독수리 비행대대 · 사관학교) · 전략사령부 · 근위대 · 특수작전부대(E Squadron · SAS(제21SAS연대) · SBS · SRR · SFSG · JSFAW · 제18정보통신연대) · 코만도 · 구르카 · 레인저연대 · 낙하산연대 · 연합합동원정군}}}}}}}}}}}}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용 베레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파일:성 에드워드 왕관.jpg

1. 개요2. 역사3. 모습

[clearfix]

1. 개요

성 에드워드 왕관(St Edward's Crown[1])은 영국 국왕왕관이다. 왕실 대관보기(Crown Jewels)의 하나로서 13세기 이래 잉글랜드와 영국의 역대 국왕들이 대관식에서 머리에 쓰는 관이었으며, 더 나아가 영국 국왕, 영국 왕실의 대권을 상징하는 표상이기도 하다. 평시에는 런던 탑의 왕실 보물고에 전시된다.

왕관의 이름은 참회왕 에드워드(1003?-1066)에게서 연유하였다. 본디 성 에드워드 왕관은 1649년까지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참회왕 에드워드의 묘소 옆에 보관되었는데, 1649년에 찰스 1세가 폐위당하고 왕정이 폐지되면서 보석들이 팔려나가고 금관은 녹여졌다. 오늘날의 왕관은 1661년에 찰스 2세가 왕정을 복고하면서 새로 제작한 것이다. 다만 1689년부터는 지나치게 무겁고 장식성이 강해 대관식에 잘 쓰이지 않다가 다시 1911년 조지 5세가 약 200여 년만에 대관식에서 착용하며 관습이 부활하였다.[2]

영국 국왕이 사용하는 왕관은 성 에드워드 왕관 외에도 영국 제국관(Imperial State Crown)이 있으나, 성 에드워드 왕관의 역사가 더 깊기 때문에 영국 임금을 나타내는 표징으로 통한다. 왕실 문장의 경우 과거에는 현재는 소실된 '튜더 왕관(Tudor Crown)'을 추상화한 왕관 문장이 사용되었으나, 엘리자베스 2세가 이를 성 에드워드 왕관의 모습으로 변경한 이후 그의 치세 동안에는 왕실을 포함하여 정부 또는 영연방과 관련된 상징으로 성 에드워드 왕관의 문장이 두루 사용되었다. 다만 왕관 자체는 대관식 때에만 사용되었고, 대관식 이후 엘리자베스 2세는 더 가벼운 영국 제국관을 주로 사용했다.[3] 찰스 3세가 즉위한 이후에는 성 에드워드 왕관을 대신하여 다시 튜더 왕관이 국왕정부의 문장에 들어가게 된다.

장 베델 보카사가 1977년 중앙아프리카 제국의 황제 대관식을 할 때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도 여러 대관식 중에서 참고를 했는데, 이 왕관에서 영감을 받아서 128면체로 세공된 80캐럿짜리 다이아몬드 1개를 포함한 엄청난 양의 보석으로 장식한 250만 달러짜리 순금 왕관을 만들었다. 왕관 상단은 진홍색의 비단 캐노피와 금으로 아프리카의 지도를 새긴 푸른 지구 모형으로 장식되었다.

2. 역사

잉글랜드의 국왕인 참회왕 에드워드크리스마스부활절 등에 왕관을 썼다고 전해진다. 그가 1161년에 성인으로 시성된 이후, 그가 쓰던 모든 물건들은 성유물로 지정되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성유물이 바로 그의 왕관이었다. 에드워드의 무덤을 지키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수사들은 '꿈에 에드워드 왕이 나타나 후계 국왕들이 대관식을 치를 때 자신이 쓰던 왕관을 쓰게 하라고 명령했다.'고 말했고, 왕실은 성인이 되어버린 왕이 꿈 속에서 그렇게 말했다는 데 뭐라 반박할 수도 없어 이를 그대로 따랐다.[4] 이로 인해 성 에드워드의 왕관은 유럽에서 처음으로 왕들이 대관식 때마다 대대로 물려주는 왕관이 되었고, 실제로 1220년에 헨리 3세가 대관식 때에 실제로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쓰고 대관했다고 한다.

대관식을 제외한 대부분 시기에는 왕관은 웨스트민스터 사원 경내에 보관되었으나, 1399년에 리처드 2세가 강제로 퇴위당할 적에 이 왕관을 런던 탑으로 가지고 와서 상징적인 의미로 헨리 4세에게 넘겨주었다고 한다. 성 에드워드 왕관은 1533년 앤 불린의 즉위식 때에도 사용되었으며, 1547년의 에드워드 6세도 이 관을 착용했다. 그러나 1649년에 잉글랜드 내전으로 국왕이 쫒겨나고 왕정이 폐지되자 권력을 잡은 올리버 크롬웰은 왕관을 보고 '역겨운 군주의 상징'이라 혹평하면서 왕관에 달린 장식을 팔아먹고 금관을 녹여버렸다. 이후 1661년 찰스 2세가 즉위해 왕정복고를 하면서 새로 만들었다.

1671년에는 토마스 블러드라는 벼슬아치가 런던 탑에서 왕관을 훔쳐 숨겼던 적도 있다. 일부러 부피를 줄여 눈에 띄지 않게 하고자 망치로 두드려 납작하게 만들어버렸고, 이후 왕관을 다시 발견한 이후에는 복원작업을 해야 했다. 1689년에 윌리엄 3세가 대관식 때에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쓴 것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역대 국왕들은 성 에드워드 왕관이 아닌 다른 개인 왕관들을 대관식 때에 사용했다. 다만 성 에드워드 왕관이 영국 왕권의 절대적인 상징임은 여전해서 대관식 내내 한쪽의 제단 위에 고이 모셔두었다.

1901년 왕위에 오른 에드워드 7세는 성 에드워드 왕관을 직접 쓰고 대관식에 참여하려 하였으나, 당시 충수염 수술의 후유증으로부터 회복하는 중이어서 무거운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쓰지 못하고 결국 더 가벼운 영국 제국관을 대신 착용하였다. 이후 조지 5세가 1911년에 즉위하면서 거의 200여 년만에 다시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쓰고 대관을 받았다. 이때 왕이 직접 쓰고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2.4kg에 달했던 왕관의 무게를 줄이고 줄여 2.2kg까지 가볍게 만들었다.[5] 또한 원래 1900년대 이전까지는 왕관에 붙은 각종 보석들을 빌려오거나 왕실 수장고에 있던 것들을 임시로 붙였다가 대관식이 끝나면 아예 떼어버렸던 관습을 없애버리고 왕관에 붙은 모든 보석들을 영구적으로 왕관에 부착되게 하였다. 또한 진주와 백금으로 만들어져 있던 홍예(무지개, 아치) 장식을 현재 볼 수 있는 황금 홍예로 교체하였다고 한다. 현재 왕관에는 보석과 준보석 총 444개가 붙어 있다.

1937년에 즉위한 조지 6세, 1953년에 즉위한 엘리자베스 2세 모두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쓰고 대관식에 참여했다. 엘리자베스 2세는 특히 성 에드워드 왕관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보였는데, 즉위 이후 종래 '튜더 왕관(Tudor Crown)'에 기초하여 도안되어 있던 영국 왕실 및 영연방의 문장을 재도안하면서 자신이 사용했던 성 에드워드 왕관의 모습으로 바꾸었고, 찰스 3세가 다시 튜더 왕관 도안으로 바꿀 때까지 사용되었다.

2013년 6월 4일에는 엘리자베스 여왕의 재위 60주년을 기념하여 런던 탑의 수장고에서 나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전시되었다. 1953년 이래 처음으로 왕관이 런던 탑의 쥬얼 하우스 밖으로 나온 것이라고 한다.

2023년 5월 6일로 예정된 찰스 3세의 대관식을 준비하기 위해 런던탑에 있던 성 에드워드 왕관이 모처로 옮겨졌다. 찰스 3세의 머리에 맞게 정밀한 보정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찰스 3세 역시 대관식에서 해당 왕관을 착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그의 로열 애너그램은 엘리자베스 2세의 것과는 달리 과거의 튜더 왕관을 왕권의 상징으로 박아넣은 버전으로 공개되었고#, 이후 왕실문장원은 찰스 3세 시대에는 튜더 왕관이 성 에드워드 왕관을 대신하여 국왕정부의 문장에 왕권의 상징[6]으로써 삽입될 것이라고 확인했다.[7]

3. 모습

파일:Coronation_190523_GettyImages-1252748426.jpg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쓴 찰스 3세
파일:queenelizabethstedwardcrown.jpg파일:엘리자베스 2세 모노그램.svg파일:Queen-Elizabeth-II-Plays-Her-Crown.jpg
왕관을 쓴 엘리자베스 2세 엘리자베스 2세의 로열 모노그램[8] 왕관을 든 여왕의 모습[9]
성 에드워드 왕관은 22캐럿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둘레는 66cm, 높이는 30cm이고 무게는 대략 2.23kg 정도로 상당히 무겁다. 4개의 플뢰르 드-리스(Fleur-de-lys, 백합 문양)[10]와 4개의 십자가 장식이 띠에 붙어있으며 2개의 홍예가 띠에 연결되어 있다. 홍예 위에는 몬드[11]가 있고 맨 꼭대기에는 황금 십자가가 붙어있다. 특히 이 홍예가 가지고 있는 뜻이 있는데, 중세 유럽에서는 오직 황제만이 홍예 장식이 붙은 왕관을 쓸 수 있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의 모습에서 볼 수 있다시피 황제의 관에만 홍예를 썼으며 나머지 국왕들의 관에는 홍예가 없고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단순한 띠 위에 십자가나 플뢰르 드-리스가 붙어있는 형태의 왕관들을 썼다. 그러나 영국은 섬나라라는 독특한 지리적 배경 덕에 유럽 대륙 국가들보다 신성 로마 제국의 눈치를 덜 봐도 괜찮았고, 덕분에 국왕의 왕관에도 홍예 장식을 붙일 수 있었던 것.

성 에드워드 왕관이 영국의 공식 대관보기이자 왕관이기는 하지만 1661년에 찰스 2세 때 복원된 이래 오직 7명의 국왕들만이 이 왕관을 쓰고 즉위했다. 찰스 2세, 제임스 2세, 윌리엄 3세, 조지 5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찰스 3세가 이 왕관을 쓰고 대관식에 참석했다.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윌리엄 4세는 조지 1세가 따로 만든 왕관을 물려받아 사용했고, 조지 4세는 따로 만든 개인용 다이아몬드 왕관을 썼다. 빅토리아 여왕에드워드 7세는 성 에드워드 왕관의 지나친 무게 때문에 대관식 때 이를 쓰지 않고 제국관을 대신 썼다. 성 에드워드 왕관이 영국 왕권의 상징이었던 탓에 왕위 계승자가 대관식에 직접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쓰지는 않을 때에도 항상 왕 곁의 제단에 올려놓기는 했는데 오직 빅토리아 여왕의 대관식에서만 모습을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엘리자베스 2세 치세기간 동안 성 에드워드 왕관 문양은 영국을 상징하는 각종 문양들에 대부분 포함되었다. 엘리자베스 2세의 문장에 들어가있고, 영국의 국장, 잉글랜드의 국장에도 포함되었었다. 그 외에도 잉글랜드와 웨일스 경찰들의 문장, 영국 해안경비대의 문장, 영국군, 영국 육군, 영국 공군, 영국 관세청, 영국 왕립우편국에도 모두 성 에드워드 왕관의 모습이 들어갔었다.


[1] 공식 표기가 'St Edward's Crown'이며, 'Saint Edward's Crown'이나 'The Crown of Saint Edward' 등은 통칭이다.[2] 원래는 조지 5세의 부왕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 때 부활할 예정이었으나, 대관식 몇달 전에 받은 수술 후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왕이 2kg에 달하는 왕관을 쓰기에는 무리하고 판단하여 보다 가벼운 제국관을 착용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3] 엘리자베스 2세는 이 왕관의 무게에 언급한 적도 있다. "It weigh's a ton."이라고 BBC와 한 인터뷰에서 표현했다. 장갑 낀 시종이 매우 조심스럽게 여왕 앞에 옮겨놓는데, 여왕이 맨손으로 막 흔들어보고 휙휙 옮기는 모습이 대조적.윗사람 것 vs 자기 것[4]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당시 성 에드워드 왕관을 보관하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수사들이 일부러 자신들의 권위를 드높이기 위해 거짓말을 했다고 여긴다.[5] 성 에드워드 왕관은 거의 200년이 넘게 실질적인 왕관의 기능을 하지 않았기에 왕관보다는 장식물의 성향이 강했고, 이 때문에 갈수록 보석이나 장식을 덧붙여 무거워졌다.[6] 영국법상 영국 정부의 권한도 결국 국왕에게서 나온다. (관습법에 따라) 왕권을 대신 행사하는 기관이므로 당연히 그 공식 휘장에도 왕관이 들어가야 하는 것.[7] 다만 새 파운드 스털링 지폐의 경우 왕의 모습만 변경하게 되어 성 에드워드 왕관이 계속 유지된다.[8] 위의 왕관이 성 에드워드 왕관이다.[9] BBC와의 다큐멘터리를 찍던 도중 왕관을 들어올리는 모습이다. 성 에드워드 왕관은 오직 국왕과 캔터베리 대주교, 왕실 보물 담당관만이 만질 수 있다.[10] 프랑스의 백합 문양[11] 왕관 위쪽의 구형 물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