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1:57:09

버락 오바마

Barack Obama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D164A 20%, #0D164A 80%, #0D163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조지 워싱턴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임스 먼로 존 퀸시 애덤스 앤드루 잭슨 마틴 밴 뷰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윌리엄 헨리 해리슨 존 타일러 제임스 K. 포크 재커리 테일러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밀러드 필모어 프랭클린 피어스 제임스 뷰캐넌 에이브러햄 링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앤드루 존슨 율리시스 S. 그랜트 러더퍼드 B. 헤이스 제임스 A. 가필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체스터 A. 아서 그로버 클리블랜드 벤저민 해리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윌리엄 매킨리 시어도어 루스벨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우드로 윌슨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워런 G. 하딩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제45대 제46대
도널드 트럼프 조 바이든
}}}}}}}}}}}}
버락 오바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01 190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리 뒤낭 프레데리크 파시 엘리 뒤코묑 샤를 알베르 고바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1906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윌리엄 크리머 국제법학회 베르타 폰 주트너 시어도어 루스벨트
<rowcolor=#cd9f51> 1907 190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에르네스토 모네타 루이 르노 클라스 아르놀드손 프레데리크 바예르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국제평화국 알프레트 프리트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토비야스 아서르 일라이휴 루트 앙리 라퐁텐 국제적십자위원회
<rowcolor=#cd9f51> 1919 1920 192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우드로 윌슨 레옹 부르주아 얄마르 브란팅 크리스티안 랑에
<rowcolor=#cd9f51> 1922 1925 192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리드쇼프 난센 오스틴 체임벌린 찰스 G. 도스 아리스티드 브리앙
<rowcolor=#cd9f51> 1926 1927 1929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페르뒤낭 뷔숑 루트비히 크비데 프랭크 켈로그
<rowcolor=#cd9f51> 1930 1931 193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나탄 쇠데르블룸 제인 애덤스 니콜라스 버틀러 노먼 엔젤
<rowcolor=#cd9f51> 1934 1935 1936 193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서 헨더슨 카를 폰 오시에츠키 카를로스 라마스 로버트 세실
<rowcolor=#cd9f51> 1938 1944 1945 1946
파일:국제연맹기(1939).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svg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국제적십자위원회 코델 헐 에밀리 발치
<rowcolor=#cd9f51> 1946 1947 1949 195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Quaker_star-T.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존 모트 퀘이커 봉사협회 보이드 오어 랠프 번치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195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UN기.svg
레옹 주오 알베르트 슈바이처 조지 마셜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도미니크 피르 필립 베이커 앨버트 루툴리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196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그 함마르셸드 라이너스 폴링 국제적십자위원회 마틴 루터 킹
<rowcolor=#cd9f51> 1965 1968 1969 1970
파일:유니세프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세프 르네 카생 국제 노동 기구 노먼 볼로그
<rowcolor=#cd9f51> 1971 1973 197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빌리 브란트 헨리 키신저 레득토
(수상 거부)
사토 에이사쿠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숀 맥브라이드 안드레이 사하로프 베티 윌리엄스 메어리드 코리건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국제사면위원회 안와르 사다트 메나헴 베긴 마더 테레사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돌포 에스키벨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알바 뮈르달 알폰소 가르시아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레흐 바웬사 데즈먼드 투투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엘리 비젤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오스카르 아리아스 유엔 평화유지군 달라이 라마 14세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아웅산 수치 리고베르타 멘추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rowcolor=#cd9f51> 1994 199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프 로트블랫
<rowcolor=#cd9f51> 1995 1996 1997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퍼그워시 회의 카를로스 벨로 조제 하무스오르타 조디 윌리엄스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
지뢰금지국제운동 존 흄 데이비드 트림블 국경없는의사회
<rowcolor=#cd9f51> 2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중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1 || 2002 || 2003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200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200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attachment/time_2000.jpg파일:attachment/Time2001.jpg파일:attachment/time_2002.jpg파일:attachment/time_2003.jpg파일:attachment/time_2004.jpg
<rowcolor=#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nopad>파일:attachment/time2005.jpg파일:attachment/time_2006.jpg파일:attachment/time_2007.jpg파일:attachment/time_2008.jpg파일:attachment/time_2009.jpg
<rowcolor=#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파일:Time_Inc_white.pn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201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201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101227_400.jpg파일:external/www.left.it/image.jpg파일:external/timepoy.files.wordpress.com/970_cover_1231.jpg파일:attachment/프란치스코.jpg파일:external/s3.amazonaws.com/Time.jpg
<rowcolor=#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nopad>파일:external/img.khan.co.kr/l_2015120901001413200117761.jpg파일:external/pbs.twimg.com/CzEuR4IXUAArY_r.jpg파일:person-of-year-2017-time-magazine-cover1.jpg파일:5B33A996-6F87-4CD6-8AD1-8CD66870B715.png파일:2019 Person of the Year.main_.jpg
<rowcolor=#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파일:Time_Inc_white.png
}}}}}}}}} ||

파일:미국 대통령 문장.svg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주요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d164a,#FFC224> 정당 대통령 후보 순위
<rowcolor=#0d164a,#FFC224> 부통령 후보 비고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 공화당 존 매케인 2위
세라 페일린 낙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버락 오바마 1위
조 바이든 당선
[ 역대 선거 | 펼치기 · 접기 ]
1789 · 1792 · 1796 · 1800 · 1804 · 1808
1812 · 1816 · 1820 · 1824 · 1828 · 1832
1836 · 1840 · 1844 · 1848 · 1852 · 1856
1860 · 1864 · 1868 · 1872 · 1876 · 1880
1884 · 1888 · 1892 · 1896 · 1900 · 1904
1908 · 1912 · 1916 · 1920 · 1924 · 1928
1932 · 1936 · 1940 · 1944 · 1948 · 1952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파일:미국 대통령 문장.svg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주요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d164a,#FFC224> 정당 대통령 후보 순위
<rowcolor=#0d164a,#FFC224> 부통령 후보 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버락 오바마 1위
조 바이든 당선1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 공화당 밋 롬니 2위
폴 라이언 낙선
1 현직 미국 정·부통령
[ 역대 선거 | 펼치기 · 접기 ]
1789 · 1792 · 1796 · 1800 · 1804 · 1808
1812 · 1816 · 1820 · 1824 · 1828 · 1832
1836 · 1840 · 1844 · 1848 · 1852 · 1856
1860 · 1864 · 1868 · 1872 · 1876 · 1880
1884 · 1888 · 1892 · 1896 · 1900 · 1904
1908 · 1912 · 1916 · 1920 · 1924 · 1928
1932 · 1936 · 1940 · 1944 · 1948 · 1952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2008년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44C9,#0044C9> 정당 이름 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버락 오바마 당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존 에드워즈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조 바이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빌 리처드슨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크리스 도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경선 시작 전 사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44C9,#0044C9> 정당 이름 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에반 베이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마이크 그레이블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데니스 쿠시니치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톰 빌색
}}}}}}}}}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2012년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44C9,#0044C9> 정당 이름 비고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버락 오바마 당선 1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존 울프 주니어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다시 리처드슨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밥 엘리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랜달 테리
파일:민주당(미국) 엠블럼.svg 민주당 기타 후보 2
파일:공화당(미국) 엠블럼.svg 공화당 론 폴 외 공화당 기명 후보 2 3
1 현직 미국 대통령
2. 1개 주 경선에서만 투표용지에 이름을 올린 후보들.
3. 론 폴은 뉴햄프셔 경선에서 2위(3.77%)를 득표함.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

파일:시사저널 화이트 로고.svg
2010년대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 국제 인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10년대의 각 해마다 시사저널이 각 분야의 전문가 1000명에 칸타퍼블릭과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선정했으며, 최대 3명까지 중복응답이 가능하였다. 해당 틀에는 1위만 기재함.
2010 2011 2012 2013 2014
오바마
2015 2016 2017 2018 2019
오바마 트럼프 미조사
같이 보기: 한국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종합) / 여권 정치인 / 야권 정치인 / 법조인 / 경제인 / 언론인 / 문화예술인 / 연예인 / 스포츠 스타 / 종교인 / 국제 인물 / NGO 지도자 / 잠재력 있는 정치인 / 대통령에 영향력 있는 인물 / 언론매체
}}}}}}}}} ||

<colcolor=#ffc224>
미합중국 제44대 대통령
버락 오바마
Barack Obama
파일:버락 오바마.png
<colbgcolor=#0d164a> 본명 버락 후세인 오바마 2세
Barack Hussein Obama II[1]
출생 1961년 8월 4일 ([age(1961-08-04)]세)
하와이 주 호놀룰루 카운티 호놀룰루 카피올라니 병원
재임기간 제44대 대통령
2009년 1월 20일 ~ 2017년 1월 20일
서명
파일:버락 오바마 서명.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부모 아버지 버락 오바마 시니어[2]
어머니 스탠리 앤 던햄[3]
배우자 미셸 오바마
자녀 장녀 말리아 오바마[4]
차녀 사샤 오바마[5]
학력 옥시덴탈 칼리지 (2학년 수료)
컬럼비아 대학교 (정치학 / B.A.[6])
하버드 대학교 로스쿨 (법학 / J.D.)
종교 개신교 (침례회)[7]
신체187cm, 79kg, AB형(Rh-), 왼손잡이
소속 정당

의원 선수 1 (상원)
의원 대수 109 }}}}}}}}}
파일:Barack-Obama-official-whitehouse-portrait.jpg
백악관 공식 초상화[8]

1. 개요2. 약력3. 생애4. 평가5. 선거 이력6. 소속 정당7. 어록8. 방송 활동9. 대중매체10. 여담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제44대 미국 대통령 취임 선서[9]
Yes, We can! Yes! We did it!
8년의 대통령 임기를 마치며 대중 앞 고별 연설에서. 2008년 대통령 선거 당시 내걸었던 슬로건 "Yes, We can!"에, 모든 국정업무 종료 후 이를 회고하는 "Yes, We did it!"을 덧붙여 언급한 말.
미국의 제44대 대통령.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흑인 대통령이다.[10]

미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대통령으로, 그의 임기 이후 로널드 레이건 정부부터 지속되던 (경제적) 보수 성향이 전체적으로 진보로 기울었다.

2. 약력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락 오바마/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버락 오바마 행정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버락 오바마가 당선되면서 구성된 행정부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락 오바마/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선거 이력

<rowcolor=#ffc224>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선거인단 수) 당선 여부 비고
1996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선거 일리노이 13구

48,592 (82.16%) 당선 (1위) 초선
1998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선거 45,486 (89.17%) 재선
2002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선거 48,717 (100.0%)[11] 3선
2004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일리노이 3,598,277 (69.97%) 초선[12]
2008 미국 대통령 선거 미합중국 69,498,516 (52.93%, 365명) 초선
2012 미국 대통령 선거 65,915,795 (51.06%, 332명) 재선

6.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96 - 현재 정계 입문
정계 은퇴

7. 어록

존 F. 케네디, 로널드 레이건,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등과 함께 언변이 뛰어난 대통령으로 평가받으며 연설 등에서 적절한 조크를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오바마: "우선 유킬리스에 대해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군요."
오바마 지지자들: (야유)
오바마: "제가 말하고 싶은것은 그가 양말(socks)[13] 색깔을 바꿔야 한다고 말하는 겁니다."
오바마 지지자들: (웃음)
오바마: "여기서 야유를 받을지 몰랐네요.[14] 야구 얘기를 꺼내지 말았어야 했어요. 이해합니다. 제 실수입니다. (이곳에 있는) 청중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를 알았어야 했는데.(웃음)"
케빈 유킬리스보스턴 레드삭스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된 후 가진 보스턴 연설에서 유킬리스 보내줘서 고마워요 ㅋ라는 말을 했다가 야유를 들었다(…). 이 뒤에 백악관에서는 Boo가 아니라 Youuuuuuuuk였다는 개드립으로 천조국 황제폐하를 변호했다고.
오바마: 512호 홈런을 쳤던 어니컵스가 언젠가 반드시 정상에 오르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청중: 웃음.
오바마: (참으로 안타까운 표정으로) 진심으로요.
청중: 웃음.
오바마: 화이트삭스 팬인 저도 이 점을 존경해 마지 않습니다(…).
시카고 컵스의 레전드 어니 뱅크스의 대통령 자유 훈장 수여식 중에 시카고 컵스를 돌려까기도 했다(…). 그리고 2016년, 드디어 정상에 올랐다!

여자친구 건들지 말라는 한 유권자에 대한 반응.
오바마: 제가 더 이상 출마할 선거는 없습니다.(I have no more campaigns to run.) 저의 유일한 의제는…(my only agenda..)
공화당: (박수갈채)
오바마: 맞습니다, 왜냐하면 전 둘 다 이겼거든요(I know because I won both of them.)[15]
민주당: (박수갈채), (환호)


지미 키멜의 토크쇼에 출연했을 때 키멜이 "제가 만약 대통령이 되었다면, 취임식 이후 바로 51구역외계인들의 파일들을 찾아보러 갔을 거예요. 당신은 그랬나요?"라는 질문을 받자, "그래서 당신이 대통령이 될 일이 없어요."라는 시크한 대답을 날렸다.
지미 키멜: 만약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그럴 일은 없겠지만요.
오바마: 혹시 모르죠.
지미 키멜: 제가 대통령이…
오바마: 나도 그럴 일 없을 줄 알았거든요.
지미 키멜: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성경에 손을 올리자마자[16] 좀 손이 따뜻할 건데, 어쨌든 바로 51구역, UFO에 관련된 파일을 다 뒤져서 찾아볼 것 같거든요. 대통령님께서도 그러셨나요?
오바마: 그러니까 대통령이 못 되는 거예요. 그게 첫 번째로 하고 싶은 일이에요? 외계인들은 당신이 대통령이 되게 하지 않을 겁니다. 당신이 모든 비밀을 누설시킬 테니까요. 외계인들이 우리를 좀 강하게 통제하고 있거든요.
지미 키멜: 많은 사람들이 지금 대통령님의 표정이 조금 찌푸려진 것도 다 보고 있을 거라고요. 그래서, 그것(UFO와 51구역)에 관해서 무언가를 보신 적이 있나요?
오바마: 저, 저, 저는 아무것도 말할 수 없어요.
지미 키멜: 정말요? 예전에 제가 빌 클린턴 대통령께 여쭤봤더니, 직접 확인해 보셨는데 아무것도 없었다고 그러셨거든요.
오바마: 외계인들이 그렇게 말하라고 지시가 내려오거든요.
그 외에도 위의 방송에서 유머섞인 모습을 보이기도.

2009 MTV 뮤직비디오 시상식에서 테일러 스위프트가 수상소감을 말하던 도중 카니예 웨스트가 난입해서 방해했던 적이 있었는데, 이 사태에 대해서 "He's a jackass"라고 했다. 현장의 기자가 이를 오프 더 레코드인 걸 모르고 그대로 보도해 온 국민이 알게 되었다. 그러나 애초에 카니예 웨스트가 엄청 까일만한 행동을 했었던 것이기 때문에 오바마를 욕하는 사람은 없었고, 오히려 반응이 좋아서 원본 영상까지 공개되었다.

기자회견 마무리 짓는 멘트로 "이제 스타워즈 보러 갑니다. 고맙습니다.(Get to 'Star Wars. Thank you.)"라는 애드립을 날렸다.

2016년 신년 연설에서 "니들 지겨워하는 거 같으니까 짧게함 ㅋㅋ"이라고 말해 박수를 받기도 했다.

2012년 3월 14일, 백악관을 방문한 영국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 내외를 예방하는 자리에서 미영전쟁을 들먹이며 캐머런을 놀리는 오바마. 받아치는 캐머런의 모습도 재미있다.
18:05부터
"오바마": 200년 전, 영국은 처음으로 이곳 백악관을 방문했습니다. 비록 다른 이유였긴 하지만요.
청중: (웃음)
"오바마": 상당히 인상깊었죠.(They made quite an impression.)
청중: (웃음)
"오바마": 말 그대로 이곳을 뜨겁게 달궜습니다.(They really lit up the place.)(화르륵)[17]
청중: (웃음)
"오바마": 여하튼 그 후로는 잘 지냈죠.(But we moved on.)
청중: (웃음)
25:25부터
"캐머런": 이곳에 서서 200년 전 그 일을 생각하니 상당히 당황스럽군요.
청중: (웃음)
"캐머런": 우리 조상님들이 이곳을 불태우려 했다니.
청중: (웃음)
"캐머런": 오늘 쭉 둘러보니 그때보다는 방비를 잘 해놓으셨더군요.
청중: (웃음)
"캐머런": 이번에는 우리 영국인들에 대한 대비책을 허투루 세우시지 않은 것 같습니다.
청중: (웃음)

Citizens...
Yes, We Can!
We can make it Better!
Yes, we did!
고별연설을 끝맺으며. 오바마의 대선 캠페인 슬로건이었던 "Yes, We Can!"을 살짝 비틀어, 본인을 미국 대통령으로 2번 뽑아준 국민들에 대한 감사를 전한 것이다.

8. 방송 활동

* 코미디 센트럴에서 방영한 Key & Peele의 "오바마의 분노 번역기"라는 스케치에서 패러디된다. 내용인즉슨 오바마가 젠틀하게 연설하면 옆에서 "분노 번역기" Luther[18]가 "사실 내 말뜻은 이거다 개XX들아!!"라고 번역해주면서 웃음을 유발하는 스케치. 이후 오바마가 2015년 4월 25일 공화당 및 민주당 의원들이 잔뜩 모인 백악관 출입 기자단 저녁 만찬에 "분노 번역기" Luther를 데려왔다! 처음엔 원작처럼 오바마의 연설을 '분노 번역기'가 번역해 주다가, 어느 순간 오바마 본인이 더한 막말을 퍼붓자 분노 번역기가 오히려 당황하는 부분이 포인트.[19]이후 매해 4월 열리는 이 기자단 참석 만찬에는 대통령이 스탠드 업 코미디를 선보이는 관례가 정착되어 있다. 원본 영상을 보면 50:00부터 나온다. 퇴장하기 전에 '분노 통역사보다는 상담이 더 필요하신 듯합니다만'이라고 말한 데다가 퇴장할 때에도 영부인 미셸 오바마에게 '미쳤나 봐요' 말하기까지 한다. 코미디언들도 스케치같은 걸 하다가 본인도 웃음을 참지못하고 터트리는 경우가 있는데 오바마는 내내 진지하게 연기하는 모습을 볼 수있다[20]

9. 대중매체

10.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락 오바마/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파일:오바마-투명.svg버락 오바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생애 · 대통령 집권기
가족 배우자 미셸 오바마
평가 평가
역대 선거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조 바이든 · 힐러리 클린턴 · 존 케리 · 데니스 맥도너 · 수전 라이스 · 톰 빌색 · 로버트 게이츠 · 벤 버냉키
기타 PRISM · 오바마 빈 라덴 · 오붕가 · 추천작
오바마 행정부
정책 오바마케어
사건사고 넵튠 스피어 작전 · 오디세이 새벽 작전 · 월가 점령 시위 ·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1] 영어병영을 뜻하는 Barrack이 아니다. '버락(Barack)'은 스와힐리어에서 따온 것으로 의 축복을 받은 자라는 뜻이다. 아랍어에도 이와 같은 의미의 이름으로 무바라크(مبارك‎)가 있다. 코미디언 크리스 락에 따르면, 전직 NBA 선수 디켐베 무톰보처럼 듣기만 해도 흑인인 것을 알아챌 정도로 흑인다운 이름이라고 한다.[2] 국적은 케냐이다. 위키백과.[3] 위키백과.[4] 1998년 출생. [age(1998-01-01)]세.[5] 2001년 출생. [age(2001-01-01)]세.[6] 2학년 이후 편입[7] 버락 오바마의 성장 과정에서 지대한 역할을 한 그의 어머니 앤 던햄은 개신교 신자였으나 종교적인 생활을 거의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앤 던햄의 지인들도 "그녀는 무신론자거나 불가지론자와 더 가깝다"고 증언했다. 버락 오바마는 "어머니가 개신교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나, 사회참여에 매진하는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고, 어렸을 때부터 친했던 본인 어머니를 따라서 본인을 개신교 신자로 여겨왔다고 대답했다. 또한, 아래에 나와있듯 아버지가 무슬림 집안 출신이어서 미들네임이 후세인이고, 이로 인해 무슬림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어릴 땐 성공회를 다녔고 이후 그리스도연합교회를 20년간 출석했으나 2008년 대선 캠페인에서 교회의 담임목사인 제레미아 라이트 목사와 불화가 생기면서 교단을 떠났다.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침례회를 다녔고 퇴임 이후에는 주로 감리회에 출석하는 듯 보인다. 오바마는 "현재 개신교인이지만 특정 종파에 고정해서 출석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8] 캔버스 위에 유화로 초상화를 그리던 전통을 깨고 마치 사진을 찍은 것처럼 생생한, 극사실주의적인 초상화를 채택했다.[9] 148년 전 에이브러햄 링컨이 취임식에 쓴 성경으로 선서를 했다. 노예제 폐지를 부르짖다 쓰러진 링컨이 사용했던 성경을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 취임식에 썼다는 것 자체가 또 다른 드라마틱한 역사이다. 오바마의 정치적 기반마저도 링컨의 주 일리노이인지라, 드라마틱함을 더한다. 여담으로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장이 취임 선서를 제대로 읊지 못해 버락 오바마가 약간 당황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데, 결국 이튿날 백악관에서 취임 선서를 약식으로 다시 했다.[10] 1789년부터 2009년까지 재임한 초대 조지 워싱턴 대통령부터 43대 조지 W. 부시 대통령까지는 전원 백인 출신 대통령이 집권했지만 2009년에 사상 첫 흑인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가 제44대 미국 대통령으로 공식 출범함에 따라 220년 만에 그 공식은 깨지게 된다.[11] 단독 출마[12] 2008.11.16 사임(대선 출마)[13] 보스턴 레드삭스(Boston Red sox)와 시카고 화이트삭스(Chicago White sox)의 팀명을 빗댄 언어유희.[14] 미국 어느 대도시가 그렇듯, 보스턴 역시 민주당의 아성이다. 더 나아가 보스턴이 속한 매사추세츠 주마저도 강고한 민주당 텃밭. 이런 곳에서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 야유를 받는 것은 극히 이례적일 수밖에 없다.[15] 미국 대통령은 중임(두 번 당선)이 가능하며 그 후에는 대선 출마를 할 수가 없다. 조지 워싱턴이 초선 이후 재선까지 하고 다른 사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2선이라는 선례를 만들고 자리에서 내려옴으로써 FDR 이전에는 미 대통령은 2선까지가 관행이자 일종의 관습법이었다. 근데 그걸 깨고 무려 4선을 한 어느 인물 때문에 헌법에 3선 불가 규정을 넣었다. 여기서 말하는 캠페인은 자신이 출마할 대선 뿐 아니라, 같은 당원들이 출마할 중간선거 역시 자신의 임기 내에는 없다는 뜻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오바마 본인이 더이상 자신의 인기나 지지도를 신경 쓸 필요도 없고, 오바마 때문에 비교적 보수적인 남부/중서부 지역구에서 질까봐 덜덜 떠는 딕시크랫(민주당내 보수파)들 눈치 볼 필요도 없으니, 이제 내가 늬들 눈치 볼 일은 없다는 의미로도 말을 한 셈.(…)[16] 취임식을 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취임식 때 성경에 손을 올리고 대통령 선서를 한다.[17] 미영전쟁 때 영국군에 의해 백악관이 불탄 것을 빗댄 유머다. light it up은 문자 그대로 밝혀준다는 뜻도 있지만 속어로서는 '태워버리다' 또는 '날려버리다'라는 뜻도 있다.[18] 키건마이클 키[19] 사실 연설 구성을 봐도 언론에 대한 섭섭함이나 경쟁자들의 추문에 대해 언급할 때는 통역을 쓰는데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참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식으로 심각성을 환기하는 효과를 냈다.[20] 물론 가끔 입꼬리가 말려 올라가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