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琴 거문고 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玉,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キン, ゴン | ||||||
일본어 훈독 | こと | ||||||
- | |||||||
표준 중국어 | qí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琴은 '거문고 금'이라는 한자로, 본래는 중국의 고금(古琴)을 뜻하였으나, 고금에서 파생된 거문고 같은 악기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거문고 |
음 | 금 | |
중국어 | 표준어 | qín |
광동어 | kam4 | |
객가어 | khìm | |
민동어 | kìng | |
민남어 | khîm | |
오어 | jjin (T3) | |
일본어 | 음독 | キン, ゴン |
훈독 | こと | |
베트남어 | cầm |
유니코드에는 U+743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OIN(一土人戈弓)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玉(구슬 옥) 두 개와 소리를 나타내는 今(이제 금)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는 珡의 형태로 쓰였는데, 이는 거문고의 줄과 받침을 묘사한 상형자이다. 그러다가 나중에 음을 분명히 하기 위해 아래쪽의 人이 今으로 변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이렇게 기원이 다르기 때문에 설문해자에서는 琴을 珏(쌍옥 각)부에 수록하지 않고 珡 자체를 부수로 올렸다. 한편 珡에서 고금과 관계가 깊은 슬을 나타내는 瑟(큰 거문고 슬)이 파생되었는데, 반대로 瑟에서 파생된 琴의 이체자인 䥅(U+4945, ⿱⿻十玨金)나 𤫍(U+24ACD)도 있다. 이 글자는 슬의 모양에서 따온 상형자로 瑟의 이체자인 㻎이 뜻을 나타내고 金(쇠 금)이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금강선(琴剛仙)
- 레이 마코토(礼 真琴)
- 미사카 미코토(御坂 美琴)
- 박춘금(朴春琴)
- 사사키 코토코(佐々木琴子)
- 사이온지 코토카(西園寺 琴歌)
- 아멘 마코토(亜面 真琴)
- 오노자키 미코토(小野崎 美琴)
- 유즈리하 코토코(杠 琴子)
- 자야스 코토키(座安 琴希)
- 조금묵(曹琴默)
- 카미모토 코토네(嘉味元 琴音)
- 코미야마 코토미(小宮山 琴美)
- 코이치 마코토(子市 眞琴)
- 코토부키 츠무기(琴吹 紬)
- 코토우라 하루카(琴浦 春香)
- 코토히키 카요코(琴弾 加代子)
- 쿄쿠테이 바킨(曲亭 馬琴)
- 타나카 코토하(田中 琴葉)
- 하시비라 코토하(嘴平 琴葉)
- 후루카와 코토네(古川 琴音)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瑟(거문고 슬)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위 금호강에서 동명이 유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