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一/壹) (100) | 십(十/拾) (101) | 백(百/伯/陌) (102) | 천(千/仟/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毛)/호(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絲) (10-4) | |
만(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忽) (10-5) | 미(微) (10-6) | 섬(纖) (10-7) | 사(沙) (10-8) | |
억(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塵) (10-9) | 애(埃) (10-10) | 묘(渺) (10-11) | 막(漠) (10-12) | |
조(兆) (1012) | 경(京) (1016) | 해(垓) (1020) | 자(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壤/穰) (1028) | 구(溝) (1032) | 간(澗) (1036) | 정(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載) (1044) | 극(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십) | 卄(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百 일백 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白,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ヒャク, ハク | ||||||
일본어 훈독 | もも | ||||||
- | |||||||
표준 중국어 | bǎ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百은 '일백 백'이라는 한자로, '백', '100', '백번째' 등을 뜻한다. 숫자로 102 으로 나타낸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일백, 힘쓸 |
음 | 백, 맥 | |
중국어 | 표준어 | bǎi, bó |
광동어 | baak3 | |
객가어 | pak | |
민북어 | bă | |
민동어 | báh, báik | |
민남어 | pah | |
오어 | paq | |
일본어 | 음독 | ヒャク, ハク |
훈독 | もも, ほ, お | |
베트남어 | bách, bá, tình |
이체자로 佰와 𦣻[1]이 있다. 이 중 佰은 '맏 백', '우두머리 패', '길 맥'이라고 불리는 글자인데 百가 들어있는데다 발음도 '백'으로 같기 때문에 갖은자로 쓰인 것이다.
전서 | 예서 | 초서 | 행서 | 해서 |
음인 白과 뜻인 一을 합친 형성자이다. 갑골문의 모양을 근거로 하여 상형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지붕에 매달린 말벌집의 모양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말벌집 하나당 말벌 100여 마리가 있으니 그럴 듯한 가설이다.
'백'이라는 음으로 읽힐 땐 숫자 100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이다. 그러나 '전부' 혹은 '많다', '오래 간다' 라는 뜻도 갖고 있다. 반면 '맥'이라는 음으로 읽힐 땐 '힘쓰다' 혹은 '노력하다'란 뜻인데, 실생활에 사용되는 빈도가 낮아서 인지도도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일백 백' 자로만 안다.
상고한어 음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어휘는 八과 동계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한자 문화권에서 八과 百은 모두 '완전한 수'로서의 상징성을 갖는데,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골백번(골百番)
- 당백전(當百錢)
- 바이두(百度) - 중국의 포털 사이트
- 백각형(百角形)
- 백과(百科)
- 백귀야행(百鬼夜行)
- 백년(百年)
- 백련초해(百聯抄解)
- 백리향(百里香)
- 백만(百萬)
- 백만장자(百萬長者)
- 백분율(百分率)
- 백성(百姓)
- 백세(百歲)
- 백수(百獸)
- 백억(百億)
- 백일(百日)
- 백합(百合)
- 백해(百害)
- 백화요란(百花繚乱)
- 백화점(百貨店) - 약어로 표기할 때 百자로 표기한다.
- 야오요로즈(八百万)
- 정백이십포체(正百二十胞體)
- 정육백포체(正六百胞體)
3.2. 고사성어/숙어
- 고두백배(叩頭百拜)
- 백군진병 (百郡秦幷)
- 백리부미 (百里負米)
- 백무일실 (百無一失)
- 백무일취 (百無一取)
- 백문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 백발백중 (百發百中)
- 백사불성 (百事不成)
- 백사여의 (百事如意)
- 백세지사 (百世之師)
- 백세청풍 (百世淸風)
- 백승지가 (百乘之家)
- 백인극백난 (百忍克百難)
- 백전백승 (百戦百勝)
- 백전불태 (百戰不殆)
- 백전불굴 (百戰不屈)
- 백절불굴 (百折不屈)
- 백해무익 (百害無益)
3.3. 인명
- 고이케 유리코(小池 百合子)
- 금백리 (金百利) - 중국어로 읽으면 Jīn bǎi lì로, 서구권의 이름인 킴벌리를 음차한 것이다.
- 나백진(羅百鎭)
- 니주나나멘 센주무카데(二十七面 千手百足)
- 리바이완 (李百万, 1926 ~ 2010) - 중국의 영화배우
- 모모세 긴코 (百生吟子)
- 안도 모모후쿠 (安藤百福, 1910 ~ 2007) - 인스턴트 라면 발명가
- 야오요로즈 모모(八百万 百)
- 이백약(李百藥, 564 ~ 648) - 중국 당나라의 역사가 겸 시인
- 나키리(百鬼), 모모이(百井), 쿠다라(百済), 햐쿠타(百田), 햐쿠야(百夜), 햐쿠초(百町)라는 성씨를 가진 모든 일본인 혹은 일본계들
- 유리 사카자키(百合 坂崎)
- 유리조노 세이아(百合園 セイア)
- 이오로이 나루미(五百蔵 鳴海)
- 햐쿠초 하마야(百町 破魔矢)
- 햣카(百火)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儢(힘쓰지 아니할 려)(...)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白(흰 백)
[1] 기기상의 이유로 글자가 보이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一 아래에 自가 있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