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1:48:27

튀르키예 독립 전쟁

파일:튀르키예 국장_White.svg 튀르키예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 ~ 1923,
<colbgcolor=#f5f5f5,#191919>
제2차 세계 대전
,1945,
6.25 전쟁
,1950 ~ 1953,
키프로스 전쟁
,1974,
소말리아 내전
,1992 ~ 1995,
보스니아 내전
,1995,
코소보 전쟁
,1999,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14,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제2차 리비아 내전
,2014 ~ 2020,
파일:리비아 국기.svg
국민의회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2020,
<rowcolor=#e30a17> ← 오스만 제국의 대외전쟁 }}}}}}}}}
튀르키예 독립 전쟁
Turkish War of Independence
Türk Kurtuluş Savaşı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 및 1917-1923년 혁명의 일부
독립전쟁의 전개
기간
1919년 5월 19일 ~ 1922년 10월 11일 (휴전)
1923년 7월 24일 (평화협정)
장소
아나톨리아, 캅카스 남서부, 동트라키아, 메소포타미아 북부
교전 국가 및 세력
[[틀:깃발|
기 명칭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틀:깃발|
깃발 명칭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튀르키예|
튀르키예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
협상국: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1921년)[[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영제국|]][[틀:깃발|
기 명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틀:깃발|
깃발 명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1920년)
[[틀:깃발|
기 명칭
조지아 민주공화국
]][[틀:깃발|
깃발 명칭
조지아 민주공화국
]][[조지아 민주공화국|
조지아 민주공화국
조지아 민주공화국
]] (1921년)

[[오스만 제국|]][[틀:국기|]][[틀:국기|]]
지원 국가 및 세력
쿠바이 세야레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러시아 SFSR
]][[틀:국기|
행정구
러시아 SFSR
]][[틀:국기|
속령
러시아 SFSR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SSR
]][[틀:국기|
행정구
우크라이나 SSR
]][[틀:국기|
속령
우크라이나 SSR
]]
[[틀:깃발|
기 명칭
아제르바이잔 SSR
]][[틀:깃발|
깃발 명칭
아제르바이잔 SSR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SSR
]]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부하라 PSR
]][[틀:국기|
행정구
부하라 PSR
]][[틀:국기|
속령
부하라 PSR
]]

[[이탈리아 왕국|]][[틀:국기|]][[틀:국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1921년~)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킬라파트 운동|
킬라파트 운동
]]
알라위 반군
쿠르디스탄 왕국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페브지 차크마크|
페브지 차크마크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스메트 이뇌뉘|
이스메트 이뇌뉘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콘스탄티노스 1세|]]
[[틀:깃발|
기 명칭
알렉산드로스 1세
]][[틀:깃발|
깃발 명칭
알렉산드로스 1세
]][[알렉산드로스(그리스)|
알렉산드로스(그리스)
알렉산드로스 1세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메흐메트 6세|]]
병력
1919년 5월: 35,000명
1920년 11월: 86,000명
1922년 8월: 271,000명
그리스 왕국
  • 80,000명(1919년)
  • 250,000명(1922년)
프랑스
  • 최대 30,000명(1920년 3월)
  • 최대 40,000명(1920년 5월)
  • 70,000명(1921년 2월)
영국: 30,000명
아르메니아: 20,000명
오스만 제국: 7,000명
피해
13,000명 전사
22,690명 병사
5,362명 부상치사 또는 비전투사망
11,150명 실종
35,000명 부상
7,000명 포로[1]
그리스 왕국
  • 24,240명 전사
  • 18,095명 실종
  • 48,880명 부상
  • 4,878명 비전투사망
  • 20,826명 포로[2][3]
아르메니아:
  • 최소 1,100명 사망
  • 최소 3,000명 포로
프랑스: 7,000여명 사상 또는 실종, 포로
그리스 시민 264,000명 사망
아르메니아 시민 최대 250,000명 사망
튀르키예 시민 최소 15,000명 사망
결과
대국민회의의 승리
튀르키예 공화국 설립
오스만 제국 완전 소멸
1. 개요2. 전쟁의 발발 원인3. 독립군의 봉기4. 아타튀르크의 등장5. 지중해로의 진격
5.1. 안텝 전쟁5.2. 동부전선의 상황
6. 전황의 변화7. 사카리아강 전투의 기적과 전쟁의 종결8. 종전 후9. 전쟁이 남긴 영향
9.1. 번외: 아나톨리아 내 그리스계 튀르키예인들의 행보
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19년 5월 19일부터 1923년 7월 24일까지 튀르키예 대국민의회(Türkiye Büyük Millet Meclisi)와 그리스, 프랑스, 영국, 아르메니아를 주축으로 한 협상국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여러 주변국과 주요 강대국이 얽혀있어 튀르키예가 어떻게 이 모든 나라들과 동시에 싸울 수 있었나 싶지만, 열강들도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탈진 상태에 빠져있었고 새로 획득한 아랍인 지역 지배에 집중했기 때문에 아나톨리아에서는 프랑스를 제외하면 적극적으로 개입하진 않았다. 튀르키예가 본격적으로 상대한 국가는 서쪽의 그리스, 동쪽의 아르메니아, 동남쪽의 프랑스였다.

튀르키예 측이 전쟁에서 승전하여 오늘날 튀르키예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2. 전쟁의 발발 원인

1918년 10월 30일 1차 대전의 패자 오스만 제국과 승자 협상국이 무드로스 정전협정을 체결함에 따라 오스만 제국이 통치하던 중동 지역 내 전선들이 소강 상태로 들어갔다. 협상국은 이 협정을 통해 보스포루스 해협다르다넬스 해협을 통제할 권리와 더불어 오스만 제국 영토 내에서 발생할 소요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국 내의 영토를 점유할 권리를 갖게 되었다.

결국 같은 해 11월 12일 협상국코스탄티니예에 입항해 도시 점령을 선언했으며 영국군은 튀르키예 동부의 일부 도시를, 프랑스군시리아에서부터 올라와 서부 아나톨리아일대의 도시들을, 그리스군동로마 제국 회복인 대그리스주의(통칭 메갈리 이데아)을 명분으로 유럽에서는 트라키아 동부에서 코스탄티니예까지, 바다를 건너와 소아시아에서는 이즈미르트라브존 일대의 룸(rum)[4]인들이 많이 거주하던 영역들을 점차 점령해나가기 시작했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 이후 협상국1915년부터 1917년 사이에 비밀리에 체결된 오스만 제국 영토 분할안에 따라 계획을 차곡차곡 실행해 왔으며 이는 1920년 8월 10일에 체결된 세브르 조약을 통해 굳어졌다. 이 조약에 따르면 옛 오스만 제국의 속령 중 튀르크인들에게 남는 건 중앙 아나톨리아 일부뿐으로 나머지는 협상국들이 나눠 가지는 사실상 오스만 제국의 해체나 다름없는 조약이었다.
파일:세브르 조약.svg
<rowcolor=white> ▲세브르 조약으로 결정된 오스만 제국 분할안. [5]

3. 독립군의 봉기

한편 이러한 꼴을 보다 못한 튀르키예 민중들은 사소한 방법으로든 무장봉기로든 점령군에 저항하기 시작했다. 그리스군이 이즈미르에 상륙한 1919년 5월 15일 젊은 기자인 하산 타흐신(Hasan Tahsin)은 점령군의 기수에게 기습적으로 총알을 발사했고 그리스군의 즉각적인 대응에 따라 즉시 사살되면서 독립전쟁의 첫번째 전사자가 되었다. 이 총알은 곧 이즈미르에 남아 있던 전직 병사들과 민간인들을 자극했으며 그날 하루 시내 곳곳에서 무력충돌이 벌어져 3,500여 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즉각 튀르키예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점령군에 의해 무력화된 코스탄티니예에서도 점령군에 대항하는 시위대가 조직되어 투쟁에 나섰으며 오스만 제국의 많은 공무원들도 파수대(Karakol Cemiyeti)라는 이름의 조직을 구성해 점령군으로 하여금 독립운동의 상황이나 행정상태파악 등을 방해하거나 숨기는 등의 소극적인 저항과 함께 협상국에 의해 압수된 제국의 병기나 물자들을 몰래 빼돌려서 독립운동단체에 넘기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산발적인 민간인과 해산된 군인들의 저항 끝에 1919년 5월 즈음에는 크게 두 개의 저항조직이 생겨났는데 하나는 아나톨리아 동부의 에르주룸(Erzurum)을 본거지로 하는 캬즘 카라베키르(Kâzım Karabekir)의 군대고 또 하나는 앙카라를 본거지로 하는 알리 푸아트 제베소이(Ali Fuat Cebesoy)의 군대가 그것이었다. 코스탄티니예에서 사실상 열강의 볼모 신세가 된 파디샤 메흐메트 6세 바히데틴(VI Mehmet Vahidettin)은 아직 오스만에 충성하던 장군들을 구슬리고자 오스만의 행정력이 남아 있었던 아나톨리아 내부 요충지의 태수로 임명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 행동은 메흐메트의 입장에서 독립군이 자신을 옭아매는 열강들을 몰아내는 데 유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이 자신에게 총칼을 되돌릴 수도 있으므로 양다리를 걸친 것으로 해석된다.

4. 아타튀르크의 등장

한편 갈리폴리 전투의 영웅이자 제1차 세계 대전 내내 혁혁한 전공을 세우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웅으로 부상하던 무스타파 케말 파샤는 메흐메트 6세의 명을 받아 오스만 제국의 남은 군대의 해산을 감찰하는 직책을 수행하고 독립운동을 무마시키기 위한 임무를 띄고 1919년 5월 16일 코스탄티니예를 떠나 4일 뒤 흑해 연안의 도시 삼순(Samsun)에 도착했다. 튀르키예 역사교과서에는 이날 아타튀르크가 영국 국기를 달고 출발한 증기선 반드르마호가 항구를 벗어나자 공해상에서 월성기를 게양하게 했다는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삼순에서 캬즘 카라베키르와 알리 푸아트 등의 인사들과 대면한 후 케말은 혁명을 선언했다. 그러나 남부 아나톨리아는 이미 영국 해군이 전부 장악한 상황이었고 제국 정부는 케말의 배신을 파악하고는 궐석재판에서 사형을 때린 상태였기 때문에 결국 이들은 보다 안전한 시바스(Sivas)로 이동해 최초의 의회를 개최했다. 이때가 1919년 9월 4일의 일이다. 이후 보다 많은 독립 군벌들을 규합한 의회는 1920년 4월 23일앙카라에서 대국민의회(Büyük Millet Meclisi)로 개칭하면서 오늘날 튀르키예 입법부의 기반을 마련했다. 대국민의회에서는 무스타파 케말 장군을 총사령관으로 선출했다.

5. 지중해로의 진격

Ordular! İlk hedefiniz akdeniz'dir. İleri!
제군! 그대들의 첫 목표는 지중해다. 앞으로!
- 아타튀르크가 사령관으로 취임하고 나서 제일 먼저 내린 명령

하지만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로 명명된 독립군은 사방이 적에 둘러싸인 채 고립된 무척 좋지 않은 상황에 처했다. 당장 동부에서 아르메니아가 고토수복을 명분으로 진군해 들어오고 있었으며 남부에서는 프랑스군이 약속받은 땅을 받기 위해 북진하고 있었고 서부에서는 그리스군과 튀르키예군의 치열한 대치가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 대국민의회의 병력으로는 사방의 적을 상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우선 가장 세력이 크고 아나톨리아의 곡창지대를 장악한 그리스군을 상대로 병력을 집중시킨 상황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빈자리는 결국 민병대가 맡게 되었다.

5.1. 안텝 전쟁

튀르키예 남동부의 요충지 가지안텝(Gaziantep)는 아이은탑(Ayıntap) 혹은 안텝(Antep)이라는 이름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오늘날 시리아알레포(Halep)에 속해 있었으며 튀르크인, 튀르크멘인,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쿠르드인 등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거주하던 곳이었다. 19세기 말 가지안텝은 프랑스미국의 선교사의 활동과 도시의 주생산품인 동과 밀, 카페트, 그리고 목화무역으로 유럽과의 교류도 활발했다. 때문에 남동부 아나톨리아에서는 동방의 파리라는 별명도 붙을 만큼 드물게 서구식 교육시설과 병원을 갖추고 있었으며 주민들의 근대교육 수준도 높았다. 문제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오스만 제국이라는 권력의 공백이 발생하자 주민들 간에 민족 갈등이 일어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1918년 12월 17일에 영국군은 가지안텝에 진입해 대략 1년 동안 군정을 실시했다. 하지만 1919년 영국과 프랑스는 협약을 체결해 시리아와 남동 아나톨리아의 위임통치권을 프랑스에게 넘겼고 같은 해 11월 5일에 프랑스군이 진입했다. 한편 1919년 초부터 도시의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인근의 마라쉬(Maraş, 오늘날의 카흐라만마라쉬), 킬리스의 아르메니아 주민들과 더불어 독립을 꿈꾸기 시작했다.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항목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전쟁 시기 이 지역은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의 강제 이주지로 설정된 곳이었기 때문에 전쟁 중에 이곳으로 이주한 반 오스만 성향이 배가 된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갑자기 늘자 원래 가지안텝에 거주하던 튀르크멘, 아랍, 쿠르드계 주민들과 충돌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프랑스군과 연합해 독립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당시 프랑스군에 합류해 튀르크 민병대와 대치했던 아르메니아계 민병대의 구호는 "아르메니아가 아니면 무덤을!"(Ya Ermenistan, ya mecaristan!)이었다. 프랑스군은 오늘날 가지안텝 시립 박물관 및 레스토랑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야즈한(Beyazhan)에 사령부를 마련했고 그 지역은 대체로 부유한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근처에 미국 선교사가 세운 아메리카 병원과 아르메니아인을 위한 여학교가 있었다.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프랑스군을 등에 업고 튀르크인들을 괴롭혔으며 프랑스군의 행동도 튀르크인들의 분노를 샀는데 결정적으로 이들이 봉기하게 된 계기는 이 베야즈한에 위치한 사령부 근처에서 벌어졌다.

1920년 1월 21일 금요일 저녁 당시 14세였던 메흐메트 캬밀(Mehmet Kâmil)은 어머니와 함께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베야즈한 앞을 걷고 있었다. 그때 근처를 순찰하던 프랑스군은 그들의 길을 막으며 캬밀의 어머니의 히잡 차림을 조롱하기 시작했고 그 중 한 군인이 그녀의 히잡을 잡아채 떨어뜨렸다. 그러자 화가 치민 캬밀은 돌을 집어들어 그 군인에게 던져서 맞추었고[6] 군인들은 캬밀을 총검으로 찔러 살해했다. 다음날 캬밀의 장례식에는 모스크를 가득 채우고도 남을 만큼 분노한 안텝의 주민들이 많이 참석했고 이들은 집에 가지고 있었던 고물 엽총과 칼을 긁어모아 오스만 군대의 옛 무기고를 털어 무장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 당시 예멘 전선에서 싸운 참전용사 샤힌 베이(Şahin bey)와 마라쉬 출신의 카라 이을란(Kara Yılan)이 이들을 이끌었다.[7] 1920년 4월 1일부터 1921년 2월 9일까지 샤힌 베이가 이끄는 300여 민병대는 그보다 10배는 되는 도시 내에 주둔한 많은 프랑스군과 아르메니아계 민병대를 상대로 농성전을 벌인 끝에 이들을 저지시켰고 인근 도시인 카흐라만마라쉬와 샨르우르파에서도 민병대들에 힘입어 프랑스군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남동부 지방의 대프랑스 전선은 앙카라에서 너무 멀었기 때문에 튀르키예 대국민의회가 신경써 줄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고 때문에 이 전선에서 벌어진 사건들은 "안텝 전쟁"(Antep Savaşı)이라고 따로 분리하기도 한다. 본 항목에는 소문단 형식으로 추가했다.

결국 프랑스는 1921년 10월 20일에 앙카라 협약[8]을 체결하면서 제일 먼저 전쟁에서 빠졌다.

5.2. 동부전선의 상황

파일:아시리아 터키.png
<rowcolor=white> ▲1차 대전 직후 제안된 흑해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 국가
동부에서는 아르메니아군, 비틀리스 일대를 노리고 3개 보병사단과 1개 기병여단을 동원해서 동부 국경 지대를 침공했지만 1920년 9월 24일부터 12월 2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에서 캬즘 카라베키르가 이끄는 독립군 4개사단에 밀려서 오히려 과거 러시아 제국에 오스만 제국이 할양한 카르스(Kars), (Van), 아르다한(Ardahan)을 다시 튀르키예에 넘겨주게 되었다.

인종청소 개념의 대량학살은 이 전쟁에서 특히 동부에서 두드러지게 자행되었다.

트라브존, 리제 일대에서는 현지 폰토스인들이 민병대나 마적단을 구성해 학살과 약탈을 벌이고 있었다. 특히 튀르크인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이 섞여 거주하던 트라브존 일대에서는 폰토스 민병대가 튀르크인과 아르메니아인을 대량학살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으며 당시 해외 언론인과 현지인들이 남긴 참상을 찍은 사진들이 상당히 많이 남아 있다. 하지만 캬즘 카라베키르의 군대는 폰토스 민병대까지 전멸시키는 데 성공했고 폰토스 민병대가 사라지자 폰토스인들이 눈이 뒤집힌 튀르크인과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대량으로 보복 학살을 당하는 일도 발생했다.[9]

1921년에는 이미 서부전선을 제외한 다른 전선들은 소강상태에 들어간 상태였다. 하지만 그리스군은 대국민의회가 상대하기에는 너무나 버거운 상대였으며 아나톨리아 내부에 거주하던 그리스인들은 어떤 식으로든 그리스군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었기 때문[10]에 협상국의 장비까지 지원받아 막강해진 그리스군을 상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6. 전황의 변화

때문에 대국민의회가 결정한 주된 전략은 게릴라전이었다. 튀르키예 민간인에 의한 테러나 소요사태, 무장봉기는 이미 1919년 전쟁 발발부터 계속되어 왔지만 앙카라에서 들어온 공작원과 교관들에 의해 그리스군 점령지 내의 무장군은 점점 더 격렬하고 과감한 공격을 감행해 왔다. 때문에 그리스군은 빠른 시일 내에 아나톨리아 중심부로 진격해서 전쟁을 끝내기로 하고 그동안 대치 상태였던 형국을 무너트리고 1921년 새해를 기점으로 빠른 속도로 앙카라를 향해 진격해 들어왔다. 그리고 당시 그리스와 인접한 코스탄티니예가 그리스군에게 점령당할 뻔했다.[11]

대국민의회군은 이스메트 파샤(İsmet Paşa)가 이끄는 병력 6천으로 아나스타시오스 파풀라스(Αναστάσιος Παπούλας) 장군이 이끄는 그리스군 2만여를 이뇌뉘강에서 막아세웠으며 비록 대국민의회군이 패하긴 했지만 두차례에 걸친 전투 끝에 그리스군의 진격속도를 늦추는 데는 성공했다. 이후 튀르키예에서 성씨 사용법이 통과되자 이스메트 파샤는 자신이 분전한 전선인 이뇌뉘강의 이름을 따서 자신의 성을 이뇌뉘(İnönü)로 정했다. 이스메트 이뇌뉘는 아타튀르크의 가까운 친구이자 전우였으며 아타튀르크 사후 제2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대국민의회가 그리스군을 막아서는 동안 후방에서는 튀르키예인들의 집요한 항쟁이 이어졌다. 그리스군의 짐을 운반하는 짐꾼들이 방심한 틈을 타 어디론가 사라진 다음에 독립군에 합류하거나 길 안내를 자처한 튀르키예인들이 장교들이 방심한 사이에 수류탄을 터트려 장교와 함께 동귀어진하는 사건도 벌어졌다. 여자들은 공장에서 총알을 만들고 아이들은 어머니를 도와 물자를 전선으로 날랐다. 막대한 피해를 입으면서도 튀르키예인들은 끊임없이 항쟁했으며 결국 이는 독립전쟁을 튀르키예의 승리로 굳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921년 8월에 그리스군은 앙카라를 목전에 두고 있었다. 앙카라에서 불과 200k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아피온-카라히사르 전선(Afyon-Karahisar)이 붕괴되어 그리스군은 사카리아강까지 이르렀으며 이곳에서 8월 23일부터 9월 13일까지 장장 21일에 걸친 사카리아강 전투가 벌어졌다. 대국민의회는 필사적으로 이곳을 사수해야 했지만 그리스군의 수가 너무 많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reco-Turkish_War_Map.png
<rowcolor=white> ▲서부 전선의 상황도. 사카리아강 전투 당시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는 그야말로 풍전등화 상태에 몰려 있었다.

7. 사카리아강 전투의 기적과 전쟁의 종결

장장 21일 동안 전투는 밤낮없이 벌어졌다. 당시에 해당 방면으로 돌릴 수 있는 군대란 군대는 다 투입했기 때문에 앙카라 수비군도 전원이 이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케말은 말을 타고 최전선으로 나와서 장병들을 독려하였고 심지어 다른 장군들과 함께 직접 총을 들고 싸우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노력 끝에 비록 전사자 수는 튀르키예군이 더 많았지만 어쨌든 그리스군의 진군을 최종적으로 저지시키는 데 성공했다.

여기서 다 이긴 전쟁을 왜 그리스군이 멈췄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당시 그리스군도 전 병력을 사카리아에 꼬라박았고 보급선이 너무나 긴데다가 그나마도 튀르크 민병대에게 지속적으로 습격받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더 이상 공세를 계속 할 수 없었다고 보는 것이 주류 해석이다.[12] 한 마디로 그리스군은 공세종말점에 다다랐기 때문에 공세가 불가능해졌다고 봐야 할 것이다. 즉 그리스와 튀르키예의 주력군이 대규모 전투를 벌인 끝에 간신히 튀르키예가 승기를 잡은 것이다. 총력전에서 물량이 많은 국가가 결국 승기를 잡을 수밖에 없었고 마침 앙카라 앞에서 그리스군의 공세를 저지하게 되었던 것. 그리고 이 전투가 끝나고 얼마 지나지도 않아서 동부, 남부전선의 상황이 종결되었기 때문에 대국민의회군은 모든 전력을 서쪽으로 집중할 수 있게 되었으며,결국 1922년에 이르면 도리어 튀르키예군이 그리스군을 거의 전멸시키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코스탄티니예에서 사건을 관망하던 열강들은 다시금 저울질을 시작했다. 대국민의회는 영국의 요청에 따라 이스메트 파샤를 특사로 파견했으며 스위스의 로잔에서 장장 1년여에 걸친 회의를 거듭했다. 에디르네(아드리아노폴리스)와 동부 트라키아(트라케) 일부 지역은 그리스 영토로, 이즈미르(스미르나)는 튀르키예 영토로 하며 튀르키예 측에 아나톨리아를 보전하겠다는 서양 열강들의 제안에 이스메트 파샤는 "우리 민족의 완벽한 독립이 아니면 회의 따위 때려치워라."라는 초강경자세로 버티고 있었으며 소련은 물자까지 지원하면서 독립군을 지지하고 있었다. 대국민의회군은 1922년을 기점으로 튀르키예 전국에서 그리스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있었으며 결정적으로 1922년 8월 30일 퀴타햐 인근의 둠루프나르에서 케말이 이끄는 튀르키예군이 완승을 거두면서 더 이상 열강들도 시간을 끌 수 없게 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10px-Turkish_infantry_in_trench.jpg
<rowcolor=white> ▲참호에서 대기 중인 튀르키예 대국민의회군의 모습.
파일:external/www.bodrumbaskisi.com/30Agustos1924DumlupinarSehitAskerAniti.jpg
<rowcolor=white> ▲전투 직전 아타튀르크(왼쪽 앞)과 이스메트 이뇌뉘의 모습(오른쪽 앞).
둠루프나르 전투에서 승리한 튀르키예군은 기세를 몰아 서쪽으로 진격해 9월 9일 그리스군의 아나톨리아 본거지였던 이즈미르를 탈환했다.[13] 그리고 다 이긴 전쟁을 말아먹은 국왕 콘스탄디노스 1세와 왕당파 정권에 분노한 여론에 힘입어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Νικόλαος Πλαστήρας) 대령을 위시로 한 베니젤로스파 장교들이 9월 11일 쿠데타를 일으켜 왕당파 정권을 붕괴시켰고 콘스탄디노스 1세 역시 퇴위하여 아들 요르요스 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이탈리아로 망명하였다. 그리스는 메르츠(에브로스)강 서쪽의 에디르네 인근의 카라아아츠를 포함한 트라키아 동부를 즉각 그리스로 넘기라고 주장했다. 동트라키아로 후퇴한 그리스군은 반격 준비에 나섰고 튀르키예군 역시 마지막 목표인 코스탄티니예와 동트라키아로 진격할 기미를 보이자 영국은 "보스포루스 해협이랑 다르다넬스 해협을 건너오지 말라"고 대국민의회에 최후통첩을 날려 그리스를 보호하려 했으나 전쟁이 확전되는 걸 원하지 않던 다른 협상국들의 반대로 결국 영국이 물러섰다. 그렇게 해서 10월 11일 무다니아(Mudanya)에서 대국민의회와 협상국 사이에 휴전협정이 체결되었다. 복귀한 그리스 총리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는 동트라키아 특히 에디르네만큼은 어떻게 해서든 지키려 노력했으나 결국 휴전에 동의하여 동트라키아에서 그리스군은 물러나고 대신 튀르키예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그리고 전쟁은 1923년 7월 24일 로잔 조약이 체결되면서 비로소 끝나게 되었다.

8. 종전 후

로잔 조약에 따라 동트라키아, 스미르나는 정식으로 튀르키예에게 되돌아왔으나 에게해의 섬은 튀르키예 영토의 코앞에 있는 것까지 죄다 그리스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실제로 그리스령인 로도스, 히오스, 레스보스, 사모스 등의 에게해 섬들은 터키 본토에서는 불과 2km~18km 정도만 떨어진 연안에 위치해 있으나 그리스 본토에서는 최소 100km 이상 떨어져 있다.

해상의 국경선이 이렇게 정해진 것은 튀르키예 해군이 약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튀르키예와 그리스의 현재의 국경선이 설정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이다. 오스만 제국이 세계대전에서 패배, 항복한 뒤 코스탄티니예에 진주한 협상국의 우두머리인 영국 고등판무관이 전쟁을 지켜보다가 그리스군이 튀르키예군에게 져서 에게해로 밀려나자 궁지에 몰린 그리스군을 구하고 전쟁이 확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신생 튀르키예 정부에 연락해 "동트라키아 아니면 에게해의 섬들 중 하나를 선택하라"라고 제안했고, 튀르키예 정부가 동트라키아를 선택한 결과이다.

이 때문인지 이 지역의 영해 범위를 놓고 튀르키예와 그리스 사이에 영토 분쟁을 벌인다고 한다. 또 튀르키예는 튀르크계가 일부 분포하고 있는 키프로스 역시 포기했다. 이는 이후 키프로스 분단과 키프로스 전쟁을 초래하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60px-Memory_of_Victory%2C_1925.jpg
<rowcolor=white> ▲1925년에 독립 기념으로 제작한 아타튀르크와 그의 전우들의 사진이 담긴 포스터
협상국은 코스탄티니예에서 철수했으며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파디샤 메흐메트 6세 바히데틴은 영국 군함에 올라타 몰타로 망명을 떠났다. 무스타파 케말은 협상국에 이용당하던 제국 정부를 '튀르키예 민족의 반역자'로 규정했으며 때문에 공화국 건국 이후 오스만 제국의 황족들은 죄다 국외추방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이후 1923년 10월 29일에 대국민의회는 공화국을 선언하며 오늘날의 튀르키예 공화국을 건국하고 이 전쟁의 가장 큰 공로자이자 총사령관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를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세웠다. 그리고 코스탄티니예는 이스탄불로 완전히 명칭이 굳어졌으며 수도도 이스탄불에서 앙카라로 이전되었다.

한편 가지안텝 옆에 위치한 작은 지역인 하타이(Hatay, 안타키아(Antakya)라고도 부름)는 튀르키예인이 다수인 지역임에도 전후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인 시리아-레바논에 자치주 형태로 속해 있다가 1938년 9월 7일 하타이국(Hatay Devleti)이라는 이름으로 독립을 선언하고 1년 후인 1939년 6월 29일에 국민투표를 통하여 튀르키예와 합병해 오늘날의 국경을 갖추게 되었다.

9. 전쟁이 남긴 영향

튀르키예 독립전쟁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탄생시켰으며 아직도 튀르키예 공화국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전쟁의 가장 큰 영향력이라고 할 수 있는 건 바로 아타튀르크를 국부의 위치까지 올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가령 튀르키예의 가장 큰 국경일인 국권기념일 겸 어린이날(4월 23일), 승리의 날(8월 30일)과 공화국 건국기념일(10월 29일)은 각각 1920년 4월 23일 튀르키예 대국민의회가 창설된 것과 1922년 둠루프나르 전투에서의 승리, 그리고 공화국의 건립을 기념하는 날이며 무스타파 케말 파샤가 이즈미르를 재탈환한 날인 1922년 9월 9일을 기념하는 행사나 시바스 회의가 열린 9월 4일, 아타튀르크가 삼순에 도착한 날인 5월 19일에는 각 도시에서 기념행사가 열리고 아타튀르크가 사망한 날인 11월 10일에는 비록 국경일은 아니지만 튀르키예 전체가 9시부터 그가 사망한 시각인 9시 5분까지 울리는 사이렌 소리에 맞춰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묵념하는 시간을 갖는다.

아타튀르크가 독립전쟁 시기에 남긴 연설들, 이를테면 오늘날에까지 튀르키예인들이 의무적으로 외우는 '우리의 맹세'(Andımız)나 '오 튀르키예 청년들이여!'(Ey Türk gençler!), 그리고 각종 어록들[14]은 오늘날까지도 튀르키예인들에게 중요한 행동지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전쟁 이후 아타튀르크가 주창한 조국에서의 평화, 세계에서의 평화는 현대 튀르키예 공화국의 주된 국시로 자리잡았다. 튀르키예 공화국의 국가인 독립행진곡(İstiklâl Marşı)도 절체절명에 몰린 시기에 군대의 사기를 고취시키고자 만들어진 노래다.

아타튀르크의 세속주의적 근대화 개혁이 급진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원인도 이 전쟁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전쟁에 여성들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참여하면서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졌고 튀르키예의 페미니즘 운동도 전쟁 이후 영향력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 기존의 울레마를 비롯한 이슬람 지도자들이 메흐메트 6세의 퇴위와 오스만 제국의 멸망, 그리고 1924년 칼리파의 지위만 가지고 있었던 압뒬메지트 2세가 퇴위함과 더불어 영향력을 잃었기 때문에 그 빈자리를 세속주의 정부가 장악할 수 있었다. 공화국 정부는 튀르키예 공화국 종교부(Türkiye Cumhuriyeti Diyanet İşleri Başkanlığı)를 설치하고 주류 종교(이슬람 수니파)를 정부에 예속시킴으로써 급진적인 개혁으로 인해 일어날 이슬람 우파의 반발을 권위적으로 억누를 수 있었다.[15] 심지어 튀르키예어 문자를 라틴 문자로 개혁하면서 아랍 문자를 사용하지 않게 되고 그만큼 이슬람의 영향력으로부터 대중들을 유리시키는 결과도 낳았다.

아타튀르크가 주창한 케말주의(Kemalizm)의 6대 원칙인 공화주의(Cumhuriyetçilik), 민족주의(Milliyetçilik), 인민주의(Halkçılık), 국가주의(Devletçilik), 세속주의(Laiklik), 혁명주의(İnkılapçılık)를 통해 사회주의적인 계획경제민주주의적인 요소를 흡수하면서 당시 일고 있었던 공산주의적 움직임도 사전에 차단해 훗날 튀르키예가 소련에 대항해 반공 노선을 걷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다만 계획경제 고수+대공황 이중크리로 전간기 내내 튀르키예의 경제사정은 영 좋지 않았다.(...)

반대편 그리스는 다 이긴 전쟁을 굴욕적 패전으로 끝냈다는 좌절감으로 전쟁을 주도한 국왕 콘스탄디노스 1세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도가 최악으로 떨어졌는데 이후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총리의 주도로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국이 수립되는 데 결정적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리고 이 전쟁과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으로 수많은 튀르키예-그리스인들이 추방됨으로써 고대 그리스 이래 장구한 여명을 유지해 왔던 이오니아의 마지막 그리스 정착지는 사라졌다.

또 이 전쟁으로 아르메니아와 쿠르드족 역시 날벼락을 맞았다. 아르메니아인이 세운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은 세브르 조약에서 튀르키예 동부 영토 및 북동쪽 해안지대를 영토로 인정받았으나 튀르키예가 아르메니아군을 격퇴하고 소련과 튀르키예가 카르스 조약을 맺어 세브르 조약에서 인정받은 영토를 몽땅 날렸다. 쿠르드족은 영국으로부터 세브르 조약을 맺을 당시 점령지 일부를 넘겨주어 독립국가인 쿠르디스탄을 세워 주겠다는 약속을 받았지만 튀르키예가 전쟁에 승리하면서 세브르 조약이 파기되고 해당 점령지가 다시 튀르키예 영토가 되면서 독립국가 건설도 불가능해졌으며 이때의 경험 때문인지 튀르키예 정부는 이후 쿠르드족에 대해 강경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하지만 튀르키예가 이 전쟁으로 얻은 것만 있는 것은 아닌데 전쟁이 끝난 뒤 튀르키예는 한동안 국제 왕따 신세로 전락했고[16] 그래서 한때 적국이었으며 똑같이 국제 왕따 신세였던 소련과 가까워졌다.

9.1. 번외: 아나톨리아 내 그리스계 튀르키예인들의 행보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만 제국군에는 튀르크인이나 아랍인뿐만 아니라 오스만 제국 국적의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불가리아인 등도 있었다. 탄지마트 개혁 이후 실시된 근대적 징병제무슬림과 비무슬림에 차이를 두지 않았기 때문이며 개중에는 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도, 심지어 종전 이후 오스만 제국군이 해체될 때까지도 오스만군에 군적을 두고 있던 그리스계 장교 및 병사들도 있었다. 이들은 그리스군이 이즈미르와 그 주변을 점거한 이후인 1920년 4월 29일에 내려진 그리스군 점령지 내 32세 미만의 모든 남성에 대한 동원령이 내려졌을 때 그리스군의 징집령에 응해 그리스군으로 갈아탄 이들도 있었지만 전우와 총을 맞대고 싶지 않아서, 혹은 고향을 지키기 위해 튀르키예 대국민의회군과 함께해 그리스군과 싸운 이들도 있었다.[17] 이에 맞서서 튀르키예 대국민의회측도 1920년 9월 13일에 볼루, 게이베, 에르투으룰, 에스키셰히르, 퀴타햐, 아피욘카라히사르, 데니즐리, 부르두르, 으스파르타 도 내에 거주하던 20-40세 사이의 비무슬림 남성에 대해 예외 없이 비전선지역으로의 이주령을 내렸으며 대부분은 앙카라로 이주시켰다. 하지만 에스키셰히르와 빌레직에 거주하던 그리스계 비무슬림들은 현지 무슬림 튀르크인들과의 사이가 매우 좋았고 그리스군에 참가하기 싫어서 그리스 점령지역에서 도망친 그리스계 주민들도 이쪽으로 많이 이주했기 때문에 이 두 지역의 그리스계 주민들은 이주령에서 제외되었다. 한편 이에 관해 1921년 8월 25일자 인민의 자유(Hâkimiyet-i Milliye) 신문에서는 "이즈미르의 룸인(그리스계 튀르키예인)들 사이에서 군대 문제 때문에 걱정하고 있다. 많은 룸인들이 네덜란드 영사관으로 가서 본인이 오스만 제국 국적임을 증언하고 군대징집을 면하고 있다."는 기사를 내기도 했다 또한 사카리야 전투 당시 포로로 잡힌 그리스군 제49보병연대 소속 병사는 본인을 포함한 연대병력 절대다수가 아나톨리아 룸인들이며 다들 탈영을 원했지만 15-20일만 버티면 된다는 지휘관의 말을 믿고 자리만 지키고 있었다는 증언을 하기도 했다.

그리스계 튀르키예인과 튀르크계 튀르키예인 간의 인간적인 협력도 있어서 그리스군이 퀴타히아를 점령했을 때 현지의 룸인들은 튀르크인 이웃들을 보호하기 위해 튀르크인의 가게 간판에 즉석으로 그리스어를 써서 붙여 주었고 이렇게 해서 튀르크인들을 그리스군의 약탈로부터 보호하기도 했다. 에디르네에서는 현지 룸인들이 튀르크인들과 사이좋게 지내는 걸 보고 그리스군이 강제로 튀르크인 이웃들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룸인들이 거부해서 그리스군으로부터 학살당하는 사건도 있었고 현재는 이스탄불에 속하는 차탈자 지역에서는 룸인들의 동네에 거주하던 파즐의 아들 요르기(Fazıl oğlu Yorgi)가 그리스군에 의해 체포되어 반죽음이 될 때까지 구타당하는 사건도 있었다. 사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아버지의 이름인 파즐이 무슬림들이 붙이는 이름이라 그랬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아들 이름인 요르기는 그리스어로 하면 요르요스인데 그리스에서 가장 흔한 남성 이름이다.

그리스군의 철군 이후에도 튀르크인과 그리스인의 인간적인 우호관계에 대한 증언은 존재하는데 이즈미르 해방 이후 당시 이즈미르 도에 속한 베르가마에 거주하던 룸인인 아포스톨로스 미코니아티스는 "우리 지역에 거주하는 튀르크인 이웃들이 우리를 안심시키려 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세간들을 나귀에 싣고 항구로 가고 해방의 꿈을 가지고 배를 기다리고 있다."고 증언했으며 역시 이즈미르 근처의 우를라에 거주하던 니콜라오스 파파니콜라우는 전쟁중에 그리스군에 강제 징집되었고 그리스군이 이즈미르에서 철군할 때 남았는데 도중에 만난 튀르크인에게 안전하게 도망갈 길을 물을 때 이런 대화를 나누었다고 증언했다. "튀르크인: 어디 마을 사람이오?" / "사자키 마을이오" / "어느 집안 사람이오?" / 파파니콜라우 가문인데요" / "조심하시오. 자네 아버지를 아니까 하는 말인데 산길로 해서 조용히 빠져나가시오."[18]

이러한 사실과 증언들을 통해서 당시의 본토 그리스인들과 아나톨리아의 룸인들은 서로 동족으로 여기고 그리스에 협력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조상 대대로 알고 지내던 무슬림 이웃들과의 평화과 고향을 지키기 위한 이들도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이들을 서로 적으로 만들고 서로를 학살하게 만든 이 전쟁은 민족주의가 초래한 비극이라고도 할 수 있다.

10. 둘러보기

파일:그리스 국장.svg 그리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D5EAF> 그리스 독립 전쟁
,1821 ~ 1829,
<colbgcolor=#fff,#191919>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그리스-오스만 전쟁
,1897,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1차 발칸 전쟁
,1912 ~ 1913,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2차 발칸 전쟁
,1913,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그리스 침공
,1940 ~ 1941,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키프로스 전쟁
,197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오스만 제국 국장.svg 오스만 제국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0a17><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바페오스 전투
1302
<colbgcolor=#fff,#191919>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부르사 공방전
1317~1326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펠레카논 전투
1329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이티만 전투
1355
파일:불가리아 제2제국 국기.svg 불가리아 제2제국
마리차 강 전투
1364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마리차 강 전투
137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the_Serbian_Empire%2C_reconstruction.svg.png 세르비아 제국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376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1차 코소보 전투
1389
파일:Coat_of_arms_of_Moravian_Serbia.svg 세르비아 공국
제17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390 ~ 1402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니코폴리스 전투
139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앙카라 전투
140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px-Timurid.svg.png 티무르 제국
제18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11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제19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22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바르나 전투
1444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2차 코소보 전투
1448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440-1444).svg.png 헝가리 왕국
제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453
파일:비잔티움 제국 국기.png 동로마 제국
바슬루이 전투
1475
파일:몰다비아 국기.svg 몰다비아 공국
발레아 알바 전투
1476
파일:몰다비아 국기.svg 몰다비아 공국
찰디란 전투
1514
파일:사파비 제국 국기.svg 사파비 제국
모하치 전투
1526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516-1526).svg.png 헝가리 왕국
제1차 빈 공방전
152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대공국
프레베자 해전
1538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레판토 해전
1571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대오스만 장기전
1591 ~ 160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대공국
30년 전쟁
1618 ~ 1634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크레타 공방전
1645 ~ 1669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제2차 빈 공방전
168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대공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얀 3세 소비에스키).svg.png 폴란드-리투아니아
대 튀르크 전쟁
1683 ~ 169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바그다드 공성전
1733
파일:사파비 제국 국기.svg 사파비 제국
사마라 전투
1733
파일:사파비 제국 국기.svg 사파비 제국
키르쿠크 전투
1733
파일:사파비 제국 국기.svg 사파비 제국
예게바르드 전투
1735
파일:사파비 제국 국기.svg 사파비 제국
제6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1735 ~ 1739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오스만-페르시아 전쟁
1743 ~ 1746
파일:아프샤르 왕조 국기.svg 아프샤르 왕조
7년전쟁
1754 ~ 1763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50-1801).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Hanover_1837-1866.svg.png 하노버 선제후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연맹
제7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1768 ~ 1774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제8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 ~ 1792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8 ~ 180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제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미국 국기(1795-1818).svg 미국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Kingdom_of_the_Two_Sicilies_%281816%29.svg.png 양시칠리아 왕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제9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1806 ~ 18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제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미국 국기(1795-1818).svg 미국
그리스 독립 전쟁
1821 ~ 1829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제1공화국
제10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1827 ~ 1829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크림 전쟁
1853 ~ 185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그리스-오스만 전쟁
1897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알바니아 독립 전쟁
1908 ~ 1912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1911 ~ 1912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발칸 전쟁
1912 ~ 1913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

파일:영국 국장.svg 영국의 대외 전쟁·분쟁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12169> 영국-스페인 전쟁
,1585 ~ 1808,
<colbgcolor=#fff,#19191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35년 전쟁
,1651 ~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대북방전쟁
,1700 ~ 1721,
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베틴).svg.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Kingdom_of_the_Two_Sicilies_%281816%29.svg.png 양시칠리아 왕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7년 전쟁
,1754 ~ 1763,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1차 영국-마라타 전쟁
,1775 ~ 1782,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미국 독립전쟁기.svg 미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3 ~ 180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제국
제2차 영국-마라타 전쟁
,1803 ~ 1805,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미국 국기(1795-1818).svg 미국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
,1817 ~ 1818,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마라타 동맹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39 ~ 1842,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제1차 아편전쟁
,1840 ~ 184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시크 전쟁
,1845 ~ 1849,
파일:시크 왕국 국기.png 시크 왕국
크림 전쟁
,1853 ~ 185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영국-페르시아 전쟁
,1856 ~ 1857,
파일:카자르 왕조 국기(1907-1933).svg 이란 숭고국
세포이 항쟁
,1857 ~ 1858,
파일:external/www.rumormillnews.com/British_East_India_Company__1801_.png 세포이 반란군 파일:무굴 제국.png 무굴 제국
사쓰에이 전쟁
,1863 ~ 1864,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사쓰마 번
시모노세키 전쟁
,1863,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78 ~ 1880,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줄루 전쟁
,1879,
파일:Conjectural_flag_of_Zululand_(1884-1897)_by_Roberto_Breschi_taken_from_The_South_African_Flag_Book_by_A.P.Burgers.png 줄루 왕국
제1차 보어 전쟁
,1880 ~ 1881,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마흐디 전쟁
,1881 ~ 1899,
파일:마흐디국 국기.png 마흐디국
영국-이집트 전쟁
,1882,
파일:이집트 국기(1882-1922).svg.png 아라바 파샤 반란군
영국-잔지바르 전쟁
,1896,
파일:잔지바르 술탄국 국기.svg 잔지바르 술탄국
파쇼다 사건
,189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티베트 침공
,1903 ~ 1904,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아일랜드 독립전쟁
,1919 ~ 19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공화국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919,
파일:Flag_of_Afghanistan_(1919–1921).svg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012169> 서부 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동아프리카 전역
,1940 ~ 1941,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영국-이라크 전쟁
,1941,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페르시아 침공
,1941,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파일:Flag_of_the_Communist_Party_of_Malaya.svg 말레이시아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제1차 대구전쟁
,1958 ~ 1961,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아덴 비상사태
,1963 ~ 1967,
파일:남예멘 민족해방전선.png NLF 파일:남예멘 국기.svg FLOSY
베트남 전쟁
,1964 ~ 1975,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제2차 대구전쟁
,1972 ~ 1973,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제3차 대구전쟁
,1975 ~ 1976,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포클랜드 전쟁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시에라리온 내전
,2000 ~ 2002,
파일:Sl_RUF.png RUF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이라크 전쟁
,2003,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홍해 위기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프랑스 국장.svg 프랑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ed2939> 백년전쟁
1337 ~ 145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플랜태저넷 왕조)
제1차 이탈리아 전쟁
1494 ~ 1498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제2차 이탈리아 전쟁
1499 ~ 1504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파일:Flag_of_the_Duchy_of_Milan_(1450).svg.png 밀라노 공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3차 이탈리아 전쟁
1508 ~ 1516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4차 이탈리아 전쟁
1521 ~ 152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5차 이탈리아 전쟁
1526 ~ 1530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6차 이탈리아 전쟁
1536 ~ 153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7차 이탈리아 전쟁
1542 ~ 154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8차 이탈리아 전쟁
1551 ~ 1559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 ~ 165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상속 전쟁
1667 ~ 1668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제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 ~ 1735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왕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7년전쟁
1754 ~ 1763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50-1801).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Hanover_1837-1866.svg.png 하노버 선제후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연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802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793-1844).svg 오스만 제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국
제1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38 ~ 1839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연합왕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청나라
코친차이나 원정
1858 ~ 1862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61 ~ 1867
파일:Bandera_Histórica_de_la_República_Mexicana_(1824-1918).svg.png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병인양요
1866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0 ~ 187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북독일 연방
청불전쟁
1884 ~ 1885
파일:청나라 국기(1862-1889).svg 청나라
프랑스-시암 전쟁
1893
파일:태국 국기(1855).svg.png 시암
파쇼다 사건
1898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대국민의회
프랑스-시리아 전쟁
1920
파일:시리아 아랍 왕국 국기.svg 시리아 아랍 왕국
리프 전쟁
1925 ~ 1926
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the_Rif.svg 리프 공화국
스페인 내전
1936 ~ 1939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2공화국 파일:스페인국 국기(1936-1938).svg 스페인 국민전선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ed2939><colcolor=#fff> 서부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아프리카 전역
1940 ~ 1942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 ~ 195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민주 공화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알제리 전쟁
1954 ~ 196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
바밀레케 전쟁
1955 ~ 1964
파일:300px-Cm-upc1.png 카메룬 인민연합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 이집트
이프니 전쟁
1957 ~ 1958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가재 전쟁
1961 ~ 1963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브라질
서사하라 전쟁
1977 ~ 1978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카반 작전
1979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제국
리비아-차드 분쟁
1986 ~ 1987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르완다 내전
1990 ~ 1994
파일:Rwandan_Patriotic_Front_Flag.svg.png RPF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진달래 작전
1995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02 ~ 2007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NCI
차드 내전
2005 ~ 2010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진자위드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10 ~ 201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COJEP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PI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헬 내전
2011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하람 파일:안사루 깃발.svg 안사루
말리 내전
2012 ~ 현재
파일:아자와드 국기.svg MNLA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2012 ~ 현재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셀레카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반 발라카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홍해 위기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아르메니아 국장.svg 아르메니아의 대외 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F2A800>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아르메니아-조지아 전쟁
,1918,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1918 ~ 192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192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8 ~ 1994,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2016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
,2016.4.1 ~ 2016.4.5,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202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시리아 임시정부 깃발.svg 시리아 국민군
2022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
,2022,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2022년 아르차흐 봉쇄
,2022,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조지아 국장(1990–2004).svg 조지아의 대외 전쟁·분쟁 파일:조지아 국장.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00> 소비에트-조지아 전쟁
,1921,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아르메니아-조지아 전쟁
,1918,
파일:아르메니아 국기(3:2).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튀르키예 독립전쟁
,192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회의
조지아-압하지야 분쟁
,1989 ~ 현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조지아-오세티야 분쟁
,1989 ~ 현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남오세티야 전쟁
,2008,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EC1E27>파일:무스타파 케말 투명.svg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1E27> 생애 생애 및 정치 경력
사건사고 발칸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갈리폴리 전투) · 튀르키예 독립 전쟁
관련 정치인 이스마일 엔베르
시설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기타 튀르키예 · 케말주의 }}}}}}}}}



[1] 그리스군은 전쟁 중 22,071명을 포로로 잡았는데 그 중 6,522명이 포로였다. 전후 15,412명이 튀르키예로 귀환했으므로 약 6,000명이 포로 생활 중 처형, 병사, 탈출, 이탈한 것으로 추정된다.[2] 전후 13,740명이 그리스로 귀환했으므로 약 7,000명이 포로 생활 중 처형, 병사, 탈출, 이탈한 것으로 추정된다.[3] 일각에서는 그리스군의 인명피해를 사상자 10만을 포함해 총 20만으로 잡기도 한다.[4] 튀르키예 국적을 갖고 있는 그리스인을 일컫는 말로, 그리스 국적을 가진 그리스인인 유난(Yunan)과 구분된다. 룸은 로마 제국을 가리키는 말로 동로마 제국의 옛 영토에 거주하던 정교도들을 싸잡아 로마인이라고 불렀던 게 이어지는 것이다. 유난(yunan)은 이오니아를 뜻하던 고대 페르시아어 단어에서 파생된 단어로 페르시아인들이 과거에 이교도 그리스인들을 부르던 말이었다.[5]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오스만 제국령이었지만 전쟁 중 프랑스영국이 점거한 오늘날의 이라크,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은 논의 대상에서 빠져 있다.[6] 지금도 아랍인들에게 남아 있는 풍습이지만 여자의 히잡을 강제로 벗겨서 머리카락이 드러나게 하는 것은 그 여자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 대한 상당한 모욕으로 여겨진다. 캬밀은 그 모욕감 때문에 분노했고 어머니를 지키기 위해 돌을 던진 것이다.[7] 때문에 가지안텝 도의 중심을 이루는 두개의 군의 이름은 안텝 전쟁의 첫번째 전사자인 캬밀과 봉기군을 지도한 샤힌 베이의 이름을 따서 각각 셰히트캬밀(Şehitkâmil), 샤힌베이(Şahinbey)가 되었다.[8] 시리아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튀르키예 남동부 지방의 국경선을 정한 협약으로 아직 하타이 지방을 프랑스령으로 남겨 놓았지만 이것도 1939년에 돌려받얐다.[9] 트라브존은 본래 동로마 제국 시절부터 그리스계 폰토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16세기경부터 아르메니아인들이 동쪽에서부터 이주해 상업 세력을 형성했고 폰토스인과 경쟁하고 있었다. 특히 밀레트 제도로 인해 종교 중심의 공동체사회였던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인과 아르메니아인은 같은 기독교인이었지만 종파가 달랐고 상업에 있어 서로 경쟁하는 상대였기 때문에 서로 적대적이었다. 이 와중에 폰토스인들이 깽판까지 쳐놔서 아르메니아인들도 튀르크인에게 협조해 폰토스인에 대한 보복 학살을 했다.[10] 이로 인하여 튀르크인들은 그리스인들은 적이라고 선포하고 나중에 오스만군이 아나톨리아 내부를 탈환하자 미처 달아나지 못한 그리스인들은 마구잡이로 학살당했다. 누레딘 이브라힘이 내린 명령으로 어림잡아도 20만에서 그리스가 주장하기론 90만 가까이 학살당했다. 하지만 이전에 이 그리스인들은 그리스군의 비호 아래 검은 운명 부대가 점령지역에서 튀르크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을 마구잡이로 학살하던 일에 협조했다. 30~40만에 이르는 튀르크인들과 30만 이상이 넘는 아르메니아인들이 학살당했기 때문에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항목에서도 그리스도 오스만 제국과 같은 가해자로서 언급되었다. 덕분에 그리스는 아르메니아 학살을 비난하다가 튀르키예에게 너네가 저지른 학살은 뭐냐며 비웃음당하기 일쑤다.[11] 끝내 그리스군이 점령하지 못한 이유는 이미 협상국(주로 영국군)측이 코스탄티니예를 접수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리스군이 코 앞까지 다가오자 협상국은 '우리랑 싸울래?'라는 무시무시한 협박으로 그리스군을 쫓아냈다.[12] 특히 그리스의 인구가 적어서 열세였던 것도 원인이었다. 당시 그리스의 인구는 500만이었는데 튀르키예의 인구는 1400만으로 튀르키예가 그리스보다 압도적이었다.[13] 이즈미르 탈환으로부터 4일 후 스미르나 대화재가 일어났다. 화재의 주체가 누구냐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당시 튀르키예 대국민의회군은 이미 도시 전체를 장악하고 있었고 가뜩이나 인프라도 부족한 상황에서 대도시인 이즈미르를 불태울 하등의 이유가 없었으며 당시 화재 책임에 대해서도 증언이 엇갈린다. 미국 언론에서는 화재 발생 직후부터 튀르키예의 소행이라 추측하는 기사를 썼으나(영국, 프랑스 등 다른 언론들은 조심스러운 입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이즈미르 소방국장이었던 파울 그레스코비치(세르비아계 오스트리아 국적)는 보고서에 아르메니아인 테러리스트의 소행이라고 써서 제출했으며 당시 헌병대장 캬즘 파샤가 방화 혐의로 체포한 아르메니아인 22명으로부터 자백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덧붙여 1922년 9월 3일부터 5일, 9월 5일부터 8일 사이에 그리스군은 각각 알라셰히르와 마니사에서 철수하면서 방화를 저질러 두 도시 인프라의 90%를 불태운 사건도 있었다. 이 두 사건은 명백히 그리스군의 소행으로 밝혀졌다. 또 교사로서 이즈미르에 오랫동안 머물렀던 영국인 알렉산더 맥라클란(Alexander MacLachlan)이 1922년 9월 25일 영국 더 타임스에 "1919년 5월에 이즈미르에 들어온 그리스군은 튀르키예인들을 학살했으나 튀르키예군은 그러지 않았고, 해당 화재는 "서구의 개입을 바라는" 튀르키예 군복을 입은 아르메니아 테러단체가 저지른 일"이라고 기고했다. 아타튀르크와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측도 국제연맹에 해당 사건은 자신들과 무관하다는 점을 호소했다.[14]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항목을 참고할 것.[15] 오늘날에도 튀르키예의 이슬람은 종교부에 예속되어 있으며 각 모스크에 파견되는 이맘이나 뮈에진들은 전부 정부의 임명을 받아 전국에 배치된다. 다른 이슬람 국가에서는 찾기 힘든 튀르키예만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16] 세브르 조약을 무력화시켰기 때문이다. 튀르키예 입장에서 세브르 조약은 열강들이 자기 영토를 뜯어먹는다는 말도 안 되는 내용이었지만 어쨌거나 국제법상 정당한 조약이었으니 이를 빌미로 외교 보복을 한 것이다.[17] 당시 그리스군이 내린 징집령 도 종교 구분이 없었기 때문에 아르메니아인이나 유대인, 무슬림까지 강제로 군대로 끌려가는 일이 벌어졌다.[18] 이 문단 내 모든 증언, 기록들은 빌레직 셰이흐 에데발리 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타네르 빌긴(Yrd. Doç. Dr., Taner Bilgin)의 논문 <전쟁기간 동안의 아나톨리아 룸인들이 겪은 딜레마 Savaş Yıllarında Anadolu Rumlarının Yaşadığı İkilem(1919–1922)>에 근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