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5:25:01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마뇰 드 올리베이라에서 넘어옴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파일:칸 영화제 로고 화이트.svg
칸 영화제 명예 황금종려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
잉마르 베리만 없음
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
우디 앨런 잔느 모로 없음 카트린 드뇌브 없음
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
제인 폰다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클린트 이스트우드 없음 장폴 벨몽도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없음 아녜스 바르다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장피에르 레오 제프리 카첸버그 없음 알랭 들롱 없음
2021년2022년2023년
마르코 벨로키오 조디 포스터 톰 크루즈 포레스트 휘태커 마이클 더글러스
2023년2024년2025년
해리슨 포드 조지 루카스 스튜디오 지브리 메릴 스트립
}}}}}}}}} ||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 잉마르 베리만 마르셀 카르네 존 포드 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 빌리 와일더 알레산드로 블라세티 루이스 부뉴엘 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 장뤽 고다르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알렉산더 클루게 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 사티야지트 레이 킹 비더 세자르 자바티니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존 휴스턴 페데리코 펠리니 타비아니 형제 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 로베르 브레송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얀초 미클로시 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 잔느 모로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파올로 빌라조 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 니로 로만 폴란스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알 파치노 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 우디 앨런 모니카 비티 마틴 스코세이지 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 주세페 드 산티스 조프레도 롬바르도 알랭 레네 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 더스틴 호프먼 미셸 모르강 제라르 드파르디유 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 워렌 비티 소피아 로렌 안제이 바이다 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 에릭 로메르 디노 리시 디노 드 로렌티스 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미야자키 하야오 스테파니아 산드렐리 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에르만노 올미 존 라세터 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 앤드루 스탠튼 리 언크리치 오우삼 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 윌리엄 프리드킨 델마 스쿤메이커 프레더릭 와이즈먼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제인 폰다 로버트 레드포드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줄리 앤드류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허안화 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 제이미 리 커티스 카트린 드뇌브 폴 슈레이더 양조위
2023년2024년2025년
릴리아나 카바니 피터 위어 시고니 위버
}}}}}}}}} ||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심사위원상
제51회
(1998년)
제52회
(1999년)
제53회
(2000년)
클로드 밀러
(겨울 학교)
토마스 빈터베르
(셀레브레이션)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편지)
로이 앤더슨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
사미라 마흐발바프
(침대)

}}} ||
Manoel de Oliveira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파일: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옹.jpg
{{{#white 본명}}} Manoel Cândido Pinto de Oliveira
출생 1908년 12월 11일
포르투갈 왕국 포르투
사망 2015년 4월 2일 (향년 106세)
포르투갈 포르투
{{{#white 국적}}}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
직업 영화감독, 배우
활동 1927년 - 2015년
가족관계 배우자 마리아 카르발하이스(1940 ~ 2015), 슬하 2남2녀

1. 개요2. 일생3. 연출 특징4. 필모그래피5. 기타

[clearfix]

1. 개요

포르투갈영화감독이자 현존했던 장수 영화 감독. 노익장 때문에 영화 외적으로도 유명했다.

2. 일생

1908년 포르투의 부유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지역의 유명한 의사였다. 원래 갈라시아 지방에서 대학을 다니던 올리베이라는 육상선수로 활동하기도 했고 아마추어 카 레이서로 포뮬러 원의 전신인 그랑프리 레이스에 비 챔피언쉽 그랑프리를 따낸 적도 있다. 1927년 영화계에 입문해서 1942년 <아니키 보보>로 장편영화 연출로 데뷔했다. 하지만 흥행에 실패해 한동안 아내의 포도 농장에서 일하기도 했다.

종전 이후 다시 영화계에 복귀하면서 늦은 나이에 1960년대 포르투갈 뉴웨이브 운동에 합류하기도 했지만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정권의 검열을 받는 등[1] 커리어의 시작이 그다지 순탄치 않았다. 본격적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카네이션 혁명 이후인 1970년대 중후반이었였다. [2] '좌절된 사랑 3부작'인 <베닐드 혹은 성모>, <불운의 사랑>, <프란시스카>를 발표하면서 환갑이 넘어서 뒤늦게나마 주목받기 시작했다.

1980년대부터 국제 무대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올리베이라 감독은 1990년대부터 유럽 영화계에 진출해 존 말코비치카트린 드뇌브, 미셸 피콜리,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키아라 마스트로얀니 같은 유명 배우들과 작업하기 시작했다. 또한 증손자 리카르도 트레파라던가 후기 페르소나인 레오네르 실베이라를 기용하기도 했다. 이때 상복도 활짝 터져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베니스 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00년대까지도 정력적으로 활동하던 그는 2012년 건강이 악화해 이해에 그의 마지막 장편 <게보와 그림자들>을 감독했다. 2013년에 칸 영화제에 참석해 지팡이를 짚고 다른 사람 부축을 받아야 했지만 인터뷰에 문제없이 응하며 사진도 찍은 바 있었다. 100세를 훌쩍 넘기는 나이에도 <벨렝의 늙은 남자>라는 2014년에 만든 20분 정도의 단편 영화를 계속 만들었으며 마지막 유작으로 <힘의 한 세기>라는 15분 정도 다큐멘터리 단편을 감독 (그가 죽고 2달 뒤에 공개)하고 이후 2015년 4월 2일 만 106세로 타계했다.

1940년에 결혼한 아내하고는 해로해 손자와 증손자들을 많이 남겼다. 증손자 리카르도 트레파는 상술했듯이 배우로 활동 중.

3. 연출 특징

장수로 인해 상당히 특이한 커리어와 연출을 유지했다. 우선 19세기 문화의 잔재가 남아있던 시절에 태어나 성장기에 무성 영화 세례를 받은 세대였고, 중년엔 포르투갈 뉴웨이브에 관여하기도 했다. 유명해진것은 7-80년대부터였는데, 이때 이미 포르투갈 뉴웨이브는 소강 상태에 접어든데다 마노엘 같은 무성 영화 세대는 다 죽거나 은퇴한 상황이어서 서유럽 평론가들과 관객들을 상당히 당혹케 했다. 그도 그럴게 남들 다 은퇴할 나이에 반대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니... 심지어 과작도 아니라 다작이라 평론가들이 까다로워하는 감독에 속한다.

비영화적인 요소를 영화적으로 탐구하는 부류의 감독으로 꼽힌다. 흔히 서간체 영화라 불리는 마노엘의 영화는 문학이나 연극을 끌어들여 영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대표작인 <프란시스카>는 고색창연한 18세기 멜로드라마를 연극 연출과 서간체 문학의 전통을 빌어 기묘한 분위기로 만들었으며, <아브라함 계곡>은 원작이 보바리 부인이라는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과감한 재해석을 선보였다. 무성 영화 특유의 인터타이틀, 과감한 생략과 나레이션 같은 면모를 많이 썼으며 캐릭터가 편지를 낭송하거나, 두 명의 캐릭터가 이야기를 주고받는 형태의 영화들이 많다. 내용 면에서는 루이스 부뉘엘 감독의 영향을 받아 [3] 부르주아의 위선을 풍자하며, 동시에 포르투갈 역사와 삶의 유한성에 대한 성찰을 선보였다. 때문에 늦깎이로 유명해졌지만 진보적인 색채를 유지했고 일반 관객들에게는 난해하다는 평이 많다. 링크

본인이 밝히길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 D.W.그리피스, 찰리 채플린,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감독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특히 드레이어 감독은 마노엘 영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감독으로 꼽힌다.

4. 필모그래피

5. 기타

장수한데다 전성기가 늦게 찾아오신분이라 재미있는 일화들이 있는 편이다. 예를 들어 <방문 혹은 기억과 고백(Visita ou Memorias e Confissoes)>과 같은 다큐멘터리는 유작으로 기획해 사후에 공개하려고 했다. 문제는 이 다큐멘터리가 만들어진 건 1982년. 한마디로 본인의 최전성기가 이 다큐멘터리 만든 이후에 펼쳐졌고 그게 근 30년이었다, 본인도 뻘쭘했을듯. 그래서 이 다큐멘터리가 공개된 것은 사후인 2015년이 돼서였다.

국내 월간 영화지이던 로드쇼(1989~1998년까지 나옴) 1990년 7월호 칸 영화제 특별 기사에서 영화제 출품작인 'Non', ou A Vã Glória de Mandar(기사에선 지휘관의 헛된 승리.국내에선 헛된 영광이란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를 짧게 소개하며 올해 81세로 이번 영화제 최고령인 올리베이라 감독은 과연 언제까지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 라는 기사를 썼는데 이 잡지 폐간하고도 훨씬 오래 영화를 만들었다.

후배 포르투갈 영화감독들과 연관이 많았다. 포르투갈 뉴웨이브 감독들이라던가 주앙 세자르 몬테이루, 페드로 코스타 같은 후배 감독들의 영화들을 보고 평을 남겼던 걸로 알려져 있다.[6]


[1] 검열로 체포당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 아이러니하게도 마노엘 가문은 카네이션 혁명의 여파로 재산 대부분을 잃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그는 꾸준히 좌파적/부르주아 비판을 유지했다.[3] 실제로 부뉘엘의 대표작 <세브린느>의 후속작을 만들기도 했다.[4] 데뷔작 아니키 보보를 찍고 무려 21년이 지나서야 두 번째 장편을 만들었다. 이때 나이가 55세.[5] 배우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의 유작이기도 하다.[6] 흥미롭게도 올리베이라가 실제로 젊은 포르투갈 감독들에게는 그렇게 많은 영향을 미치진 못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올리베이라가 1908년생이다 보니 나이차이가 엄청난데다가 계급적으로도 그랑 부르주아, 소위 굉장한 부잣집 출신이었기 때문.#. 포르투갈 뉴웨이브 감독 중에서는 안토니오 레이스 (레이스는 봄의 제전에서 조감독으로 참여했고 독립 후 레이스 학파를 결성해 포르투갈 영화 조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페드로 코스타가 레이스 학파에 영향을 받은 감독.), 파울로 로샤랑 교류가 있었으며, 사랑의 섬 같은 로샤 중기작이 올리베이라랑 비슷하다는 평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