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23:52:13

사이토 가즈미

사이토 카즈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감독 90 고쿠보 히로키
1군 92 나라하라 히로시(수석코치) · 94 쿠라노 신지(수석투수코치 겸 수석코디네이터) · 71 나카타 켄이치(투수코치)
· 72 와카타베 켄이치(투수코치) · 78 무라카미 타카유키(타격코치) · 80 혼다 유이치(내야수비·주루·작전코치)
· 87 오니시 타카유키(외야수비·주루·작전코치) · 84 타카야 히로아키(배터리코치)
2군 74 마츠야마 히데아키(2군 감독) · 73 오가사와라 타카시(투수수석코치) · 97 마키타 카즈히사(투수코치) · 93 무라마츠 아라히토(타격코치)
· 82 타카타 토모키(내야수비·주루코치) · 96 키도코로 류마(외야수비·주루코치) · 83 시미즈 마사우미(배터리코치)
3군 88 사이토 가즈미(3군 감독) · 76 테리하라 하야토(투수코치) · 86 오쿠무라 마사토(투수코치) · 75 오미치 노리요시(타격코치)
· 91 카네코 케이스케(내야수비·주루코치) · 98 타카나미 후미카즈(외야수비·주루코치) · 95 호소카와 토루(배터리코치)
4군 011 오코시 모토이(4군 감독) · 012 카와고에 히데타카(투수수석코치) · 024 펠리페 나텔(투수코치) · 013 모리카사 시게루(타격코치)
· 014 사사가와 타카시(내야수비·주루코치) · 015 카마모토 고(외야수비·주루코치) · 016 마토야마 테츠야(배터리코치) · 017 모리야마 료지(투수 재활코치)
· 018 나카타니 마사히로(야수 재활코치) · 019 세키가와 코이치(야수 코디네이터) · 020 호시노 쥰(투수 코디네이터) · 021 이데 타츠야(야수 코디네이터)
· 022 모리 히로유키(야수 코디네이터) · 023 아라카네 히사오(야수 총괄 겸 수비·주루 코디네이터)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사이토 가즈미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난카이 호크스 ]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마키 켄지로(1)
(牧憲二郎)
우에다 타쿠조
(上田卓三)
나카무라 유키야스
(中村之保)
후지와라 마코토(6)
(藤原真)
토미타 마사루
(富田勝)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사토 미치오
(佐藤道郎)
시마모토 코헤이
(島本講平)
노자키 츠네오
(野崎恒男)
이시카와 카츠마사(6)
(石川勝正)
후지타 마나부
(藤田学)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하세가와 츠토무
(長谷川勉)
모리구치 마사미츠
(森口益光)
무토 카즈쿠니(6)
(武藤一邦)
나카데 켄지
(中出謙二)
타카야나기 히데키(1)
(高柳秀樹)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나토리 카즈히코(1)
(名取和彦)
야마우치 카즈히로
(山内和宏)
카네시로 노부오
(金城信夫)
하타야마 히토시
(畠山準)
카토 신이치(1)
(加藤伸一)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1]
타구치 류지(1)
(田口竜二)
나시카와 요시아키(1)
(西川佳明)
타지마 토시오(2)
(田島俊雄)
요시다 토요히코(1)
(吉田豊彦)
시노다 쥰
(篠田淳)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
{{{#555555,#aaaaaa
1989년 ~ 2004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모토키 다이스케(1)(6)
(元木大介)
키무라 케이지
(木村恵二)
와카타베 켄이치(2)
(若田部健一)
오오코시 모토이(1)
(大越基)
카토 타카야스(3)
(加藤高康)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조지마 켄지
(城島健司)
사이토 카즈미
(斉藤和巳)
이구치 타다히토(3)
(井口資仁)
나가이 토모히로(3)
(永井智浩)
요시모토 료(1)
(吉本亮)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타나카 소지(3)
(田中総司)
야마무라 미치나오(3)
(山村路直)
테라하라 하야토(2)
(寺原隼人)
와다 츠요시(3)
(和田毅)
마하라 타카히로
(馬原孝浩)
아라카키 나기사(3)
(新垣渚)
2004년
에가와 토모아키
(江川智晃)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555555,#aaaaaa
2005년 ~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아라카와 유타(1)(4)
(荒川雄太)
후쿠다 슈헤이(1)(4)
(福田秀平)
이와사키 쇼(1)(4)
(岩嵜翔)
타츠미 신고(1)
(巽真悟)
이마미야 켄타
(今宮健太)
마츠다 노부히로(3)(5)
(松田宣浩)
오토나리 켄지(3)(5)
(大隣憲司)
오바 쇼타(1)(5)
(大場翔太)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야마시타 아야츠구(1)
(山下斐紹)
다케다 쇼타
(武田翔太)
히가시하마 나오(2)
(東浜巨)
카지야 렌(1)
(加治屋蓮)
마츠모토 유키
(松本裕樹)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타카하시 쥰페이(2)
(髙橋純平)
타나카 세이기(2)
(田中正義)
요시즈미 하루토(1)
(吉住晴斗)
카이노 히로시(1)
(甲斐野央)
사토 나오키(1)
(佐藤直樹)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이노우에 토모야(1)
(井上朋也)
카자마 큐타
(風間球打)
이히네 이츠아
(イヒネ・イツア)
마에다 유고(1)(2)
(前田悠伍)
무라카미 타이토(1)
(村上泰斗)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당첨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1] 시즌은 난카이로 치렀지만, 드래프트 지명 당시에는 다이에로 매각되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cccccc> 1938秋 1939 1940 1941~1942 1943~1944
스즈키 요시타로 마사노 이와오 시미즈 히데오 칸다 타케오 시미즈 히데오
<rowcolor=#cccccc> 1946 1947~1948 1949~1950 1951~1952 1953
마츠카와 히로지 벳쇼 타케히코 유키 스스무 에토 하루야스 유키 스스무
<rowcolor=#cccccc> 1954 1955~1956 1957 1958~1960 1961~1963
오오가미 타케토시 유키 스스무 노모 토쿠미 스기우라 타다시 조 스탠카
<rowcolor=#cccccc> 1964 1965 1966 1967~1968 1969
미우라 키요히로 스기우라 타다시 모리나카 치카라 미나가와 무츠오 이즈미 요시오
<rowcolor=#cccccc> 1970~1972 1973~1975 1976~1978 1979 1980~1982
니시오카 산시로 에모토 타케노리 야마우치 신이치 후지타 마나부 야마우치 신이치
<rowcolor=#cccccc> 1983 1984 1985~1987 1988 1989
야마우치 타카노리 야마우치 카즈히로 야마우치 타카노리 니시카와 요시아키 야마우치 타카노리
<rowcolor=#000000> 1990 1991~1993 1994 1995~1996 1997
후지모토 슈지 무라타 카츠요시 요시다 토요히코 쿠도 키미야스 타케다 카즈히로
<rowcolor=#000000> 1998 1999~2001 2002 2003~2004 2005
쿠도 키미야스 니시무라 타츠지 타노우에 케이사부로 사이토 카즈미 와다 츠요시
<rowcolor=#000000> 2006~2007 2008 2009 2010 2011
사이토 카즈미 스기우치 토시야 와다 츠요시 스기우치 토시야 와다 츠요시
<rowcolor=#000000> 2012~2016 2017 2018~2019 2020 2021
셋츠 타다시 와다 츠요시 센가 코다이 히가시하마 나오 이시카와 슈타
<rowcolor=#000000> 2022 2023 2024~2025
센가 코다이 오제키 토모히사 아리하라 코헤이
}}}}}}}}}}}} ||

파일:2003fdhnipponserieschampion.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 반지
2003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투수 트리플 크라운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1999년)
사이토 가즈미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6년)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0년)

파일:NPB 로고.svg 2003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우에하라 고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이토 가즈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가와 케이
(한신 타이거스)
카와카미 겐신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NPB 로고.svg 2006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스기우치 도시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사이토 가즈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다르빗슈 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03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제레미 파웰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사이토 가즈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와쿠마 히사시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06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 나인
스기우치 도시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사이토 가즈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다르빗슈 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승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3승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24승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5승
노구치 아키라
도쿄세네터즈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9승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42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38승
모리 코타로
한큐군 / 30승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40승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34승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22승
시라키 기이치로
세네터즈 / 30승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30승
카와사키 토쿠지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27승
빅토르 스타루힌
다이에이 / 27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사나다 쥬조
쇼치쿠 / 39승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28승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33승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27승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32승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30승
하세가와 료헤이
히로시마 / 30승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27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승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27승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29승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5승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0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0승
진 바키
한신 / 29승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5승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4승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 29승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5승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2승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5승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17승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26승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4승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20승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승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20승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승
타카하시 사토시
히로시마 / 20승
노무라 오사무
타이요 / 17승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 22승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6승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0승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0승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승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7승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18승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8승
이토 아키미츠
야쿠르트 / 18승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20승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17승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7승
이마나카 신지
야마모토 마사
이상 주니치 / 17승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 17승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9승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승
사이토 마사키
발비노 갈베스
요미우리 / 16승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8승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17승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승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멜빈 번치
주니치 / 14승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 14승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승
케빈 호지스
야쿠르트 / 17승
이가와 케이
한신 / 20승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5승
시모야나기 츠요시
한신 / 15승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세스 그레이싱어
야쿠르트 / 16승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 17승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승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16승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5승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16승
랜디 메신저
한신 / 13승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13승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16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7승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15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5승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4승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쿠리 아렌
히로시마 / 13승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아즈마 카츠키
DeNA / 16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6승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 24승
노구치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24승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6승
타나카 후미오
킨테츠 / 26승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4승
미우라 마사요시
다이에이 / 29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승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8승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33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42승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8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8승
코야마 마사아키
도쿄오리온즈 / 30승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7승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5승
이케나가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31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승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5승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21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0승
카네다 토메히로
토에이 / 20승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1승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16승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23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6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5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1승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승
이마이 유타로
한큐 / 19승
무라타 쵸지
롯데 / 19승
쿠도 미키오
닛폰햄 / 20승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8승
야마우치 카즈히로
난카이 / 18승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1승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1승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6승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9승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5승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츠우라 히로아키
닛폰햄 / 15승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9승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다 코지
오릭스 / 17승
이라부 히데키
롯데 / 15승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킵 그로스
닛폰햄 / 16승
킵 그로스
닛폰햄 / 17승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5승
코이케 히데오
킨테츠 / 15승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3승
타케다 카즈히로
다이에 / 13승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13승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6승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승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5승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7승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0승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15승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18승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8승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7승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21승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6승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7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7승
D.J. 홀튼
소프트뱅크 / 19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9승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17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24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6승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15승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15승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5승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16승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6승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16승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15승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11승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11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8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5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승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5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진 바키
한신 / 1.89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천웨이인
주니치 / 1.54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1) 당해 수치상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 155이닝 2.03)였으나, 당해 한정으로 최우수방어율 타이틀 대상을 소속 구단의 시합수+60이닝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규정하여 규정상 소화 이닝에 미달한 탓에(164이닝, 당해 난카이의 시합 수인 104시합에 60이닝 추가) 198.1이닝을 던진 유키가 대신 타이틀을 수상했다.
}}}}}}}}}}}}}}} ||
}}}}}}}}}}}}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03, 2005, 2006 퍼시픽 리그 최고 승률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06 퍼시픽 최다 탈삼진
}}} ||
파일:斉藤 和巳.png
<colbgcolor=#fc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011
사이토 가즈미
[ruby(斉藤, ruby=さいとう)] [ruby(和巳, ruby=かずみ)] | Kazumi Saito
출생 1977년 11월 30일 ([age(1977-11-30)]세)
교토부 교토시 미나미구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미나미교토고등학교
신체 192cm | 97kg | B형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5년 드래프트 1순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지명
소속팀 후쿠오카 다이에 - 소프트뱅크 호크스 (1996~2010)
지도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재활담당 코치 (2011~2013[1])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군 투수코치 (202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4군 감독 (202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감독 (2025~)
수상 / 기록 트리플 크라운 (2006)
NPB 올스타 2회 (2003, 2006)
사와무라 상 2회 (2003, 2006)
베스트 나인 2회 (2003, 2006)

최우수 배터리 2회 (2003, 2006)
퍼시픽리그 최다승 2회 (2003, 2006)
퍼시픽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2회 (2003, 2006)
퍼시픽리그 최다 탈삼진 (2006)
유튜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학창 시절3. 프로 시절
3.1. 초반3.2. 각성3.3. 끝없는 재활과 은퇴
4. 은퇴 후5. 지도자 경력6. 플레이 스타일7. 연도별 성적8. 여담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2006斉藤 和巳.png
2006년 투수 5관왕을 달성하며 전성기를 달리던 사이토 가즈미에게 커리어 하락의 시작점이 된 플레이오프 최종전 완투패. 당시 사이토 카즈미는 고질적인 어깨부상 때문에 6일 로테이션을 칼같이 지켰지만, 포스트시즌의 특성상 4일 휴식 후 등판을 했고, 결국 남은건 끝내기 패배와 망가질대로 망가진 어깨뿐이었다.[2]

일본의 前 야구 선수. 現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투수 코치.

고질적인 어깨 부상으로 제대로 뛴 기간은 몇 년 밖에 되지 않지만, 짧은 전성기 동안 헤이세이 시대 유일한 투수 5관왕 및, 2번의 사와무라 상 수상을 달성한 선수이다.

2. 학창 시절

2살 위의 형이 야구를 하고 있어서 야구를 시작했다. 어린 시절에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팬이었으며 동경하던 선수는 나카하타 키요시였다. 소학교, 중학교 시절에는 주로 포수로 활약했고, 중학교 3학년 때부터 투수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무명인 미나미교토 고등학교에 진학해 2학년 가을부터 에이스로 활약했다. 그리고 고등학교 당시 가지고있던 신체능력을 크게 샀으면서 동시에 하위권에서 머무르던 다이에 호크스의 눈에 들어 다이에 호크스의 1순위 지명을 받았다.사진[3]

3. 프로 시절

3.1. 초반

신인 시절 등록명은 팀에 사이토라는 성을 가진 투수가 자신을 포함해서 3명이 넘었던 영향인지 자신의 이름인 가즈미라는 이름으로 등록명을 올렸다. 다만 1996년 프로 입단 1년차 때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발목을 잡던 어깨 부상으로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1997년에는 시즌 막판에 드디어 1군에 등판했으나 여기서도 난타당하면서 1경기 출장에 그치고 말았다. 그리고 1998년에도 어깨 부상으로 1경기 출장에 그쳤다. 덤으로 이때 본인은 수술후 은퇴 생각을 했지만 같은 병실을 쓰던 고쿠보 히로키를 보면서 마음을 다잡았다고한다. 그리고 어깨 수술까지 하면서 사이토의 투수 생명이 끝났다고 판단한 다이에 호크스 구단 측에서는 고등학교 시절 좋은 타자이기도 했던 사이토에게 타자로의 전향을 권유하기도 했다. 심지어 좌익수로 출전도 시켜봤으나 본인이 투수 아니면 은퇴하겠다고 하면서 제안을 거절했다.

그리고 재활 후인 1999년에도 1경기만 등판하면서 망한 유망주가 되는가 싶었으나, 2000년 6월 24일 홈경기에서 프로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 2년전 어깨 수술로 같은 병실을 쓰던 고쿠보 히로키가 결승타점을 올려 같이 수훈선수 인터뷰를 한건 덤. 그리고 프로 첫 승리투수와 함께 이 경기에서 '1이닝 4탈삼진'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이 첫 승리를 바탕으로 후반기에는 그동안의 시즌에 비하여 무난히 등판하여 5승 2패 4.13을 기록했다.[4] 다만 이때의 활약이 무색하게 2001년에 또 어깨 부상이 발생하여 1시즌을 거의 날려먹었다. 그래도 2002년 후반에 복귀하여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2003년에는 무사히 개막전에 선발 등판했다.

3.2. 각성

파일:斉藤和巳2006.jpg
황금의 4중주[5]의 중심

2003년 당시 최고 기록이던 선발 16연승과 함께 21년 만의 20승을 달성하면서[6] 승률상, 방어율상, 베스트나인은 물론 센트럴리그이가와 케이와 함께 사와무라상까지 수상했다. 그리고 쿠도 키미야스가 FA로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한 이래 마땅한 에이스감이 없었던 다이에는 이 해 사이토의 포텐 폭발과 함께 영건 좌완 와다 츠요시스기우치 토시야, 그리고 특급 유망주였던 아라카키 나기사 등이 가세하여 호화 선발진에 더해 100타점 4인방, 일본프로야구 팀 타율(.297) 기록으로 대표되는 맹타선까지 보유한 압도적인 전력으로 퍼시픽리그 우승은 물론이고 일본시리즈에서도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이끄는 한신 타이거스를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물리치며 4년 만의 시리즈 제패를 달성했다. 그리고 이 기세를 몰아 2004년 개막전에서도 승리를 차지했으나, 또 어깨 문제로 인한 컨디션 난조로 부진에 빠지는 바람에 간신히 10승을 달성하긴 했으나 평균자책점이 6점대까지 치솟는 등 사이토 본인으로서는 최악의 풀타임 시즌을 보냈다.

2005년에도 어깨 통증으로 개막전 선발 등판이 무산되면서 불안을 샀으나 그 이후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줘 자신의 2번째 선발 14연승을 달성하며 처음으로 14연승을 2회 이상 기록한 선발 투수가 되었고, 최종적으로 16승 1패 ERA 2.92의 뛰어난 기록과 함께 다시 승률왕을 차지했다.[7] 이 활약을 바탕으로 소프트뱅크에서 거액을 제시했다.

2006년도에는 선수회장에 취임했으며, 이중키킹 금지로 인해 투구폼을 바꿔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요미우리전 27타자 완봉승[8], 교류전에서 6구단 상대 전승 등 뛰어난 활약을 보여줬고 시즌 내내 마쓰자카와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이닝 및 완봉 1위, 다승왕, 평균자책점왕, 탈삼진왕, 승률왕을 차지했다.[9] 덕택에 에가와 스구루 이후에 끊겼던 5관왕 기록을 세웠으며, 사와무라상 2회째 수상 등 개인 기록면에선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퍼시픽리그 투수 4관왕은 1990년 노모 히데오에 이어 역대 5번째이고 양대 리그를 통틀어 11번째 대기록이다.

파일:2006斉藤 和巳.png

파일:external/mainichi.jp/007.jpg

그러나 팀의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패퇴를 막기 위해 나선 제2스테이지 최종전(2차전)에서 닛폰햄에게 통한의 끝내기 완투패를 당하며 탈락을 막지 못했다. 끝내기 안타를 맞으면서 당시 사이토가 통곡하는 모습이 많은 야구팬들 사이에서 언급되기도 했는데, 사이토는 이후 오 사다하루 감독이 위암 수술로 인해 결장했을 당시 오 사다하루 감독을 위해 우승하겠다고 했는데 그걸 지키지 못한 것이 너무 슬퍼서 덕아웃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 통곡했다고 밝혔다. 이 일화는 BEMANI 시리즈의 악곡 Second Heaven모티브가 되기도 했다.당시 영상

2003~2006년까지의 통산 기록은 64승 16패(평균 16승 4패 승률 .800)[10]에 사와무라상 2회 수상. 이 시기의 전후를 생각하면 그야말로 굵고 짧게 불태운 선수생활이었다.

3.3. 끝없는 재활과 은퇴

2007년에도 2006년의 활약을 바탕으로 개막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이번에도 어깨에 문제가 생기면서 결장이 이어졌고 후에 1군에 올라오긴 했으나 7일 간격 등판 100구 한정을 거는 끝에 결국 최종적으로 6승 3패 ERA 2.74의 부족한 성적에 그쳤다. 이후 본인이 언급하길 이때 공을 던지고 나면 감각이 느껴지지 않았다고 했을 정도였다고 하며, 이 시즌이 사이토가 마지막으로 1군에서 등판한 해였다. 워낙 유리몸이었던 사이토를 그동안 로테이션 관리로 버티며 에이스로 활약하게 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무리하게 당겨쓴 게 끝없는 재활로 돌아온 것. 그래서 구단에서도 사이토의 재활훈련을 많이 도와주기도 했다.

2008년에는 어깨 관절 수술, 2009년은 재활로 날렸고, 2010년 어깨 건팔 수술을 했다. 다르빗슈 유도 사이토가 없어서 재미가 없었다는 뉘앙스의 인터뷰를 했으며 당시 소프트뱅크 소속이던 김무영의 증언에 의하면 소름이 끼칠 정도로 재활을 피나게 했다고 이야기했다. 2011년부턴 지배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어 3군 재활담당 코치로 가게 되었는데, 소프트뱅크에서 본인들이 플레이오프에서 무리하게 돌린 것도 있고 돌아와서 좋은 공을 던질 거라는 기대감에 재활군 코치로 보직을 변경시켜 재활에만 집중시킨 것.

파일:external/ryopapa2003.blog.so-net.ne.jp/shunspo.jpg
은퇴 기자회견에서 눈물을 보이는 사이토.

2012년에는 배팅볼 투수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좋아졌고 2013년에는 드디어 100구를 던질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되었지만, 구속이 예전같지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1군에서 뛸 급의 구속도 나오지 않자 결국 은퇴를 선언했다. 그렇게 2000년대 초중반을 불태운 에이스는 끝내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은퇴 후에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부터는 유튜브 채널을 열고 야구 관련 이야기를 다루는 영상들을 올리며 활동하고 있다.

4. 은퇴 후

야구 해설자와 전속 평론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덤으로 후쿠오카에 있는 이토시마에 호나 카페(ホナカフェ)라는 명칭을 한 카페 레스토랑 오너를 하고 있다.

5. 지도자 경력

이후 2023년부턴 소프트뱅크의 1군 투수 코치로 합류하게 되었다. 등번호는 작년까지 김성근 코치가 사용했던 71번을 배정받았다.

2024년부터 육성팀 4군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6. 플레이 스타일

파일:사이토가즈미150.gif 파일:사이토가즈미스플리터.gif
150km/h 패스트볼 144km/h 스플리터

최고 152km/h, 평균 144km/h의 패스트볼과 최고 146km/h에 이르는 고속 스플리터를 던지는 우완 파워피쳐였다. 보조무기로 사용하는 커브와 슬라이더도 수준급으로 스플리터의 구속이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사와무라 상을 수상했던 2003년에 비해 2006년의 스플리터 구사 비율이 꽤 높아졌다.
파일:斉藤和巳2006.gif
2006년의 투구폼[11]

이중키킹 금지로 2006년부터는 이중키킹에서 중간에 잠깐 멈칫하는 동작으로 바뀌었는데, 그 디셉션도 타자를 힘들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였다.

통산 승률이 8할대에 육박했던(.775) 속칭 지지 않는 에이스였다. 다만 포스트시즌에선 지지 않는 에이스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부진했던 탓에 0승 6패로 단 1번도 못 이겼다.[12] 이 중 백미는 2006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인데, 1스테이지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즈마츠자카 다이스케와 맞붙어 0:1 완투패를 당했고, 원체 유리몸이라 무리하면 부상을 당할 우려가 컸음에도 4일만 쉬고 등판을 강행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2스테이지 최종전에서도 0:1 끝내기 완투패를 당했다. 아무리 포스트시즌에서 부진했다고 해도 이때만큼은 정말 최선을 다해 던졌음에도 2경기 모두 완투패를 당했고 이 시즌 이후 무리한 등판의 댓가로 재활만 하다 은퇴했다는 점에서 더욱 비극으로 남았다.

7.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사이토 가즈미의 NP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WAR
1997 다이에 1 0 0 0 0 0.2 27.00 2 0 1 1 1 4.50
1998 1 0 0 0 0 3.2 7.36 6 1 3 1 1 2.45
1999 1 0 0 0 0 1.0 18.00 1 0 0 1 3 1.00
2000 22 5 2 0 0 89.1 4.13 92 9 46 1 77 1.54
2001 7 0 1 0 0 22.1 4.43 28 4 11 1 16 1.75
2002 10 4 1 0 0 70.1 2.94 53 4 21 3 63 1.05
2003 26 20 3 0 0 194.0 2.83 174 19 66 8 160 1.24
2004 22 10 7 0 0 138.0 6.26 139 22 59 6 120 1.43
2005 22 16 1 0 0 157.0 2.92 135 14 41 10 129 1.12
2006 26 18 5 0 0 201.0 1.75 147 10 46 8 205 0.96
2007 12 6 3 0 0 72.1 2.74 64 7 3 3 71 1.23
NPB 통산
(11시즌)
150 79 23 0 0 949.2 3.33 841 85 319 43 846 1.22

8. 여담

9. 관련 문서



[1] 2013년 7월 31일에 퇴단. 후술하겠지만 실제로는 선수로 못 쓰는 대신 편하게 재활에 몰두하라는 뜻에서 구단에서 지배하선수 계약을 해지하고 대신 준 명목상 직책이다.[2] 참고로 이때 결승 득점을 한 선수는 모리모토 히초리였다.[3] 후에 사이토 가즈미 본인이 6대학 리그를 중계하면서 소회하는데 이때 프로에 지명받지 못했으면 대학에 가지 않고 야구를 그만둘 생각을 하기도 했었다고 한다.[4] 여담으로 2000년 이때 당시 퍼시픽리그는 신인들의 성적이 흉작인 영향으로 신인왕이 없었는데(NPB에서는 신인왕 선정 투표를 할 때 표에 이름을 적는 식으로 투표하고, 수상할 만한 사람이 없다고 생각되면 "해당자 없음"이라고 적어서 낼 수도 있는데, "해당자 없음"이 과반이 되거나 총수의 26%를 넘는 득표자가 없으면 신인왕을 수상하지 않는다.), 당시 "해당자 없음"을 제외하고 표를 가장 많이 받은 선수가 사이토였다.[5] 2000년대 중반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호성적을 이끈 선발진 사이토 가즈미, 스기우치 토시야, 와다 츠요시, 아라카키 나기사 4인방을 일컫는 말. 선수 하나하나가 뛰어난 선수였지만, 아쉽게도 4명이 동시에 폭발한 해는 없었다.[6] 1982년에 키타벳푸 마나부와 쿠도 미키오가 20승을 달성한 바 있다.[7] 다만 오릭스전에서 얻어맞는 바람에 평균자책점이 3점대까지 솟을 뻔한게 흠.[8] 상대 타선을 볼넷도 없이 단 1안타로 막고, 그 1안타로 출루한 와키야 료타로 1루 견제사로 아웃시키며 27타자 완봉승을 달성했다. 즉 와키야까지 아웃시켰으면 퍼펙트 게임이 성립되었다 보니 대기록을 놓친 아까운 경기가 된 셈.[9] 이 해 평균자책점 1.75로 방어율 1점대를 기록했는데 센트럴리그에서도 히로시마 도요 카프쿠로다 히로키가 1.85로 1점대 평균자책점왕을 기록해 1969년의 에나츠 유타카(세리그, 한신), 키타루 마사아키(파리그, 롯데) 이래 37년 만의 양대리그 1점대 평균자책점왕이 나왔다. 그리고 이 해를 시작으로 퍼시픽리그에선 이후 2014년까지 9년 연속으로 1점대 평균자책점왕이 나오다가 2015년에 오타니 쇼헤이가 2.24로 평균자책점왕을 수상하면서 기록이 끊어졌다.[10] '03년 20승 3패, '04년 10승 7패, '05년 16승 1패, '06년 18승 5패[11] 2006년 9월 13일 세이부전. 이 경기에서 8이닝 2실점 호투로 시즌 18승째를 챙겼다.[12] 이 시기는 2003년 일본시리즈 우승 이후 소프트뱅크의 포스트시즌 잔혹사로 정말 안 되는 팀이 얼마나 단기전에서 불운할 수 있는지 보여주며 매년 탈락했다.[13] 다만 카펜터는 사이토보다는 더 나은 통산 성적을 거뒀다. 그리고 포스트시즌 성적이 영 좋지 않은 사이토와는 달리 카펜터는 MLB를 대표하는 빅게임 피처로 월드시리즈 2회 우승자이다.[14] 단적인 예로 前 소프트뱅크 선수였던 아라카키 나기사가 야쿠르트로 이적하면서 단 등번호가 사이토의 등번호였던 66번일 정도[15] 쓰레기라는 뜻으로 쓰이는 일본어로 주로 평가하는 사람의 질이 나쁠때 쓰이는 단어다. 밈으로 유명한 지로보의 인간이 5명이나 모이면 반드시 1명은 쓰레기가 있다에 쓰인 쓰레기도 저 단어다.[16] 이 의혹에 대해선 사이토 가즈미, 우에다 모모코 둘다 부정했다.[17] 다만 친할머니인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18] 파일:kazumibachan.jpg 사이토 가즈미가 자신의 블로그에 업로드한 삼촌 결혼식 하객 사진. 우측이 할머니. 치마저고리를 입고 있다.[19] 2019년 8월 19일에 2ch의 한 유저가 일본 관보에 도쿄 미나토구에 거주하고 있는 쇼와 52년(1977년) 11월 30일 태생의 최화사(崔和巳)가 2019년 6월 19일에 귀화했다는 내용이 기재되었다며, 이를 근거로 사이토 가즈미가 2019년에 귀화했다고 주장했지만,# 해당 내용이 기재된 관보 사이트를 링크하거나 관보 캡처 사진을 첨부한 게시글이 아닌데다, 제도권 언론에서 관련 내용이 보도된 적도 없기 때문에 신빙성은 떨어진다. 게다가 가즈미가 2003년에 귀화했다는 과거 한국 언론 보도 내용과도 일치하지 않는다.[20] 가즈미의 말에 의하면 마토바와 배터리를 짠건 자기가 결정한게 아니고 마토바와 배터리를 짠 경기에서 성적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실제로 2006년에는 마토바와 같이 최우수 배터리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다만 2003년에는 조지마 겐지와 최우수 배터리 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조지마와 배터리를 짰을 때의 성적도 좋았던 것을 생각하면 단순히 성적 때문에 마토바와 배터리를 짰다기보다는 마토바와 배터리를 짜는 걸 더 좋아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