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6:45:35

마에다 겐타

마에다 켄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마에다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마에다 겐타/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2d55><tablebgcolor=#182d55>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24 시즌 40인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2d55,#aabfe6
<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f26722,#dd520d> 4 브리스키40인 · 7 밀러 · 9 플래허티 · 12 마이즈 · 17 셰이핀 · 18 마에다 · 19 베스트 · 25 매닝40인 · 29 스쿠발 · 43 웬츠 · 45 올슨 · 49 파에도 · 52 화이트40인 · 53 잉글러트40인 · 54 몬테로40인 · 55 · 59 플로레스40인 · 66 깁슨-롱IL-15 · 68 폴리 · 87 홀튼 · # 애드콕40인
포수 15 켈리 · 34 로저스 · 38 딩글러40인
내야수 13 어셸라 · 20 토켈슨 · 28 바에즈 · 32 크라이들러40인 · 33 키스 · 39 맥킨스트리 · 46 페레즈 · 51 레너드40인 · 70 케네디40인 · 77 이바녜스IL-10
외야수 8 비얼링 · 21 칸하 · 22 메도우스 · 30 카펜터 · 31 그린 · 60 바두40인
파일:미국 국기.svg A.J. 힌치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롬바드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페터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브르다 · 파일:미국 국기.svg 키스 뷰리가드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아이아포스 ·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조이 코라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시엔코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톨리도 머드헨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마에다 겐타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사노 마키오(1)
(佐野真樹夫)
스야마 세이지
(須山成二)
니시모토 아키카즈
(西本明和)
이노우에 히로아키
(井上弘昭)
야마모토 코지
(山本浩二)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치바 츠요시
(千葉剛)
사에키 카즈시
(佐伯和司)
미치하라 히로유키
(道原裕幸)
이케가야 코지로
(池谷公二郎)
키노시타 토미오
(木下富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도조노 키요시
(堂園喜義)
키타벳푸 마나부
(北別府学)
야마사키 류조
(山崎隆造)
타나바 시게후미
(田辺繁文)
키다 이사무(6)
(木田勇)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카타오카 미츠히로
(片岡光宏)
카와구치 카즈히사(1)
(川口和久)
츠다 츠네미
(津田恒実)
니시다 신지(1)
(西田真二)
카와바타 쥰(2)
(川端順)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스기모토 마사시(1)
(杉本正志)
나가도미 히로시
(長冨浩志)
쿠리타 사토시(1)
(栗田聡)
카와시마 켄(2)
(川島堅)
노무라 켄지로
(野村謙二郎)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사사오카 신지
(佐々岡真司)
세토 테루노부(1)
(瀬戸輝信)
마치다 코지로(1)
(町田公二郎)
사토 타케시(1)
(佐藤剛)
야마네 마사히토
(山根雅仁)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야마우치 야스유키(3)
(山内泰幸)
하세가와 마사유키
(長谷川昌幸)
사와자키 토시카즈(3)
(澤﨑俊和)
엔도 류지(3)
(遠藤竜志)
히가시데 아키히로
(東出輝裕)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카와우치 타카야(2)
(河内貴哉)
요코마츠 토시카즈
(横松寿一)
오타케 칸
(大竹寛)
나가카와 카츠히로(3)
(永川勝浩)
시라하마 유타
(白濱裕太)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사토 츠요시
(佐藤剛士)
스즈키 마사미츠(1)(4)
(鈴木将光)
마에다 켄타(4)
(前田健太)
아베 토모히로(1)(4)
(安部友裕)
이와모토 타카히로
(岩本貴裕)
- 미야자키 미치토(3)(5)
(宮﨑充登)
시노다 쥰페이(1)(5)
(篠田純平)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이마무라 타케루
(今村猛)
후쿠이 유야(1)
(福井優也)
노무라 유스케
(野村祐輔)
타카하시 히로키(1)
(髙橋大樹)
오세라 다이치(2)
(大瀬良大地)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노마 타카요시(1)
(野間峻祥)
오카다 아키타케
(岡田明丈)
카토 타쿠야(1)
(加藤拓也)
나카무라 쇼세이(2)
(中村奨成)
코조노 카이토(2)
(小園海斗)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레이와 시대 ]
{{{#555555,#aaaaaa
2019년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모리시타 마사토
(森下暢仁)
쿠리바야시 료지
(栗林良吏)
쿠로하라 타쿠미(1)
(黒原拓未)
사이토 유타
(斉藤優汰)
츠네히로 하야토(2)
(常廣羽也斗)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1958 1959~1960
나이토 코조 스기우라 류타로 오오타가키 요시오 하세가와 료헤이 비젠 요시오
<rowcolor=#ffffff> 1961 1962~1963 1964 1965 1966
카와무라 히데후미 오오이시 키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오오이시 키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아니야 소하치 오오이시 야타로 아니야 소하치 소토코바 요시로 오오이시 야타로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1977 1978
시라이시 시즈오 소토코바 요시로 사에키 카즈시 소토코바 요시로 타카하시 사토시
<rowcolor=#ffffff> 1979 1980~1981 1982~1984 1985 1986~1989
후쿠시 아키오 이케가야 코지로 키타벳푸 마나부 오노 유타카 키타벳푸 마나부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1994 1995
오노 유타카 나가도미 히로시 카와구치 카즈히사 키타벳푸 마나부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오노 유타카 야마우치 야스유키 오노 유타카 네이선 민치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2003~2007 2008 2009 2010~2012 2013
쿠로다 히로키 오타케 칸 콜비 루이스 마에다 켄타 브라이언 벌링턴
<rowcolor=#ffffff> 2014~2015 2016~2017 2018 2019~2023 2024
마에다 켄타 크리스 존슨 노무라 유스케 오세라 다이치 쿠리 아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91f40>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화이트 로고.svg미네소타 트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d31145> 1901 1902~1903 1904 1905 1906~1907
빌 캐릭 알 오스 하이볼 윌슨 케이스 패튼 톰 휴즈
<rowcolor=#d31145> 1908~1909 1910 1911 1912~1921 1922
찰리 스미스 월터 존슨 돌리 그레이 월터 존슨 조지 모그리지
<rowcolor=#d31145> 1923~1924 1925 1926 1927 1928
월터 존슨 조지 모그리지 월터 존슨 스탠 코벨레스키 밀트 개스턴
<rowcolor=#d31145> 1929 1930 1931 1932~1933 1934~1935
새드 샘 존스 피포 마베리 로이드 브라운 앨빈 크라우더 얼 화이트힐
<rowcolor=#d31145> 1936 1937 1938 1939 1940~1941
보보 뉴섬 조 카스카렐라 웨스 페럴 지미 데스홍 더치 레너드
<rowcolor=#d31145> 1942 1943 1944 1945 1946
시드 허드슨 더치 레너드 자니 니겔링 더치 레너드 로저 울프
<rowcolor=#d31145> 1947~1948 1949~1950 1951 1952~1953 1954
얼리 윈 레이 스카보로 코니 마레로 밥 포터필드 척 스톱스
<rowcolor=#d31145> 1955 1956 1957 1958~1959 1960
밥 포터필드 카밀로 파스쿠알 밥 차케일스 페드로 라모스 카밀로 파스쿠알
<rowcolor=#d31145> 1961 1962 1963~1964 1965 1966
페드로 라모스 잭 크랄릭 카밀로 파스쿠알 짐 카트 머드캣 그랜트
<rowcolor=#d31145> 1967 1968 1969 1970~1971 1972~1976
짐 카트 딘 챈스 톰 홀 짐 페리 버트 블라일레븐
<rowcolor=#d31145> 1977~1979 1980~1981 1982 1983 1984
데이브 골츠 제리 쿠스먼 피트 레드펀 브래드 헤이븐스 알버트 윌리엄스
<rowcolor=#d31145> 1985~1986 1987 1988~1989 1990 1991
프랭크 바이올라 버트 블라일레븐 프랭크 바이올라 앨런 앤더슨 잭 모리스
<rowcolor=#d31145> 1992 1993~1994 1995 1996~1997 1998
스캇 에릭슨 케빈 타파니 스캇 에릭슨 브래드 래드키 밥 투크스버리
<rowcolor=#d31145> 1999~2005 2006~2007 2008 2009 2010
브래드 래드키 요한 산타나 리반 에르난데스 프란시스코 리리아노 스캇 베이커
<rowcolor=#d31145> 2011~2012 2013 2014 2015 2016~2017
칼 파바노 밴스 월리 리키 놀라스코 필 휴즈 어빈 산타나
<rowcolor=#d31145> 2018 2019~2020 2021 2022 2023~2024
제이크 오도리지 호세 베리오스 마에다 겐타 조 라이언 파블로 로페스
}}}}}}}}}}}} ||

마에다 겐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프리미어 12
동메달
2015

파일:MLB 로고.svg
2020 ALL-MLB SECOND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F | OF

ATL | OF

NYM | OF

LAD | SS

TB | 2B

CLE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아브레우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CHW | 1B ||

MIN | DH

PHI | C

NYY | SP

SD | SP

LAD | SP

MIN | SP

TOR | SP

MIL | RP

CLE | RP
}}} ||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투수 트리플 크라운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호크스, 2006년)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0년)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8년)

파일:NPB 로고.svg 2010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와쿠이 히데아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타나카 마사히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파일:NPB 로고.svg 2015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버팔로즈)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도요 카프)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다 승리
요시미 카즈키(주니치)
타테야마 쇼헤이(야쿠르트)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시미 카즈키(주니치)
우츠미 테츠야(요미우리)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다승리
야마이 다이스케(주니치)
랜디 메신저(한신)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노무라 유스케(히로시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우수방어율
천웨이인
(주니치)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2~2013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우수방어율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드래곤즈)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0~2011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다탈삼진
2008-2009
콜비 루이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스기우치 토시야(요미루이)
노미 아츠시(한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투수 부문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3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투수 부문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베스트 나인 투수 부문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0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2년 ~ 201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드래곤즈)
마에다 겐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0, 2012, 2013 센트럴 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0, 2011 센트럴 리그 탈삼진왕

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34번
니베 사토시
(2004~2006)
<colbgcolor=#b30000><colcolor=#d9d9d9> 마에다 겐타
(2007)
벤 코즐로브스키
(2008)
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18번
사사오카 신지
(1990~2007)
마에다 겐타
(2008~2015)
모리시타 마사토
(2020~)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18번
호세 페라자
(2015)
마에다 겐타
(2016~2019)
스티븐 수자 주니어
(2021)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18번
미치 가버
(2019)
마에다 겐타
(2020~2023)
결번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18번
타일러 네빈
(2023)
마에다 겐타
(2024~)
현역
}}} ||
파일:MLB 로고.svg 현역 일본인 메이저리거 파일:일본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No.11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
No.18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No.17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No.16
다르빗슈 유 마에다 겐타 오타니 쇼헤이 기쿠치 유세이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No.27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No.7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No.19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No.1
스즈키 세이야 요시다 마사타카 센가 코다이 마쓰이 유키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No.18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No.18
야마모토 요시노부 이마나가 쇼타
}}}}}}}}} ||

}}} ||
<colbgcolor=#182d55><colcolor=#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No.18
마에다 겐타
前田健太 / Kenta Maeda
출생 1988년 4월 11일 ([age(1988-04-11)]세)
오사카부 센보쿠군 타다오카정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PL학원고등학교
신체 185cm / 84kg[1]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06년 드래프트 1위 (히로시마)
소속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7~2015)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6~2019)
미네소타 트윈스 (2020~2023)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24~)
계약 2024 - 2025 / $24,000,000
연봉 2024 / $14,000,000
에이전시 보라스 코퍼레이션
파일:MLB 로고.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평가5. 수상 내역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야구 선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소속 우완 투수이다.

2. 선수 경력

마에다 겐타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마에다 겐타/선수 경력
파일:NPB 로고.svg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파일:MLB 로고.svg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3. 피칭 스타일


선발로는 평균 148km/h, 불펜으로는 그보다 조금 더 빠른 포심 패스트볼을 뿌리며 최고 154km/h의 패스트볼과 낙폭이 큰 슬라이더가 결정구이다. 이외에도 드롭커브, 서클체인지업,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할 수 있다. 선발 로테이션에 본격적으로 합류했던 2009년에는 제구력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 안타를 많이 맞았었다. 이해 성적은 193이닝 동안 피안타 194개. 하지만 볼넷은 29개로 흔히 팬들이 말하는 볼넷을 내줄 거면 차라리 안타를 맞아라 하는 타입이었다.

이후 2010년 이후 포텐셜이 제대로 터지면서 안타도 적게 맞고, 볼넷도 적게 내주는 완성형 투수로 자리 잡았다. 탈삼진을 많이 잡는 파워피쳐형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탈삼진도 잡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2010~2011년 센트럴 리그 탈삼진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수비와 견제 능력도 상당히 좋은 편이며, 3년 연속 200이닝 투구라는 점에서 내구성도 상당히 좋은 편.

다만 공식 프로필상 6' 1"/185(약 185cm/84kg)으로 메이저 리그 기준에서는 크지 않은 편이라, 과거 스카우트들은 마에다의 하드웨어가 빅리그 진출에 있어 걸림돌이 될 것이라 지적하기도 했다. 또한 패스트볼의 구위가 빅리그 레벨에서 경쟁력이 있는지는 미지수였던데다가, 다나카 마사히로다르빗슈 유처럼 특출난 승부구가 있는 것도 아니고 일본 투수들의 전가의 보도인 포크볼도 구사하지 않아서 기대치가 그렇게 높지는 않았다. 베이스볼 아메리카가 평가한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TOP 10 유망주 순위에선 다나카 마사히로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여러 쿠바 선수들에게 순위가 밀리며 7위에 그쳤다. 참고로,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의 7위는 2012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한 아오키 노리치카였다.

메이저리그 진출 첫 시즌에는 초반과 타순 두 바퀴까지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세 바퀴에 접어들고, 투구수가 100개 가까이 다가가면 피안타율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시즌이 지날수록 피안타율이 서서히 높아지더니 후반기에는 방전된 것 같은 모습을 보이면서 포스트 시즌에서는 2경기 연속 조기강판 수모를 겪고, 2017 시즌에는 전반기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불펜으로 밀려났으나 후반기에는 선발로 복귀했다. 이 투구수 문제는 선발투수의 주요 덕목이라 할 수 있는 이닝 소화력에 큰 지장을 주었고, 감독도 마에다가 5이닝 던지고 나면 바로 불펜을 대기시키며 위기 상황 때 강판시킬 준비를 한다. 2018년까지의 모습을 보면 어느 팀에서나 로테이션은 차지할 수 있지만 강팀의 1~2선발은 안되는 정도로 보인다.

주자가 나가면 제구가 흔들리며 안정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득점권과 비득점권의 OPS 차이가 2할 가까이 날 정도. 마에다의 피안타율은 생각보다 상당히 좋은 편이지만, 득점권에서 몰아 맞는 바람에 프론트라인급 투수의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하고 있다.

2017년 포스트시즌에서는 선발이 아닌 중간계투로 나왔는데, 총 9경기에 등판해 10⅔이닝을 던져 5피안타 10탈삼진 2볼넷 1실점의 활약[2]

2018년 포스트시즌에서도 중간계투로 출전 하여 총 8경기에 등판하여 6⅔이닝 8피안타 11탈삼진 3볼넷 3실점으로 전체적으로 좋은 투구를 펼치면서 불펜투수 쪽에 더 재능이 있는 거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다. 문제는 마에다는 계약에 포함된 옵션 때문에 불펜으로 나오면 나올수록 실질 연봉이 깎이기 때문에 불펜으로 돌리기 상당히 곤란하다는 것.[3] 그래서 옵션에 포함되지 않는 포스트시즌에서는 마음껏 불펜으로 구른다.[4]

일본에서도 그랬듯이 주무기는 슬라이더이며, 슬라이더가 주무기인 우완투수답게 좌타자에게는 다소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2018 시즌부터는 체인지업 장착[5]에 성공해, 포심-슬라이더-체인지업의 쓰리피치 중심으로 피칭한다. 2020 시즌부터는 아예 포심(20% 내외)보다 슬라이더(40% 내외)와 체인지업(30% 내외)을 더 많이 던지는 유형의 투수가 되었다.

4. 평가

일본 시절엔 구로다 히로키의 뒤를 이어 답없는 팀에서 고생하던 약팀[6]의 에이스였다. 의외로 다른 동시대 일본 에이스 다르빗슈 유다나카 마사히로에게 인지도가 밀려서 잘 간과하는 부분이지만 마에다는 저런 약팀에서 8시즌 동안 218경기 1509⅔이닝 97승 67패 ERA 2.39 1,233삼진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이런 압도적인 성적을 바탕으로 NPB 최고 투수상인 사와무라 상을 두번이나 타는데 성공했고, 2010년엔 트리플 크라운까지 달성했다.

한편 마에다는 국제 대회에서 한국 대표팀 상대로 등판한 적이 없어서 그의 국제 대회 활약상이 다르빗슈 유, 다나카 마사히로같은 선수들에 비해서는 국내에 잘 안 알려져 있지만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그는 15이닝 동안 단 1실점만 허용하는 철벽 투구를 보여주며 대회 최우수 선발투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마에다가 메이저리그의 주목을 받은 것도 이 시기부터였다.

5.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All-MLB 세컨드 팀 1회 (2020)


6. 여담

파일:maedaface.gif

* 투구 때 표정 변화가 꽤 큰 유형의 투수다. 악쓰면서 던지는 게 보일 정도.

7. 둘러보기

파일:MLB 로고.svg 현역 일본인 메이저리거 파일:일본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No.11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
No.18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No.17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No.16
다르빗슈 유 마에다 겐타 오타니 쇼헤이 기쿠치 유세이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No.27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No.7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No.19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No.1
스즈키 세이야 요시다 마사타카 센가 코다이 마쓰이 유키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No.18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No.18
야마모토 요시노부 이마나가 쇼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Cy_Young_.jpg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AL 사이 영 상 1~3위 (202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즌 <rowcolor=#000> 1위 2위 3위
2020년 셰인 비버 마에다 겐타 류현진
2021년 로비 레이 게릿 콜 랜스 린
2022년 저스틴 벌랜더 딜런 시즈 알렉 마노아
2023년 게릿 콜 소니 그레이 케빈 가우스먼
}}}}}}}}} ||



[1] MLB 공식 프로필에 6' 1"/185(약 185cm/84kg)으로 기재되어 있다.[2] 사실 3점 홈런을 맞았지만 2점은 승계주자로 인한 실점이라 자책점은 1점 뿐.[3] 당장 18시즌 MLB에서 센세이션을 일으킨 오프너 시스템만 해도 선발 투수의 연봉을 일부러 깎으려는 의도가 있다며 싫어하는 투수들이 있다.[4] 이 때문에 다저스 구단도 시즌 막판에 불펜행을 결정할 때 이닝 등의 세부 옵션을 다 채워주는 조치를 하고 나서 불펜행을 결정했을 정도였다. 마에다가 그래도 옵션을 채울 수 있을 정도의 피칭은 보여줬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조치였지만.[5] 스플리터 그립으로 던지는 일명 '스플릿 체인지업'으로, 팬그래프나 베이스볼 서번트 등지에서는 스플리터로 구분된다.[6] 현재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그럭저럭 강팀이지만 마에다 재적 시절엔 탱킹 팀이나 다름없을 정도로 동네북이었다.[7] 다만 다나카는 일본에서 승률이 5할 이하로 떨어진 적은 없고 커리어 상으로는 다나카가 우위다. 그래도 잔부상으로 매년 몇 번씩 로테이션을 이탈했던 다나카와 달리 마에다는 로테이션을 거른 경우가 잘 없어 꾸준함과 내구성에서는 우위다.[8] 마에다는 노히트노런, 다나카는 24승 무패.[9] 참고로 자주 비교되는 동세대의 다른 동양인 선발 메이저리거들의 경우 류현진은 어깨 관절경 수술, 다르빗슈는 토미 존 수술, 다나카는 팔꿈치 인대 손상 전력이 있다. 다들 알다시피 넷 중 메이저 진출할 때 내구성을 가장 의심받았던 선수가 마에다였고, 넷 중 메이저 가기 전에 가장 많은 이닝을 던진 선수도 마에다였으며, 심지어 메이저 가서 가장 막 굴렀던 선수 또한 마에다.[10] 슬러브처럼 휘며 특유의 이펙트도 추가되었다. 고속 슬라이더인데도 변화하는 폭이 매우 큰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