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0:25:02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 우마무스메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도주 시스터즈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 사건 사고 | 원화가 트위터 논란 | 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 (전개(10월 이후)간담회환불 소송 사건) | 이병진 의원 망언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중문 표기 | 라이브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인게임 정보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 color=#212529,#e0e0e0> 파일:스페셜 위크 1차 아이콘.png 파일:사일런스 스즈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카이 테이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루젠스키 1차 아이콘.png 파일:후지 키세키 1차 아이콘.png 파일:오구리 캡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쉽 1차 아이콘.png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보드카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와 스칼렛 1차 아이콘.png 파일:타이키 셔틀 1차 아이콘.png 파일:그래스 원더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마존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맥퀸 1차 아이콘.png 파일:엘 콘도르 파사 1차 아이콘.png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티엠 오페라 오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브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루돌프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그루브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디지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이운 스카이 1차 아이콘.png 파일:타마모 크로스 1차 아이콘.png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파인 모션 1차 아이콘.png 파일:비와 하야히데 1차 아이콘.png 파일:마야노 탑건 1차 아이콘.png 파일:맨하탄 카페 1차 아이콘.png 파일:미호노 부르봉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케보노 1차 아이콘.png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맨하탄 카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유키노 비진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이스 샤워 1차 아이콘.png 파일:아이네스 후진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타키온 1차 아이콘.png 파일:어드마이어 베가 1차 아이콘.png 파일:이나리 원 1차 아이콘.png 파일:위닝 티켓 1차 아이콘.png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에어 샤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이신 플래시 1차 아이콘.png 파일:카렌짱 1차 아이콘.png 파일:카와카미 프린세스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바쿠신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킹 더 펄 1차 아이콘.png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신코 윈디 1차 아이콘.png 파일:스윕 토쇼 1차 아이콘.png 파일:슈퍼 크릭 1차 아이콘.png 파일:스마트 팔콘 1차 아이콘.png 파일:젠노 롭 로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센 조던 1차 아이콘.png 파일:나카야마 페스타 1차 아이콘.png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나리타 타이신 1차 아이콘.png 파일:니시노 플라워 1차 아이콘.png 파일:하루 우라라 1차 아이콘.png 파일:뱀부 메모리 1차 아이콘.png 파일:비코 페가수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블러스 선데이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차 아이콘.png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미스터 시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이쇼 도토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도베르 1차 아이콘.png 파일:나이스 네이처 1차 아이콘.png 파일:킹 헤일로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탄호이저 1차 아이콘.png 파일:이쿠노 딕터스 1차 아이콘.png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메지로 파머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타쿠 헬리오스 1차 아이콘.png 파일:트윈 터보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다이아몬드 1차 아이콘.png 파일:키타산 블랙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치요노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리우스 심볼리 1차 아이콘.png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메지로 아르당 1차 아이콘.png 파일:야에노 무테키 1차 아이콘.png 파일:츠루마루 츠요시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로렐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탑 로드 1차 아이콘.png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야마닌 제퍼 1차 아이콘.png 파일:푸리오소 1차 아이콘.png 파일:트랜센드 1차 아이콘.png 파일:에스포와르 시티 0차 아이콘.png 파일:노스 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크리스 에스 1차 아이콘.png 파일:타니노 김렛 1차 아이콘.png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다이이치 루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모누 1차 아이콘.png 파일:애스턴 마짱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크라운 1차 아이콘.png 파일:슈발 그랑 1차 아이콘.png 파일:베르시나 0차 아이콘.png 파일:비블로스 1차 아이콘.png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베르시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단츠 플레임 0차 아이콘.png 파일:케이에스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정글 포켓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노 리즌 0차 아이콘.png 파일:스틸 인 러브 0차 아이콘.png 파일:코파노 리키 1차 아이콘.png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홋코 타루마에 1차 아이콘.png 파일:원더 어큐트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사운즈 오브 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로이스 앤 로이스 0차 아이콘.png 파일:카츠라기 에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네오 유니버스 1차 아이콘.png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로이스 앤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히시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탭 댄스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두라멘테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인 크라프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자리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메사이어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부에나 비스타 0차 아이콘.png 파일:오르페브르 0차 아이콘.png 파일:젠틸돈나 1차 아이콘.png 파일:윈 바리아시옹 1차 아이콘.png 파일:드림 저니 1차 아이콘.png 파일:칼스톤 라이트 오 1차 아이콘.png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드림 저니(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칼스톤 라이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듀랜달 1차 아이콘.png 파일:버블검 펠로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블래스트 원피스 0차 아이콘.png
[[듀랜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버블검 펠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블래스트 원피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친구 카드 ]
파일:하야카와 타즈나 서포트 R.jpg 파일:키류인 아오이 서포트 R.jpg 파일:안심자와 사사미 서포트 R.jpg 파일:카시모토 리코 서포트 R.jpg 파일:라이트 헬로 서포트 R.jpg 파일:사타케 메이 서포트 R.jpg 파일:츠루기 료카 서포트 R.jpg
[[하야카와 타즈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류인 아오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안심자와 사사미/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시모토 리코/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트 헬로/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타케 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기 료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아키카와 야요이 서포트 R.jpg
[[아키카와 야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그룹 카드 ]
파일:우마무스메 그룹.png 파일:팀 시리우스 서포트 SSR.jpg
}}}}}}}}}


1. 개요2. 육성 우마무스메
2.1. ★★ - [머머링 스트림]
2.1.1. 육성 시 특이사항2.1.2. PvP2.1.3. 기타
2.2. ★★★ - [쉬폰 리본 머미]
2.2.1. PvP2.2.2. 기타
2.3. ★★★ - [자우화영]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3.2. SSR - [한 알의 평온]
4. 밸런타인 초콜릿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슈퍼 크릭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

2. 육성 우마무스메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24 「슈퍼 크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시기
주니어급 6월 후반

출전 조건
없음

비고
한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제비꽃 S에서 3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2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350명 이상

비고
한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내측
국화상에서 3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10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7500명 이상

비고
교토 / 잔디 / 3000m(장거리) / 우, 외측
아리마 기념에서 3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12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500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500m(장거리) / 우, 내측
오사카배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3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한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텐노상(봄)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4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교토 / 잔디 / 3200m(장거리) / 우, 외측
텐노상(가을)에서 1착

시기
시니어급 10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2000m(중거리) / 좌
아리마 기념에서 1착

시기
시니어급 12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500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500m(장거리) / 우, 내측
}}}}}}}}} ||
オグリキャップは届かない! オグリキャップの前に立ちはだかった スーパークリークが天皇賞春秋連覇です!}}}
오구리 캡은 닿지 않았습니다! 오구리 캡의 앞길을 가로막은 슈퍼 크릭이 텐노상 봄가을을 모두 제패합니다!
||
참고로 육성 목표에 텐노상(봄)과 텐노상(가을) 둘 다 포함(목표6, 7)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따로 공략할 필요 없이 육성 목표대로 정석적인 육성을 해주면 쉽게 들을 수 있는 아나운스다. 후술하겠지만 슈퍼 크릭은 초반부에 턴 수를 많이 주다가 국화상부터 일정을 빡빡하게 주기 때문에, 국화상 이전에 우승이 가능할 만큼 충분히 육성을 한다면 텐노상(봄)과 텐노상(가을)도 어렵지 않게 우승할 수 있다. 다만 아나운스 내에서 오구리 캡을 언급하기 때문에, 고정 라이벌이 없는 클라이맥스 시나리오처럼 텐노상(가을)에 오구리 캡이 출전하지 않을 경우엔 텐노상 춘추 연패를 달성해도 고유 아나운스가 출력되지 않으니 주의.
スーパークリーク! その持ち前の器量と才気で あらゆるライバルをリードする実力を証明しました!}}}
슈퍼 크릭! 그 타고난 기량과 재기로 수많은 라이벌을 리드하는 실력을 증명했습니다!
||

2.1. ★★ - [머머링 스트림]

파일:슈퍼 크릭 1차 아이콘.png ★★★★★
[머머링 스트림]
슈퍼 크릭
トレーナーさんが
頑張ってくれたからですね~。
트레이너 선생님이
열심히 해주신 덕분이랍니다~
<nopad> 파일:슈퍼 크릭 스킬 모션.gif [머머링 스트림]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ruby(갑니다~!, ruby=行きますよ~!)]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ruby(당신의, ruby=あなたの)] [ruby(웃는 얼굴을, ruby=笑顔の)] [ruby(위해서…!, ruby=ために…!)]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틀:국기|]][[틀:국기|]] 2021년 2월 24일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22년 6월 20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65 파일:우마무스메 F.png100 파일:우마무스메 Gp.png71 파일:우마무스메 F.png100 파일:우마무스메 Gp.png89

+ 0%

+ 10%

+ 0%

+ 0%

+ 2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Gp.png84 파일:우마무스메 F.png129 파일:우마무스메 F.png92 파일:우마무스메 F.png129 파일:우마무스메 F.png116 }}}}}}}}}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G.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D.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고유.png ||[고유] 클리어 하트 (クリアハート)
레이스 중반에 좋은 위치에 있을 때 지구력을 회복한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강화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고유.png ||[고유] 퓨리티 오브 하트 (ピュリティオブハート)
레이스 중반에 좋은 위치에 있을 때 지구력을 많이 회복한다||

}}}}}}}}}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코너 회복◯ (コーナー回復◯)
군더더기 없는 코너링으로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심호흡 (深呼吸)
레이스 중반에 숨을 고르면서 힘이 약간 덜 들게 된다 <장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시야 노멀.png ||[노멀] 교란 (かく乱)
레이스 종반에 전방에 있으면 후방의 시야가 약간 좁아진다 <작전・선행>||

✦ 각성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페이스 업 (ペースアップ)
레이스 중반에 추월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시야 레어.png ||[레어] 현혹의 교란 (幻惑のかく乱)
레이스 종반에 전방에 있으면 후방의 시야가 다소 좁아진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주저 (先行ためらい)
레이스 종반에 작전・선행인 우마무스메를 주저하게 해서 약간 속도를 떨어트린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원호의 마에스트로 (円弧のマエストロ)
군더더기 없는 코너링으로 지구력을 회복한다||

||
✦ 진화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달콤~한 현혹 (あま~い幻惑)
레이스 종반에 전방에 있으면 한동안 속도가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진화.png ||[진화] 치유의 마에스트로 (癒しのマエストロ)
군더더기 없는 코너링으로 지구력을 많이 회복한다||

||

태생 2성의 중장거리 선행마.

고유 스킬은 레이스 중반에 중상위권(2위 ~ 상위 40% 이내)이면 지구력을 많이 회복(7.5%)하는 스킬이다.[패치이전] 드물게도 복합 스킬이 아닌 순수 회복 계열의 고유 스킬로,[7] 지구력 회복량이 일반적인 레어 회복 스킬보다도 더 높다는 점이 특징. 덕분에 장거리 레이스 한정이긴 해도 제법 밸류가 좋은 스킬로 평가된다. 다만 순위 조건이 그리 널널한 편은 아닌데다가,[8] 발동 위치가 중반 랜덤 구간이라는 점 때문에 챔피언스 미팅 같은 PvP 대회에서는 유효하지 않거나 불발될 가능성도 어느 정도는 고려를 해야 한다.[9]

2.1.1. 육성 시 특이사항

2.1.2. PvP

원본마가 장거리 스테이어로 유명했던 경주마인 만큼, 우마무스메 슈퍼 크릭 역시 명실상부한 장거리 스태미나 주자의 대표격인 캐릭터이다. 상기한대로 고유 스킬부터가 회복 계열이며, 범용성 좋은 레어 회복 스킬인 '원호의 마에스트로'도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중장거리 주자들과 달리 덱 편성에서 회복 스킬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장거리 주자의 대표격인 이미지와 달리, 성장률은 스태미나 +10%/지능 +20% 구성으로 지능 쪽에 높은 성장률이 배치되어 있다. 스태미나 +20% 성장률을 지닌 다른 장거리 주자들과 비교하면 스탯 상으로는 약간 밀리지만, 이를 높은 지능과 스킬 활용으로 커버하는 스타일인 셈.

상술한 '작은 역경' 이벤트로 인해 육성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접근성 좋은 2성 우마무스메라는 점과 스태미나 카드 편성의 부담이 덜하다는 이점 덕분에 대표적인 장거리 선행 국밥픽으로 꼽히는 캐릭터이다. 특히, 팀 레이스는 전통적으로 높은 지능을 통해 스킬을 최대한 많이 사용하는 소위 '마장마술 메타'가 주류인데, 슈퍼 크릭은 우월한 스태미나와 지능 +20%의 성장률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메타에 매우 적합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비록 게임 초기에는 상위 랭커 채용률에서 스테이어 선행 2강으로 꼽히던 스페셜 위크메지로 맥퀸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아오하루배 시나리오부터는 무소과금은 물론이고 상위 랭커들 사이에서도 꾸준하게 높은 채용률을 보인 편이다.[13]

하지만 반대로 챔피언스 미팅 같은 대회 주자로는 선호도가 낮은 편인데, 고유 스킬과 소지 레어 스킬이 모두 회복&디버프 계열이라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속도/가속력 스킬을 인자 계승과 서포트 카드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에서 대회의 에이스 주자로 채용하기에는 여러모로 어려움이 많다. 그래도 1주년 밸런스 패치로 고유 스킬의 회복량이 늘어남에 따라 장거리 전방 주자의 계승기로는 채용률이 어느정도 있는 편이며,[14] 캐릭터 풀이 좁은 뉴비&무소과금 유저들 입장에서는 과금 부담 없이 육성 가능한 장거리 주자라는 점 하나만으로도 값어치가 있다.

2.1.3. 기타

2.2. ★★★ - [쉬폰 리본 머미]

파일:슈퍼 크릭 2차 아이콘.png ★★★★★
[쉬폰 리본 머미]
슈퍼 크릭
怖がらなくても大丈夫ですよ。
あなたのマミーですから~♪
무서워하지 않아도 돼요.
당신의 머미니까요~♪
<nopad> 파일:슈퍼 크릭 스킬 모션2.gif [쉬폰 리본 머미]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후훗…, ruby=ふふっ…)] [ruby(파티는, ruby=パーティーは)] [ruby(이제 시작이에요., ruby=これからです。)] [ruby(자~, ruby=さあ~、)] [ruby(영원히, ruby=永遠に)] [ruby(어리광 부리셔도 돼요♪, ruby=甘えていいんですよ♪)]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영원히, ruby=永遠に)] [ruby(어리광 부려 주세요♪, ruby=甘えてください♪)]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틀:국기|]][[틀:국기|]] 2021년 9월 29일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23년 1월 18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74 파일:우마무스메 F.png106 파일:우마무스메 Gp.png75 파일:우마무스메 Gp.png98 파일:우마무스메 Gp.png97

+ 14%

+ 8%

+ 0%

+ 8%

+ 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Gp.png90 파일:우마무스메 F.png129 파일:우마무스메 Gp.png92 파일:우마무스메 F.png119 파일:우마무스메 F.png120 }}}}}}}}}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G.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D.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고유.png ||[고유] 빙글빙글 머미 트릭♡ (ぐるぐるマミートリック♡)
최종 직선을 좋은 위치에서 달릴 때 앞에 있는 우마무스메와의 거리가 가까우면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코너 달인◯ (コーナー巧者◯)
코너에 능숙해져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노멀.png ||[노멀] 속삭임 (ささやき)
레이스 중반에 바로 앞의 우마무스메를 약간 당황하게 만든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영양 보급 (栄養補給)
레이스 중반에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작전・선행>||

✦ 각성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호선의 프로페서 (弧線のプロフェッサー)
코너에 능숙해져 속도가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중거리 직선◯ (中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중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레어.png ||[레어] 매혹적인 속삭임 (魅惑のささやき)
레이스 중반에 바로 앞의 우마무스메를 당황하게 만든다 <중거리>||

||
✦ 진화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보살핌 프로페셔널 (お世話のプロフェッショナル)
코너에서 속도가 상승하며 추가로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진화.png ||[진화] 매혹의 머미 위스퍼 (魅惑のマミーウィスパー)
레이스 중반에 앞이 막히면 지구력을 약간 회복하고 앞의 우마무스메의 지구력을 감소시킨다 <중거리>||

||
파일:우마무스메_슈퍼크릭(승부복)2.png

스토리 이벤트인 Make up in Halloween!에 맞춰 업데이트된 핼러윈 승부복으로, [Make up Vampire!] 라이스 샤워와 함께 추가되었다. 별명은 할크릭(핼러윈+크릭), 머미크릭(미라+크릭) 등으로 불린다.

고유 스킬은 최종 직선에서 좋은 위치(4위 이내)에 있고 전방과의 차이가 1마신 이내일 때, 속도(0.25)와 가속력(0.3)이 모두 상승하는 복합 스킬이다. 종반에 발동하는 속도+가속력 복합 스킬이라는 점에서 성능은 상당히 강력한 편이지만, 발동 위치가 '최종 직선'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경기장 코스에 따른 유불리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크릭이 주로 출전하는 중장거리 레이스는 종반 매우 늦은 지점에 최종 직선이 위치해 있어 사실상 복합 스킬의 이점을 제대로 활용하는게 불가능하며, 마군이 길게 늘어지는 중장거리 레이스의 특성상 '전방과의 차이 1마신 이내' 조건 역시 만족시키기 어렵다. 역으로 최종 직선이 종반에 가깝게 위치한 단거리/마일 레이스에서는 종반 유효 가속이 가능함은 물론, 마지막 직선까지 마군이 뭉친 상태로 진행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발동률도 준수한 편이다. 이 때문에 보통은 단거리/마일 주자의 계승기로 많이 활용된다.

2.2.1. PvP

거리/각질 적성은 오리지널 크릭과 동일하지만, 장거리에 특화되어 있는 오리지널 크릭과 달리 머미 크릭은 중거리 주자로 설계되어 있다. 기존 스태미나/지능 성장률이 스피드 +14%/스태미나+8%/근성+8%로 변경되면서 중거리 주자로 육성하기 유리해졌고, 소지 스킬 구성도 속도 계열 스킬의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스태미나 디버프 레어 스킬인 '매혹적인 속삭임'을 소지하고 있어, 필요하다면 역병 주자로도 투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정작 실전에서 머미 크릭이 중거리 주자로 채용되는 일은 드문 편이다. 이는 상기했듯 고유 스킬이 중장거리에서는 그다지 유효하지 않기 때문으로, 안그래도 적성 우마무스메가 매우 많은 중거리에 굳이 고유 스킬의 효율이 떨어지는 머미 크릭을 채용할 실익이 없다. 오히려 단거리/마일 챔피언스 미팅에서 마개조를 하거나 계승마로 활용되는 일이 많은데, 실제로 단거리 챔피언스 미팅인 1회차 카프리콘배(츄쿄 1200m)에서는 마개조 머미 크릭이 다른 주자들을 압도하는 성능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단거리/마일 적성이 모두 G라는 꽤나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는지라 단거리/마일 마개조 머미 크릭이 나오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15] 계승 쪽으로도 2주년쯤을 기점으로 활용도가 많이 내려간 편이다.

2.2.2. 기타

2.3. ★★★ - [자우화영][16]

파일:슈퍼 크릭 3차 아이콘.png ★★★★★
[자우화영]
슈퍼 크릭
忍法・お世話の術♪
よ~しよ~し。
인법・돌봐주기의 술♪
옳~지 옳~지.
<nopad> 파일:슈퍼 크릭 스킬 모션3.gif [자우화영]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음., ruby=む。)] [ruby(곤란한 아이에겐, ruby=困ったちゃんは)] [ruby(인법으로 혼내주기!, ruby=忍法で成敗!)] [ruby(각오하세요~♪, ruby=お覚悟を~♪)] [ruby(닌닌♪, ruby=にんにん♪)]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착하지 착해 술법~♪, ruby=いいこいいこの術~♪)]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틀:국기|]][[틀:국기|]] 2024년 4월 30일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25년 8월 19일 (예상)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76 파일:우마무스메 F.png110 파일:우마무스메 Gp.png70 파일:우마무스메 Gp.png99 파일:우마무스메 Gp.png95

+ 10%

+ 13%

+ 0%

+ 0%

+ 7%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Gp.png91 파일:우마무스메 F.png135 파일:우마무스메 Gp.png86 파일:우마무스메 F.png122 파일:우마무스메 F.png116 }}}}}}}}}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G.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D.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고유.png ||[고유] 인법・미소와 마음을 맺는 인 (忍法・ほほえみ心結の印)
레이스 중반 코너에서 좋은 위치에 있으면 지구력을 회복한다. 중거리나 장거리 레이스라면 추가로 속도가 계속해서 다소 상승한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심호흡 (深呼吸)
레이스 중반에 숨을 고르면서 힘이 약간 덜 들게 된다 <장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공세 (攻めの姿勢)
레이스 중반에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진가 발휘 (本領発揮)
레이스 종반 직전에 선두이거나 선두로부터 4마신 이내로 붙으면, 레이스 종반에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선행・장거리>||

✦ 각성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페이스 업 (ペースアップ)
레이스 중반에 추월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언스토퍼블 (アンストッパブル)
레이스 중반에 속도가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장거리 직선◯ (長距離直線◯)
직선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장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레어.png ||[레어] 괴물 (怪物)
레이스 종반 직전에 선두이거나 선두로부터 4마신 이내로 붙으면, 레이스 종반에 가속력이 상승한다 <선행・장거리>||

||
✦ 진화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유수유주 (流水流走)
레이스 중반에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진화.png ||[진화] 신선 나비 변신술 (神仙蝶変の術)
레이스 종반 직전에 선두이거나 선두로부터 6마신 이내로 붙으면, 레이스 종반에 가속력이 상승한다 <선행・장거리>||

||
파일:우마무스메_슈퍼크릭(승부복)3.png

스토리 이벤트인 하극상, 병사들의 함성 소리에 맞춰 업데이트 된 전국시대 컨셉의 승부복으로, [흑장 Zen] 야에노 무테키와 함께 추가되었다. 쿠노이치를 테마로 한 복장이라서 '닌자 크릭', 또는 가슴이 큰 닌자라고 '젖닌'이라는 별명이 붙었는데,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세 벌째 승부복 픽업이라 놀랐다는 반응이 많이 나왔다.

닌자 크릭은 장거리 선행마 포지션에 유리한 구성을 갖고 있는데, 중장거리 모두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승부복, 그리고 중거리 주력인 핼러윈 승부복과는 구별되는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소지 스킬엔 장거리 또는 선행・장거리 조건의 스킬들이 많고, 성장률도 스태미나에 높은 비중(13%)을 두고 배치되었으며,[17] 고유 스킬도 오리지널 승부복처럼 회복 계열 스킬이다. 대신 소지 레어 스킬에 회복 스킬이 전혀 없는 관계로, 장거리 실전 투입을 위해선 서포트 카드를 통해 레어 회복 스킬을 입수해야 한다.

고유 스킬은 레이스 중반 코너에서 좋은 위치(상위 20~50% 이내)에 있으면 발동하는 회복 스킬로, 중반에 선행마 위치에서 발동하는 회복 스킬이란 점이 오리지널 승부복의 스킬과 비슷하다. 그리고 회복량(5.5%)은 평범하지만 중장거리 레이스에서 속도가 상승하는 추가 효과가 붙어있는데, 속도 상승량이 '다소(少し)' 수준(0.25)인 대신 지속시간이 긴 편(5초 → 6초)이다. 기본 효과와 추가 효과 둘 다 일반적인 고유 스킬 수준의 효과량을 가지고 있으니, 크릭의 주력인 중장거리에선 고유 스킬 2개 분량의 효과량이 발동하는 셈이다.

여담으로 가뜩이나 광기의 모성애 이미지가 박혀있던 크릭이 닌자 승부복으로 출시되자, 유저들 사이에선 "이제 모성애 발동을 위해 닌자가 되어 쫓아온다"라며 공포에 떠는(?) 반응이 많이 나왔다. 실제로 이를 다룬 2차 창작이 많이 등장했고, #1 #2 #3 개발진도 이런 부분을 의도했던 것인지 홈 화면 대화나 승부복 이벤트 등에 관련 내용을 잔뜩 넣어놨다. #4 #5 #6 한편 닌자 크릭의 고유 스킬에선 초기 PV에서만 잠깐 나왔던 닌자 달리기가 등장하는데, 정식 서비스 이후 인게임에 처음 등장한 것이며 닌자인지라 거부감 없이 잘 어울린다는 평가를 받았다.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

<nopad> 파일:슈퍼 크릭 서포트 R.jpg [트레센 학원]
슈퍼 크릭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

레어도

MAX Lv
20 (✦0) ~ 40 (✦4)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틀:국기|]][[틀:국기|]] 2021년 2월 24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22년 6월 20일
고유 보너스
없음
✦ 에피소드
우후후, 슈퍼 크릭이에요~ 모두의 미소를 위해서라면 열~심히 노력할 거예요. 맡겨만 주세요♪
✦ 우정 보너스 5~15%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트레이닝 효과 증가 1~10%
기 본
함께 트레이닝했을 때 효과 증가
✦ 초기 스태미나 증가 10~25
기 본
육성 개시 시 초기 스태미나가 증가
✦ 레이스 보너스 1~5%
기 본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1~15%
기 본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특기율 증가 5~35
Lv.5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스태미나 보너스 1
Lv.40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태미나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파워 노멀.png ||[노멀] 양호한 경기장◯ (良バ場◯)
「양호」 상태인 경기장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코너 회복◯ (コーナー回復◯)
군더더기 없는 코너링으로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페이스 업 (ペースアップ)
레이스 중반에 추월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뒷심 (末脚)
라스트 스퍼트가 한창일 때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주저 (先行ためらい)
레이스 종반에 작전・선행인 우마무스메를 주저하게 해서 약간 속도를 떨어트린다||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심호흡 (深呼吸)
레이스 중반에 숨을 고르면서 힘이 약간 덜 들게 된다 <장거리>||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도와드릴 일이 있으면 맡겨주세요♪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트레이닝 요령을 알려줘
    • 체력 +15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같이 트레이닝하지 않을래?
    • 스태미나 +10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배려도 맡겨주세요♪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더 응원한다
    • '심호흡'의 힌트 Lv +1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음료수를 건넨다
    • 체력 +10 / 스태미나 +5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3.2. SSR - [한 알의 평온]

<nopad> 파일:슈퍼 크릭 서포트 SSR.jpg [한 알의 평온]
슈퍼 크릭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

레어도

MAX Lv
30 (✦0) ~ 50 (✦4)
<colbgcolor=#5793da,#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일본|]][[틀:국기|]][[틀:국기|]] 2021년 2월 24일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22년 6월 20일
고유 보너스
✦ 한 알의 평온
Lv.30 해방

우정 보너스 10%, 특기율 증가 20
✦ 에피소드
네, 사탕 하나 드세요~
✦ 우정 보너스 10~25%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트레이닝 효과 증가 1~15%
기 본
함께 트레이닝했을 때 효과 증가
✦ 초기 스태미나 증가 10~35
기 본
육성 개시 시 초기 스태미나가 증가
✦ 레이스 보너스 1~10%
기 본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1~20%
기 본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특기율 증가 5~35
Lv.15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스태미나 보너스 1
Lv.3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태미나 상승량이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5~30
Lv.4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파워 노멀.png ||[노멀] 양호한 경기장◯ (良バ場◯)
「양호」 상태인 경기장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코너 회복◯ (コーナー回復◯)
군더더기 없는 코너링으로 지구력을 약간 회복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페이스 업 (ペースアップ)
레이스 중반에 추월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뒷심 (末脚)
라스트 스퍼트가 한창일 때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주저 (先行ためらい)
레이스 종반에 작전・선행인 우마무스메를 주저하게 해서 약간 속도를 떨어트린다||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심호흡 (深呼吸)
레이스 중반에 숨을 고르면서 힘이 약간 덜 들게 된다 <장거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원호의 마에스트로 (円弧のマエストロ)
군더더기 없는 코너링으로 지구력을 회복한다||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도와드릴 일이 있으면 맡겨주세요♪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트레이닝 요령을 알려줘
    • 체력 +15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같이 트레이닝하지 않을래?
    • 스태미나 +10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배려도 맡겨주세요♪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더 응원한다
    • '심호흡'의 힌트 Lv +1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음료수를 건넨다
    • 체력 +10 / 스태미나 +5 / 슈퍼 크릭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갓 만든 음식을 냠냠, 듬뿍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체력 +10 / 스태미나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푹 끓여서 걸쭉하고 부드러운 맛으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스태미나 +5 / 파워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③ [  더 드셔도 돼요, 착하지 착해!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스태미나 +10 / 파워 +5 / '원호의 마에스트로'의 힌트 Lv +1
}}}}}}}}}

중장거리 주자 육성에 큰 도움이 되는 '원호의 마에스트로' 스킬을 소지한 고성능 스태미나 카드. 레어 회복 스킬들 중에서는 범용성이나 발동 안정성 등에서 평가가 높은 스킬인데다, 뭣보다 이를 확정 지급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반적인 트레이닝 성능이 준수한 편이고, 소지 스킬들 중에는 '페이스 업', '양호한 경기장◯' 등의 여러 유효한 스킬들이 있다. 힌트 관련 서포트 효과들이 없다는 것과 3돌(Lv.45)은 해야 '초기 우정도 증가' 효과가 생긴다는 것이 단점으로 꼽히긴 하지만, 이를 고려해도 전반적인 성능은 나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 덕분에 서비스 초기 기준으로 리세마라 목표를 꼽으라고 하면 이 카드는 항상 상위 티어를 차지했고, 하야카와 타즈나 카드와 함께 '크릭-타즈나' 메타를 만들어내며 URA 시나리오를 호령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아오하루배 시나리오가 추가되면서 이 카드는 타즈나 카드와 함께 사이좋게 사장되었는데, 이는 함께 출시된 라이스 샤워 파워 SSR 카드와 카시모토 리코 카드 때문이었다. 특히 라이스 샤워 카드의 경우, 이 카드와 동일하게 '원호의 마에스트로' 스킬을 확정 지급해주는 것부터 상당한 호재였는데, 파워 트레이닝만 해도 장거리를 제외한 모든 거리에서 필요한 스태미나를 커버할 수 있었다. 카시모토 리코 카드 또한 스태미나를 많이 퍼주는 카드였기에, 둘을 함께 편성하는 '라이스-리코' 조합이 '크릭-타즈나' 조합을 대체하게 되었다. 심지어 시간에 따른 스테이터스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면서 장거리마저 커버할 수 있는 편성이 나오자, 슈퍼 크릭 카드의 채용률은 더욱 떨어졌다. 그리고 클라이맥스 시나리오가 추가된 시점에선 그 입지가 더 좁아졌는데, 급격한 스테이터스 인플레이션과 근성-지능 메타의 유행으로 스태미나 카드 전체가 완전히 자리를 잃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카드 자체의 성능이 나쁜 것은 아니어서 한정된 용도로 계속해서 쓰이긴 했다. 예컨데 초장거리 주자같이 스태미나 카드 2장을 편성하는게 보통인 육성의 경우, 이 카드가 풀돌인 상태라면 언제나 높은 우선도를 가진다. 크릭 카드와 트레이닝 성능이 그나마 근접하는 스태미나 카드들은[18] 대부분 특정 각질에 편중된 소지 스킬들을 가지고 있다보니, 스태미나 카드가 필요하면 일단 넣고 봐도 되는 크릭 카드에 비해선 범용성에서 아쉬운 점이 많기 때문. 또한 서포트 카드 풀이 빈약할 수록 크릭의 효용성이 더 커지는데, 거의 모든 서포트 덱에 고정으로 편성되다시피 하는 키타산 블랙 SSR 카드가 '코너 회복◯' 스킬의 힌트를 주는 덕택에 육성 우마무스메가 소지한 회복 스킬들보다 안정적으로 발동하는 레어 회복 스킬을 굉장히 저렴하게 습득할 수 있고, 상술했듯 스태미나 트레이닝 성능도 한 손에 꼽을 정도로 뛰어나 육성 세팅의 자유도가 매우 커진다.[19]

그리고 2.5주년 업데이트를 통해 스태미나 특기 카드들의 티어가 다시 올라갔는데, 덕분에 이 카드 또한 1티어 카드로 그 입지를 회복했다. 중거리에서도 '1000~1200 정도의 스태미나 + 레어 회복 스킬'을 요구할 정도로 능력치 인플레이션이 많이 진행됐던 상황이었는데, Project L'Arc 시나리오에선 중거리 레이스를 중심으로 진행되다보니 스태미나 카드를 1장은 편성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좋은 트레이닝 성능과 발동 조건이 간단한 회복 스킬을 소유한 크릭 카드가 재소환됐던 것인데, 유저들 사이에선 "게임이 출시된 지 한참이 지났는데도 스태미나 카드들 중에선 여전히 크릭 카드만한 카드가 없더라"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 이런 모습은 이후에 상위호환 카드인 사운즈 오브 어스 SSR 카드가 출시되어서야 끝이 났다.

여담으로, 카드 일러스트에서 슈퍼 크릭이 입은 승부복은 사실 원안 버전의 승부복이다. 유난히 다른 카드보다 가슴이 큰 것도, 원안에서는 현재 모델링보다도 더욱 거유였기 때문.

4. 밸런타인 초콜릿

슈퍼 크릭의 밸런타인 초콜릿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밸런타인 초콜릿 상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슈퍼 크릭의
수제 구운 과자 3종 세트

(スーパークリークの
手作り焼き菓子3種セット)
파일:chocolate_1004501.jpg

머머링 스트림
파일:chocolate_1004502.jpg

쉬폰 리본 머미
トレーナーさんがお菓子を『3つ欲しい』って
――私に三冠をねだってくれた時、とっても
嬉しかったんですよ。これからもどんどん
よくばりさんになってくださいね。あなたが
欲しいもの、私がぜーんぶあげたいんです♪
트레이너 선생님이 과자 『3개를 원해』 하고
…제게 3관을 달라고 하셨을 때,
정말 기뻤어요. 앞으로도 더욱더
욕심쟁이가 되어 주세요. 선생님이 원하는 것
제가 전~부 다 드리고 싶으니까요♪
}}}}}}}}} ||


[1] 슈퍼 크릭이 워낙에 장거리를 대표하는 우마무스메인지라, '2400m 이상' 조건을 장거리 레이스 조건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장거리 레이스의 기준은 2401m 이상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2400m인 중거리 레이스에서 우승해도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2] 다만 장거리 대상경주에서의 6승을 요구하는 칭호 조건과는 달리, 원본마의 6승 기록 중 두 번은 중거리인 2000m 레이스(텐노상(가을), 오사카배)였다.[3] 참고로 최초의 춘추(봄-가을) 연패를 이룬 건 타마모 크로스였다.[4] 즉 원본마의 업적은 정확히는 추춘 연패(89년도 텐노상(가을) → 90년도 텐노상(봄))였다. 하지만 국화상(목표3)과 겹쳐 클래식급 텐노상(가을)에 먼저 나가는게 불가능하고, 그렇다고 4년차를 게임에 구현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추춘 연패 대신 춘추 연패를 달성하는 것으로 조건이 변경되었다.[5] 고유 해설이 사실은 슈퍼 크릭이 아니라 타케 유타카를 의미하는 것이라 보는 해석도 있다. 타케 유타카 또한 슈퍼 크릭에 기승하면서 천재라 평가 받는 기수 생활을 시작했기 때문.[패치이전] 1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엔 회복량이 레어 회복 스킬과 동일한 5.5%였다. 1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의 고유 스킬에 대해 확인하고 싶다면 본 문서의 이전 버전(r135)을 참조할 것.[7] 초기 우마무스메들 중에서 고유 스킬 순수 회복 계열인 캐릭터는 슈퍼 크릭을 제외하면 하루 우라라 뿐이며, 나중에 추가된 승부복까지 포함해도 힐라스수스페 정도가 해당된다.[8] '2위 ~ 상위 40% 이내'는 9인 게이트 기준 2~4위, 12인 게이트 기준 2~5위에 해당된다.[9] 가령 '지구력 온존'을 막으려고 해당 스킬을 계승했는데, 중반 끝자락에 가서 발동하면 사실상 무쓸모나 다름이 없는 셈이다.[10] 게임 서비스 초기에는 실패 확률 +5%였지만, 1주년 밸런스 패치를 통해 2%로 감소했다.[11] 이는 서포트 카드의 보정 효과가 먼저 적용된 후에 상태 이상의 보정 효과가 적용되기 때문이다.[12] '훈련 능숙◯'의 경우엔 '훈련 미숙'을 얻게 되는 동시에 사라져버린다.[13] 여기에는 게임 메타의 변화도 제법 도움이 컸다. 아오하루배 시나리오에서는 지능 카드의 편성 비율이 높아 '작은 역경'의 페널티를 최소화할 수 있었고,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1주년 밸런스 패치로 '작은 역경'의 페널티가 줄어들면서 육성 난이도가 많이 완화되었기 때문.[14] 슈퍼 크릭의 고유 스킬을 계승 시 회복량은 3.5%로, 이는 일반적인 노말 회복 스킬(1.5%) 2~3개 분량에 해당한다.[15] 기본 적성 G는 아무리 인자를 많이 투입해도 적성 C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실전 주자를 뽑으려면 육성 도중에 인자 계승을 통해 거리 적성을 2~3번 계승 받아야 하는데, 보통 A 적성 주자에게 S 적성을 만들어 주기 위해 1번 계승받는 것도 도축 비율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개조 난이도는 매우 높은 셈이다.[16] 慈雨華影. '자우(慈雨)'는 '자비로운 비', '가뭄의 단비'를 뜻하는 표현이고, '화영(華影)'은 '꽃의 그림자'를 뜻하는 표현이다.[17] 스태미나형 스테이어라는 평소 이미지와는 다르게 크릭의 스태미나 성장률은 낮게 책정되는 편이다. 오리지널 승부복은 10%, 핼러윈 승부복은 8%였고, 가장 높은 닌자 크릭도 13%에 불과하다. 20% 이상인 적이 없다[18] 맨하탄 카페 SSR 카드 2장, 젠노 롭 로이 SR 카드, 나카야마 페스타 SSR 카드, 이쿠노 딕터스 SSR 카드, 메지로 파머 SSR 카드, 이렇게 6장 정도가 꼽힌다.[19] 서포트 카드 풀이 빈약할 수록 배포 카드의 비중이 커지게 되는데, 주요한 배포 스태미나 SSR 카드들(맥퀸, 라이스, 스즈카, 브라이트, 롭 로이, 하야히데 등) 전부 트레이닝 성능이 풀돌은 커녕 1돌 크릭에도 겨우 비비는 수준에 불과하다. 레어 회복 스킬을 확정 습득할 수 있는 배포 SSR 카드들로 눈을 돌려봐도, 샤커('냉정침착'), 아르당('레이스 플래너'), 스즈카('개척자'), 부르봉('개척자') 모두 스피드 특기의 카드라 애초에 논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