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12:24:23

우봉 이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牛峰 李氏
우봉 이씨
관향 <colbgcolor=#fff,#191919>황해도 금천군 우봉면
시조 이공정(李公靖)
집성촌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
황해도 금천군 좌면 고산리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 산격동, 검산동, 동변동, 서변동 일원
경기도 양평군 일원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청용리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개심리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지정리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혁전리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작천리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일원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녹시리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감곡리
인구 23,902명(2015년)
웹사이트 우봉이씨 대종회 사이트
우봉이씨 모임 카페
우봉이씨 모임 밴드

1. 개요2. 상세3. 항렬자4. 해당 인물
4.1. 고려시대 인물4.2. 조선, 근대 인물4.3. 현대 인물

[clearfix]

1. 개요

황해도 금천군 우봉(牛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 상세

시조는 고려 무신정권 시대, 병부상서를 지낸 이공정(李公靖, 1137~1212)이다.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1193년(명종 23)에 김사미·효심의 난 때 대장군 전존걸의 지휘 아래 장군으로서 다른 장군 이지순·김척후·김경부·노식 등과 함께 출전하였으나 진압에 실패하였다고 한다.#1#2#3

족보에는 명종 때 벽상삼한삼중공신, 문하시중, 잠성부원군이 되었으나, 희종 때 병부상서로 좌천되었고, 사후 삼주백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경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고려사 열전 이자성 편에서는 부친 이공정이 병부상서였다고만 기록하였다.# 다만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족보를 인용하여 삼중공신, 문하시중, 잠성부원군, 시호 문경이라고 하였다.#

살펴보건대, 명종 재위기간(1170~1197)과 시조의 생몰년(1137~1212)을 감안할 때 1193년 종4품 무관직인 장군에서 4년 안에 수상(首相)인 종1품 문하시중에 올랐다고 보기는 힘들다. 연대상 병부상서로 좌천된 것이 아니라, 계속 승진하여 정3품 병부상서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의 국방부장관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결코 낮은 자리가 아니다.

시조 이전의 역사는 실전되었으나, 관북 지방에서 발견된 전주 이씨 족보나 (구)원주 이씨 족보에 우봉 이씨 시조의 휘(諱)가 보여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구)원주이씨대동보의 원주이씨 원조록(原州李氏 遠祖錄)을 보면, 원시조 이진민(李眞民)[1]을 1세로 하여 27세 이도균(李道均)의 차남 이춘계(李春桂)가 분적하여 (구)원주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하고 있고, 3남이 이공정(李公靖)이라 하고 있다.[2] 시조와 휘가 같아 동일인 여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원주이씨 원조록의 이공정이 시조와 동일인이라고 하여도 원시조 이진민의 선계(先系)는 알 수 없는데, 일설에 따르면 신라 우장군(右將軍) 이두창(李頭昌)이 우봉 이씨의 비조(鼻祖)가 된다고 한다. 위서(僞書) 논란이 있는 신라삼성연원보(新羅三姓淵源譜, 1934)에 나오는 신라개국공신 이십대가(新羅開國功臣 二十大家) 중 한 명으로 옥저가 신라에 말[3]을 헌납하게 한 공이 있다고 한다.[4]

조선시대에 문과급제 43명, 무과급제 8명을 배출했다. 또한 내각총리대신[5] 1명, 우의정[6] 1명, 부부인[7] 1명 등 1품 이상 5명, 의정부 참찬•6조 판서•한성부판윤 등 정2품 이상 7명, 6조 참판•관찰사•순찰사 등 종2품 이상 7명을 배출하였다.[8]

우봉 이씨의 인구수는 2000년 기준으로 20,525명이고, 2015년 기준으로는 23,902명이다.

3. 항렬자

항렬자는 22세까지 오행상생법으로 쓰다가 23세에서 32세까지는 천간법을. 33세에서 44세까지는 지지법으로 항렬을 지었다.[9] 2002년판 족보 기준으로 가장 낮은 항렬은 30세이다.
23세○용(用)
24세○구(九)
25세병○(丙)
26세○녕(寧), ○형(衡)
27세무○(茂)
28세○범(範)
29세강○(康)
30세○재(宰)
31세성○(聖)
32세○규(揆)
33세학○(學)
34세○건(建)
35세인○(寅)
36세○경(卿)
37세진○(震)
38세○선(選)
39세년○(年)
40세○업(業)
41세○보(輔)
42세○준(遵)
43세성○(成)
44세○현(玄)

4. 해당 인물

4.1. 고려시대 인물

4.2. 조선, 근대 인물

4.3. 현대 인물



[1] 신라에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고려시대 관직이므로 신빙성이 떨어진다. 다만 이진민이 신라시대 인물이라는 것은 알 수 있다. 배위는 행주 기씨 기숙(奇淑)의 딸로 기록되어 있다. 기숙은 상서(尙書)를 지냈다고 하는데 이 역시 고려시대 관직이다.[2] 특이하게도 장남 이성계(李城桂)와 차남 이춘계(李春桂)는 공통적으로 계(桂)자를 쓰고 있는데, 이공정(李公靖)은 쓰고 있지 않다.[3] 말 200필이라고도 전하는데 출처는 불명이다.[4] 李頭昌, 官右將軍有沃沮獻馬之功.[5] 영의정을 고친 것으로 오늘날의 국무총리에 해당한다.[6] 숙종조 우의정 충헌공 이숙(李䎘, 1626~1688).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통칭하여 정승(政丞) 또는 상신(相臣)이라고 한다.[7]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의 어머니인 잠성부부인 이씨. 부부인은 외명부의 정1품 작위이다.[8] 대충 파악한 숫자이다. 2품 이상의 수는 더 늘어날 여지가 있다.[9] 참고로 천간법+지지법 조합으로 항렬을 짓는 예는 전주 이씨 효령대군파와 연안 이씨 태자첨사공파가 있다.[10] 6조의 종2품 차관직.[11] 종3품 무관직.[12] 성종조 청백리에 녹선.[13] 조선왕조실록에는 감사(=관찰사)라고만 나온다.[14] 岑城府夫人 牛峰 李氏(1660~1738).[15] 영조의 장인.[16] 백작에서 후작으로 승작.[17] 인권(仁卷, 1권) 821쪽 참조.[18] 이윤용은 아버지 이호준의 첩의 아들이고, 이완용은 이호준의 양자이다.[19] 출처: 시사저널 1992년 8월 27일자 기사.[20] 아버지 이춘녕이 생부(生父) 이병도의 형 이병렬에게 입양되었다.[21] 아버지 이춘녕이 생부(生父) 이병도의 형 이병렬에게 입양되었다.[22] 시조 22세 이호정의 장남 이태용의 손자(장남 이봉구의 5남)가 이병도이고, 이호정의 4남 이진용의 증손(차남 이정구의 4남 이병승의 5남)이 이어령이다. 이완용과는 족보상 31촌 관계이고 혈연적으로도 37촌 관계이므로 사실상 남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