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23:22:43

항공우주공학

항공학에서 넘어옴
파일:launch.gif.gif
새턴 V 로켓
파일:CzyhmD-UkAAzDnS.jpg 파일:external/b2a700ea488d88ebc258c69adb8df9c5e64672f64baa107cbddf6758ea43c3a5.jpg
HTV-X 보급선 록히드 SR-71 전략정찰기
1. 개요2. 명칭3. 분야4. 관련 문서
4.1. 항공우주공학과4.2. 관련 기구4.3. 관련 자격/면허/시험4.4. 관련 정보4.5. 관련 인물4.6. 관련 문서
5. 기타

[clearfix]

1. 개요

항공우주공학(航空宇宙工學, Aerospace engineering)은 항공기우주선의 설계, 제작, 운영 및 유지보수에 관한 과학 및 기술을 다루는 공학의 한 분류이다.

2. 명칭

영어 명칭의 경우 오늘날에는 '에어로스페이스 엔지니어링(aerospace engineering)이라는 명칭을 제일 많이 사용한다.[1] 사실 항공기우주선은 학문을 적용하는 대상이 달라질 뿐이지 뿌리라고 볼 수 있는 기계공학 또는 전자공학과 아예 구분되는 별도의 학문은 아니다. 하지만 이 분야가 가지는 특수성 때문에 기계공학전자공학, 화학공학에서 갈라져 나와 하나의 학제간 연구 형식의 새로운 분야를 만든 것이다.[2] 항공우주공학의 다른 표기이거나 그 집합의 일부인 학문의 명칭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이들 명칭은 단순히 패러프레이징을 위해 병용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민간 항공 또는 우주 기업의 차별적 프로모션을 위해 사용되거나, 대학의 학부나 연구실에서 특정 과목 또는 연구 분야에 더 특화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 이름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3. 분야

3.1. 기계공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계공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계공학|기계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기반 학문
물리학{고전역학(동역학 · 정역학(고체역학 · 재료역학) · 진동학 · 음향학 · 유체역학) · 열역학} · 화학{물리화학(열화학) · 분자화학(무기화학)} · 기구학 · 수학{해석학(미적분학 · 수치해석 · 미분방정식 · 확률론) · 대수학(선형대수학) · 이산수학 · 통계학}
공식 및 법칙
뉴턴의 운동법칙 · 토크 · 마찰력 · 응력(전단응력 · 푸아송 비 · /응용) · 관성 모멘트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이상 기체 법칙 · 차원분석(버킹엄의 파이 정리)
<colbgcolor=#CD6906,#555> 기계공학 관련 정보
주요 개념 재료(강성 · 인성 · 연성 · 취성 · 탄성 · 경도 · 강도) · 백래시 · 피로(피로 파괴) · 페일 세이프(데드맨 스위치) · 이격(공차 · 기하공차) · 유격 · 자유도 · 방열 · 오버홀 · 열효율 · 임계열유속 · 수치해석(유한요소해석 · 전산유체역학 · 전산응용해석)
기계 공작기계 · 건설기계 · 농기계 · 수송기계(자동차 · 철도차량 · 항공기 · 선박) · 광학기기(영사기 · 카메라) · 로봇 · 시계
기계설계·기계제도 척도 · 표현 방식(입면도 · 단면도 · 투상도 · 전개도) · 도면(부품도 · 제작도 · 조립도) · 제도용구(제도판 · 샤프 · · 삼각자 · 컴퍼스 · 디바이더 · 템플릿) · CAD
기계요소 하우징 · 결합요소(나사 · 리벳 · · · ) · 동력 전달 요소(베어링 · 기어 · 톱니바퀴 · 체인 · 벨트 · 도르래 · LM · 가이드 · 볼스크류 · · 슬리브 · 커플링 · · 크랭크 · 클러치 · 터빈 · 탈진기 · 플라이휠) · 관용 요소(파이프 · 실린더 · 피스톤 · 피팅 · 매니폴드 · 밸브 · 노즐 · 디퓨저) · 제어 요소(브레이크 · 스프링) · 태엽 · 빗면
기계공작법 공작기계(선반(범용선반) · 밀링 머신(범용밀링) · CNC(터닝센터 · 머시닝 센터 · 3D 프린터 · 가공준비기능 · CAM)) · 가공(이송 · 황삭가공 · 정삭가공 · 드릴링 · 보링 · 밀링 · 워터젯 가공 · 레이저 가공 · 플라즈마 가공 · 초음파 가공 · 방전가공 ) · 공구(바이트 · 페이스 커터 · 엔드밀 · 드릴 · 인서트 · 그라인더 · 절삭유) · 금형(프레스 금형) · 판금
기관 외연기관(증기기관 · 스털링 기관) · 내연기관(왕복엔진(2행정 기관 · 4행정 기관) · 과급기 · 가스터빈 · 제트 엔진) · 유체기관(풍차 · 수차) · 전동기 · 히트펌프
기계공학 교육 · 연구
관련 분야 항공우주공학 · 로봇공학 · 메카트로닉스 · 제어공학 · 원자력공학 · 나노과학
학과 기계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로봇공학과 · 금형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기전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과목 공업수학 · 일반물리학 · 4대역학(동역학 · 정역학 · 고체역학 · 유체역학 · 열전달) · 수치해석 · 프로그래밍 · 캡스톤 디자인
관련 기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자격증
기계제작 계열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정밀측정기능사
산업기사 및 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조립산업기사 · 기계설계산업기사 · 정밀측정산업기사 · 일반기계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기계가공기능장 · 기계기술사
항공 계열 기능사
항공기정비기능사 · 항공전기·전자정비기능사
산업기사 및 기사
항공산업기사 · 항공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체기술사
기타
}}}}}}}}} ||||

3.1.1. 유체역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체역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D98BA><colcolor=#fff> 유체와 힘 유체 · 뉴턴 유체 · 비뉴턴 유체(멱법칙 유체 · 오스트발트-드 웰 관계식 · 허쉘-버클리 유체 · 리-아이링 이론) · 압력 · 부력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 항력 (수직항력 · 스토크스 법칙) · 응력(응용) · 양력 · 표면장력 · · 밀도 · 기체 법칙 (이상 기체 법칙) · 달랑베르의 역설
유체동역학 유동 (압축성 · 탄성 · 점성/점성계수) · 난류 및 층류 · 레이놀즈 수송 정리 (체적 검사)
무차원수 마하 수 · 레이놀즈 수 · 프란틀 수 · 레일리 수 · 그라스호프 수 · 슈미트 수 · 네버러 수 · 프루드 수
방정식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연속 방정식 · 오일러 방정식 · 구성 방정식 · 베르누이 방정식 · 파스칼의 원리 · 브라운 운동 방정식 · 하겐-푸아죄유 법칙 · 글래드스톤-데일 방정식
응용 및 현상 날씨 · 모세관 현상 · 마그누스 효과 · 케이 효과 · 카르만 효과 · 사이펀의 원리 · 대류 현상 · 슬립 스트림 · 최대동압점 · 스탈링 방정식 · 벤추리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라이덴프로스트 효과
유체역학 연구 전산유체역학(CFD) · 풍동 실험 · 차원분석 }}}}}}}}}


항공기를 다루는 일이 많다 보니 유체역학(Fluid dynamics), 그 중에서도 공기역학(Aerodynamics)을 깊게 다룬다. 그래서 의외로 항공 이외에도 응용 분야가 제법 넓다. 빠른 속도로 달리는 자동차[3]은 옛날에는 그저 만들기 쉬운 형태나 그냥 멋들어진 형태로만 설계되었으나 오일 쇼크를 겪으면서 기름 값이 뛰기 시작하자 각 자동차 회사들은 항공우주공학에서 주로 다루던 공기역학 이론들을 끌어와 자동차의 외형을 설계, 공기저항을 줄여 자동차들의 연비를 높였다.[4]

과거에는 이러한 공기역학이 물리학의 한 갈래였으나, 현대 물리학은 주로 양자역학 같은 미시 세계에 대한 연구에 주력하는 동시에, 공기역학의 경우 과학적으로 다룰 수 있는 것은 이미 상당한 수가 다루어졌다. 따라서 현시대에서 공기역학은 실질적으로 과학이 아닌 공학의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완벽한 모델보다는 실제 현상을 '모사'할 수 있는 모델 개발과, 더 정확한 해석을 위한 수치적 모델 개발, 비행체들의 해석, 소음 해석 등을 수행하는 것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이러다보니 자연스레 공기역학은 (그중에서도 특히 external flow를 다루는 공기 역학은) 항공우주공학의 한 갈래로 자리잡는 추세다. 물론 항공우주공학이 공기에 관한 연구만 한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항공기나 우주선은 엄청나게 다양한 시스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항공우주공학이 다루는 분야도 발이 제법 넓다.

3.1.2. 구조역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조역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구조역학(構造力學, Structure mechanics)은 비행체의 뼈대와 같은 구조물들이 다양한 하중을 받는 상황에서도 어떻게 견디는지 살펴보는 분야이다. 특히 최근에는 복합재와 같은 소재에 관한 연구도 많이 다룬다. 또한, 단순히 구조물 자체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공기역학적인 힘에 의해 구조물이 변형되면 그 변형된 형상 때문에 다시 공기역학적인 힘이 변화하는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공력-구조 연계해석이나 공탄성해석(이건 공기역학-구조역학-진동역학 3콤보)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3.1.3. 공탄성학

공탄성학(空彈性學, Aeroelasticity)은 항공기 기체 구조의 탄성 변화와 구조에 작용하는 공기력 하중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공력에 의해 구조물이 변형되는 현상을 고려하여 유동 해석을 한다. 주로 aspect ratio가 큰 구조물에 대하여 공탄성 해석을 진행한다. (비행기 날개, 풍력 터빈,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등) 일반적으로 구조 해석은 계산이 간단하고 잘 발산하지 않으므로 더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는 CFD를 전공하는 곳에서 공탄성 해석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CFD를 하는 곳에서 공탄성 해석을 진행할 경우 간단한 beam model을 사용하여 구조 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 (Euler beam, Timoshenko beam)

3.2. 전자공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자공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전기전자공학과|전기·전자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display: inlin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9><colcolor=#fff> 학문 기반 학문
물리학 (전자기학 (회로이론 · 전자 회로 · 논리 회로) · 양자역학 · 물리화학 · 열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화학
연관 학문
수학 (공업수학 · 수치해석학 · 위상수학 · 미분방정식 · 대수학 (환론 · 표현론) · 선형대수학 · 이론 컴퓨터 과학 · 컴퓨터공학 (프로그래밍 언어 (HDL · VHDL · C · C++ · Java · 파이썬 · 베릴로그)) · 재료공학 · 제어 이론
공식 · 법칙 전자기 유도 · 가우스 법칙 · 비오-사바르 법칙 · 무어의 법칙 · 키르히호프의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로런츠 힘 · 앙페르 법칙 · 드모르간 법칙 · 페르미 준위 · 중첩의 원리
이론 · 연구 반도체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 · 디스플레이 · 논리 회로 (보수기 · 가산기 · 플립플롭 · 논리 연산) · 전자 회로 · RLC 회로 · 역률 · DSP · 히스테리시스 곡선 · 휘트스톤 브리지 · 임베디드 시스템
용어 클럭 · ASIC · CPU 관련 (BGA · 마이크로아키텍처 · GPS · C-DRX · 소켓) · 전계강도계 · 축전기 · CMCI · 전송선 · 양공 · 도핑 · 이미터 · 컬렉터 · 베이스 · 시퀀스 · 헤테로다인
전기 · 전자
관련 정보
제품
스마트폰 · CPU · GPU (그래픽 카드) · ROM · RAM · SSD · HDD · MPU · CCD · eMMC · USB · UFS · LCD · LED · OLED · AMOLED · IoT · 와이파이 · 스마트 홈 · 마그네트론 · 마이크 · 스피커 · 배터리
소자
집적 회로 · 다이오드 · 진공관 · 트랜지스터 (BJT · FET · JFET · MOSFET · T-FT) · CMOS · IGBT · 저항기 · 태양전지 · 연산 증폭기 · 사이리스터 · GTO · 레지스터 · 펠티어 소자 · 벅컨버터
자격증
전기 계열 기능사
전기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기사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공사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 철도신호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전기기능장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안전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전기철도기술사
전자 계열 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전자캐드기능사
기사
전자기사 · 전자산업기사 · 전자계산기기사 ·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전자기기기능장 · 전자응용기술사
기타 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기사
소방설비기사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 로봇기구개발기사
}}}}}}}}}

3.2.1. 제어공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어공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항공기의 제어(制御)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항공기는 비행시 다양한 공기힘에 의해 자세가 바뀌면 그에 따른 반응도 바뀌므로, 이것을 어떻게 제어할지에 대해 다룬다. 보통 제어시스템은 소프트웨어와 전자시스템이 동반되다 보니 은근히 전기전자 쪽과 연계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항공기의 항법과 관련된 것도 주로 여기서 다룬다. 특히 최근에는 항공기에 제어용 컴퓨터가 필수로 들어가는 데다 무인기, 무인 우주선이 늘어감에 따라 제어공학의 중요성도 커져가고 있다.

3.2.2. 컴퓨터공학

IT의 바람은 항공업계에도 불어닥치고 있다. 날이 갈수록 신항공기를 개발하는 데 드는 돈에는 당장 눈에 보이는 항공기 몸체를 개발하는 것 못지 않게 그 안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에도 엄청난 돈이 드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항공기 개발에 필요한 각종 설계 및 해석용 소프트웨어 개발도 제법 돈이 되기도 한다. 여기에 항공기용 전자장비(항전장비, Avionics)도 도리어 다른 IT 시장의 기술이 접목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또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필두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최근 일론 머스크가 CEO로 있는 스페이스X사의 스타링크 서비스가 대표적인 접목의 예시.

3.2.3. 항공전자공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항공전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항공전자공학(航空電子工學, Avionics), 또는 항전공학(航電工學)은 항공전자에 관한 연구 분야로, 항공, 우주의 비행, 미사일용 전자기기 장비에 관한 연구이다.

3.3. 화학공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학공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1. 추진공학

추진공학(推進工學, Propulsion engineering)은 로켓 등의 비행체가 추진하는 데 필요한 원리, 시스템과 그 효율 등을 주 목적으로 연구하는 항공우주공학의 한 분야이다.

주로 제트 엔진로켓 엔진 같은 분야를 다룬다. 이것들도 결국 공기의 힘을 이용하므로 공기역학과 비슷해 보이지만, 공기역학과는 달리 높은 온도나 다양한 화학반응을 동반한 해석과 실험을 한다. 물론 열역학도 필수. 특히 로켓 엔진 연구자들 중에는 아예 학위를 박사까지 화학공학으로 받고 로켓 만드는 이들도 있다. 로켓의 초창기부터 화학공학의 지식은 기계공학 못지 않은 중요한 분야여서 많은 화공 엔지니어들이 연구에 동원되었고,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잘 알려진 희대의 로켓천재 베르너 폰 브라운의 로켓 동아리에서도 비록 대부분은 기계/항공/전자 전공이었지만 베르너의 동생 마그누스 폰 브라운 등 화학공학 전공자들이 여럿 포함되어 있었고, 우주왕복선SRB 제작사인 모턴 타이오콜은 초창기에는 화공 회사였다. 우주비행사들 역시 화학공학 전공자들이 은근히 있다.

3.4. 산업공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산업공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최근에는 전통적인 연구와 더불어 산업공학(產業工學, Industrial engineering)적인 색채를 띄는 체계공학(體系工學, System Engineering)도 많이 접목되고 있다. 이는 항공기 및 우주선이라는, 복잡한 시스템이 서로 연계되어 있는 큰 시스템(체계)를 어떻게 최대한 삽질하지 않고 개발할지 연구하는 학문.

4. 관련 문서

4.1. 항공우주공학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항공우주공학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실상 항공공학과 우주공학이 합쳐진 학과로, 기계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등이 합쳐진 학제간 연구 분야로 볼 수 있다. 추진공학 쪽으로는 화학공학과과도 관련이 크고 구조 관련으로는 재료공학도 관련이 있다.

다른 공학과와 차별되는 점이라면 공기에 대한 유체역학을 배운다는 점이다. 기본적인 유체역학이나 물, 기름과 관련된 유체역학은 다른 과에서도 배우지만, 아음속-초음속 공기 속에서의 형상에 따른 공기역학은 항공우주공학과를 차별화하는 특징이다. 제어공학도 비행체의 3축 제어 위주로 배우게 된다.

4.2. 관련 기구

우주기구
Space Organization
{{{#!wiki style="margin: -0px -12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ESA 참가국 지도.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미국 항공우주국|
미국 항공우주국
(NASA)
]]
[[로스코스모스|
러시아 국영우주공사
(Roscosmos)
]]
[[유럽우주국|
유럽 우주국
(ESA)
]]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JAX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우주항공청_국문로고.svg파일:우주항공청 로고_다크모드.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로고 고화질.png
[[우주항공청|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KASA)
]]
[[ISRO|
인도 우주연구기구
(ISRO)
]]
[[국가항천국|
중국 국가항천국
(CNSA)
]]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북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NATA)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우주국 로고.svg
[[아랍에미리트 우주국|
아랍에미리트 우주국
(UAESA)
]]
}}}}}}}}}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 개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주요 우주 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 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 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 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 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 ||


4.3. 관련 자격/면허/시험

4.4. 관련 정보

4.5. 관련 인물

4.6. 관련 문서

5. 기타



[1]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NASA를 'National AeroSpace Agency'로 잘못 알고 있지만, 사실 NASA는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이다.[2] 비슷하게 파생한 학문의 예로 자동차공학과를 들 수 있다.[3] 특히 슈퍼카나 경주차.[4] 그래서 60-70년대에는 미학적 감성을 강조한 곡선 디자인의 차라 많았지만 80년대 들어선 전세계 모든 차량들이 각디자인이 된 이유다. 겉보기엔 공기역학적으로 불리할 것 같으나 당시 컴퓨터 디자인 등 최신 기술이 집약된 첨단 그 자체였다. 실제로도 당시 [math(C_d)]값은 준수한 수준이였다.[5] 물론 아래 설명되는 항공공학 같은 게 아니라 10년 간의 우주 궤도를 계산해서 날아오는 혜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것 같은 일에 빗대어 말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