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21:05:57

존 맥키

J.L. 맥키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철학적 인간학 셸러 · 부버 · 겔렌
하이데거
실존주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야스퍼스 · 틸리히 · 마르셀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바디우 · 지젝 · 네그리 · 가라타니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21세기 실재론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피셔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굿맨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더밋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20세기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핸슨 ·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엘륄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매클루언
정치철학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호페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푀겔린 · 랜드 · 아롱 · 커크 · 크리스톨 · 후쿠야마
윤리학 규범윤리학: 톰슨 · 네이글 · 레건 · 파핏 · 싱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인식론 게티어 · 골드만
법철학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종교철학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베유 · · 지라르 ·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크레이그
탈식민주의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크렌쇼
환경철학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롤스톤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존 맥키
John Macki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ohn_Leslie_Mackie.jpg
본명 존 레슬리 맥키
John Leslie Mackie
출생 1917년 8월 25일
호주 자치령 뉴사우스웨일스 시드니
사망 1981년 12월 12일 (향년 64세)
영국 잉글랜드 옥스퍼드
국적
[[호주|]][[틀:국기|]][[틀:국기|]]
신체 NNNcm, NNkg, 혈액형
가족 이름 (관계)
학력 초등학교 (졸업·중퇴)
중학교 (졸업·중퇴)
고등학교 (졸업·중퇴)
대학교 단과대학 (학과1·학과2[복수전공] / 재학·학사·중퇴)
종교 종교
직업 철학자
소속 소속
서명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개요2. 생애3. 견해
3.1. 객관적 도덕가치에 대한 비판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호주 출신의 분석철학자. 조지 에드워드 무어와 함께 현대 메타윤리학의 대표자다. 도덕적 회의론을 주장했다. 종교철학, 형이상학, 언어철학에도 기여했다.

2. 생애

1917년 8월 25일 호주 시드니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Annie Burnett Duncan은 학교 선생님이었고 아버지 Alexander Mackie는 시드니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였다. 시드니 대학교에서 철학자 존 앤더슨 (John Anderson) 밑에서 수학했다. 1938년 시드니 대학교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했다.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3. 견해

3.1. 객관적 도덕가치에 대한 비판

맥키는 객관적 도덕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며 자신을 도덕회의론자로 규정한다.[2] 그러나 그는 자신의 이론을 다른 도덕회의론와 혼돈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이를 명백하게 구분한다. 맥키에 따르면, "모든 도덕판단을 말 그대로 부인하는 도덕회의론자의 견해, 또는 관습적으로 도덕이라고 받아들여지는 그 모든 것에 대해 도덕적으로 몽땅 반대한다는 점을 표출하는 일종의 도덕판단을 내리는 도덕회의론자의 견해"를 일차 도덕논의라고 정의하며 자신의 이론은 도덕가치의 위상과 도덕적 가치의 본질에 관한 견해이며 이는 이차 도덕논의에 속한다고 말하고 있다. [3]

즉, 일차논의는 모든 도덕판단을 부인하지만 실제로는 한 사회에서 통용되는 도덕판단만을 부인하는 것이며 도덕적 규범만을 다루고 있다. 반면에 이차논의는 도덕가치의 위상과 본질에 대한 존재론적인 물음이다. 쉽게 말하면 일차논의는 규범윤리학 영역이고 이차논의는 메타윤리학 영역이다. 맥키는 이 두 논의는 단지 별개가 아니고 완벽하게 독립적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차논의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면서 일차논의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맥키의 도덕회의론과 문화상대주의는 객관적 도덕가치를 부인한다. 문화상대주의에 의하면, 도덕성은 단지 문화에 의해 생성된 가치일 뿐이다. 이런 이유로 다른 문화권에 있는 사회는 서로 다른 자신만의 도덕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문화상대주의는 이러한 사실을 인정한다면 문화간에 갈등이 멈출 수 있기 때문에 문화적 가치의 관용을 강조하고 있다. 맥키의 도덕회의론과 문화상대주의의 차이점은 전자는 객관적 도덕가치를 존재론적으로 부인하며, 후자는 비록 객관적 도덕가치는 없지만 도덕사실은 문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논지다.

"이렇게 객관적 도덕가치를 부정하고 그런 가치에 대한 믿음을 잘못이라고 보는 그의 이론을 '오류이론(error theory)'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그의 도덕이론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다."[4] 오류이론은 '상대성에 근거한 논증(Argument from Relativity)'와 '기이함에 근거한 논증(Argument from Queerness)'으로 나뉜다.

상대성에 근거한 논증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1. 도덕률은 사회, 시대, 그리고 사회집단/계급마다 다르다.

2. 도덕적 비합의에 대한 최선의 설명: 지식이 아닌 서로 다른 삶의 방식을 반영한다. (도덕은 객관적 도덕적 진리와 같은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단지 삶의 문제이다)

맥키의 오류이론에서는 사실상 두 번째 논증(기이함에 근거한 논증)이 훨씬 더 유명하고 비중있게 논의된다. 맥키에 따르면 만약 객관적 도덕가치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그러한 도덕가치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한다. 첫째는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조건이고, 둘째는 인식론적 조건이다. "그의 논증에서는 이 두 가지 조건은 서로 보완의 입장에 있다. 즉 객관적 도덕가치는 존재하지 않으니 우리가 알 수 없고 또 우리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니 그런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5]

먼저, 존재론적 조건은 다음과 같다: 만약 객관적 도덕가치가 존재한다면, 이 세계의 대상들과는 다른 어떤 대상(비자연적 대상)이 존재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자연적 대상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적 세계와 존재론적으로 다르다. 이것은 매우 기이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적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인식론적 조건도 위와 비슷하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만약 우리가 객관적 도덕가치를 인식한다면, 우리에겐 도덕적 지각 또는 직관과 같은 특수한 인지기관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관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방식과 다르다. (다시 말해, 우리의 인식적 기관은 자연적 속성의 것인데 이러한 비자연적 대상인 객관적 도덕가치를 인식하기 위해선 그와 본질적으로 비슷한 비자연적인 인식기관이 있어야 한다.) 이는 기이하다. 그렇기 때문에 객관적 도덕가치를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4. 관련 문서


[복수전공] [2] Ethics: Inventing Right and Wrong (1977), Viking Press.[3] 김신의 논문 "도덕사고의 일차 및 이차 논의: 윤화영 교수의 '인지론'".[4] 윤화영 논문 "존 맥키의 “기이함에 근거한 논변” 비판"[5] 윤화영 논문 "존 맥키의 “기이함에 근거한 논변”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