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鞦 문서 참고하십시오.
秋 가을 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 ||||||
일본어 훈독 | あき, とき | ||||||
- | |||||||
표준 중국어 | qi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秋의 필순
[clearfix]
1. 개요
秋는 '가을 추'라는 한자로, '가을'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가을 |
음 | 추 | |
중국어 | 표준어 | qiū |
광동어 | cau1 | |
객가어 | chhiû | |
민동어 | chiŭ | |
민남어 | chhiu | |
오어 | qieu (T1) | |
일본어 | 음독 | シュウ |
훈독 | あき, とき | |
베트남어 | thu |
유니코드에는 U+79CB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ㄑㄧㄡ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木火(HDF)로 입력한다.
다음과 같은 이체자들이 있다. : 秌, 𤇫, 𥝛, 𥡄, 𥡌 등등. 일부 웹환경에서는 글자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할 것.
秋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갑골문에서의 귀뚜라미의 형상을 한 글자였다. 귀뚜라미가 가을에 우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는 가을에 귀뚜라미나 메뚜기 등이 농작물을 해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후 자형 변화도 설이 분분한데...
- 그러나 이후에 그 글자는 폐기되고 벼 화(禾)와 불 화(火)를 합쳐 화전을 나타내는 회의자로 변화했다.
- 귀뚜라미의 머리를 禾, 꼬리를 火로 오인하고 몸뚱이는 龜가 되었다가, 이후 龜가 생략됐다.
- 농작물을 해치는 귀뚜라미를 불에 구워 방제한다는 뜻으로 禾와 龜와 火를 합했다가, 이후 龜가 생략됐다.
중국에서는 밀치끈 추(鞦)의 간체자로도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 계추(季秋)
- 만추(晩秋)
- 맹추(孟秋)
- 아키타견(秋田犬)
- 영추문(迎秋門)
- 입추(立秋)
- 중추(中秋/仲秋)
- 추경(秋景/秋耕)
- 추분(秋分)
- 추석(秋夕)
- 추수(秋收)
- 추야(秋夜)
- 추월(秋月)
- 추풍(秋風)
- 춘추(春秋)
- 춘하추동(春夏秋冬)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일본에서 인명으로 많이 쓰는 편이다.
3.3.1. 실존 인물
- 김추자(金秋子)
- 아키모토 마나츠(秋元 真夏)
- 아키모토 사야카(秋元 才加)
- 아키모토 야스시(秋元 康)
- 아키모토 오사무(秋本 治)
- 아키모토 요스케(秋元 羊介)
- 아키야마 나나(秋山 奈々)
- 아키야마 요시후루(秋山 好古)
- 아키타 요시노부(秋田 禎信)
- 아키타 히로무(秋田 ひろむ)
- 정사오추(鄭少秋) - 홍콩의 영화배우. 본명은 황가충(黃可忠).
3.3.2. 가상 인물
-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 義秋)
- 아키모토 시로(秋元 詩郞)
- 아키시노 히메카(秋篠 姫香)
- 아키야마 나나코(秋山 奈々子)
- 아키야마 미오(秋山 澪)
- 아키즈키 신야(秋月 真也)
- 케이카인 아키후사(花開院 秋房)
- 행추(行秋)
- 히나타 아키(日向 秋)
- 히나타 아키나(日向 秋菜)
3.4. 지명
- 국내
- 대전광역시 동구 추동(秋洞)
-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秋風嶺面)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秋富面)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秋洞里)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갑천면 추동리(秋洞里)
- 충청북도 보은군 회남면 신추리(新秋里)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추계리(秋鷄里)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오추리(梧秋里)
-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 추광리(秋光里)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秋洞里)
-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秋山里)
-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추성리(秋城里)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추량리(秋良里)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추월리(秋月里)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응추리(鷹秋里)
-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추산리(秋山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추곡리(秋谷里)
-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추봉리(秋峯里)
- 해외
3.5. 철도역
3.6. 기타
3.7. 일본어
3.7.1. 훈독
- [ruby(秋,ruby=あき)]: 가을
- [ruby(男心,ruby=おとこごころ)]と[ruby(秋,ruby=あき)]の[ruby(空,ruby=そら)]: 사내의 마음과 가을 날씨; 사내의 마음이 가을 날씨와 같이 잘 변한다는 뜻.
- [ruby(女心,ruby=おんなごころ)]と[ruby(秋,ruby=あき)]の[ruby(空,ruby=そら)]: 여자의 마음과 가을 날씨; 여자의 마음이 가을 날씨와 같이 잘 변한다는 뜻.
- [ruby(秋刀魚,ruby=さんま)]: 꽁치
가을에 살이 찌고 칼처럼 길쭉하게 생긴 물고기라는 뜻으로, 훈독하는 법이 특이한 숙자훈으로 유명하다.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표현이지만, '추도어'가 꽁치의 다른 표현으로 사전에 기재되어 있다.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炏(불꽃 개)
- 耿(빛날 경)
- 𦈦(불붙을 기)
- 阦(볕 양)[2]
- 𪌌(더울 열)[3]
- 𣏹(재앙 재)[4]
- 狄(오랑캐 적)
- 𩵰(탈 집)
- 𡵼(숯 탄)
- 吙(내쉬는숨 화)
- 伙(세간 화)
- 鈥(홀뮴 화)
- 𣧛(전)
- 𣲧
- 𣃛
- 𤘭
- 𥘙
- 𪻓
- 𤰹
- 𥄣
- 𫘉
5.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愁(근심 수)
- 𩘌(바람소리 수)
- 㡑(머리쓰개 조)
- 鍬/鍫(가래 초)
- 愀(근심할 초, 쓸쓸할 추)
- 煍(색변할 초)
- 偢(인정없을 초)
- 楸(가래 추)
- 𧇸(가을 추)
- 蝵(거미 추)
- 𢃸(구겨질 추, 머리쓰개 조)
- 䎿(귀울릴 추)
- 𧡣(근심스레볼 추)
- 湫(늪 추, 웅덩이 초)
- 萩(다북쑥 추)
- 𨺹(다할 추)
- 湬(다할 추, 낮을 초)
- 䵸(두꺼비 추/축)
- 揫/揪(모을 추)
- 鶖/𪃩(무수리 추)
- 鰍/𩹤(미꾸라지 추)
- 鞦/䋺(밀치끈 추)
- 䨂(병아리 추)
- 瞅(볼 추)
- 𨍊(수레바퀴의살 추)
- 鬏(수염 추)
- 醔(술맡은벼슬아치 추)
- 啾(어린애의작은소리 추)
- 媝(여자의자 추)
- 䐐(오금 추)
- 𨡲(용수 추)
- 甃(우물벽돌 추)
- 㾭(움츠릴 추)
- 啾(읊조릴 추)
- 𩝋(음식이름 추)
- 篍(퉁소 추)
- 踿(가까이다가설 축)
- 𦂎(오그라질 축)
- 𧤙(수)
- 𪍗(추)
- 𠩾
- 𪝲
- 𡥻
- 𡺘
- 𡟊
- 𤋦
- 𫐵
- 𤧐
- 𥔍
- 𤧦
- 𧎐
- 𫆉
- 𧷂
- 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