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6:56:39

재 성에서 넘어옴
재 성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중학교
준4급
-
일본어 음독
ジョウ, セイ
일본어 훈독
しろ,
-
표준 중국어
ché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
3.1. 단어3.2. 고사성어/숙어3.3. 인명
3.3.1. 실존인물3.3.2. 가상인물
3.4. 지명
3.4.1. 대한민국3.4.2. 해외
3.5. 건축물3.6. 창작물3.7. 역명3.8.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城은 '재 성'이라는 한자로, '(城)'을 뜻한다. 재는 성의 옛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7C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IHS(土戈竹尸)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흙 토)와 음을 나타내는 (이룰 성)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디 으로 쌓은 것만 뜻하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나 나무 등으로 쌓은 것도 뜻하게 되었다.

도시를 뜻하기도 한다. 한 예로 조선시대 한성(漢城)은 서울 한양도성뿐만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시가지를 통틀어 일컫는 지명이다. 중국어에서는 이런 특징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영어의 city를 중국어로는 城이라고 번역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미디어시티, 송도국제도시, 파라다이스시티는 각각 数码媒体城, 松島国际城, 百乐达斯城이다.

일본어 훈독으로는 しろ라고 읽으나 지명에서는 き, ぎ로 읽는 경우도 흔하다.[1]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3.1. 실존인물

3.3.2. 가상인물

3.4. 지명

3.4.1. 대한민국

城이 들어가는 지명 (국내)
수도권 서울 <colbgcolor=#fff,#191919> 성동구(城)
성북구(城)
마포구 성산동(城)
강동구 성내동(城)
경기 성남시(城)
안성시()
화성시()
평택시 안중읍 성해리(城), 용성리()
인천 강화군 불은면 넙성리(), 덕성리()
관동 영서 횡성군()
영동 고성군()
영남 경남 고성군()
경북 의성군()
대구 동구 능성동()
중구 남성로(), 달성동(), 동성로(), 북성로(), 서성로(西)
북구 고성동()
수성구() 수성동()
울산 남구 성암동(城), 황성동()
중구 성남동(城), 학성동()
부산 서구 토성동()
호남 광주 서구 농성동()
전남 곡성군()
보성군()
장성군()
전북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
남원시 대산면 금성리(), 보절면 성시리(城), 아영면 성리(城), 인월면 성산리(城)
정읍시 수성동()
호서 대전 동구 성남동(城)
서구 기성동()
유성구() 신성동()
중구 산성동()
세종 나성동()
금남면 감성리(), 전동면 송성리()
충남 홍성군()
천안시 서북구 부성동(), 동남구 문성동(), 원성동(), 성남면(城)
충북 음성군()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구성리(), 오창읍 주성리(), 흥덕구 강내면 태성리()
城이 들어가는 지명 (북한)
관서 평양 서성구역(西)
평남 평성시()
평북 구성시()
자성군()
창성군()
관북 함남 고원군 천성리(), 성내리(城), 성남리(城)
함북 경성군(]
성진시(城)
온성군()
종성군()
학성군()
해서 개성 개성시()
황남 벽성군()
황북 사리원시 대성동(), 성문동(城), 성산리(城)

3.4.2. 해외

城이 들어가는 지명 (일본)
도호쿠 키타토호쿠 <colbgcolor=#fff,#191919> 아키타현 미나미아키타군 고조메마치()
미나미토호쿠 미야기군()
타가죠시()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간토 키타칸토 도쿄도 이나기시()
미나미칸토 이바라키현() 유키군()
주부 토카이 아이치현 신시로시(), 안조시()
간사이 교토 교토부 조요시(城)
소라쿠군 미나미야마시로촌()
나라 카츠라기시(葛城市), 키타카츠라기군()
시키군()
미에 와타라이군 타마키초()
오사카 오사카시 조토구(城)
큐슈 가고시마 오시마군 아마기초()
구마모토 우키시()
시모마시키군()
카미마시키군() 마시키마치()
미야자키 미야코노죠시()
코유군 키조초()
사가 오기시()
후쿠오카 오노죠시()
후쿠오카시 조난구(城南区)
오키나와 도미구스쿠시()
城이 들어가는 지명 (중국)
둥베이 지린성 바이청시(白城市)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아청구(), 솽청구()
화베이 베이징 둥청구()
시청구(西)
산시성 윈청시()
화둥 산둥성 랴오청시(聊城市)
윈청현()
쥐안청현()
안후이성 쉬안청시()
장쑤성 옌청시()
홍콩 구룡성구()

3.5. 건축물

3.6. 창작물

3.7. 역명

역명에 城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도시철도)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漢城大入口驛)
파일:Seoulmetro7_icon.svg 수도권 전철 7호선 남성역(南城驛)
파일:Seoulmetro8_icon.svg 수도권 전철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南漢山城入口驛)
몽촌토성역(夢村土城驛)
산성역(山城驛)
파일:Seoulmetro9_icon.svg 수도권 전철 9호선 한성백제역(漢城百濟驛)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강선 성남역(城南驛)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구성역(駒城驛)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A선 구성역(駒城驛)
성남역(城南驛)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농성역(農城驛)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성서산업단지역(城西産業團地驛)
수성구청역(壽城區廳驛)
수성못역(壽城못驛)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達城公園驛)
수성구민운동장역(壽城區民運動場驛)
수성시장역(壽城市場驛)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유성온천역(儒城溫泉驛)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토성역(土城驛)
역명에 城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일반철도)
경강선 횡성역(橫城驛)
경전선 반성역(班城驛)
보성역(寶城驛)
신성역(新城驛)
조성역(鳥城驛)
동해선 기성역(箕城驛)
영동선 봉성역(鳳城驛)
서해선 서화성역(西華城驛)
화성시청역華城市廳驛)
장항선 홍성역(洪城驛)
전라선 곡성역(谷城驛)
산성역(山城驛)
중부내륙선 앙성온천역(仰城溫泉驛)
중앙선 의성역(義城驛)
충북선 음성역(陰城驛)
호남선 임성리역(任城里驛)
장성역(長城驛)
역명에 城이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강원선 성산역(城山驛)
금강산청년선 고성역(高城驛)
렴성역(濂城驛)
만포선 성간역(城干驛)
중성간역(中城干驛)
백두산청년선 성덕역(城德驛)
성후역(城後驛)
북부내륙선 자성역(慈城驛)
평남선 귀성역(貴城驛)
평라선 경성역(鏡城驛)
성내역(城內驛)
평성역(平城驛)
학성역(鶴城驛)
평부선 개성역(開城驛)
귀성역(貴城驛)
태백산성역(太白山城驛)
함북선 수성역(輸城驛)
온성역(穩城驛)
종성역(鍾城驛)
역명에 城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JR)
파일:JRC-SKS.svg 도카이도 신칸센 미카와안조역(三河安城駅)
파일:JRK-JB.svg 가고시마 본선 미즈키역(水城駅)
소조다이가쿠마에역(崇城大学前駅)
오노죠역(大野城駅)
쿠마노죠역(隈之城駅)
파일:JRW-Q.svg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선)
나라야마역(平城山駅)
파일:JRK-JF.svg 닛포 본선 니시미야코노죠역(西都城駅)
미야코노죠역(都城駅)
조노역(城野駅)
츠이키역(築城駅)
타카죠역(高城駅)
파일:JRC-CA.svg 도카이도 본선
(JR 도카이)
미카와안조역(三河安城駅)
안조역(安城駅)
파일:JRE_Wlogo.svg 도호쿠 본선 코쿠후타가죠역(国府多賀城駅)
파일:JRW_Wlogo.svg 산요 본선 조토역(城東駅)
파일:JRW_Wlogo.svg 산인 본선 키노사키온센역(城崎温泉駅)
파일:JRK-JE.svg 치쿠호 본선
(와카마츠선)
혼조역(本城駅)
파일:JRE_Wlogo.svg 오우 본선 츠가루신조역(津軽新城駅)
파일:JRE_Wlogo.svg 우에츠 본선 이와키미나토역(岩城みなと駅)
파일:JRWhs-P.svg 게이비선 빈고사이죠역(備後西城駅)
토조역(東城驛)
파일:JRW-D.svg 나라선 야마시로아오다니역(山城青谷駅)
야마시로타가역(山城多賀駅)
조요역(城陽駅)
파일:JRE-JN.svg 난부선 무사시신죠역(武蔵新城駅)
이나기나가누마역(稲城長沼駅)
파일:JRC_Wlogo.svg 메이쇼선 이에키역(家城駅)
파일:JRE_Wlogo.svg 미토선 유키역(結城駅)
히가시유키역(東結城駅)
파일:JRE_Wlogo.svg 반에츠토선 이와키토키와역(磐城常葉駅)
파일:JRK-JC.svg 사사구리선 키도난조인마에역(城戸南蔵院前駅)
파일:JRC_Wlogo.svg 산구선 토키다역(外城田駅)
파일:JRE_Wlogo.svg 센세키선 미야기노하라역(宮城野原駅)
타카기마치역(高城町駅)
타가죠역(多賀城駅)
파일:JRE_Wlogo.svg 스이군선 이와키모리야마역(磐城守山駅)
이와키아사카와역(磐城浅川駅)
이와키이시이역(磐城石井駅)
이와키이시카와역(磐城石川駅)
이와키타나쿠라역(磐城棚倉駅)
이와키하나와역(磐城塙駅)
파일:JRE_Wlogo.svg 아가츠마선 이치시로역(市城駅)
파일:JRE_Wlogo.svg 에치고선 오기노조역(小木ノ城駅)
파일:JRW-O.svg 오사카 순환선 오사카죠코엔역(大阪城公園駅)
파일:JRE_Wlogo.svg 오이토선 미나미카미시로역(南神城駅)
카미시로역(神城駅)
쿠비키오노역(頸城大野駅)
파일:JRS-U.svg 요산선 이요이와키역(伊予石城駅)
파일:JRC-CD.svg 이다선 나가시노조역(長篠城駅)
노다조역(野田城駅)
시로니시역(城西駅)
신시로역(新城駅)
파일:JRE_Wlogo.svg 조반선 이와키오타역(磐城太田駅)
파일:JRW_Wlogo.svg 죠하나선 죠하나역(城端駅)
파일:JRK_Wlogo.svg 카라츠선 오기역(小城駅)
파일:JRE_Wlogo.svg 코우미선 타츠오카조역(龍岡城駅)
파일:JRC-CD.svg 히타히코산선 조노역(城野駅)
파일:JRW-H.svg JR 도자이선 오사카죠키타즈메역(大阪城北詰駅)
역명에 城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대형사철)
파일:NT-A.svg 니시테츠 아마기선 오키역(大城駅)
파일:Tobu-TI.svg 도부 키류선 아카기역(赤城駅)
파일:MT-NH.svg 메이테츠 나고야 본선 신안조역(新安城駅)
파일:MT-GN.svg 메이테츠 니시오선 미나미안조역(南安城駅)
신안조역(新安城駅)
키타안조역(北安城駅)
파일:MT-ST.svg 메이테츠 세토선 오모리·킨죠가쿠인마에역(大森·金城学院前駅)
파일:ODK-OHb.svg 오다큐 오다와라선 세이죠가쿠엔마에역(成城学園前駅)
파일:Keio-KO.svg 케이오선 히라야마죠시코엔역(平山城址公園駅)
파일:Keio-KO.svg 케이오 사가미하라선 이나기역(稲城駅)
파일:KT-B.svg 킨테츠 교토선 헤이죠역(平城駅)
파일:KT-F.svg 킨테츠 미나미오사카선 보죠역(坊城駅)
이와키역(磐城駅)
역명에 城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도시철도)
파일:KTsub-T.svg 교토 지하철 토자이선 니조조마에역(二条城前駅)
파일:kumamotoTB_Wlogo.png 구마모토 시영 전차 구마모토죠·시야쿠쇼마에역(熊本城・市役所前停留場)
파일:NGYSub-M.svg 나고야 지하철 메이죠선 메이죠코엔역(名城公園駅)
파일:Meirinko_Wlogo.png 메이린코 아오나미선 킨죠후토역(金城ふ頭駅)
파일:Okaden-H.svg 오카덴 히가시야마 본선 시로시타역(城下停留場)
파일:CM-CM.svg 치바 도시 모노레일 2호선 치시로다이역(千城台駅)
파일:KKUM_Wlogo.svg 키타큐슈 고속철도 코쿠라선 조노역(城野駅)
치시로다이키타역(千城台北駅)
파일:HiroRapi.svg HRT 아스트램 라인 죠호쿠역(城北駅)
역명에 城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기타)
파일:SangiRW_Wlogo.png 산기 철도 산기선 야마조역(山城駅)
파일:OhmiRW_Wlogo.svg 오미 철도 본선 미나쿠치마츠오역(水口松尾駅)
파일:Joden_Wlogo.png 우에다 전철 벳쇼선 시로시타역(城下駅)
파일:Izukyu_Wlogo.svg 이즈 급행선 조가사키카이간역(城ヶ崎海岸駅)
파일:IsumiRW_Wlogo.svg 이스미 철도 이스미선 시로미가오카역(城見ヶ丘駅)
파일:Joden_SQlogo.png 조모 전철 조모선 아카기역
조토역(城下駅)
키노사키 로프웨이 키노사키온센역(城崎温泉駅)
파일:도야마 지방철도 흰색 심볼.svg 치테츠 도야마항선 죠가와라역(城川原駅)
파일:Tosaden_Wlogo.svg 토사덴 이노선 고치죠마에역(高知城前停留場)
파일:HOR_Wlogo.svg 히사츠 오렌지 철도선 사츠마타키역(薩摩高城駅)

3.8.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茨城(이바라키), 宮城(미야기)[2] (밝을 성)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