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6 22:12:34

광주읍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4032e> 서울·인천 한양도성 · 교동읍성
경기도 수원화성 · 수원고읍성 · 안산읍성
충청북도 청주읍성 · 충주읍성
충청남도 결성읍성 · 남포읍성 · 보령읍성 · 대흥읍성 · 덕산읍성 · 면천읍성 · 비인읍성 · 서천읍성 · 한산읍성 · 해미읍성 · 홍주읍성
전북 고부읍성 · 고창읍성 · 남원읍성 · 무장읍성 · 전주부성
광주·전라남도 강진읍성 · 광주읍성 · 나주읍성 · 낙안읍성 · 순천읍성 · 진도읍성 · 흥양현읍성
대구·경상북도 경주읍성 · 대구읍성 · 선산읍성 · 성주읍성 · 안강읍성 · 안동읍성 · 연일읍성 · 영주읍성 · 영천읍성 · 장기읍성 · 청도읍성 · 흥해읍성
부산·울산 기장읍성 · 동래읍성 · 언양읍성
경상남도 고성읍성 · 김해읍성 · 밀양읍성 · 사천읍성 · 양산읍성 · 영산읍성 · 웅천읍성 · 진주성 · 하동읍성 · 함양읍성
기울임체는 문루 및 성곽이 대부분이 소실되어 터만 남은 읍성, 볼드체는 대부분이 보존, 복원된 읍성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산성 틀 바로가기
}}}}}}}}}

1. 개요2. 무진도독성
2.1. 기록2.2. 위치, 규모2.3. 구조
3. 광주읍성
3.1. 역사3.2. 구조, 건축
3.2.1. 성벽3.2.2. 성내
3.2.2.1. 도로3.2.2.2. 객사3.2.2.3. 관아3.2.2.4. 기타
3.2.3. 성저
3.3. 광주읍성과 방위

1. 개요

조선 전라도 광주목의 중심지였던 현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었던 읍성이다. 극히 일부만이 남아서, 1994년에 광주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20호 '광주읍성 유허'로 지정되었다.

2. 무진도독성

무진도독성(또는 무진도독고성)은 광주읍성의 전신이 되는 통일신라 시대의 토성이다. 이름처럼, 통일신라 무진주 도독의 치소가 있었다. 7세기 후반에 무진주가 설치된 후, 8세기 말~9세기 초에 건설되어 통일신라 말까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최영주,2021]

2.1. 기록

통일신라 기록에는 문무왕 또는 신문왕 재위기에 무진주를 설치해 도독을 파견했다고 하지만, 성에 관한 언급은 없다. 성에 관한 기록은 조선시대부터 나타난다. 세종실록지리지(1452),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여지도서(1765), 광주목지(1798), 대동지지(1866) 등에 언급되어 있다.
무진도독 때의 옛 토성: 둘레가 2,560보이다.[세종실록지리지]
무진도독고성: 현의 북쪽 5리에 있다. 흙으로 쌓았는데 주위가 32,448척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
무진도독고성: 주의 북쪽 5리에 있다. 흙으로 쌓았는데 주위가 32,448척이다. 지금은 없어졌다.[여지도서]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달리 ("현"이 "주"로 바뀌었고) "지금은 없어졌다(今廢)"는 내용이 추가됐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편찬 때에는 흔적이 어느 정도 남아있었으나, 200년이 지나는 동안 침식 등으로 인해 흔적이 아예 없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2. 위치, 규모

위치는 광주 원도심인 금남로·충장로 일대로 추정된다. 도독성에 관한 기록,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건물지·우물지·기와 조각 등 유물, 인근 사찰지(성거사지, 백천사지, 십신사지 등), 방리제에 따른 격자형 구획, 일제강점기 지적원도·지형도에 나타난 흔적 등을 근거로 한다.[임영진,2008][황인호,2014][최영주,2021]

'무진도독성이 현의 북쪽 5리에 있다'는 기록[신증동국여지승람]을 근거로 무진고성이 무진도독성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다.[9] 일단 무진고성은 토성이 아니라 석성이다. 또한 광주읍성을 기준으로 한 방위 개념(참조)을 생각하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같은 기록에서 무등산은 현의 동쪽 10리에 있다고 하고, 경양역(현 무등산자이&어울림)은 동쪽 8리에 있다고 한다. 무진도독성이 무진고성을 칭하는 것이라면, 동쪽이라고 기록하지 북쪽이라고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한편, 같은 기록에서 십신사(十信寺, 현 임동오거리 근처)는 북쪽 5리에 있다고 한다. 당시 그 근처에 옛 토성이 남아있었다는 추정으로, 무진도독성이 북쪽 5리에 있다는 기록을 간단히 해석할 수 있다.

조선시대 기록을 고려했을 때, 무진도독성의 규모는 둘레가 6,771m로 추정된다.[임영진,2008] 한편 여말선초에 건설된 광주읍성은 2,500m 정도이다. 그 이유를 추정해 보면, 통일신라시대에는 중심지였으나, 고려시대에 중심지가 나주로 바뀌어 쇠락했기 때문에 축소되었을 수 있다.[최영주,2021] 그런데 여말선초에 건설된 나주읍성도 둘레가 3,700m로, 6,771m보다 크게 작다. 그렇다면 토성과 석성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 토성보다 석성의 비용이 더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어를 위해 주거가 밀집돼있거나 관청 등 주요 시설이 있는 중심지만 둘러싼 결과일 수 있다.

2.3. 구조

파일:무진도독성_도도로키2020.png
파일:무진도독성_최영주2021.png
[도도로키,2020] [최영주,2021]
배경 지도는 조선총독부 광주지형도(1917, 1:10000)이다.

3. 광주읍성

3.1. 역사

성을 언제 쌓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여말선초에 왜구의 칩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조정규,2013]

조선시대 기록으로는 세종실록지리지(1452),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여지도서(1765), 대동지지(1866), 광주읍지(1899) 등이 있다.
읍 석성: 둘레가 972보이다.[세종실록지리지]
읍성: 돌로 쌓았다. 주위가 8,253척이고, 높이가 9척이다. 안에 우물 백 개가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
읍성: 돌로 쌓았다. 주위가 8,253척이고, 높이가 9척이다. 안에 우물 백 개가 있으며, 연못은 없다.[여지도서]
일제강점기, 1910년 읍성 철거령이 내려진 후 인위적으로 철거되기 시작한다. 시가지 확장과 함께 1920년대까지 서서히 철거되었고 그 자리는 대지와 도로가 되었다.[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992년 옛 전남도청(現국립아시아문화전당)주차장 부지정리 사업 도중 성벽과 토축이 발견되었고, 1994년 4월 13일 광주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 20호로 지정되었다. 2006년~2007년에도 발굴 조사가 이어졌다. 문화전당 건설 중인 2014년 성벽 유허를 복원했다. 문화정보원 위쪽, 동구청 버스정류장 근처에 있다.

2001년 광주광역시 동구청은 광주읍성 및 성문 유허 복원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남문 진남문에 대한 문헌 및 현지조사를 전남대학교에 의뢰했고 진남문과 양쪽 약 30m 성곽을 복원하기 위해 예산(문화재청 지원40억원, 시·구비 30억원)을 마련하려고 했으나 대선 공약으로 국립아시아문화의전당 건립이 거론되며 흐지부지되었다. 2011년에는 예산 622억을 들여 4대문 및 체성을 복원한다고 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복원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3.2. 구조, 건축

파일:광주읍성_1900++.png
19세기 후반 광주읍성 추정
읍성 내부는 주로 행정기능, 외부는 종교·농업·상업 기능이 수행되었다. 성 내부에는 관청이 남·동문 인근에 분포했다. 성내 주거지는 북·서문 사이, 지금의 충장로 일대에 형성되어 있었다. 성저에는 북문 밖, 서문 밖, 공북루 인근에 주거지와 장터가 있었으며 동문과 남문 밖에는 경작지가 있었다.[조정규,2013][전경숙,황영산,2015]
파일:광주전경_1907.jpg
파일:광주전경_1900.jpg
1907년(?) 광주 전경. 광주공원 서오층석탑 쪽 언덕에서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앞쪽 다리는 1907년 건설된 광주교, 뒤쪽 산은 장원봉이다.[26] 1900년대. 광주공원에서 바라본 광주읍성과 무등산. 앞쪽은 작은 장이 열리던 모래톱. 오른쪽은 노지다리.

3.2.1. 성벽

파일:공북문.jpg
1900년대 공북문(충파 앞)

3.2.2. 성내

3.2.2.1. 도로
격자형 도로망이 있었다. 무진주 때 만들어진 방리구획을 그대로 이어서 광주읍성이 그 위에 축성되어 나타난 특징으로 보인다. 도로망의 중심은 충장로우체국 사거리였다. 4대 문에서 이어지는 길이 충장로우체국 앞에서 만났다.
3.2.2.2. 객사
파일:광산관_191X.jpg
파일:광산관_1910.jpg
1910년대 광산관.
(오른쪽) 충장로 쪽에서 본 광산관 동익헌.
파일:황화루_1900.jpg
파일:광주형무소_1956.jpg
1900년대 황화루 1956년 광주형무소와 황화루(오른쪽).[36]
3.2.2.3. 관아
파일:광주읍성관청_1900+.png
조선총독부 광주지형도(1917, 1:10000)를 바탕으로 추정한 관청 배치
파일:전남도청 1896.jpg
파일:광주읍성관청_1900.jpg
1910년대 후반, 경무부·헌병대 정문으로 사용된 선화당 삼문. 1900년대 광주읍성 관청가. 문화전당역 3번 출구 옆에서 동명동 방향을 바라본 풍경이다.
파일:광주자혜의원_1910.jpg}}}||
1910년대, 서기청 건물을 빌려 개원한 자혜의원.
* 서기청: 관아의 부속 건물. 1910년에 자혜의원(전남대병원의 전신)이 설립되었다.[김경수,2021(3)]
* 구도청 별관 서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 여러 관아 건물이 있었다.
3.2.2.4. 기타

3.2.3. 성저

파일:공북루_1910.jpg
파일:공북루에서공북문_1901.jpg
1910년대 공북루 1901년 공북루에서 공북문으로 이어지는 풍경(충장로5가)
파일:광주큰장_1910.jpg
1910년대 큰 장. 오른쪽 언덕이 현 광주공원이다. 왼쪽 멀리 보이는 산은 제석산 치마봉이다.

3.3. 광주읍성과 방위

조선시대에, 북문 밖 도로는 북서쪽을 향하고 있지만 결국 북쪽에 있는 한양으로 이어지기에 그 방향을 북쪽으로 취급했다. 북문을 기준으로 하여 동·서·남문 방향도 정해졌다. 현재 그 흔적이 도로명 등에 남아있다.[조광철,2016]
[최영주,2021] 최영주. (2021). 삼국·통일신라시기 광주 중심지 연구. 역사학연구, 83, pp. 35-72.[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전라도/장흥도호부/무진군[신증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35권, 전라도/광산현[여지도서] 여지도서, 전라도/광주[임영진,2008] 임영진. (2008). 統一新羅武珍都督城의 位置와 規模. 지방사와 지방문화, 11(2), pp. 243-266.[황인호,2014] 황인호. (2014). 新羅 9州5小京의 都市構造 硏究. 중앙고고연구, 15, pp. 105-146.[최영주,2021] [신증동국여지승람] [9] 근처에 있는 '도독골'이라는 지명을 근거로 들기도 하는데, 도독골·도둑골·두둑골 류 지명은 전국에 흔하다. 각각의 유래 또한, 장군(도독)이 머물만한 지형이라 해서 도독골, 진린 도독이 진을 쳤던 곳이라서 도독골, 도둑이 숨기 좋은 으슥한 곳이라서 도둑골, 도둑이 많아서 도둑골, 지형이 두둑한 형상이라서 두둑골 등 다종다양하기 때문에 무진도독성 비정의 증거가 되기 어렵다.[임영진,2008] [최영주,2021] [도도로키,2020] 도도로키 히로시. (2020). 지적원도를 활용한 신라 무진주(무주) 경관 복원. 한국고지도연구, 12(1), pp. 5-24.[최영주,2021] [도도로키,2020] [임영진,2008] [도도로키,2020] [황인호,2014] [최영주,2021] [조정규,2013] 조정규. (2013). 일제강점기 光州邑城內의 경관변화. 남도문화연구, 24, pp. 237-262.[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광주역사민속박물관. (2020). 1896년 광주 여행기 (pp. 172-233).[조정규,2013] [전경숙,황영산,2015] 전경숙, 황영산. (2015). 광주읍성 공간의 형성과 해체 그리고 재현.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pp. 1-11.[26] 인터넷이나 관련 서적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진들은 좌우가 뒤집혀 있다. ### 링크 속 사진이 실제라면, 광주교의 상류 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광주교의 상류 쪽에서 바라볼 때 절대 뒤쪽으로 장원봉이 보일 수 없다. 링크 속 사진을 좌우반전해야 실제 경관이 나온다.[신증동국여지승람] [28] 동래읍성의 절반정도, 대구읍성과 비슷한 정도였다.[전경숙,황영산,2015] [30] 광산구 이름을 여기에서 따왔다.[31] 이 지도는 오류가 은근히 많은데, 양림(陽林)·방림(芳林)이 광주천 동쪽에 그려져 있는가 하면 풍영정(風詠亭)이 영산강 동쪽에 그려져 있기도 하다.[조광철,2010] 조광철. (2010.11.01). [광주갈피갈피]나라의 운명과 행보를 같이한 객사. 광주드림.[33] 현 하늘마당 캐노피 위치이다. 한편 광주면(읍)사무소가 1920년대부터 현 구시청사거리에 있었다. 1935년 도농분리정책으로 광주군이 광주부와 광산군으로 쪼개지는데, 이때 광주군청이 광산군청이 되고 광주읍사무소가 광주부청이 된다. 광주부청은 광복 후 그대로 광주시청이 되었으며 '구시청사거리'의 유래가 된다. 광산군청은 1949년 송정동으로 이전했다.[김경수,2021(1)] 김경수. (2021.11.18). [김경수의 광주땅 최초 이야기](29)행정기관. 광주매일신문.[조광철,2015] 조광철. (2015.1). 근대교육 태동지에서 관공서 등으로. 광주드림.[36] 황화루의 위치는 동명동 200-26, 사진 촬영 위치는 동명동 200-183으로 추정된다.[조광철,2011(1)] 조광철. (2011.11). 황화루, 귀빈 접대 객사의 정문. 광주드림.[김경수,2021(2)] 김경수. (2021.08.12). [김경수의 광주땅 '최초'이야기](15)교도소. 광주드림.[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40] 소빈헌과 월소루는 2년 뒤에, 제금루는 1896년 전에 복구됐다.[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조광철,2011(2)] 조광철. (2011.11). 선화당·하모당·내아·육화당 등 길 양편으로 관아가 즐비. 광주드림.[김경수,2021(3)] 김경수. (2021.07.01). [김경수의 우리땅 최초 이야기](10)병·의원. 광주드림.[김경수,2021(2)] [조광철,2017] 조광철. (2017.12). 광주의 큰 장과 작은 장 광주드림.[46] 한편 인근의 나주 남평장, 남원 남장이 광주 큰 장과 비슷한 규모였다. 전라도에서 가장 거래 금액이 컸던 전주장은 광주 큰 장의 2배였다. (1910년대 기준.)[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조광철,2016] 조광철. (2016.10). 남광주역은 광주의 남쪽이 아니다 광주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