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2:24:43

김포 버스 3000

김포 버스 3000A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9e803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김포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김포똑버스01
마을
9000번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파일:김포3000_1591.png 파일:gp3000-ln.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수요4.2. 이용 시 유의사항4.3. 여담4.4.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포 3000 노선도.svg
기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강화터미널)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로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4:20 기점행 첫차 05:45
막차 22:00 막차 23:30
배차간격 9~17분
운수사명 선진상운 인가대수 27대(예비 3대)
노선 강화터미널 - 강화병원 - 성동검문소 - 포내2리 - 김포대학교 - 군하리.한우마을 - 새터마을 - 마송 - 누산삼거리 - 한강로사거리 - 걸포북변역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 사우역.김포고 - 풍무역 - 고촌역 - 김포IC - 김포대로 - 고촌IC - 개화검문소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현대백화점 - 신촌역

===# 조정 예정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30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인천_3000_노선도(임시)_일반.png파일:인천_3000_노선도(임시)_다크.png
기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강화터미널)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6가(당산역)
종점행 첫차 기점행 첫차
막차 막차
평일배차 30분 주말배차
운수사명 인가대수 8대
노선 강화터미널 - 강화병원 - 유성아파트 - 용진주택 - 현대아파트 - 김포대학입구 - 마송우회도로사거리 -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 송정역(중) - 마곡역(중) - 마곡동로사거리(중) - 발산역(중)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중) -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 당산역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1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포내2리)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로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4:20 기점행 첫차 05:45
막차 22:00 막차 23:30
배차간격
운수사명 선진상운 인가대수 19대(예비 3대)
노선 포내2리 - 김포대학교 - 군하리.한우마을 - 새터마을 - 마송 - 누산삼거리 - 한강로사거리 - 걸포북변역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 사우역.김포고 - 풍무역 - 고촌역 - 김포IC - 김포대로 - 고촌IC - 개화검문소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현대백화점 - 신촌역

===# 출근형 급행 (폐지)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김포 버스 3000A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3000번 본선에서 분리돼 운행했다가 폐지된 2층버스 전용 노선에 대한 내용은 김포 버스 3000A(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A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7:00 기점행 첫차 -
막차 07:20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선진버스[A] 인가대수 2대[2]
노선 걸포북변역무정차개화역송정역마곡역발산역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합정역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B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사우역.김포고)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7:05 기점행 첫차 -
막차 07:25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선진버스[A] 인가대수 2대
노선 사우역.김포고 → 무정차개화역송정역마곡역발산역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합정역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C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풍무역)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7:10 기점행 첫차 -
막차 07:30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선진버스[A] 인가대수 2대
노선 풍무역무정차개화역송정역마곡역발산역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합정역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2. 개요

선진상운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강화도와 신촌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104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파일:김포3000.jpg 파일:Found_17622016_49970.jpg

4. 특징

4.1. 수요

4.2. 이용 시 유의사항

4.3. 여담


===# 시간표 #===
2022년 4월 15일 기준. 배차간격이 짧은 편이므로, 이 시간표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파일:김포_3000_시간표.png

4.4. 노선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신촌역2호선
13142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
14063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오거리(경유)
미정차
현대백화점
13259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
14062 파일:Seoulmetro2_icon.svg
동교동삼거리(중)
13019
동교동삼거리(중)
14061
홍대입구역(중)
14016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AREX_icon.svg
홍대입구역(중)
14015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AREX_icon.svg
홍대입구역사거리(경유)
미정차
서교동사거리(경유)
미정차
서교동사거리(경유)
미정차
합정역(중)
14012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eoulmetro6_icon.svg
합정역(중)
14011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eoulmetro6_icon.svg
성산대교남단(경유)
미정차
성산대교남단(경유)
미정차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16001 파일:Seoulmetro9_icon.svg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16002 파일:Seoulmetro9_icon.svg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중)
16007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중)
16008
발산역(중)
16013 파일:Seoulmetro5_icon.svg
발산역(중)
16017 파일:Seoulmetro5_icon.svg
마곡동로사거리(중)
16021
마곡동로사거리(중)
16022
마곡역(중)
16018 파일:Seoulmetro5_icon.svg
마곡역(중)
16019 파일:Seoulmetro5_icon.svg
송정역(중)
16015 파일:Seoulmetro5_icon.svg
송정역(중)
16014 파일:Seoulmetro5_icon.svg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69 파일:Seoulmetro9_icon.svg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70 파일:Seoulmetro9_icon.svg
고촌IC(경유)
미정차
고촌IC(경유)
미정차
고촌역
35278 파일:GoldLine_icon.svg
고촌역
35277 파일:GoldLine_icon.svg
장곡(경유)
미정차
장곡(경유)
미정차
풍무역
35272 파일:GoldLine_icon.svg
풍무역
35271 파일:GoldLine_icon.svg
사우고.김포시청
35260
사우고교.김포시청(직행)
35692
사우역.김포고(걸포사거리방면)
35247 파일:GoldLine_icon.svg
사우역.김포고
35246 파일:GoldLine_icon.svg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35532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35531
걸포사거리.우리병원
35561
걸포사거리.김포우리병원
35657
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35610 파일:GoldLine_icon.svg
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35560 파일:GoldLine_icon.svg
나진교.메트로자이2단지
35217
나진교.메트로자이2단지
35216
전원마을.김포한강롯데캐슬
35210
장기사거리.수정마을
35211
지경
35208
지경
35209
한강로사거리
35295
한강로사거리
35291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성창.에일린의뜰
35206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35204
누산사거리
35189
누산사거리
35191
누산삼거리
35158
누산삼거리
35159
백석마을
35096
신일아파트
35097
통진중고등학교
35074
통진중고등학교
35073
마송
35063
마송
35066
통진성당
35059
통진성당
35060
새터마을
35033
새터마을
35362
김포외국어고등학교
35161
김포외국어고등학교
35162
군하리.한우마을
35013
군하리.한우마을
35014
고막리마을회관
35018
고막리마을회관
35019
김포대학교
35005
김포대학교
35006
포내2리
35593
포내2리
35581
성동검문소
35285
성동검문소
35286
현대아파트
43082
현대아파트
43083
용진주택
43084
용진주택
43085
유성아파트
43086
유성아파트
43087
강화병원
43088
강화병원
43089
강화터미널
43058
강화터미널
43096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f72f0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
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f72f08><colcolor=#fff> 광역
급행
서울역
강남역
양재역 회차
기타
3000
(신촌역)
7700[A]
(화곡역)
[A] 별도의 운임 체계를 적용하는 노선
}}}}}}}}} ||

파일:경기도 휘장.svg 자동차전용도로 미경유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00>파일:가평군 CI_White.svg<colcolor=#fff><colbgcolor=#f00>가평 · ·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
1000[2]
· · ·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 ·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 ·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 · ·
파일:안산시 CI_White.svg 안산 ·
300[주]
· ·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 · ·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
7500[주]
· · · ·
기타 · · · [미]
[2] 2층버스 운행 노선 / [주] 주말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공영제, 준공영제 미참여 버스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공항
6770[통]
6777[통]
6777-1[통]
광역
간선
지선
마을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경유 시내버스
<colcolor=#fff> 인천시 면허
경기도 면허

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 개화역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환승센터 양방향 정차
환승센터 회차
환승센터 서울방향 정차
1번출구.개화검문소 정차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강서구간 버스
일반
강화도 경유
영종도 경유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colbgcolor=#ee2737><colcolor=#fff>가평 · · · · ·
광명 · ·
광주 · · · · ·
고양
구리 ·
군포
김포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수원 · · · ·
시흥 ·
안성 ·
양주 · · ·
양평
연천
오산 ·
용인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의왕
이천 ·
파주 · ·
평택 ·
포천 · · ·
하남 · · · ·
화성 · · · · · · · · · ·
}}}}}}}}} ||


[A] GBIS에는 본선과 같이 선진상운이 운행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선진버스가 운행한다.[2] GBIS에는 (전세) 표기가 붙어있지만 실제로는 선진버스 차량이 운행한다.[A] [A] [5] '돌문마을입구' 정류장과 사우동 육교 인근에 위치.[6] 강서구에서 내리는 사람들(특히 발산역과 마곡, 송정역에서 주로 내린다.)이 간혹 있으나, 내리는 만큼 탄다. 운이 좋아야 앉을 수 있다.[7] 구 선수동(풍무푸르지오)[8] 다만 평일 출근시간에는 올림픽대로의 정체가 극심할경우 M6117번과 시간 차이가 크지 않다.[9] 그렇다고 3000번의 수요가 줄어든 것이 아니다. 오히려 3000번도 늘어나는 중인데 M6117번한강신도시 버프로 그보다 더한 수요를 창출해 내고 있었다.[10]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적용받는 경기도 시내버스 중에서는 고양 96번, 전체 수도권 시내버스 중에서는 강화 18번이 가장 서쪽으로 가고, 최북단 노선은 연천 39-2번 동재마을 지선, 최동단은 양평 10-1번, 최남단은 안성 20번이다.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언급한 이유는 시내버스 면허로 운행되는 공항버스인 고양 3300/3200, 김포 9000이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