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0:35:25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로스트로포비치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fff>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Мстисла́в Ростропо́вич | Mstislav Rostropovich
파일:B1H-ziawtlS.jpg
본명 므스티슬라프 레오폴도비치 로스트로포비치
Mstislav Leopoldovich Rostropovich
Мстисла́в Леопо́льдович Ростропо́вич
별칭 슬라바(Slava)
출생 1927년 3월 27일
소련 자캅카스 SFSR 바쿠
사망 2007년 4월 27일 (향년 80세)
러시아 모스크바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직업 첼리스트, 지휘자
학력 모스크바 음악원

1. 개요2. 생애
2.1. 유년 시절2.2. 청년 시절2.3. 음악 활동 전성기2.4. 망명2.5. 망명 이후2.6. 말년
3. 연주 스타일 및 음악 성향4. 악기5. 평가6. 기타7. 수상 및 수훈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첼로 연주자.

파블로 카잘스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첼리스트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거장이다. 뛰어난 기술과 해석을 선보이며 첼로의 위상을 전에 없이 높였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 벤저민 브리튼 등 동시대의 유명 작곡가들과 영향을 주고받았고, 그들로부터 새로운 헌정 작품을 받아 첼로 레퍼토리를 크게 확장시켰다.

로스트로포비치는 슬라바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첼로의 천재'(Genius of the Cello)[1] 등의 수식어 또한 가지고 있다.
내가 천국에 간다면 모차르트 시대에 첼로를 연주했던 사람들에게 화를 낼 것이다. 이토록 아름다운 악기의 진가를 보여주지 못한 것이 정말 이해 가지 않는다.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2]

2. 생애

2.1. 유년 시절

로스트로포비치는 1927년 당시 소련의 공화국이었던 아제르바이잔바쿠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그의 가족은 오렌부르크로 이주했고, 이어 1943년 모스크바에 정착했다.

로스트로포비치는 4살 때부터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웠고, 파블로 카잘스를 사사한 아버지에게 10살이 되면서부터 첼로를 배우기 시작했다.

16세가 되는 1943년에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했다. 그 곳에서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로부터 배우기도 했다. 두 거장이 모두 젊은 로스트로포비치를 굉장히 총애했던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2.2. 청년 시절

1945년에 있었던 소련 연주대회를 비롯한 다양한 경연에서 우승하면서 첼리스트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1950년에는 당시로서는 가장 권위있었던 스탈린상을 받기도 했다.

1955년에 그는 볼쇼이 극장 소속의 인기 소프라노였던 갈리나 비시넵스카야(Galina Vishnevskaya)와 결혼했으며, 1956년에는 모스크바 음악원 첼로 교수가 되었다.

2.3. 음악 활동 전성기

파일:eight_col_RIAN_archive_478141_Mstislav_Rostropovich__Dmitry_Shostakovich_and_Svyatoslav_Richter.jpg
왼쪽부터 로스트로포비치, 쇼스타코비치, 리흐테르
로스트로포비치는 당시 소련 음악가들과 계속해서 음악적 관계를 맺어왔다.

1949년 프로코피예프는 그를 위해 첼로 소나타(Cello Sonata in C major, Op. 119)를 작곡했고, 쇼스타코비치의 첼로 협주곡 1,2번도 로스트로포비치를 위한 것이었다. 1950년에는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와 협연했다.

그의 국제적 경력은 1963년 리에주 음악원[3]에서, 그리고 1964년 서독에서 시작되었다.

로스트로포비치는 서유럽에서 수 차례의 콘서트 투어를 가졌고, 서방에서 많은 녹음을 하여 그의 명성을 굳혔다. 리흐테르와의 협연으로 베토벤 첼로소나타를 녹음하였고, 카라얀이 지휘하는 베를린 필과 협연하여 오이스트라흐, 리흐테르와 녹음한 베토벤 3중 협주곡은 불멸의 명반으로 손꼽힌다. 아울러 셀이 지휘하는 클리브랜드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오이스트라흐와 녹음한 브람스 2중 협주곡 역시 오늘날까지도 이를 뛰어넘는 녹음을 찾기 힘들 정도이다.

서방 작곡가와의 교류도 깊었는데, 그 중에는 그에게 첼로 소나타, 첼로 교향곡을 포함한 많은 첼로 곡을 헌정한 벤저민 브리튼도 있었다.

뛰어난 피아노 반주자이기도 했던 브리튼은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대표적인 명연으로 기억되는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를 녹음하기도 했다. 로스트로포비치가 '브리튼과 연주하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평했을 정도다.
파일:mw161759.jpg
로스트로포비치와 벤저민 브리튼

1968년 8월 21일, 영국의 음악 축제인 '더 프롬스'에서 로스트로비치는 소련 국립 교향악단과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첼로 협주곡 B단조를 연주했다. 공교롭게도 전날 밤 소련바르샤바 조약군프라하의 봄을 저지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고, 드보르자크는 체코 작곡가였다.

비록 그의 공연은 야유와 시위 이후에 진행되었지만, 공연 후 그는 관객들에게 큰 박수를 받았다. 로스트로포비치는 작곡가의 고향이자 그가 사랑했던 도시, 프라하를 향한 연대의 표시로 지휘자 악보를 하늘 높이 들었다고 한다.

2.4. 망명

로스트로포비치는 러시아의 민주주의표현의 자유를 위해 저항했던 인물이고, 그 결과 소비에트 체제로부터 많은 탄압을 받았다.

일찍이 1948년 그의 스승이자 음악적 동료인 쇼스타코비치가 교수직을 박탈당했듯이, 로스트로포비치 또한 학교에서 쫓겨났다. 1970년에는 작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을 자신의 집에서 보호하며 그를 옹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그를 큰 정치적 위기에 빠뜨렸다.

외국 공연이 제한되었고, 소련 주요 도시에서도 그의 연주 기회가 줄어들었다. 결국 로스트로포비치는 1974년 가족과 함께 소련을 떠나 미국으로 망명했다. 1978년에는 소련 시민권을 박탈당하기까지 했다. 그는 1990년에서야 소련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2.5. 망명 이후

1977년부터 1994년까지 로스트로포비치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미 국립 교향악단의 음악감독 겸 지휘자를 맡았다. 그러면서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마르타 아르헤리치,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등의 피아니스트들과 계속해서 음악적 관계를 이어갔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동안, 로스트로포비치는 그 벽 아래서 즉흥 연주를 선보였다. 이 연주는 세계적으로 크게 유명해졌다.연주 영상 링크 (바흐무반주 첼로 모음곡 3번 부레 1번을 연주한다)
파일:ff43bfdb1ebeb6056365191fe8a7130a.jpg
베를린 장벽 아래의 로스트로포비치
1990년에 그는 소련 시민권을 회복했다.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때는 옐친을 옹호했고, 가장 단속이 심했던 시기였음에도 붉은 광장에서 국립 교향악단을 지휘했다. 여러모로 러시아근현대사에 깊은 관련이 있는 인물이다.

1980년 4월 23~24일 국립 교향악단과 함께 내한해서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을 하였고, 이후 같은 해 5월 31일부터 6월 1일까지 다시 내한해서 연주회를 할 예정이었으나 갑작스럽게 취소했다. 당시 언론에선 갑작스러운 발병으로 인해 공연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활기잃은 舞臺藝術界(무대예술계) 매일경제 6월 14일 기사

2.6. 말년

2005년 6월 20일 빈 무지크페라인에서 첼리스트로서의 은퇴 공연을 했다. 그러다가 로스트로포비치의 건강은 2006년 악화되었고, 지휘자로서의 공연도 2006년을 끝으로 은퇴했다. 2007년 3월에는 팔순을 기념하기 위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초청으로 크렘린 궁에 방문하기도 했지만, 이후 건강이 다시 급격히 악화되어, 그 해 4월 27일대장암으로 숨을 거두었다.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묘지에 묻혔다. 향년 만 80세.

3. 연주 스타일 및 음악 성향

살아생전 그의 연주스타일은 굉장히 화려하였고 거대한 톤으로 기억 된다. 당대로서는 한계가 있던 첼로주법을 뛰어넘어 무수히 많은 귀중한 첼로 주법을 만들어 내었고 이는 훌륭하고도 소중한 첼로계의 자산이 되었다. 살아생전 벤저민 브리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등과 친구 사이였으며 음악적으로 교류하고 작곡을 사사하기도 하였다. 주로 낭만 시대의 곡을 연주하기를 좋아했고 특히 지금도 명음반으로 회자되고 있는 안토닌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 b단조를 대단히 아끼고 즐겨 연주했다.

4. 악기

그가 평생 그의 분신처럼 아꼈던 악기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 의 1711년작 duport(듀포르) 이다. 이 첼로는 1800년대 첼리스트 듀포르의 이름이 붙어있으며 당시 나폴레옹 앞에서 연주를하고 나폴레옹 의 치하를 받을때 잠시 그의 손에 잡혔다가 나폴레옹의 실수로 낸 큰 상처자국이 아직도 남아있다. 1711년 부호의 위촉으로 제작된 이 첼로는 구매자인 부호가 스트라디바리에게 평소 첼로값의 두배를 줄테니 걸작 하나 만들어 주시게 라는 부탁을 받고 만들어 졌다고 하며 이에 자극받은 스트라디바리가 최고의 재료들을 사용해서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그의 걸작이라 평가 받는다. 로스트로포비치 사후 일본 음악재단(nippon music foundation) 에서 미화 2000만불[4]에 매입 하였다. 관련 자료

5. 평가

20세기를 빛낸 불세출의 명첼리스트로, 파블로 카잘스와 함께 현대 첼로계의 아버지라 불린다. 카잘스가 현대 첼로계의 길을 제시하고 설계했다면 로스트로포비치는 그길을 세련되고 화려하게 디자인 했다. 로스트로포비치의 스타일은 카잘스의 그것을 넘어 당시로는 혁명적이게 화려하고 세련되었으며 많은 혁명적 주법을 고안해내었고 그만의 거대한 톤으로 기억된다. 무엇보다도 로스트로포비치의 안토닌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B 단조는 첼로계의 성서 이자 교과서로 불리면서 카잘스의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처럼 그의 트레이드 마크 이자 상징이 되었으며 지금도 무수히 많은 첼리스트들 에게 많은 영감과 배움을 주고 있다.

6. 기타

파일:Mgz_Sub_INT_20160211171431.jpg
로스트로포비치와 카라얀
파일:RIAN_archive_70350_Opera_singer_Galina_Vishnevskaya_and_cellist_Mstislav_Rostropovich_with_their_daughters_at_home.jpg
로스트로포비치-비시넵스카야 가족

제자 장한나를 육성했으며, 유수한 첼리스트들 중 유일하게 장한나의 생애 첫 앨범의 지휘를 맡기도 했다.# 당시 악단은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나 벤자민 브리튼 외에도, 오자와 세이지와 상당한 친분이 있었다. 둘은 유럽, 미국, 일본 등지에서 수십 차례 협연을 하였고, 사적인 교류도 상당히 많았다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스트로포비치의 마지막 첼로 협연의 지휘를 맡은 것도 오자와였다.

7. 수상 및 수훈

로스트로포비치는 평생 50여개의 상을 받았다.

음악 관련 수상외 다수

러시아와 소련으로부터외 다수

외국으로부터외 다수

8. 둘러보기

파일:95B1EEBD-1796-46AD-A8B5-83CEA287B596.png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자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벤저민 브리튼
(작곡)
올리비에 메시앙
(작곡)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첼로)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지휘)
루돌프 제르킨
(피아노)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바리톤)
엘리엇 카터
(작곡)
기돈 크레머
(바이올린)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작곡)
피에르 불레즈
(지휘)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예후딘 메뉴인
(바이올린)
안드레스 세고비아
(기타)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작곡)
레너드 번스타인
(지휘)
페터 슈라이어
(테너)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루치아노 베리오
(작곡)
한스 베르너 헨체
(작곡)
하인츠 홀리거
(오보에)
H.C.로빈스 랜던
(음악학)
리게티 죄르지
(작곡)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클라우디오 아바도
(지휘)
해리슨 버트위슬
(작곡)
마우리치오 폴리니
(피아노)
헬무트 라헨만
(작곡)
죄르지 쿠르탁
(작곡)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아르디티 현악 4중주
(현악 4중주)
마우리치오 카겔
(작곡)
라인홀트 브링크만
(음악학)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
볼프강 림
(작곡)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알프레드 브렌델
(피아노)
마우리치오 카겔
(작곡)
앙리 뒤티외
(작곡)
다니엘 바렌보임
(피아노, 지휘)
안네 소피 무터
(바이올린)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클라우스 후버
(작곡)
미하엘 길렌
(지휘)
아리베르트 라이만
(작곡)
프리드리히 체르하
(작곡)
마리스 얀손스
(지휘)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피터 구르크
(음악학)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지휘)
페르 뇌고르
(작곡)
피에르 로랑 아이마르
(피아노)
베아트 푸러
(작곡)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레베카 손더스
(작곡)
타베아 침머만
(비올라)
죠르주 아페르기스
(작곡)
올가 노이비르트
(작곡)
조지 벤자민
(작곡)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9년
진은숙
(작곡)




}}}}}}}}}}}} ||

파일:9C3C83C1-51AD-422A-8578-A707A135E236.png
폴라음악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폴 매카트니
발트 3국
디지 길레스피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퀸시 존스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엘튼 존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조니 미첼
피에르 불레즈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브루스 스프링스틴
에릭 에릭슨
레이 찰스
라비 샹카르
스티비 원더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밥 딜런
아이작 스턴
버트 배커랙
로버트 무그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미리엄 마케바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키스 재럿 비비 킹
리게티 죄르지
지우베르투 지우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레드 제플린
발레리 게르기예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소니 롤린스
스티브 라이히
핑크 플로이드
르네 플레밍
피터 가브리엘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 엘 시스테마
비요크
엔니오 모리코네
크로노스 콰르텟
패티 스미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폴 사이먼
요요마
유수 은두르
카이야 사리아호
척 베리
피터 셀라스
에밀루 해리스
에벌린 글레니
맥스 마틴
체칠리아 바르톨리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스팅
웨인 쇼터
메탈리카
아프가니스탄 국립 음악 연구소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안네 소피 무터
플레잉 포 체인지
안나 네트렙코
다이앤 워런
없음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기 팝
앙상블 앵테르콩탱포랭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1978년 <colbgcolor=#fff,#1f2023>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 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 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 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 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 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 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 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 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 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 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 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 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 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 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 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푸아티에, 닐 사이먼
1996년 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 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 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 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2001년<colbgcolor=#fff,#1f2023>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 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 제임스 브라운, 캐롤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 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 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 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 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 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 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 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 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 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 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 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 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 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먼 리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 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 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 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 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 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
}}}}}}}}} ||



[1] BBC의 표현이다.[2] 출처[3] 키릴 콘드라신과 함께했다.[4] 우리 돈으로 무려 238억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