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00:25:17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인천 시내버스에서 넘어옴
수도권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e,#191919>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항공 김포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없음)
항만 (없음)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역 목록
서울 지하철 인천 도시철도 경기 도시철도
수도권 전철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시내버스 시내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영버스 마을버스
공항버스 강화군내버스 맞춤형버스
광역급행버스
교통카드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이즐
수도권 통합 요금제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2b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둘러보기
[[I-MOD/MODU|{{{#!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0c6; font-size: 14px;"
폐선 목록
공항 광역 좌석 급행 간선 심야 지선 마을
관련 문서
역사 업체 목록 개편 목록 문제점 차고지
}}}}}}}}} ||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Incheon Metropolitan City Bus
<colbgcolor=#005eb8><colcolor=#fff> 노선수 262개[기준][2]
업체수 50개[기준]
차량수 <colcolor=#fff> 정규
(고상 / 저상)
2,204대 이상
(약 1,589대 / 약 615대)
<colcolor=#fff> 예비 150여대
운행시간 04:15 ~ 01:00[4]
운임제도 단일요금제, 환승할인제, 구간요금제[5]
운영제도 준공영제, 민영제[6]
홈페이지 버스운송조합
공식 홈페이지
교통통합정보

1. 개요2. 역사3. 운행
3.1. 도색3.2. 노선 목록3.3. 노선 번호
3.3.1. 2024년 이후
4. 준공영제 미참여 노선5. 버스 시설물
5.1. 정류장5.2. BIS 시스템5.3. 단말기
6. 차량
6.1. 저상버스 도입6.2. 전기버스, 수소버스 도입
6.2.1. 운행 차종6.2.2. 노선 목록6.2.3. 충전소 및 이용업체 목록
7. 요금
7.1. 구간요금
8. 문제점9. 시계외 시내버스10. 역대 노선 개편11. 업체 목록12. 기타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가 운행하는 시내버스이다. 관리는 인천광역시 교통국 버스정책과에서 담당하며 운영 주체는 각 버스 업체들이다. 인천 도시철도와 함께 인천권 대중교통을 담당하는 주요 교통중 하나이다.

이 문서에서는 인천광역시 건설교통국에서 인가하고 운영하는 시내버스만을 서술한다.[7] 강화군내버스인천광역시 공영버스는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버스와 별개의 체계로 운행된다.

인천광역시 버스 회사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곳으로는 인천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있으며, 버스기사들의 권익을 대변하며 투쟁하는 단체로는 한국노총 소속 자동차노련 인천지역노동조합과 민주노총 소속 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경인지역지부가 있다.

인천 시내버스 중 광역버스를 포함한 모든 좌석버스의 운행대수는 475대로, 인천 시내버스 전체의 약 20%에 해당하며, 광역시 이상급의 대도시중에서는 좌석버스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이는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공항좌석버스가 있기 때문.

차후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신설할 계획이다. #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운행

3.1. 도색

파일:20050838번.png 파일:인천 105번 버스.jpg
2005년 8월에 촬영된 20번 2005년 11월에 촬영된 105번 BS106 2002년식의 폐차 전[8]
파일:in9200-us.png
파일:in95-aclf.jpg
광역버스 급행간선버스
파일:인천800_3711.png
파일:인천302.png
일반좌석버스 공항좌석버스
파일:8_2211.png
파일:511_3665.png
간선버스 지선버스
파일:in534-ac.png
파일:ine31-ct.png
마을버스 인천e음버스

3.2. 노선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노선 번호

번대 등급 비고
1 ~ 99 간선버스 시내버스 → 일반형 시내버스 → 간선버스[9]
급행90번대 급행간선버스 [10]
100번대 간선버스 좌석버스 → 시내좌석버스 → 간선버스[11]
110번대 공항좌석버스 [12]
200번대 간선버스 영종도 / 용유도 시내버스
300번대 공항좌석버스
500번대 지선버스 마을버스[13] → 지선형 시내버스 → 지선버스
700번대 한정면허 출신 노선 [14]
800번대 일반좌석버스 시외좌석버스 → 일반좌석버스
1000번대 광역버스 신촌역 / 서울역 방면
6000번대 공항버스
7000번대 광역간선급행버스 강서구 방면[15]
9000번대 광역버스 강남역 방면[16]
첫째자리 둘째자리 셋째자리
지선버스 5 권역번호 일련번호
지선순환버스 순환
인천e음버스 인천e음
적용예시
지선버스
5 1 8
지선버스 (5)이며, 미추홀구 (1) 관내를 운행하는 8번 버스
지선순환버스
순환 4 3
순환버스이며, 연수구 (4) 관내를 운행하는 3번 버스
인천e음버스
인천e음 7 1
인천e음버스이며, 계양구 (7) 관내를 운행하는 1번 버스
지선버스 권역번호
0권역 1권역 2권역 3권역 4권역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17] 남동구
5권역 6권역 7권역 8권역 9권역
부평구[18] 계양구 서구
지선순환버스, 인천e음버스 권역번호
1권역 2권역 3권역 4권역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5권역 6권역 7권역 8권역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3.3.1. 2024년 이후

권역 번호
1권역 제물포구(중구 내륙, 동구)
2권역 영종구(영종도/용유도)
3권역 미추홀구
4권역 연수구
5권역 남동구
6권역 부평구
7권역 계양구
8권역 서구(아라뱃길 이남)
9권역 검단구(서구 아라뱃길 이북)
<rowcolor=#ffffff> 노선유형 첫째자리 둘째자리 셋째자리 넷째자리
<colcolor=#ffffff> 좌석버스 기점권역 종점권역 3 일련번호
간선버스 기점권역 종점권역 일련번호
심야버스 N 기점권역 일련번호
지선버스 기점권역 종점권역 일련번호
적용 예시
좌석버스
9 7 3 1
검단구 왕길동(9)에서 출발해 계양구 갈현동(7)을 경유하는 1번 좌석버스(3)
간선버스
2 2 1
영종구 운북동(2)에서 출발해 영종구 인천공항T2(2)까지 운행하는 1번 버스
심야버스
N 5 0
남동구 소래포구역(5)에서 출발하는 0번 심야버스(N)
지선버스
1 1 1 1
제물포구 항동7가버스차고지(1)에서 출발해 제물포구 인하대병원입구(1)까지 운행하는 11번 버스

4. 준공영제 미참여 노선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준공영제 미참여 버스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공항[통]
간선급행
간선
지선
마을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5. 버스 시설물

5.1. 정류장

파일:인천신형정류소판(수정).jpg
파일:인천신형정류소.jpg
최근 설치되는 신형 정류소(좌: 지주형, 우: 쉘터형)

지주형 정류소의 경우 구형, 과도기형, 그리고 신형으로 나뉘는데, 구형은 현재도 일부 정류소에서 볼 수가 있다. 구형의 경우 예전에는 철판에 페인트로 버스 번호와 주요 경유지를 적어서 운영했고, 현재도 그 판대기에 노선도 인쇄만 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과도기형은 설치가 거의 되지 않아 보기 드물며, 그나마도 철거 된 경우가 많기에 2020년 기준, 흔히 보이지는 않는다. 파란색 떡칠의 철판에 노선도를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했었다.[27] 현재는 대부분의 지주형 정류소는 철거되었고, 이들은 쉘터형 정류소로 교체 되었으며, 노선 안내는 쉘터 내 유리판에 노선 안내도를 붙이는 쪽으로 대체하고 있다. 다만 재활용의 목적인지 비용절감의 목적인지 2022년 새로 생긴 몇몇 버스 정류장에서 기존에 있는 구형 지주형 정류소를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2015년 중반부터는 새로운 디자인의 지주형 정류소를 만들어서 운영하게 되었다. 디자인은 깔끔해서 좋다는 평가가 많지만, 노선 정보를 잘못 표기하여[28] 버스 이용에 혼선을 빗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정류소 관리는 인천교통공사 육상교통본부가 담당한다.

5.2. BIS 시스템

버스운행정보 안내 시스템은 전국에서 최고 수준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2018년 이전에는 LCD로 만들어진(그것도 풀컬러) 버스 도착 예정 시간 안내가 주로 보급되었다. 2021년 4월 이전에는 각 표지판마다 코드가 부착되어 인천시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전화번호(1577-0359)로 전화하여 확인하면 현재 버스가 어느위치인지, 도착예정까지 몇분 남았는지, 버스가 끊겼는지 아닌지, 현재 어느지점에서 정체에 있는지 혹은 돌발상황에 쳐해있는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검색할 수 있었다. 간단히 도착예정 시간만을 알아보려 한다면 문자메시지로도 확인이 가능했었다.'정류장 ID#노선번호'를 버스정보시스템 문자메시지 전화번호(1522-1157[29])로 전송하면 된다. 현재는 ARS / SMS 서비스가 종료되어 이용 할 수 없다. 물론 서울특별시나 경기도 역시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하면 도착예정 시간이나 교통정체 상황등을 알 수 있지만, 인천은 시 자체에서 시스템을 운영중인 것으로, 모바일 환경에도 원활히 활용될 수 있도록 검색 구조도 최소화 되어있다. 거기에 돌발상황 정보는 인천시가 유일. 이는 강화도 지역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거기에 인천시내를 경유하는 경기도 면허의 버스도 등록되어 현재는 그쪽 버스의 인천 시내 상황도 확인 할 수 있다. 반대로 서울, 경기 등으로 다니는 인천 버스의 경우도 이용 가능하다.

이렇게 나름 BIS 시스템은 잘 구축해 두었는데, 오류가 잦다. 예컨대 잠시후에 도착한다던 버스가 갑자기 사라져 버리고, 도착 예정 정보가 없었던 버스가 갑자기 나타나는 오류가 빈번하다. 특히 아침에는 항상 오류가 발생한다. 잠시 후에 온다는 버스가 15분 뒤에 온다. 그러므로 버스정보시스템을 너무 믿지는 않는게 좋다.

2019년 4월부터 버스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 관련 통합 단말기 전환 작업을 순차적으로 하고 있고, 기존에 쓰던 차내 BMS 단말기를 철거하고 있어서 최근 들어 오류가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2019년 8월부터는 업데이트 된 BIS 차내 혼잡도도 제공된다. 차내 혼잡도는 4단계로 나뉘는데 여유, 초록색 보통, 빨간색 보통, 혼잡이다.

운행하는 버스가 없는 심야시간대에는 인천광역시 시정 슬로건인 "살고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 "All ways Incheon"이 표기된다. 예외적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관리하는 BIS에는 인천경제자유구역 로고가 표출된다.

여담으로 일부 BIS에서는 급행간선버스, 지선순환버스, 인천e음버스의 급행99, 순환51, 인천e음31에서 앞의 급행, 순환, 인천e음을 빼고 99, 51, 31로만 표기한다. 그리고 간선 17번이 지선으로 표시되어 나오는 경우도 있다.

그에 반해 버스 차체의 행선판이나 전광판은 따로 노는 경향이 살짝 크다. 광역버스나 마을버스는 민영제라 자체적인 행선판을 만들어서 스티커로 부착하며 준공영제가 적용되는 등급 대부분은 싸인텔레콤의 전광판을 사용하지만 신규 노선들이나 신형 버스 일부는 마블사인이나 탑이앤씨코리아의 전광판을 사용할 때도 있다. 예비차의 경우에는 측면에 통합행선판을 오려붙여서 사용하지만 가끔씩 측면에 아무것도 붙이지 않고 운행하는 일도 잦으며 한술 더 떠서 부성여객이나 송도버스처럼 공동배차시절 사용하던 꽂이식 행선판을 꾸준히 사용하거나 강인여객 계열처럼 같은 회사임에도 행선판이 따로 노는 일도 많다. 경기도 시내버스처럼 행선판이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나마 정류장을 알려주는 차내 LED는 탑이앤씨코리아의 제품으로 통일하긴 했다. 현재 신형 차량이나 현금없는 버스 대상 노선도 외부 LED 행선판을 탑이앤씨코리아의 LED로 장착하는 추세이다.

5.3. 단말기

다른 지역의 경우 요금함과 카드 단말기가 따로 설치되어 있지만 인천광역시는 2009년부터 이 기능들을 하나로 합친 통합단말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인천 면허 광역버스도 마찬가지인지라 서울시민이나 경기도민들은 조금 생소할 수도 있다. 반대로 인천 사람에게도 2009년에서 세월이 많이 흐른 현 시점에서는 서울/경기도 시내버스 교통카드 단말기가 익숙하지 않다. 동전은 교통카드 인식기의 오른쪽에 지폐는 교통카드 인식기 아래쪽에 있다. 지폐 투입구의 오류가 많다. 자판기의 지폐 투입구와 비슷하다 보니 제대로 못 받아먹는 경우가 많다. 나이 드신 어르신분들은 이 요금기에 현금을 넣으시는걸 어려워 하다 보니 기사가 받아서 대신 넣어주는 경우도 있다. 지폐인식기 및 동전인식기 고장 시 사용하는 비상투입구도 있는데, 잔액표시기 위에 있으며 인식기가 없다.

현금 승차시 FM 매뉴얼은 요금 지불 전에 단말기로 지불 요금을 설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자면 청소년이나 어린이 라면 청소년 요금을 현금으로 내기 전에 운전기사가 단말기에서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청소년(어린이) 요금을 설정하고 그 뒤에 요금을 지불하는 게 맞으나 현실적으로 일일이 그렇게 하기에는 번거로울 뿐더러 시간만 까먹는다. 만약에 요금이 부족하면 "요금이 부족합니다." 라는 안내음이 나온다. 이런 안내음이 흘러나오면 기사의 시선이 날카롭게 변한다거나 요금을 낸 사람이 더 당황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애초에 말하는 순간부터 기사가 짜증낸다거나, 심지어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정상적으로 청소년(어린이)이 요금이 지불되면 "요금이 부족합니다." 멘트는 생략되고 "청소년(어린이) 입니다." 멘트만 나온다.

참고로 단말기에 해당 요금을 입력하고 차액이 큰 금액을 지불하면, 거스름돈을 확인하라는 멘트가 나오면서 거스름돈이 나온다.[30] 알고보면 신기한 기능이 많은 단말기인데 현실은 일반 요금기와 똑같이 취급 되고 있다.

불량 주화 반환구도 있는데 자판기와 똑같이 상태가 좋지 않은 동전이 반환되는 곳이다. 외국 동전을 넣을 때도 마찬가지. 불량 지폐의 경우 들어가는 도중에 도로 뱉는다.

단말기가 설치된 지 10년 이상 지난 지금은 거의 버스의 모든 단말기가 녹슬거나 더러워진 상태이다. 그래서 일부 회사는 단말기에 철판을 덧대기도 한다. 심지어 교통카드 인식이 느릴때도 있다.

하차단말기의 경우 과거에는 서울 시내버스와 동일한 사각형의 단말기를 사용했으나 2013년 말부터 캐시비 단말기로 교체를 시작하여 2014년까지 대부분 교체되었고 2015년 초에 마무리 되었다.

현재 일부 노선에 한해서 통합단말기가 철거되어 있는데[31] 이는 현금없는 버스 노선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경기도 마을버스와 울산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강릉, 태백, 원주, 횡성 등), 충청남도(단. 계룡시 제외) 등 타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노란색 이동의즐거움 단말기[32]가 달려있다가 경기도 시내버스와 동일한 모델 이동의즐거움 신형 단말기로 전면 교체할 예정이다.[33] 또한 현금 승차가 가능한 노선 중 2023년 9월 이후에 신차가 투입되는 경우 현금승차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처럼 현금승차 전면 폐지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금 승차 불가 시내버스 문서
3.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차량

간선버스의 경우 다른 수도권이나 광역자치단체 지역과 다르게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전주시 시내버스,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처럼 일반버스임에도 좌석형 옵션[34]으로 출고하는 경우가 많다. 간선버스 중 절대다수의 차량들이 좌석형이었던 시절이 있었으며[35], 강인여객, 청룡교통 등 일부 업체들은 에어 서스펜션 옵션까지 추가해서 도입하기도 한다. 타 도시들에 비하면 차량의 옵션 자체는 매우 좋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지선버스는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중형차량을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 여기에도 일부 회사들은 좌석형 옵션을 넣기도 하지만 차량이 작은지라 좌석 간격이 좁아져 오히려 불편하다. 대다수의 회사들은 중형차량에 기본형 옵션을 사용하지만 일부 노선의 경우 소형차량도 들어가고 중형차량에 좌석형 시트를 장착하기도 하며 518번, 534번 같은 노선의 경우 대형차량에 좌석형 옵션이 들어가기도 하며[36], 517번537번 같은 경우, 저상버스가 투입되기도 한다.[37]

좌석버스는 운행계통마다 투입되는 차량이 다르나, 기본적으로 어느 운행계통이든 도시형차량이 한 노선씩은 투입된다. 지금은 간선에 흡수통합된 일반좌석버스는 도시형좌석차량에 에어서스펜션 옵션으로 출고하고, 공항좌석버스는 대부분 유니시티를 투입하며, 일반좌석버스는 60-5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은 유니버스를 투입한다.

광역버스의 경우 대다수의 차량이 대형 고급차량이 투입된다. 특히 일부 차량은 다른 지역의 광역버스보다 옵션이 훨씬 좋은 편인데, 12m급인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이 투입되기도 한다. 이 차량들은 갱웨이 옵션까지 포함된 고급형 차량이다. 다만 해당 차량들은 중고차량으로 이런 차량이 많지는 않으며, 대부분의 광역버스에는 일반적인 대형 차량인 유니버스 럭셔리 모델이 투입된다. 또한 인천 광역버스는 전 차량 전문형으로 출고된다.[38]

인천광역시의 경우 천연가스버스가 많이 투입되지만, 일부 디젤 차량도 출고된다. 천연가스버스 의무 규정이 없기 때문. 때문에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디젤 차량의 출고가 가능하며 가스 보조금이 바닥날 경우 디젤 차량 출고를 권장했다. 다만 광역버스나 일부 간선버스, 지선버스들을 제외하면 천연가스버스가 압도적으로 많다. 예전에 비해 충전 인프라가 갖춰지고, 천연가스버스 보조금이 있기 때문. 2018년 이후로는 가스차 적용이 불가능한 에어로타운, 카운티, 레스타, 그랜버드를 제외하면 천연가스버스, 전기버스만 출고 중이다.

차량 옵션 자체는 좋지만 인천광역시 자체가 해안밀접지역이라 일부 차량은 녹이 슬고 구멍이 뚫리는 등 관리 면에서는 미흡한 편이라 볼 수 있다. 특히 부성여객이나 강인여객, 시영운수, 세운교통, 도영운수, 인천스마트 같이 차량 관리를 못하는 편인 업체들은 비교적 최근인 2019년에 도입 한 차량들도 엔진에서 굉음이 날 정도로 차량 상태가 안 좋은 편. 그나마 삼환교통, 성원운수, 원진운수, 대인교통, 해성운수, 신강교통 같은 곳은 차량 관리 상태가 나쁘지 않은 편.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차량 참조.

6.1. 저상버스 도입

2004년, 영풍운수의 77번의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 모델을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최초로 저상버스가 투입되었다. 같은 년도에 시영운수 15번에도 BS120CN모델도 들어온 이후 저상버스가 본격적으로 운행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2016년 이후부터 저상버스의 운용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데, 저상버스를 운행하는 업체들이 정비 효율과 도로 문제로 저상버스를 일반버스로 교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송도버스의 8번과 강화교통의 17번[39]을 들 수 있다. 2016년~2018년 사이 저상버스를 뽑은 업체는 부성여객, 시영운수, 세운교통, 성원운수가 전부다. 이 외에 업체는 전부 일반버스를 출고하였다.

현재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저상버스 도입률은 30% 미만으로, 정규 차량 2319대중, 저상버스는 325대에 불과하며 저상버스 도입률은 21.1%로 특별시, 광역시 중 울산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다.

결국, 2021년 5월경 인천의 장애인 단체에서 버스를 막고 점거농성까지 하는 일까지 발생했다. 기사 링크 점거당한 차량은 40분동안 운행하지 못했다.

그나마 2021년에 전기버스 보급이 활성화 된 이후 저상버스가 없던 13번, 46번 등에 전기 저상버스가 투입되었고[40], 저상버스가 없던 62번에 저상버스가 투입되는 등 저상버스 수가 조금씩 다시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2023년부터는 저상버스 출고가 의무화되기 때문에 모든 노선에 저상버스 출고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였으나 전체 노선 210개 중 92개 노선을 저상버스 도입 예외처리로 절반에 가까운 44% 노선에 대해 저상버스 도입 의무를 예외처리하는 논란이 일어나고 있었으나 2024년에 다시 재검토를 실시한 결과 210개중 24개 노선으로 대폭 줄어들었다.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55 65 급행91 103
103-1 111-2 112 202A
223A 523 538 539
557 557A 564 564-1
568 579 e음11 e음12
e음21 e음22 e음31 무의1
비고
}}}}}} ||

6.2. 전기버스, 수소버스 도입

2019년에 12번721번에 전기버스가 각각 10대씩 투입되었다. 차종은 현대 일렉시티[41]에디슨 e-화이버드. 일단은 2022년까지 120대 가량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관련기사 721번으로 도입되었던 전기버스는 15번, 28-1번, 29번으로 분산되어 운행 중이다. 그 이후 한동안 전기버스 추가 도입 소식이 없다가 영풍운수에서 NEW e-화이버드 8대를 출고하여 47번81번에 투입하였다. 또한, 송도공영차고지에 전기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현재 예산 확보중이며, 2021년 중순에 설치 완료 예정이라고 한다.

2021년 5월에 인천광역시는 2030년까지 시내버스 운행 차량중 80%, 2035년까지 100% 수소전기버스로 교체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사. 이후 신흥교통 13번, 46번, 82번에 수소전기버스 차량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송도공영차고지에 앞서 송도제2차고지에 먼저 전기버스 충전기가 설치되었으며 이에 성민버스에서 2021년에 BYD e-BUS 12를 2대 도입한 것을 시초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현재 전기버스가 없는 청룡교통에서 전기버스 보조금 신청을 완료하였으며, 기존에 일렉시티를 운용하던 미추홀교통 역시 추가 보조금을 수령하여 차량을 구입하였다.[42] 인강여객 역시 2021년 말~2022년 초 사이에 도입할 2대 분의 보조금을 신청해둔 상태이다. 그리고 삼성여객에서도 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시설이 완공 되어 하이거 하이퍼스1609 중형 전기저상버스 신차가 도입되었다.

2020년 5월부터 강화군내버스에서 전기버스 제이제이모터스 VBUS105, 황해자동차 E-SKY, 스카이웰 엘페 전기버스가 운행중이다.

2023년 6월 6일부터 510번에 인천광역시 최초로 일렉시티 타운을 2대를 도입, 2023년 12월 12일부터 570번582번에 인천광역시 최초로 BYD ebus9를 각각 1대씩 도입 했으나 2023년 12월 15일에 584번으로 모두 이동 되었다.

2024년 1월부터 7700번에 및 전국 최초로 우진산전 아폴로 1200 전기버스 11대를 투입하여 운행중이다.

최근에는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투입 노선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6.2.1. 운행 차종

6.2.2. 노선 목록


H는 수소전기버스 운행 노선, E&H는 전기버스&수소전기버스 혼용운행 노선, 전 차량이 전기버스로 운행하는 노선은 볼드체 처리. (총 623대 운행, 7대 운행 예정)

6.2.3. 충전소 및 이용업체 목록[44]

7. 요금

구분 교통
카드
현금 해당
노선



간선
일반 1500 1600 [(간선)]
[(급행)]
[(마을버스(1))]
청소년 1050 1100
어린이 600 600
지선 일반 1200 1300 [(지선)]
[(순환)]
[(GRT)]
[(마을버스(2))]
[(e음버스)]
청소년 850 900
어린이 500 500
심야 일반 1900 승차 불가 [54]
청소년 1350
어린이 800



일반 일반 1550 2300 [(인천행)]
[(김포공항행)]
청소년 1100 1600
어린이 650 900
공항 직행 일반 1900 승차 불가 [(영종시내)]
[(공항행)]
청소년 1350
어린이 800
영종
시내
일반 1500
청소년 1050
어린이 600
광역버스
(직행좌석)
일반
(조조할인)
3000
(2400)
[(서울역(1))]

[(강남역(1))]
청소년
(조조할인)
1650
(1320)
어린이
(조조할인)
1200
(960)
3000번
일반 2800
(2400)
2900
청소년 1960
(1680)
2000
어린이 1400
(1200)
1500
광역간선
급행버스

(BRT)
일반 2600 승차 불가 [(청라-강서)]
청소년 1800
어린이 1200
광역급행버스 일반
(조조할인)
2800
(2300)
[(서울역(2))]
[(신촌역(2))]
[(공덕역)]
[(강남역(2))]
[(역삼역)]
[(삼성역)]
청소년 2000
어린이 1600
* 공항좌석버스의 경우 영종시내에서만 버스이용(승·하차)시에는 간선버스 요금이 적용됩니다.

환승 시간은 수도권 통합 요금 규정을 적용받으므로 서울특별시, 경기도와 동일하게 7시부터 21시까지는 30분[68], 21시부터 7시까지는 60분으로 적용된다.

조조할인은 광역버스와 광역급행버스[69]만 적용되며, 첫차부터 6시 30분까지 교통카드로 승차하면 받을 수 있다.

영종행 좌석버스는 영종도 내에서만 이용시 간선버스 요금을 적용한다.

기본요금제 노선인 간선버스, 지선버스, 마을버스의 경우 환승하지 않고 단독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차 시 카드를 찍을 필요가 없다. 하지만 거리비례제인 광역버스, 좌석버스는 하차시 카드를 찍고 내려야 한다. 체계가 2가지로 나뉘어진 상황에서 구분하지 않고 하차태그를 하지 않아서 추가요금 관련 민원이 폭주하자 시청에서는 무조건 하차태그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용자 입장에서도 구분 없이 무조건 하차 시마다 카드를 찍으면 복잡한 체계를 이해 할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 선불교통카드 : 이즐[70], 티머니[71], 레일플러스, 한페이, 마이비카드
- 후불교통카드 : KB국민카드[72], NH농협카드, BC카드[73], 신한카드, 하나카드[74],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7.1. 구간요금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 참여하기 전인 2009년 이전에는 부천으로 가는 노선[75]과 광역버스를 제외하고 시내버스, 좌석버스 할 것 없이 인천 시경계를 넘으면 구간요금을 부과했었다. 당시 요금은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인천 시내일지라도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에 들어가면 공항 구간요금으로 3,900원에서 4,500원까지 받았고[76] 인천 관내 도서 지방인 영흥도, 강화도 방향 버스도 어디서 타나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2,500원에서 4,000원에 달하는 구간요금을 받아왔다. 간선버스의 경우 시 경계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몇 십원단위에서 600원 정도까지 받았으나[77] 2009년 10월에 인천이 수도권 환승제에 참여하게 되어서 과거에 상당히 비쌌던 요금이 인하되었고 현재의 요금체계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기반으로 한 요금체계를 적용하고 있다.

구간요금제 적용노선과 환승 승차의 경우 하차하기 전에 단말기에 태그하여 구간 요금을 지불하고 하차해야 한다. 카드를 태그하지 않으면 다음 승차시 기본요금의 2배만큼 패널티로 부과된다. 또한 현금 승차시 좌석버스는 기사에게 말할 필요없이 현금 기본요금을, 광역버스와 광역급행버스는 기사에게 목적지를 밝히고 현금을 지불해야 한다.

과거 강인여객 계열 일부 노선(302번, 306번 등)은 영종도 구간 내부만을 이용하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어린이요금(1000원)으로 다인승 운임처리를 받아 처리하기도 했다. 물론 이런 경우에는 환승할인을 받을 수 없었다.

2015년 6월 27일부터 좌석버스와 광역버스에 한해서 거리비례 구간 요금제가 실시되었는데, 좌석버스의 경우 카드 탑승 시에는[78] 10km 이내까지는 기본요금을 지불받고 이후 5km 당 100원씩 최대 700원까지 받는다. 광역버스의 경우 기존에 시행중인 국토교통부광역급행버스와 마찬가지로 30km 기본요금에 5km 당 100원씩 부과된다. 보통 도시형버스에 구간요금을 받는 타 지역과 달리, 좌석버스와 광역버스에만 구간요금이 있다. 이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인천대교 구간) 등 통행료에 기인하는 것이 크다고 보면 된다.

8.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시계외 시내버스

인천광역시는 다른 지자체와 달리 시외로 나가는 버스가 적다. 부평구나 서구, 남동구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서울이나 경기도와의 연담성이 낮기 때문. 다만 부평구, 계양구, 서구처럼 인천 원도심과 연관성이 거리가 먼 기초자치단체는 서울과의 연담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들 지역은 78번과 같은 간선버스나 경기도 김포시, 부천시의 버스들이 서울로의 연계를 담당해주고 있다.

그 외에 원래 경기도 시내버스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였으나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로 전환 된 케이스도 있다. 서울의 경우 66번[79]이 있으며 경기도 버스의 경우 부천시 면허였던 80번, 87번 등이 있다. 이 노선들은 인천 면허로 전환된 이후에는 경기도 구간이 거의 단축되었다.

지역에 따라 인천에서 버스로 1~2정류장 거리에 지하철역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는 타 시도와 협의를 통해서 그 지역만 진입하는 경우가 있다. 송내역, 상동역, 송정역, 신천역, 걸포북변역의 경우가 대표적. 물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뿐만 아니라 경기도 시내버스들도 이런 시계 외 지하철역을 이어준다.[80] 특히 송내역과 송정역은 인천에서 서울로 이동하려는 승객들이 많이 이용한다.

부천시의 경우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302번의 경우 부천에서 인천공항까지 가장 저렴한 요금으로 데려다주는 버스 노선이다보니 부천시민들의 이용률이 적지 않은 편이다. 간선버스의 경우 인천시내까지 이용하는 수요보다는 부천시내 이용 승객이 훨씬 많다.

부천시에서의 서울행 광역버스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가 거의 독점했다고 볼 수 있는데, 부천시의 유일한 광역버스이자 직행좌석버스인 G8808번KTX 광명역을 거쳐 범계역으로 가는 버스이고, 700번은 좌석버스라 일반시내버스랑 거의 차이가 없을뿐더러 부도심인 여의도까지밖에 가지 않는다. 부천시에서 서울 도심인 서울역으로 가는 광역버스는 1300번, 1301번, 1302번, 1601번이 있는데, 이들 모두 '인천 - 서울' 수요보다는 '부천 - 서울' 수요가 더 많다. 그 외에 강남으로 가는 9300번 역시 '인천 - 강남' 수요는 소요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 이용객이 거의 없으며 '부천 - 강남' 수요가 대다수이다.

시흥시 역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의존률이 높은 편이다. 시흥시 버스 특유의 열악함도 있고, 시흥시에 진입하는 간선버스인 5번, 22번, 27번, 좌석버스 790번 모두 상권 시설이 많은 인천종합터미널로 향하는지라 인천터미널로 가려는 시흥시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반면 김포시의 경우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의존률이 낮은 편이다. 김포시에 진입하는 광역버스 9501번, 800번을 제외하면 최소 배차간격이 30분을 넘고 92번을 제외하면 전부 강화도로 가는 버스인지라 김포 시민들이 이용 할 이유가 없다. 더군다나 김포 - 인천을 오가는 김포시 시내버스들이 5~15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30분 넘고 요금 외에는 별 메리트도 없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를 이용 할 이유가 없다. 공항행 시내버스인 308번도 북변환승센터를 제외하면 김포 구도심만 지나고 배차간격도 38~40분 정도로 매우 길기 때문에 이용객이 없다. 그러나 800번9501번의 경우는 이용률이 높다. 800번의 경우 배차간격이 길기는 하지만 인천의 부도심인 인천터미널로 향하는 노선이라 긴 배차간격에도 고정수요가 있으며, 9501번은 김포 6427번, M6427번과 함께 강남으로 가는 셋 뿐인 노선인지라 이 두 노선은 김포시민들도 많이 이용한다.

10. 역대 노선 개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업체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업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13. 관련 문서



[기준] 2024년 11월[2] 공항, 광역, 좌석, 간선, 심야, 지선, 마을, 공영(중구, 계양구, 서구 공영버스)만을 합산한 결과다.[기준] [4] 다만 이렇게 운영하는건 극히 일부이며, 대부분의 광역버스는 4:40~5:00에 첫차가, 0:30~1:00에 막차가 있고, 간선버스들은 4:40~5:20에 첫차가, 22:30~23:00에 막차가 있고, 지선버스들은 5:20~6:00에 첫차가, 자정 전후로 막차가 있다.[5] 광역버스, BRT, 광역급행버스, 좌석버스[6] 66번, 701번, 702번, 7700번, 마을버스[7] 쉽게 말해 인천 번호판이 달린 시내버스이다.[8] 위 차량은 이후 대구 창성여객으로 팔려갔었다.[9] 단, 60-5번은 일반좌석버스[10] 반드시 앞에 "급행" 이라는 문구가 붙어야 한다. 한정면허시절 900번대 노선에서 개편을 통한 정규면허로의 변경으로 번호 체계 변경[11] 또한 과거에는 120번대 및 130번대도 있었으나 모두 폐선되었다. 110번대를 제외한 좌석버스는 모두 이 범주다. 서류상으로는 좌석으로 되어 있다.[12] 111-2번, 112번은 좌석버스 → 간선버스로 형간전환[13] 이 당시에는 현재와 같은 500번대 번호가 아닌 연수구 13번과 같은 형태로 각 자치구 이름이 들어간 번호를 사용했었다.[14] 지선/간선/시내좌석/시외좌석을 불문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700번대 노선들은 대부분 준공영제가 적용되는 일반면허로 전환되었으며, 701번/702번/790번이 같은 700번대임에도 노선의 성격이 전혀 다른 것은 이러한 영향 때문이다. 현재는 701번과 702번만 한정면허 노선으로 남아있다.[15] 유일하게 7000번이 있었으나 폐선. 현재 다니는 7700번의 경우는 인천광역시 면허가 아닌 국토부 면허이다.[16] 연수구청대방역을 왕래했던 9902번이 있었지만 2011년 10월 23일 운행이 중단되었다.[17] 526번, 530번은 예외.[18] 566번은 예외.[19] 내륙으로 들어오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영종도를 경유하기에 영종/용유도 시내버스라는 본질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20] 현재는 간선으로 전환된 111-2번(111번의 내륙구간 분리)/112번(105번과 통합)의 경우 태생부터 공항좌석버스와 연관이 있던 노선이며, 60-5번의 경우에는 직행좌석 노선이지만 간선노선인 60-2번의 파생노선이다. 300번 또한 공항좌석버스에서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된 노선이다.[21] 대표적으로 526번. 520번대는 원래 연수구 지선버스의 번호이나 부평구 지선버스의 번호부족으로 부평구 노선에 연수구 번호가 부여되었고, 566번은 원래 부평구를 경유하던 노선이었지만, 2016년 개편으로 부평구를 아예 거치지 않는 노선이 되었지만 여전히 부평구 권역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22] 기존 노선에서 시간대에 따라 운행시간이 다를 경우 : 8번의 막차시간에 모래내시장 운행종료 노선인 8A번이 있으며, 과거 운행하였던 1번이 야간시간대에 왕길동종점~영종대교휴게소~청라국제도시역을 미경유한 1A번이 있었다.[23] 532번의 서창동 경유 방향에 따라 532A번과 532B번으로 나눠 운행하였다. 현재는 모두 서창동 방향을 거치며 이 구분은 사라졌다.[24] 111번의 파생노선인 111A, 111B, 111C 등 인천공항을 들어가는 일부 노선의 회송용 노선 또한 이 형태를 따라간다. 이는 기존 노선의 차량을 이용한 형태의 운행이기 때문.[25] 예시 : 43번, 43-1번, 43-2번은 연관성이 전혀 없는 완전히 별개의 노선이다.[26] 이 부분에서의 예외라면 6번6-1번이 있는데, 이는 현재처럼 번호체계가 정비되기 전 순환선이었던 6번이 방향에 따라 운수회사가 달라지며 번호를 나눈 것이기 때문. 과거 103번103-1번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였으나, 노선 변경으로 두 노선 모두 기종점이 있는 왕복형태의 노선으로 변경되어 이제는 해당하지 않는다.[27] 판때기에 노선도를 못으로 고정 시키거나, 인쇄한 노선도를 부착하는 방식 두 가지가 있다.[28] 공항좌석버스가 간선버스로 잘못 표기되거나, 서울역을 안가는 버스를 서울역을 간다는 표기를 하거나, 방향이 틀린 정보가 많다.[29] 예전에는 013-3366-0359였다.[30] 기계가 알아서 거슬러주는 게 아니라 기사가 잔돈기계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거슬러준다.[31] 일부 버스는 통합 단말기만 있고 카드만 찍을 수 있게 되어 있다.[32] 인천에서는 대부분 하차단말기로만 사용하고 있지만 현금 승차 제한 노선이 생기며 일부 차량에서 노후화된 통합 단말기들이 없어지고 이 단말기가 승차 단말기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33] 6월 무렵부터 현재는 현금없는 버스에만 이동의즐거움 단말기 시범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만 아직 시범 설치라서 그런지 승차 단말기만 바뀌었고, 운전자 측 장치와 하차단말기는 그대로인 경우가 많다.[34] 대다수 차량에 2:1 배열의 좌석형 차량을 투입한다.[35] 근래에는 저상버스 도입으로 좌석형 차량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36] 511번, 512번, 523번에도 있었으나 대차되었다.[37] 요즘은 저상 의무화로 인해 많은 노선에서 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다.[38] 인천 광역버스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긴 노선이 많아 승객을 조금이라도 더 태워야 이득을 보며, 부천시 경유 노선을 제외하면 사실상 승차지(인천)와 하차지(서울)가 명확히 구분된지라 굳이 중문을 달 이유가 없다.[39] 舊 17-1번[40] 전기버스의 경우 고상버스 모델이 거의 없고, 대부분이 저상버스 모델만 출고되기 때문이다.[41] 이때 투입된 차량은 측면 상부 도색이 현재와 달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친환경 문구를 제외하고 같았다.[42] 미추홀교통M6450번 투입 확정이다.[공유] 506번과 2대 공유.[44] 구축 순서대로 작성함.[45] 수소충전 시설[(간선)] 1~93, 103, 103-1, 111-2, 112, 202~206, 222~223[(급행)] 급행91, 급행95, 급행97, 급행99[(마을버스(1))] 무의1[(지선)] 500번대[(순환)] 41~43, 46~47, 51~52, 54, 56, 83[(GRT)] 701, 702[(마을버스(2))] 533, 534[(e음버스)] 11~13, 15~16, 21~22, 31, 45, 53, 55, 61, 71, 81, 84~89[54] N50, N80, N81, N90[(인천행)] 790(A/B), 800, 801[(김포공항행)] 60-5, 9731[(영종시내)] 117, 304, 320[(공항행)] 111, 302, 303, 303-1, 306, 307, 308, 310, 330[(서울역(1))] 1000, 1100, 1101, 1200, 1300, 1300-1, 1301, 1302, 1400, 1500, 1601[(강남역(1))] 9100, 9200, 9201, 9300, 9500, 9501, 9802[(청라-강서)] 7700[(서울역(2))] M6724[(신촌역(2))] M6628[(공덕역)] M6751[(강남역(2))] M6405[(역삼역)] M6439[(삼성역)] M6450[68] 시간 오차까지 더해서 33분이다.[69] 이쪽은 일반요금 한정[70] 주 교통카드이며, 1998년부터 발행된 이비카드의 전신이다.[71]한꿈이카드 포함.[72] 카카오뱅크 체크카드, 전북은행 JB카드 포함.[73] BC 고객사 포함.[74] 토스뱅크카드 포함.[75] 2009년 당시 기준으로 송내역, 상동, 중동으로 운행되는 노선 외에도 부천시 끝인 역곡동까지 운행되던 80번도 구간 요금을 전혀 받지 않았다.[76] 당시에는 인천공항 행 버스의 경우 서부공단 정류장을 넘어갈 경우 구간요금을 받았다. 다만, 인천 시내 - 서부공단 구간만 탑승시 1,100원을 징수했다.[77] 한두 정거장을 이동하더라도 만약 시 경계를 넘었다면 추가요금이 나왔다.[78] 현금 탑승시 구간요금 최대 요금을 받는다.[79] 66번이 서울 면허 버스는 아니었으나, 비슷한 경로인 서울 63-1번을 흡수하였다.[80] 송정역은 김포 60번을 비롯한 일반형버스, 송내역은 부천 20, 53번 등, 상동역은 부천 16, 53번 등, 신천역은 시흥 16번이 있다.[81] 광역버스 9300번은 시흥영업소와 시흥하늘휴게소 모두 정차하고, 광역버스 9100번, 9200번, 9201번, 9300번은 시흥하늘휴게소에 정차한다.[82] 현재 강화군내버스, 광역버스, 공영버스, 마을버스 등에도 설치가 이루어졌다. 다만, 예비차 일부분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83] 인터넷 제공 업체(사업자)는 KT이다.[84] 다만 일부 차량의 와이파이는 노선번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PublicWiFi@BUS, PublicWifi@BUS_Free로 와이파이 프로파일이 설정되어 있다.[85] 광고 업체와 멀리 떨어진 정류소에서도 광고가 나오며 인천 시외 지역 정류소에서도 광고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