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4:58:48

조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000>세트정장턱시도 · 연미복 · 프록 코트 · 워셔블 슈트
유니폼교복 · 군복 · 제복 · 방석복 · 기동복 · 민방위복 · 정복 · 근무복 · 법복 · 죄수복 · 학교 체육복 · 활동복체련복
수영복비키니 · 래시가드
기타원피스 · 운동복 · 아웃도어 · 츄리닝 · 잠옷 · 전통의상 · 바디슈트 · 작업복 · 커버올 · 점프슈트 · 수도복 · 수단 · 인민복
법 관련 의류(경찰복 · 구속복 · 법복 · 죄수복 · 갑주)
상의이너티셔츠 · V넥 티셔츠 · 긴팔 티셔츠 · 폴로 셔츠 · 헨리넥 셔츠 · 민소매나시 · 스웨터니트 · 스웨트 셔츠맨투맨 · 후드티 · 셔츠와이셔츠 · 블라우스 · 터틀넥 · 배꼽티 · 핑거홀 · 오프숄더
외투
(아우터)
코트: 트렌치 코트 · 피 코트 · 폴로 코트 · 프록 코트 · 인버네스
재킷: 가죽 재킷 · 라이딩 재킷 · 데님 자켓청자켓 · 테일러드 재킷블레이저 · 블루종
기타: 가디건 · 패딩 · 무스탕 · 플리스 · 후드집업 · 야전상의방한복 상의 외피 · 방한복 상의 내피 · 비옷우비 · 윈드브레이커바람막이 · 파카 · 점퍼잠바 · 조끼 · 니트조끼 · 볼레로
하의치마미니스커트 · 테니스 치마 · 롱스커트 · 정장치마 · 치마바지 · 멜빵치마 · 청치마
바지청바지 · 슬랙스 · 면바지(치노) · 반바지 · 핫팬츠 · 돌핀팬츠 · 조거 팬츠 · 스키니진 · 나팔바지 · 건빵바지카고바지 · 레깅스 · 몸뻬
양말류틀:양말 및 스타킹 · 양말 · 스타킹 · 레깅스
속옷틀:속옷 · 팬티 · 브래지어 · 내복 · 속바지
신발종류운동화 · 캔버스화 · 스니커즈 · 구두 · 로퍼 · 옥스퍼드 · 슬립온 · 하이힐 · 스틸레토 힐 · 메리 제인 · 부츠워커 · 슬리퍼 · 조리 · 샌들 · · 어글리 슈즈 · 안전화 · 축구화
브랜드나이키 · 뉴발란스 · 닥터마틴 · 아디다스 · 컨버스 · 프로스펙스 · 하루타 · crocs · FILA
잡화의류잡화지갑 · 모자(틀:모자) · 허리띠벨트 · 넥타이 · 장갑 · 목도리 · 마스크 · 귀도리 · 손수건 · 안경
가방배낭(백팩) · 크로스백 · 메신저백 · 슬링백 · 핸드백
액세서리귀걸이 · 목걸이 · 팔찌
부자재단추 · 지퍼 · 패드 · 벨크로 · 어깨뽕 · 니플밴드 · 리본 · 깔창
브랜드SPASPAO · 에잇세컨즈 · 탑텐 · ZARA · H&M · COS · 유니클로 · GAP · 지오다노
기타솔리드 옴므 · 우영미 · 폴로 랄프 로렌 · 빈폴 · 헤지스 · 컨템포러리 브랜드
쇼핑몰온라인무신사 · 룩핀 · 에이블리 · 힙합퍼 · 패션 by kakao · 브랜디 · 퀸잇 · W컨셉 · 소녀나라 · 무무즈 · 아보키
오프라인
재질틀:섬유 · 섬유 · 옷감 · 다운(털) · 가죽 · 데님 · 코듀라 · 코듀로이
관리세탁빨래 · 드라이클리닝 · 웨트클리닝
기계세탁기 · 의류건조기 · 의류관리기
수선보풀제거기 · 바느질 · 다리미 · 다림질
용액세제 · 섬유유연제
보관옷장 · 옷걸이 · 행거
업소세탁소 · 코인 세탁소
기타패션·뷰티 관련 정보 · 옷차림 · 의류 수거함 }}}}}}}}}

1. 의류
1.1. 명칭1.2. 유래1.3. 조끼를 입는 캐릭터
1.3.1. 여성1.3.2. 남성
1.4. 관련 문서
2. 머그형 맥주잔을 뜻하는 말

1. 의류

겉옷 위에 걸쳐 입는 소매가 없는 . 일반적으로 패션보다는 특정 소속이나 직원, 또는 특정 업무를 하는 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입는다.

1.1. 명칭

조끼의 어원은 일본식 외래어 チョッキ(춋키)이다.[1] 디지털 다이지센과 일본국어대사전은 チョッキ 항목에서 포르투갈어 jaqueta가 변형되었다고 설명한다. 반면에 세계대백과사전영어 jack, 프랑스어 jaque, 포르투갈어 jaque, 네덜란드어 jak가 변형되었다는 설이 있다고 소개한다.

Jaqueta, jak, jack, jaque 모두 우리가 아는 조끼완 완전히 다른 의복이다. jaqueta, jak은 재킷에 해당하며, jack, jaque는 비늘처럼 생긴 중세 갑옷이다. 그런데 일본으로 건너와 발음이 뒤틀린 후 셔츠 위에 덧입는 옷인 vest의 동의어가 되어 버렸다. 세계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정작 원산지 일본에선 チョッキ는 1960년대~70년대에 거의 쓰지 않는 말이 되었고, 그 대신 영어 vest를 그대로 따와 ベスト(베스토)라 하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선 여전히 대부분 조끼란 용어를 쓰고 있다. 애초에 어원이 일본어라고 잘 생각하지 않으며, 아예 영단어를 직수입했다고 지레짐작하는 이들도 있다. 심지어 고유 한국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이다.

1.2. 유래

원래는 몽골, 튀르크 문화권에서 추운 겨울 조금이라도 더 따뜻하게 지내려고 외투 속에 껴입기 위해 만든 옷이다. 그래서 초창기의 조끼는 흔히 털가죽으로 만들었고. 말에 탔을 때 편하도록 길이가 길지 않았다. 몽골계 러시아인인 칼미크인들은 과거 12살에서 13살의 소녀들이 속옷 위에 양모로 만든 조끼를 입고 다녀야 했다. 이 조끼는 가슴과 허리를 졸라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슴을 평평하게 보이게 하였다.[2]

이것이 유럽인들에게 전해지면서 제일 먼저 군복으로 도입되었고, 이것이 유행화되면서 정장에까지 도입되었다.

디자인이나 소재, 무늬 등에 따라 캐쥬얼부터 작업용, 정장용까지 연출되는 느낌이 다양한 편이다. 그러다 보니 다른 옷들과의 궁합도 꽤 괜찮고 체형의 결점도 보완해주는 일이 많아 교복, 정장 등에도 자주 사용된다. 물론 디자인이나 색조합 등을 잘못 코디하면 어색해지기도 하니 신경쓸 필요는 있다. 등부분이 파인 조끼도 있는데, 묘한 성적 어필이 되기 때문인지 "음란조끼"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바텐더 등이 입는 등이 파인 조끼를 '무등판 조끼'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금도 여러 브랜드에서 출시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초중반 셔츠+베스트(+넥타이) 조합을 연예인들이 많이 활용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다. T셔츠, 와이셔츠 가리지 않고 베스트를 가장 바깥에 걸치는 패션으로 일명 '나이트삐끼 패션'. 유행한 이후 가디건 등이 인기를 끌며 그 선풍적이었던 인기가 무색할 만큼 유행이 식었다.

2010년대 중후반 들어선 CF 등에 힘입어 (경량) 패딩 조끼를 입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났다. 그 외 워크웨어 룩이나 아메카지 스타일을 선호하는 매니아들 사이에서도 코디의 한부분을 차지하다 보니 관련 스타일의 조끼가 관심을 받는다. 산업 분야에서 유니폼으로 자주 활용되는데, 소매가 없으니 점퍼 등에 비해 입고 벗기도 편하고 활동성도 높다. 주머니까지 있다면 수납 공간이 크게 늘어나므로 작업 능률도 향상된다. 산업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만큼 노동조합에서 단체복으로 맞추는 일도 많다. #

주머니를 하나라도 더 많이 보유하기 위해서 일부러 조끼를 입기도 한다. 이럴 땐 주머니가 가슴에 2개, 배에 2개가 달린 조끼를 입는다.

남자 한복 일습에 포함되어 저고리 위에 입는 사례도 있다. 한복에 조끼를 입게 된 유래는 명확한 정설은 없지만 대체로 개화기에 한복에 흡수되었다고 본다.

축구를 할 때 팀 구별을 위해 흔히 두 팀이 서로 다른 색의 조끼를 입는다. 다만 한국의 조기축구에서는 유니폼이 없는 팀은 노란색, 주황색 조끼가 주로 사용되는데, 경기가 급박하게 돌아가면 색깔 구분이 생각보다 어려워 피아 식별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한다. 한 팀은 조끼를 입지 않기나 아니면 파란색, 빨간색 등 원색에 가까워 구별이 쉬운 조끼를 입는 대처법이 있다. 대체적으로 노란색과 주황색은 골키퍼가 입는 것이 불문율이다.

프로 스포츠에서도 마찬가지라서 축구, 풋살, 핸드볼골키퍼 유형의 포지션이나 배구리베로처럼 특수한 역할로 인해 유니폼을 구분해 입는 포지션의 선수가 부상이나 퇴장으로 인해 경기를 뛸수 없는 상황이라면 이 선수를 대체하기 위해 한 선수가 조끼를 입고 계속 플레이해야한다.

형광 주황/노랑색으로 된 조끼는 안전조끼라고도 불리며, 눈에 매우 잘 띄기 때문에 안전요원 등 군중의 이목을 끌어야 하는 직업이 자주 착용하고, 그 외에도 조난이나 사고를 당한 상황에서 다른 이의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다. 구명조끼도 이 색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게 확장되어 공연 스태프나 환경미화원 등의 인물들도 형광조끼를 입는 문화가 자리잡았는데, 이 덕에 "형광조끼를 입으면 무슨 일이든 관계자처럼 보인다"는 농담이 있다.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창작물에서 보통 니트조끼를 입은 캐릭터는 모범생이나 얌전한 캐릭터, 니트조끼가 아닌 다른 사복 조끼를 입은 캐릭터는 주로 장난꾸러기나 얌전하지 않은 성격으로 묘사된다. 예시로 살아남기 지오 시리즈겐지, 마방빌딩 애니판라이커가 있다.

1.3. 조끼를 입는 캐릭터

1.3.1. 여성

1.3.2. 남성

*최강! 탑플레이트-손태양

1.4. 관련 문서

2. 머그형 맥주잔을 뜻하는 말

파일:attachment/맥주.jpg

일본식 영어 ジョッキ(죳키)[29]를 그대로 따온 말이다. 물을 담는 용기의 일종인 영어 저그(jug)가 일본에 들어와서 발음이 튀틀리고 의미까지 변형된 것이 바로 ジョッキ이다. Jug는 맥주잔이 아니라 입구가 넓은 물병이다. 구글 이미지 검색 참고할 것. 일본어 ジョッキ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으로 beer jug, tankard가 있다. 이 중에서 tankard는 은이나 주석, 나무 등으로 만든다.

한국의 맥주 선술집 체인 "쪼끼쪼끼"는 이 조끼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말년씨리즈에서 조키조키 라는 호프집으로 패러디되기도 했다.[30]


[1] 이한섭(2014), 일본에서 온 우리말 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p. 736[2] 러시아 칼미키야 공화국이 아닌 튀르크 계열인 키르기스스탄에도 여자아이들이 이런 조끼를 입기도 한다.[3] KOF 96, 97, XIV, CVS 시리즈 한정[4] KOF 97 한정 유일하게 조끼를 입었음과 동시에 유일하게 팬티스타킹을 신었다.[5] 예전 학교교복[6] 2편 한정. 1편에서는 그냥 민소매 원피스이다.[7] 아랑전설 3, 리얼 바웃 아랑전설 한정.[8] 2기까지만[9] 3기부터[10] 동복 교복 한정.[11] 2003년 리뉴얼 전까지 Conni와 더불어 점프슈트로 통일하다가 리뉴얼 후 계속 입고 나온다.[12] 중반때 부터.[13] 신판 장편 애니 한정.[14] 어른 되었을 때 한정.[15] 전면 전쟁편 한정[16] 처음에는 가디건을 입었지만 시즌8 중반부터 조끼로 교체된다.[17] 원래는 점퍼였는데 소매가 잘라져서 조끼가 되었다.[18] 교복을 자세히 보면 안에 조끼를 입고 있다.[19] 쿠사나기 쿄와 같은 옷이다.[20] 1부 한정[21] 옆부분이 트여 있고 목부분엔 털이 달린 특이한 디자인의 조끼.[22] 소닉 더 헤지혹 살인 사건에서[23] 여기까지는 전부 교복 기준으로, 노아부터 타카미치까지는 하복 한정. 타카미치와 에바는 유닛 의상에서도 착용한다.[24] 류카와 후타미는 유닛 의상 한정.[25] 에피소드 배경이 가을, 겨울일 때 입었다.[26] 여기까지는 전부 교복 기준으로, 레이부터 아이라까지는 하복 한정이다.[27] 역전재판 5 이후[28] 여름한정[29] 민중서림 엣센스 일한사전 참고할 것.[30] 아이디어는 김좆키와 조키조키 호프집 둘 다 따온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