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4db948><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4db948;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75c8><colcolor=#fff> 간선 | ||
지선 | |||
순환 |
세진교통 차량 | 경산버스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939번 | |||||
경산시 간선버스 939번 | |||||
| |||||
기점 | 경상북도 경산시 사동(소라아파트)[1] |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관음공영차고지)[2] | ||
종점행 | 첫차 | [평일] 05:32 / [토요일, 공휴일] 05:41 | 기점행 | 첫차 | 05:37 |
막차 | 22:10 | 막차 | 22:05 | ||
평일배차 | 14분 | 주말배차 | 16분 | ||
운수사명 | 경산버스, 세진교통 | 인가대수 | 23대[3][4] [5] | ||
노선 | 소라아파트 - 경산중앙병원후문[6] - 옥곡초교 - 옥산청구아파트 - 월드컵충전소 - 대구스타디움 - 수성알파시티역 - 수성구청 - 방천시장(김광석길) - (CGV대구한일 →/← 2.28기념중앙공원) - 섬유회관 - 북구청역 - (침산초교후문 → 경상여고 →/← 침산중교 ← 성북시장) - 연암네거리 - 동변초·중교[7] - 무태조야동 행정복지센터 - 북구구민운동장 - 운암지공원[8] - 칠곡운암역 - 관음공영차고지 |
중간 출발 정류소 | |
사동소라아파트 방면 | 2.28기념중앙공원, 북대구세무서, 산격주공아파트, 서변동영남네오빌, 화성그랜드평일, 칠곡IC |
관음동 방면 | CGV대구한일, 구.남부정류장, 대구스타디움, 창신성암타운, 경산중앙병원후문 |
2. 개요
경산시 사동 소라아파트(9)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3동 오봉오거리(3)를 거쳐 북구 관음동 관음공영차고지(7)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이자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80.2km.전체 정류장 목록, 노선도[9]
3. 역사
36번 시절의 사진. 1994년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노선은 경북대학교 ~ 경산 영남대학교. 사진의 차량은 지금은 없어진 건영교통 소속 차량이다.- 1998년 개편 전에는 36번이었고[10] 동구 용계동 극동버스 차고지가 종점이었다가[11] 경북대학교까지 단축되었다가[12][13] 다시 침산네거리 구.명성웨딩(현 명성푸르지오 아파트)까지 단축되었다.
- 1998년 5월 5일 개편으로 현재 번호인 939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0년대 초반에 전 차량 한일극장 경유에서 한일극장과 반월당 1/2 분리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으로 반월당 분리운행이 폐지되었고, 산격대로 고가대로 대신 상수도사업본부시설관리소 경유로 변경되었다. 다만 706번과 달리 노선번호 변경은 없었다.
- 2008년 10월 개편으로 724번 증차를 위해 1대가 감차되었다.
- 2009년 1월 17일 개편으로 309번과의 중복도 조정과 대구스타디움 접근성 개선을[14] 위해 신매미래공원(현 고산도서관)에서 신매역, 고산2동행정복지센터(달구벌대로)를 거쳐서 수성알파시티역으로 가던 노선이 대구스타디움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인가대수 1대가 증차되었다.
- 2011년 8월 18일 개편으로 조영동에서 사동2지구로 기점이 변경되어 경산버스와 공동 배차를 하게 되었다.[15][16] 따라서 대구 버스 7대가 빠지고[17], 경산버스 7대가[18] 들어왔다.[19]
- 2015년 4월 29일부터 회차지를 사동 소라아파트로 이전하여 509번(사동행)과 함께 종착한다. 공원 용도로 사용해야 할 기존의 사동 회차지가 경산시청 자체에서 불법으로 전용하였다는 사실이 드러나 경산 시민들의 반발로 종점 사용이 금지되었기 때문이다.[20]
- 2019년 4월 20일 개편 및 칠곡3지구 회차지 폐쇄에 따라 관음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구암네거리 이후 구간은 937번과 동일하게 칠곡2지구 경유 관음공영차고지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칠곡3지구 중심에서 철수하게 됐다. 따로 증차가 없으면서 왕복 운행시간은 낮 시간 기준 56분 더 주기 때문에 배차간격은 평일 13분, 주말 14분에서 평일 14분, 주말 16분으로 늘어났다. 많이 걸릴 때에는 1타임에 무려 2시간 35분이다. 노선도로 연장된 구간만 대충 보면 편도 10분 정도만 더 늘어난 거 같은데 실제로는 편도 28분이 더 주어진 것이다. 연장된 구간이 더 길어진 706번이 운행시간이 편도 10분 정도씩만 더 늘어난 거와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그 후 저속으로 운행한다는 민원이 들어와 연장 구간의 운행시간이 칠곡 방향 17분, 경산 방향 14분으로 조정되었다.
- 2022년 12월 1일부터 경산버스 인가 1대가 복귀하여 6대로 운행한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안에 따르면 관음동~경대병원역 구간으로 노선을 단축한다고 나왔다. 초장거리 운행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노선을 수정하고 노선 번호를 변경하는 것으로 보인다. 개편안이 실행한다면, 개통 때부터 오랫동안 있었던 경산시에서 철수하고 2011년 이후 약 14년만에 경산버스와의 공동배차가 파기될 예정이다.
3.1. 사건사고
- 2014년 9월 8일, 사동으로 가던 세진교통의 939번 차량에서 한 50대 취객이 버스가 늦게 와 환승이 안 되었다며 기사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하지만 당시 이 버스는 배차에 맞춰 운행하고 있었다. 이후 기사에게 계속 폭언을 쏟아부었고, 버스는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21] 후문에 비상 정차했다. 그러고도 정신을 차리지 못했는지 항의하는 학생에게 사과는 커녕 자신이 대구에서 잘 나가는 사람이라는 등 횡설수설했고, 결국 경찰이 출동한 후 승객들은 다음 버스로 옮겨 타는 사건이 있었다.
4. 특징
- 1980년대 고정배차 당시 36번은 가장 많은 회사가 운행했던 노선이다. 당시 운행 회사는 영진버스, 한일운수, 신일여객, 관음교통, 극동버스로 이 중 영진버스(현 세진교통)의 경우는 현재에도 939번이 운행중이다.
- 영남대학교로 다니던 시절에는 배차간격이 그렇게 긴 편이 아니었지만, 309번보다 배차간격이 길어서 309번에 다소 밀렸다. 결국 2009년 1월 17일 개편 때 대구스타디움 경유로 변경되었고, 2011년 8월 18일 개편 때 아예 경산시 구간이 통째로 변경되었다.[22]
- 2011년 개편으로 사동2지구에 들어온 후에는 경유하는 경산시 옥산동, 옥곡동, 백천동, 사동 구간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노선으로서 인기가 많다. 사실 순수 경산버스 노선은 배차간격이 비교적 길며, 특히 이들 지역에서 직통으로 대구 시내까지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 수요가 많다. 경산 시내 구간에서의 통학 수요도 있다. 주로 옥산1지구에서 옥곡동 쪽의 경산여중, 장산중학교 수요와 백천동의 문명중고등학교, 사동의 사동중학교와 사동고등학교 통학 수요인데, 시험을 쳐 비슷한 시간에 마치면 헬게이트가 펼쳐져 평소에 보기 힘든, 앞문으로 내리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 옥산동에서 신매역이 아닌 대구스타디움을 거쳐 수성알파시티역으로 가기 때문에 시지지구의 중심지인 신매광장으로는 가지 않으며, 도시철도로 환승하려면 최소 수성알파시티역까지 가서 환승해야 한다. 게다가 버스노선이 적은 옥산동 안동네와 옥곡지구를 다 거쳐 백천동으로 내려와서 사동지구로 올라와 종착하기 때문에, 이 노선 역시 굴곡 노선이다. 다만, 수성알파시티역~대구스타디움~사동 구간으로의 노선 조정 건은 애초에 309번을 비롯한 다른 노선들과의 중복도를 줄이려고 시행되었다. 또한 대구스타디움에서 옥산, 옥곡, 백천, 사동을 연결해 주는 유일한 노선이므로 이 구간을 오가는 독점 수요도 제법 많다.
- 509번 분리 노선을 정평동~계양동으로 통합하고 계양동 회차지가 좁은 관계로 사동까지 연장하자는 의견도 있었는데, 2015년 2월에 계양동 회차지가 폐쇄되면서 509번은 사동 소라아파트 건너편으로 종점을 이전했다. 당시 소라아파트 종점에서 사동부영6차 종점까지 단 2정거장 남겨 둔 상태였다. 정말 통합과 연장이 실행될 경우 사동에서는 939번보다 509번을 타고 정평역에서 환승하는 게 훨씬 빠르다. 다만 2013년 10월 15일 918번이 백천동에서 사동으로 연장되면서 이런 문제가 해결되었다.
- 2013년 하반기 대구한의대학교 측에서 이 노선을 대구한의대학교까지 연장해 달라고 경산버스에 의뢰했다. 다만 대구버스 비평가들에게 그다지 큰 호응은 얻지 못했는데, 939번은 현재도 장거리인 데다가 대구한의대학교에서 도시철도로 환승하려면 수성알파시티역까지 먼 거리를 가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100번에 환승 수요에서 밀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거기다 2014년 3월 3일 109번이 신설되었다. 109번은 사동 종점에서 삼성현로를 따라 대구한의대학교로 들어가고 있으며, 칠곡3지구 종점의 폐쇄 때문에 939번이 관음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대구한의대학교로 연장될 가능성은 사라졌다.
- 전면 LED 행선판 표기가 자주 바뀌었다. 소라아파트 대신 사동성당네거리 종착으로, BIS에도 소라아파트 출발만 나왔다. 차내 LED 전광판에 나오는 주요 목적지 소요시간에도 덕원고등학교까지만 나오며 경산 구간은 나오지 않았고, 연장 전에는 '사동'으로만 나왔다. 경산버스의 LED는 '소라아파트 방면'으로 나온다. 물론 언제부턴가 수정하여 '사동' 또는 '사동네거리' 방면으로 나오며, 차내 안내에도 사동이 추가되었다.
- 장기 정차와 가스 충전은 관음공영차고지에서 한다. 기사 교대는 주로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후문에서 한다.
- 운행하는 회사 모두 경산시에 차고지를 두고 있기 때문에, 공차거리가 상당하다. 840번처럼 막차 고정 분담은 하지 않는다.[23] 7권역 업체가 참여해야 어느 정도 해결될 듯 하다.[24]
- 수요는 다소 애매한 편이다. 상대적으로 대체 노선들이 적은 경산시[25] 구간은 꽤 수요가 있지만[26] 시지지구 번화가(신매광장)를 지나가지 않고, 지하철 환승도 수성알파시티역까지 가야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쪽 칠곡지구 - 대구 도심 구간도 북구청역, 달성공원으로 돌아서 가기 때문에 칠곡지구에선 환승저항을 원하지 않거나 동서변동 일부 주민, 급행2번이 다니지 않는 구암로 남편 일부 주민들에 한해서 939번을 이용하며, 침산네거리에서 이마트 칠성점까지 바로 갈 수 있는 349번에 밀린다.[27]
- 2019년 4월 20일부터 관음공영차고지 - 칠곡운암역 - 구암네거리 구간을 연장하면서, 관음동 - 구암로 연계와 칠곡운암역 환승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또한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중앙로역 방면까지 한 번에 가는 버스인 704번이 없어지면서 생긴 불편을 어느 정도 풀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팔달교 대신 국우터널을 지나고, 시내까지 꽤 굴곡이 있어서 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점은 아쉽다. 칠곡 수요는 칠곡운암역 환승 수요가 대부분이고, 칠곡2지구~시내 수요는 3호선이 꽉 잡고 있어서 별로 없다.
- 대구 노선들 중 펜타힐즈와 가장 가까이 다니는 노선이다. 100-1번, 990번과 월드컵충전소에서 연계된다.
- 버스 와이파이가 보편적이지 않던 시절, 경산버스만 와이파이를 제공하였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939번 | ||
경산시 간선버스 939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9,293명 | - |
2015년 | 9,047명 | ▽ 246 |
2016년 | 9,335명 | △ 288 |
2017년 | 8,981명 | ▽ 354 |
2018년 | 9,156명 | △ 175 |
2019년 | 8,294명 | ▽ 862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4,833명[29] | ▽ 3,461 |
2022년 | 6,503명 | △ 1,670 |
2023년 | 5,587명 | ▽ 916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30]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수성알파시티역, 연호역, 담티역, 만촌역, 수성구청역, 범어역, 대구은행역, 경대병원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31], 달성공원역, 북구청역, 칠곡운암역
6. 둘러보기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8권역 (경산) | 급행5 | 518-1 | 708 | 814 | 818 |
818-1 | 808 | 55·555 | ||||
8권역 (영천) | 군위-신녕 | |||||
9권역 | 309 | 449 | 509 | 609 | 649 | |
719 | 840 | 909 | 939 | 980 | ||
849-1 | 100 | 100-1 | 399청 | 803 | ||
990청 | 991 | |||||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
대구 시지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간선 | |
지선 | ||
경산 |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칠곡 |
[1] 세진교통 소속(대구) 차랑에는 사동네거리 방면으로 표시되는 반면 경산버스 소속(경산) 차량에는 소라아파트방면으로 표시된다.[2] 경산버스 소속 차랑에는 CGV대구한일방면으로 표시된다.[3] 경산버스 7대, 세진교통 16대[4] 토요일 / 공휴일 20대 운행[5] 경산버스 측의 기사 부족으로 7대 → 6대로 감축운행하며, 총 22대로 운행중이다.[6] 사동 방면 정류장명은 백천부영초록마을[7] 정류소 이름은 동변주공그린빌[8] 939번 단독구간이다.[9] 실제로는 기점이 관음변전소, 종점이 소라아파트이다.[10] 현재 309번의 전신인 336번 좌석버스와 경산 영남대에서 동산네거리까지 100% 겹쳤다.[11] 당시 영남대학교에서 한일극장, 섬유회관, 침산동, 경북대학교, 큰고개오거리를 거쳐 용계동까지 가는 거대한 ㄷ자를 그리는 노선이었다. 극동버스는 본래 율하남교 인근에 차고지가 있었다가 2003년에 동호공영차고지로 이전했고, 2010년 10월에 성보교통과 합병한 후 검단동차고지로 통합했다. 이에 따라 공백이 생긴 동호공영차고지에 달구벌버스가 북구3번의 율하지구 입성과 맞물리면서 기다렸다는 듯이 이전했다.[12] 회차시 경북대정문에서 대현신화맨션 안길로 들어가서 다시 경북대북문으로 나왔다. 이런현상은 침산동으로 다시 단축되면서 없어졌다.[13] 36번의 동구 구간은 32번이 공고네거리 구간 대신 동북로 경유로 변경하여 836번으로 변경된 오늘날까지 대체하고 있다.[14] 939번이 변경되기 전에는 대구스타디움에서 시내 깊숙히 들어가는 노선이 전무했고, 가장 가까운 도시철도 역인 수성알파시티역과 연계되는 노선도 편도로 운행하던 849번밖에 없었다. 당시에는 3호선 용지역도 없던 시절이다.[15] 경산버스에서 939번이 사동으로 연장하려 하자 939번 노선에 공동 배차를 요구했다고 한다. 그나마 밑에 서술한 대로 세진교통에서 차량 이동을 하던 상황이라 공동 배차에 참여하게 된다.[16] 초기 계획은 종점을 사동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경산시장 경유를 정평동 경유로 직선화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유니버시아드로를 다니는 노선을 신설해 달라는 다수의 민원과 대구버스조합의 협상으로 계획이 바뀌어 덕원중고교 종점에서 옥곡지구와 사동지구를 거쳐 한일운수 차고지 인근인 대구미래대학교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다시 계획이 수정, 단축되어 사동에서 회차하는 노선으로 확정되었다.[17] 4대는 618번, 3대는 604번 증차에 투입되었다. 그리고 618번은 세진교통에서 4대를 증차한 만큼 해피투게더 현대교통에서 4대를 감차해서 600번에 투입했다. 이 때 600번이 현풍에서 구지면 내리 달성2차산단까지 연장되었기 때문이다.[18] 990번 백천행 2대, 991번 백천행 2대 및 본선 2대, 100-1번 1대가 감차되었다.[19] 이 노선의 개통으로 옥곡동과 삼북동을 1/2로 운행하던 100-1번이 삼북동으로 통합되었고, 990번과 991번의 백천동 분리 노선이 사라졌다.[20] 100-1번, 918번, 경산1(-1)번, 경산2(-1)번은 백자로를 통하여 대구한의대학교(삼성캠)로 연장되었다.[21] 당시에는 자연과학고.[22] 939번이 개편된 후 2012년 10월 20일부터는 609번이 대구스타디움에서 덕원중고교 종점을 경유하여 사월역으로 운행하고 있다.[23] 일례로 경산버스 소속 939번 버스가 밤 10시에 시내서 칠곡 방향으로 가는걸 볼 수 있다. 세진교통 소속 버스도 마찬가지다.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해서 가도 30분은 넘어간다.[24] 이건 708번, 719번도 마찬가지다.[25] 백천, 사동, 옥곡, 옥산[26] 경산시의 주요 주거 지구에서 한일극장과 같은 대구 중심가까지 비교적 직선으로 연결하며, 이 구간에서 통학 수요도 있다. 거기다 다른 경산시 유출입 노선들은 주로 옥산2지구와 경산시장, 영남대학교로 운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독점이다.[27] 덕분에 349번은 하루 평균 1만명 이상을 책임지는 혼잡 노선이다. 대구 FC가 홈을 옮긴 DGB대구은행파크에 가는 수요도 늘어났다.[28] 경산버스는 '사동.백천'이라고 표기하였으며 대구버스는 영남대에서 사동으로 변경된 후에 옆에 있는 경유지가 두 개인 행선판을 썼다.[29]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30] 2.28기념중앙공원 또는 CGV대구한일 정류장[31] 섬유회관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