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22:53:41

미스터리 관련 정보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AMiscreantAndCloisteredBody#44|토론]]을 통해 문서 기재 조건을 강화하는 것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AMiscreantAndCloisteredBody#44|토론]] - 문서 기재 조건을 강화하는 것으'''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nopad> 파일:아틀란티스 가상 지도.png
미지의 대륙 아틀란티스의 가상 지도

1. 문서 기재 조건2. 별도 문서가 있는 정보
2.1. 미제 사건 관련 정보2.2. 역사 관련 정보
2.2.1. 한국사 관련 정보2.2.2. 세계사 관련 정보
2.3. 자연과학 관련 정보
3. 정보기관·조직·비밀결사·음모론 관련 정보4. 예언 관련 정보5. 유령, 귀신, 심령현상 관련 정보6. 초능력, 초자연현상 관련 정보7. 지역에 관한 미스터리8. 기인·기행·유명인9. 관련 문서

1. 문서 기재 조건

이 문서에 기재하는 정보는 "상식적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이상한 사물이나 사건"이라고 하는 미스터리의 사전적 의미를 만족한다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기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실재했던 사건, 인물, 물건에 관한 것을 기재한다. 실재하지 않았던 사건, 인물, 물건은 미스터리가 아닌 판타지픽션으로 규정하며, 이 문서에는 기재하지 않는다.
2. 정설이 존재하지 않는 미디어, 체험, 목격, 현상을 기재한다. 명확한 정설이 존재하는 미디어, 체험, 목격, 현상은 기재하지 않는다.
3. 가설의 경우, 만약 그 가설이 사실이라면 풀리지 않는 의문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기재한다. 단, 사회적으로 충분한 공론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설은 기재하지 않는다.
4. 유명한 미제 사건이나, 의문점이 존재하는 사건을 기재한다.(ex: 범인은 밝혀졌으나, 범행 수법이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형사 사건 등) 의문점이 존재하지 않는 사건·사고는 사건 사고 관련 정보 문서에 기재한다.
5. 세계적, 국가적, 지역적으로 유명한 미스터리 정보를 기재한다. 단, 개인이나 특정 집단에서 특수한 목적을 위해 전파하는 미스터리는 기재하지 않는다.
6. 저명한 인물의 예언 또는 실체가 있는 고대의 문서가 예언한 예언 관련 정보를 기재한다.
7. 상위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의 경우에도, 가장 중요한 등재 기준은 "진상이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규정한다.

2. 별도 문서가 있는 정보

2.1. 미제 사건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리 관련 정보/미제 사건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미제 사건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미제 사건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역사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1. 한국사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한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한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한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2. 세계사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세계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세계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역사 관련 정보/세계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자연과학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리 관련 정보/자연과학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자연과학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리 관련 정보/자연과학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정보기관·조직·비밀결사·음모론 관련 정보

4. 예언 관련 정보

5. 유령, 귀신, 심령현상 관련 정보

6. 초능력, 초자연현상 관련 정보

7. 지역에 관한 미스터리

8. 기인·기행·유명인

이 항목은 1997년 논문에 기반하여 쓴 것으로, 해당 논문에서는 라미레즈의 죽음과 관련되어 아직까지 명확한 설명은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다루는 설명은 현재 남아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최대한 추정한 것이라고 하니 참고하자.
1994년 2월 19일 오후 7시 50분경 의료진은 부정맥과 호흡곤란을 일으킨 라미레즈를 구급차에 실어 8시 15분경 병원에 도착했다. 구급차 안에서 의료진은 산소 공급 및 심장 제세동과 정맥 주사를 실시하였으나 별 차도가 없었다. 이상한 일은 병원에 도착한 후 일어났는데, 의료진이 정맥 채혈을 하자 라미레즈에게서 갑자기 암모니아같은 냄새가 풍기며 의료진 중 한 명이 기절하게 된 것. 곧 다른 의사가 와서 그녀의 혈액을 확인했는데 주사기 안에는 하얗거나 옅은 주황색의 결정이 있었다고 한다. 이 의사 또한 곧 의식을 잃고 심지어는 호흡곤란과 경련을 보이기까지 하였고, 다른 의료진들도 줄줄이 갑작스레 건강에 이상이 생기자 책임자는 모든 의료진의 대피를 명령하고 자신과 몇몇의 의료진만 남아 라미레즈를 살리고자 했다. 그들은 기도 삽관과 추가적인 약물 치료 등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였으나 라미레즈는 8시 50분경 사망하고 만다.
모든 의료진들의 대피가 완료되자 병원은 재난 상태를 선포하고 위험물질처리반을 불러 대처하였다. 총 20여명의 병원 직원들이 이 ‘물질’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중 6명은 치료를 위해 입원하기까지 하였다. 2월 20일에는 병원의 모든 장비와 기물들을 소독하여 오전 7시에 병원 응급실이 다시 열렸고, 라미레즈의 시신은 오전 10시 정도에 완벽히 밀폐된 채로 이중으로 봉인되어 검시관에게 보내진다.
검시 결과 그녀의 사망 원인은 급성 신부전에 의한 부정맥으로 밝혀졌고, 말기 자궁경부암이 림프계를 거쳐 요도를 막은 것으로 확인됐다. 혈액 검사 또한 실시되었는데, 그녀의 피에서는 리도카인, 아세트아미노펜, 모르핀과 같은 물질들이 검출됐다. 아무래도 가장 흥미로운 것은 당시 현장의 공기 성분 검사 결과일텐데, 검사 결과 암모니아, 포스젠(phosgene), 청산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의 휘발성 물질들이 검출된 것이다.
당시로서도 신뢰할 만한 설명들이 나오지 않았기에 리버사이드 카운티는 캘리포니아 주에 검사를 의뢰한다. 주 당국에서는 특정한 결론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실험적 및 물리적 증거들에 따라 이를 집단 히스테리로 잠정적 결론을 내린다. 당연하게도 이 결정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이것이 바로 ‘Toxic Lady’ 사건의 전말이다.
논문은 혈액 검사 결과 그녀의 혈액에 있던 다이메틸 설폭사이드(이하 DMSO)에 주목한다. 이 물질은 무색의 기름기 있고 약한 마늘 냄새가 나는 액체로 정상인의 혈액에서는 절대 검출되지 않을 만한 물질인데다가 당시 응급실 직원의 환자에게서 약한 마늘 냄새가 났다는 증언 또한 DMSO의 존재를 확인케 해주기 때문. DMSO는 대개 화학적 용매나 세포 보존 등에 쓰이는 물질인데 왜 인체 안에서 검출되었을까?
한 가지 가능성으로 마약성 물질의 사용을 들 수 있겠다. DMSO의 특성 중 하나는 손상 없이 피부 장벽에 잘 스며들어 체내로 흡수된다는 점인데, 라미레즈가 생전에 마약성 물질인 펜사이클리딘(PCP)을 이용할 때 DMSO 크림을 이용해서 체내로 흡수시켰다는 것. 다만 추후 나온 보고서에서는 라미레즈가 PCP를 사용하였다는 증거가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라미레즈가 불법 약물을 섭취하지 않았더라도 DMSO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 DMSO는 진통제, 항우울제, 정신자극제 등 의학적으로도 쓰이는데, 이런 효능들 때문에 일각에서는 만병통치제로까지 표현된 바 있다. 게다가 자궁경부암을 비롯한 암 환자들의 항생제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병원 치료를 거부한 라미레즈가 따로 이를 구해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하지만 DMSO 단일 제제 하나만으로는 그녀 곁의 의료진들이 겪은 증상들을 설명할 수 없다. 답은 그녀가 받은 치료 과정 중에 있다. 호흡 곤란과 부정맥으로 실려간 그녀는 구급차 안에서 산소 공급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DMSO가 DMSO2가 되었고, 적절한 온도 하에서 DMSO4로 바뀌게 된 것. 한 가지 알아둬야 할 것은, 이 DMSO4가 물과 만나면 메탄올황산으로 변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른 연구들에 따르면 이런 특성 때문에 전쟁 무기로도 사용될 만큼 위험한 물질이다. 라미레즈의 정맥혈을 채혈했을 때 이미 만들어진 DMSO2의 결정[15]들은 공기중 산소와 만나 DMSO4가 되었고 다시 이 DMSO4가 수분과 만나 유독가스를 생성하여 의료진들이 상기된 미스터리한 ‘물질’에 의해 쓰러지고 입원했으며, 라미레즈는 가장 유명한 의학 미스터리 중 하나의 주인공이 되었다…는 것이 논문의 골자이다.
다만, 해당 물질들은 휘발성을 가지고 있어 빠르게 사라졌기에 이 가설에 대한 직접적이고 명확한 증거는 되지 못했다. 결국 현재 남아 있는 자료로는 이 항목 맨 앞에 언급하였듯이 추측밖에 못하는 상황인 것. 그래도 이 가설이 그나마 글로리아 라미레즈의 죽음 주위에 깔린 미스터리를 가장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9. 관련 문서


[1] 피자게이트 등의 헛소문을 퍼뜨린 인물로, 유명한 가짜 뉴스 단체인 인포워즈(Infowars)를 설립했다.[2]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보헤미안 그로브를 다루었다. #[3] 오늘날의 중화권 조직폭력배를 가리키는 말로서의 삼합회중화민국 초기의 혼란기를 틈타서 나타난 조폭들이 이들을 사칭한데서 기원했다.[4] 오히려 18세기에는 조지 워싱턴을 포함한 서구권 각국의 내로라하는 유명인들이 프리메이슨에 가입한 뒤에, 이를 출세의 증거로 삼아 세간에 과시하곤 했다. 그리고 현대에는 회원 수가 급격히 줄어든 바람에 SNS를 이용해 공개적으로 회원을 모집하는 등, 신비주의 컨셉도 갖다버린지 오래다.[5]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유명한 그 수학자맞다.[6] 다만 현대 연구에 따르면 2번 암호 해독에 쓴 방식을 1번에 적용하면 "ABFDEFGHIIJKLMMNOHPP" 같은 문장이 아니면서 인위적으로 나열한 듯한 문자열이 나오는 고로 적어도 1번 암호는 허구나 내부 테스트 목적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물론 2중 암호라는 설도 있지만, 아무리 다중 암호라 해도 저런 알파벳 순으로 나열된 문자열이 나타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한다.[7] 특히 한국의 일부 유사 역사학자들은 단군이 이스라엘 10지파 중 하나인 단 지파 출신이라는 황당무계한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8] 탈쥐효과는 LG 구단의 고질병인 낙하산 코치 인사 때문에 선수 육성이 안 되는 것이 원인이며, DTD는 야구 관계자는 다 아는 현상인 데다가 방송들이 그냥 재밌는 현상 내지 미스터리로 치부하려 했던게 주요한 원인이지 사실 이전부터 상위권에 간당간당 머물던 팀의 순위가 하락하는 것은 큰 수의 법칙으로 충분히 설명이 된다. 그나마 이해하기 어려운 게 2011년 한화의 시즌 6위로 꼽지만, 당장 저 팀은 2018년까지는 꼴지 내지 하위권에 머물러도 이상하지 않을 전력을 보유했으며 특히 전후 시즌인 2010년과 2012년은 두 시즌 다 감독이 중간에 경질되어 버려 선수단과 시즌 운영에 혼란이 컸기에 이 점도 설명이 된다.[9] 2004년에 레오나르도 가예고스라는 경찰관이 순찰 도중 이 마녀에게 공격당했다며 지역 방송국 인터뷰에 나와 말한 적 있다.[10] 키가 3m나 되는 온 몸이 털로 뒤덮였다고 한다.[11] 이 표현을 고안한 사람이 다름 아닌 스티븐 킹. 사실 어원적으로 따지면 옳은 번역은 염화(念火)가 아닌 화동(火動)에 가깝다. Pyro(불)과 Kinesis(움직임)의 조합이기 때문.[12] 이탈리아어로 Poveglia 중 glia에서 g는 묵음이 되기 때문에 포벨랴나 포벨리아에 가까우나 로마자 표기에 이끌려 보통은 포베글리아로 알려져 있다.[13] 1978년에 유네스코 자연 유산으로 등록되었다.[14] 현재 나하니 국립 공원에 가려면 좀 멀리 떨어져 있는 인근 마을에서 배를 타고 강을 건너 가거나 경비행기를 타고 날아가야 한다.[15] 앞서 언급된 하얗거나 연주황색의 결정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