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2:06:42

유치원/지역별 현황/경상북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치원/지역별 현황

1. 김천시

1920년 설립된 금릉유치원이 최초이다. 김천시가 아직 김천군이었던 시절에 개원했으며, 소재지는 현재의 김천시 남산동이다. 이 곳은 대구를 제외한 경상북도에서 최초로 개원한 유치원이다. 1928년 총독부로부터 인가를 받고 초대 원장으로 이정득이 부임하였으며, 6.25 전쟁 때 원사가 소실되는 바람에 현재는 폐원. 금릉유치원을 기억하는 사람은 대체로 80대 이상, 아무리 나이가 적어도 70대 중후반인 어르신들이다. 김천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14년~1916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살아 있다면 [age(1914-12-31)]~[age(1914-01-01)]세이다. 참고로 이 지역은 국회의원을 1명만 뽑을 수 있는 지역들 중 유치원이 가장 일찍 들어왔다. 비슷한 시기에 일본인을 위한 유치원이 지금의 김천시 황금동에 설립됐다. 이를 보면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서부 지역의 중심지가 김천이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1]

현존하는 최고의 유치원은 1947년 9월 26일에 천주교 대구대교구 김천황금성당 부설로 설립된 마리아유치원이다. 이 곳의 첫 원생들은 1941년~1943년생으로 첫 졸업생이 현재 [age(1941-12-31)]~[age(1941-01-01)]세의 노인이 됐다. 과거에는 현재의 경상북도 구미 (당시 선산군), 상주 (당시 상주군), 칠곡에 사는 아이들은 물론, 심지어는 충청북도 영동[2]에 사는 아이들도 경부선, 경북선 기차를 타고 원정 통학하기도 했다. 한편, 김천에서도 아직까지 시골인 지역이 제법 남아 있는 옛 금릉군 지역에는 1980년대에야 겨우 유치원이 설립됐다.

사립유치원은 김천 시내에 9곳, 율곡동에 2곳 있으며 나머지 읍면 지역에는 없다. 그래도 과천시보다는 많다 조선 시대 군현별로 보면 김산군, 개령현 지역에만 사립유치원에 있고, 지례현이었던 동네에는 없는 셈. 게다가 농소면[3], 남면[4]에는 교육기관이 아예 없다. 이는 1960년대 20만 9,827명이던 인구가 2000년 14만 9,864명으로 줄고 2001년 15만 858명으로 잠깐 15만 명대를 회복한 뒤 2010년 2월 13만 5,632명까지 줄었다가 2021년 14만 548명으로 회복되는 등 인구 증감을 반복하지만[5]사립유치원 수는 거의 그대로인 것이다.

김천소년교도소가 있는 지역답게 지역의 유치원에는 교정직 공무원의 자녀도 있다.

유도선수 최민호가 김천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6] 김재범 역시 김천에서 유치원 생활을 했다.

김천시 역시 정씨가 최씨보다 많아[7] 원생이나 교사의 성씨 중 정씨인 경우가 최씨보다 더 많은 편이며, 경상북도 지역이지만 권(權)씨는 상대적으로 적다. 실제 김천에서도 10대 성씨는 김, 이, 박, 정, 최, 강, 임, 장, 전, 윤씨 순서이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2. 울진군

1922년 설립된 동명유치원이 최초로, 울진군이 강원도 (현 강원특별자치도) 관할이던 시기에 울진교회 부설로 개원했다. 울진군이 강원도이던 시절에는 동명유치원이 강원도 영동 지방[8]에서 최초로 개원한 유치원이었으나, 1963년 울진군이 경북으로 넘어가면서 이 타이틀은 1923년에 개원한 강릉시의 금천유치원이 가져갔다. 울진군의 인구 감소로 원생을 모집하기 힘들어진 현재는 폐원되었고, 현존하는 최고의 유치원은 1981년 설립된 울진남부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다. 이렇게 사립유치원이 아예 없기 때문에 울진에서 유치원 추첨에 다 떨어진 아이들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로 넘어가서[9] 유치원을 다니는 경우가 있다. 울진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16년~1918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살아 있다면 [age(1916-12-31)]~[age(1916-01-01)]세이다. 울진군에서 가장 가까운 사립유치원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의 다솔유치원으로 울진군청에서 차로 48분 정도 소요된다.

1916년~1956년생들은 강원도 울진군 소속일 때 입학해서 졸업까지 했고, 1957년생과 1958년생은 강원도 울진군일 때 입학해서 경상북도 울진군일 때 졸업했으며, 1959년생부터는 경상북도 울진군 소속일 때 입학해서 졸업까지 했다.[10]

이후 울진군이 강원도였던 시절인 1951년에는 울진유치원[11], 1954년에 동림사 부설 동림유치원이 개원되었는데, 셋 다 울진읍에 있다.

경상북도인데도 지역적 특성상 폭설에 의한 휴원이 잦아, 울진이 고향인 사람들은 유치원 시절 겨울마다 제설차가 자신이 다니던 유치원 앞으로 지나갈 정도라고 한다. 또한 남씨 성을 가진 원생과 교사들도 많아서, 유치원 3년 다닐 동안 만났던 선생님이 모두 남씨였거나, 적어도 남씨 성 가진 선생님을 한 번쯤은 만나 봤다는 이야기도 할 정도이다. (물론 본관은 거의 영양 남씨) 여기에 주씨도 많아서, 울진에서는 주씨 성을 가진 원생과 교사가 반드시 한 명은 있을 정도이다. 실제 울진군 10대 성씨도 김, 이, 박, 장, 최, 황, 남, 정, 임, 전씨로 남씨가 무려 7위이다.

사립유치원은 2곳 있는데, 울진읍 고성리와 후포면 삼율리에 하나씩 있다. 물론 현재는 모두 휴원 중이라 실제 영업하는 곳은 없다. 이런 이유로 울진군의 유아들은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을 다니거나 아예 삼척 등지로 넘어가서 사립유치원을 다녀야 한다. 당연히 울진이 고향인 유아교사들도 다른 지역의 대학[12]을 졸업하고 임용고시를 통과해야 고향에서 근무할 수 있고, 사립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싶으면 고향을 떠나거나, 포항, 삼척 등지로 장거리 출퇴근을 해야 할 정도이다. 현재 울진에서 가장 가까운 사립유치원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있어 사립유치원을 다니기 위해 매일 도 경계를 넘는 경우도 있을 정도이다. 심지어 평해에도 없는 사립유치원이 후포에는 있었다. 이는 평해읍보다 후포면의 인구가 더 많은 도시 구조[13] 때문이다. 이렇게 된 원인은 지리적인 불리함[14]으로 인한 개발 저조와 그에 따른 인구 감소인데, 1960년대 11만 7,426명이던 인구가 2021년 4만 8,716명으로 줄면서 사립유치원이 2곳으로 줄었고 그나마도 무기한 휴원 중이다.

탤런트 이신애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3. 의성군

1922년 의성읍 도동리 의성교회 부설로 설립된 의성유치원이 최초이며, 현재는 폐원되었다. 시골치고는 상당히 빨리 유치원이 들어왔는데[15], 북한 치하로 넘어간[16] 개성을 제외한 경기도의 도시들 중 의성군보다 먼저 유치원이 들어온 곳은 없다. 또한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서 유치원이 가장 들어온 곳이기도 하다.[17] 의성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16년~1918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살아 있다면 [age(1916-12-31)]~[age(1916-01-01)]세이다.

현존하는 최고의 유치원은 1962년 설립된 에덴유치원이다. 사립유치원은 2곳 있는데, 그나마도 도리원, 안계면[18]을 위시한 의성군 서부에는 없다. (심지어 단북면[19], 사곡면[20], 안사면[21]에는 교육기관 자체가 없다.) 의성읍 도동리에 1곳, 금성면 탑리리에 1곳 있었으나 금성면에 있던 것은 폐원돼 하나만 남았다. 군위군청송군에는 사립유치원이 없어서 군위, 청송에 사는 아이들이 사립유치원을 다니기 위해 의성으로 원정 통학을 하기도 한다. 다만, 의성군에는 대학이 없어서 의성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은 모두 다른 지역의 대학을 졸업했는데, 주로 거리상 가까운 도시인 대구[22]안동에서 대학을 다니다가 의성으로 발령받고 온다.[23]

이렇게 된 이유는 지형상의 이유로 안동 시가지가 여기까지 확장되지 못해 안동, 대구, 서울 등지로 인구가 끊임없이 유출되어 1960년대 20만 3,753명이었던 인구가 2021년 5만 1,724명까지 줄어들었고[24], 이로 인한 경영 악화로 문을 닫는 사립유치원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어 단촌면, 금성면 등 의성군 동부의 면에서는 안동이나 의성읍 에덴유치원으로, 다인면[25] 등 의성군 서부의 면에서는 상주로 많이 간다.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의성군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권-최-정-신-장-오-황 순서라 최씨보다 권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그나마 그 권씨는 대부분 안동 권씨[26], 정씨는 대부분 동래 정씨[27]이다.

팀 킴의 컬링선수 중 김영미, 김선영, 김경애, 김은정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다만, 나머지 하나는 의정부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4. 포항시

1922년 지금의 북구 중앙동[28]에 포항유치원[29]이 설립됐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 소실되면서 현재는 폐원됐다. 현존하는 곳 중에는 1947년 설립된 구룡포유치원이 최초로, 두 곳 모두 포항시가 아직 영일군이었던 시절에 개원되었다. 이후 1955년 북구 용흥동에 포항제일유치원이 설립되는 등 포항 시가지를 재건하면서 본격적으로 유치원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정부 수립 이전에 포항 시내는 물론 남구 구룡포읍에까지 유치원이 설립되었다. 포항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16년~1918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살아 있다면 [age(1916-12-31)]~[age(1916-01-01)]세이다.

경주와 인접한 지리적 특성상 포항의 유치원에서는 경주로 소풍을 가는 경우가 많다. 이는 포항뿐 아니라 대구, 영천, 경산, 울산 등 경주에서 가까운 지역에서는 이렇게 경주월드까지 끼워서 하루 만에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023년 포항시의 한 유치원은 노란버스법 때문에 전세버스를 구하지 못하자 대구광역시 동구의 아쿠아리움 현장학습을 KTX로 가는 일이 있었다.

지리적인 특성상 태풍으로 인한 휴원이 상대적으로 잦은 편이다. 경주시에서 오는 원정 통학생들이 많은 편인데, 경주시는 개발을 하려고 땅만 파면 신라 시대 문화재들이 쏟아져 나와 개발이 더뎌 안강읍이나 강동면에 사는 아이들이 포항으로 원정 통학을 하는 경우도 있고[30], 교통이 발달한 현재는 영덕군 남정면, 강구면, 영덕읍은 물론, 더 멀리 있는 울진군[31]에서 원정 통학을 하기도 한다. 또한 울릉군이 고향이지만 유치원을 다녀 본 적이 있는 50대 중반 이상인 어른들은 대부분 포항으로 와서 다녔을 정도이다.

사립유치원은 58곳이 있고, 시내, 흥해읍, 오천읍[32] 등 다양한 지역에 분산되어 있다. 1960년대 27만 4,274명이던 인구가 2021년 50만 2,916명까지 늘면서[33] 유치원도 같이 늘었다.

포항은 전국에서 금씨[34], 편씨[35], 황보씨[36] 인구가 가장 많아서, 서울보다 금씨, 편씨, 황보씨 성을 가진 원생이나 교사가 많을 정도. 다만 이 세 성씨는 중하위권에 속하는데 포항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최-정-권-강-윤-장-서씨 순서이다. 경상북도답게 권씨가 상당히 많아 이 동네의 유치원에서는 권씨 성을 가진 원생이나 교사가 많은 편이다.

가수 박화요비, 축구선수 이동국김승대는 포항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5. 영주시

1924년 풍기성내교회에서 풍기읍 성내리에 박애유치원을 설립했으나 현재는 폐원됐고 현존하는 곳 중에는 1960년 설립된 영주유치원이 최초로, 영주시가 아직 영주군이었던 시절에 영주동 영주제일교회 부설로 개원했다. 설립 초기에는 봉화군 봉화읍에서 영동선 열차를 타고 영주유치원까지 다니는 아이도 있었다. 1918년~1920년생이 영주시 최초의 유치원생이었는데, 첫 졸업생의 나이가 벌써 [age(1918-12-31)]~[age(1918-01-01)]세가 됐을 만큼 유서가 깊다.

사립유치원은 8곳 있다. 읍, 면 지역에는 없고 모두 시내에 몰려 있다. 경기도에도 여기보다 사립유치원이 적은 시(과천시)가 있을 정도. 아직도 시골인 지역이 많은 도농통합 이전의 영풍군 지역에는 풍기읍 정도를 제외하면 1970년대까지도 제대로 된 유치원이 없었다.

1960년대 15만 5,704명이던 인구가 1975년 17만 3,856명까지 늘었다가 2021년 10만 3,119명으로 줄면서[37] 사립유치원도 같이 줄었다.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영주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권-정-최-강-장-임-안 순서라 조씨보다 권, 안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인근 단양군에 사립유치원이 없어서 단양에 사는 아이들이 사립유치원을 다니기 위해[38], 또 봉화군에 사립유치원이 하나밖에 없어[39] 봉화성심유치원 추첨에서 탈락한 봉화 (주로 봉화읍.[40]) 아이들이 사립유치원을 찾아 영주로 원정 오는 수요도 있다. 이들은 KTX-이음, 무궁화호, 버스 등을 이용해서 원정을 온다.

미스코리아 출신 대학교수로 유명한 금나나가 영주에서 유치원을 다녔다.[41]

2021년 10월 21일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가 1명 발생했다..

6. 영덕군

1924년 영덕읍교회 부설 신성유치원이 최초였으나, 인구 감소로 현재는 휴원 상태이며 소재지는 영덕읍 우곡리[42]였다. 원생들은 거의 영덕읍 덕곡리, 우곡리, 남석리에서 왔다고 한다. 현존하는 최고의 유치원은 1967년 천주교 안동교구 영덕성당 부설로 설립된 성심유치원이며, 영해면 괴시리에 있던 영재유치원이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인한 경영난으로 폐원된 이후 이 곳이 영덕군 유일의 사립유치원이 되었다. 영덕읍 덕곡리에 있었으나, 원생 수 감소에 따른 경영난으로 2023년 폐원되면서 1981년 군내 각 초등학교에 설립된 병설유치원이 현존하는 최초의 유치원이 되었다. 교육기관이 없는 달산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공립 병설유치원만 있다. 1918년~1920년생이 첫 원생으로, 첫 졸업생들은 살아 있다면 [age(1918-12-31)]~[age(1918-01-01)]세의 어르신이 됐을 정도로 유서가 깊다. 영덕읍 성심유치원의 주 수요층은 영덕읍 남석리, 우곡리, 덕곡리, 화개리, 남산리 정도이며 멀리서는 지품면[43], 달산면, 강구면, 축산면에서도 오기는 하나 드물다. 다만, 교사들은 모두 수도권이나 대구 등 다른 지역의 대학을 졸업한 뒤 이 곳으로 왔는데 영덕에는 대학이 없기 때문이다. 2023년 영덕군이 경상북도에서 5번째로 사립유치원 없는 군으로 전락하면서 영덕군에 거주하는 유아들은 안동, 포항 등지로 가야 사립유치원을 다닐 수 있다. 현재 영덕군에서 가장 가까운 사립유치원은 포항시 북구 장성동의 꽃동산유치원으로 영덕군청에서 차로 40분 걸린다.

이렇게 된 이유는 지리적인 이유에 의한 개발의 불리함[44]과 그에 따른 적은 인구의 영향이 크다. 포항 시가지가 영덕까지 확장되지 못한 데다 영덕군 자체의 인구가 1960년대의 11만 9,191명에서 2001년 4만 9,593명으로 줄고, 2002년 5만 2,602명으로 잠깐 5만 명대를 회복한 뒤 하향 일변도를 타면서 2021년 3만 7,096명으로 감소했고[45], 그로 인해 영덕군 내부의 사립유치원들이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문을 닫으면서 사립유치원 수가 1곳으로 줄어들게 만든 원인이다. 이런 이유로 면에 사는 아이들은 병설유치원을 다니고[46], 남정면에서는 아예 포항까지 가서 사립유치원을 다니기도 한다.[47]

영덕군의 유치원들은 삼사해상공원으로 소풍을 많이 가고, 아예 경주로 가기도 한다.

영덕의 유치원에는 영해 박씨, 영양 남씨, 평산 신씨[48], 진성 이씨 (진보 이씨), 평해 황씨, 경주 최씨, 안동 권씨 성을 가진 원생이 상대적으로 많다고 한다. 또한 권씨, 신씨, 남씨도 서울보다는 많은 편이다. 어느 정도냐면, 영덕군 상위 10개 성씨가 김-이-박-최-권-신-정-윤-강-남 순서일 정도.[49]

축구선수 김진규는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50] 그 외에 축구선수 손준호[51]도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7. 고령군

1937년 고령읍교회 부설로 설립된 고령유치원이 최초로, 포항시경주시는 물론 경기도의 어지간한 시들에 비해 빨리 설립되었다. 고령유치원은 1964년 7월 14일 경상북도교육청제1호 정식 유치원으로 인가받았다. 대가야읍 지산리[52] 소재였다. 첫 원생이 1931년~1933년생으로, 고령유치원 첫 졸업생들은 현재 [age(1931-12-31)]~[age(1931-01-01)]세의 어르신이 됐다.

현재 고령유치원은 폐원되고 없으며, 고령군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치원은 1981년 설립된 다산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우곡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다. 이 두 곳의 첫 원생들은 1975년~1977년생으로, 첫 졸업생이 [age(1975-12-31)]~[age(1975-01-01)]세가 된다.

사립유치원은 3곳 있으며, 대가야읍 (舊 고령읍)에 2곳, 다산면에 1곳 있는데, 리 단위까지 내려가면 대가야읍 지산리에 1곳, 대가야읍 연조리에 1곳, 다산면 상곡리에 1곳 있다. 낙동강이 대구와 고령 사이를 가로막고 있어 대구 시가지가 여기까지 확장되지 못해 사립유치원이 들어올 정도로 인구가 유입되지 않아서 1960년대 7만 6,093명이던 인구가 2021년 3만 1,361명까지 줄어들어[53] 사립유치원의 경영이 날이 갈수록 악화돼 사립유치원의 숫자가 이렇게 적은 것이다. 심지어 다산면 호촌리, 곽촌리에 사는 아이들은 아예 낙동강을 건너 대구에 있는 유치원으로 가기도 한다. 설상가상으로 고령군에는 대학교가 없어서[54] 고령군 출신의 학생이 유치원 교사가 되고 싶으면 다른 지역[55]에서 대학을 나온 뒤 고령으로 돌아와야 하며, 다른 선택지는 방통대나 사이버대학 진학밖에 없다.

경상도에서는 그나마 고령 신씨[56]인 원생을 많이 볼 수 있는 지역이다. 또한 배씨 성을 가진 원생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57] 실제로 고령군 10대 성씨는 김-이-박-최-정-배-서-권-전-조씨이다.

배우 조선옥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8. 경주시

1942년 지금의 경주시 노서동에 난곡보육재단에서 설립한 경주유치원이 최초였으나, 1945년 8월 8.15 광복과 함께 폐원되었고, 1946년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대구관구에서 설립한 근화유치원이 최초이다. 충청남도 공주시에도 같은 이름의 유치원이 있는데, 공주 근화유치원 역시 가톨릭계 유치원이다(천주교 대전교구 중동성당 부설). 경주에서 유치원을 처음 다닌 사람들은 1936년~1938년생으로, 첫 졸업생들은 현재 [age(1936-12-31)]~[age(1936-01-01)]세이다. 경주에 남아 있는 유치원들 중 가장 오래된 곳인 근화유치원의 첫 입학생들은 1940년~1942년생이며, 첫 졸업생들이 이미 [age(1940-12-31)]~[age(1940-01-01)]세의 노인이 됐을 정도로 오래된 유치원으로 경주시가 아직 경주군이었던 시절에 지금의 경주시 용강동에 설립되었다.

그 당시 안강읍, 외동읍, 울산광역시 북구 등에 살던 아이들이 동해선 열차를, 건천읍이나 영천에 살던 아이들이 중앙선 열차를 타고 원정 통학을 했을 정도이다.[58] 이는 당시 영천, 경주, 포항, 울산, 영덕 등을 아우르는 경상도 동부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가 경주[59]였기 때문이다.1970년대 산업화와 함께 포항시, 울산광역시가 공업도시로 개발되는 동안 경주에서는 땅만 파면 신라 시대 문화재들이 쏟아져 나와[60] 개발이 더뎌지면서 경주에 사는 사람들이 포항이나 울산으로 원정 통학을 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아침 시간대에 경주시 안강읍, 강동면을 가면 포항의 유치원 버스가[61], 외동읍에 가면 울산의 유치원 버스를 볼 수 있다. 심지어 감포읍[62], 문무대왕면에서는 아예 시내로 가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반면, 아직도 시골인 옛 경주군 지역에는 1970년대에야 겨우 유치원 하나가 들어왔다.

사립유치원은 18곳 있고, 시내, 안강읍, 강동면, 외동읍 등 다양한 지역에 분산되어 있다. 1960년대 29만 1,676명이던 인구가 2021년 25만 3,502명으로 줄었지만[63]유치원 수는 되려 늘어났다.

경주시에는 경주월드 등 관광지들이 매우 많아서 경주의 관광지에는 경주시 관내 유치원뿐 아니라 영천시, 포항시, 울산광역시 등 주변 도시는 물론, 심하게는 영덕군, 청송군, 경산시, 대구광역시에서도 경주로 소풍을 올 정도이다.[64]

경상도 자체가 기독교세가 약한 지역이라고 하지만, 경주시는 그 중 기독교 세력이 매우 빈약해 기독교를 믿는 원생의 수가 드물다. 경상북도의 여느 시군이 그렇듯 이 곳도 유치원생 중 권씨가 많은 편인데 경주시 10대 성씨는 김, 이, 박, 최, 정, 권, 손, 윤, 서, 강씨 순서이다. 이는 경주 손씨들이 경주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가수 선미와 야구선수 최채흥[65]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9. 칠곡군

1948년 천주교 대구대교구 왜관성당 부설로 설립된 순심유치원이 최초이다. 인근 순심여자중학교, 순심여자고등학교, 순심중학교, 순심고등학교도 모두 가톨릭 미션스쿨이다. 소재지는 왜관읍 왜관리이다. 칠곡군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42년~1944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42-12-31)]~[age(1942-01-01)]세이다. 개원 당시에는 시골이었던 선산군 구미면[66]에서도 원정을 왔다고 한다. 이는 구미에 유치원이 들어온 시기가 1968년이었으나 칠곡은 20년 빨랐기 때문이며, 그나마도 유치원 교육의 혜택을 받은 지역은 칠곡군 약목면, 왜관읍, 석적면[67], 북삼면[68], 지천면 그리고 선산군 구미면[69] 정도였다. 나머지 가산면, 동명면, 기산면 지역에 살던 유아들은 1970년대에 와서야 유치원에 다녀 볼 수 있었다.

1960년대 11만 8,092명[70]이던 칠곡군의 인구는 인동면[71]과 칠곡읍[72]이 각각 구미, 대구로 편입돼 그만큼 인구가 빠져 나가[73], 1990년 7만 8,943명으로 줄었다가 2015년 12만 6,105명까지 늘어난 뒤 계속 감소해 2021년 11만 4,758명으로 감소하는 등 인구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74] 그런 작은 군 지역치고는 사립유치원이 많은데, 총 12곳이다. 읍내에만 사립유치원이 몰려 있는 웬만한 군들과는 달리 북삼읍, 석적읍, 왜관읍은 물론 약목면 관호리에도 있다. 북삼읍은 구미와 연담화되어 있어, 여기에 사는 아이들이 구미에 있는 유치원에 다니는 경우도 있으며 멀리는 약목면[75], 기산면, 석적읍에서도 온다. 드물게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위군[76]이나 달성군 하빈면에서 여기로 원정 통학을 하는 경우가 있고, 성주군 선남면에서도 오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이유로 칠곡군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 중 일부가 구미나 대구에 주소를 둔 경우도 있고[77],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약목면, 기산면에서는 구미의 유치원 버스를, 가산면, 동명면, 지천면에서는 대구의 유치원 버스를 볼 수 있다. 칠곡군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은 경북과학대학교 출신이거나 대구에서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많다.

향후 칠곡군이 대구의 베드타운화가 가속화될 경우 지천면, 동명면에도 사립유치원이 생길 수도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 칠곡유치원은 칠곡군에 없고,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다. 사실 이 곳은 1978년 설립할 당시에는 행정구역이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이어서 소재지와 맞았으나, 칠곡면이 칠곡읍을 거쳐 대구직할시[78] 북구로 편입되면서 소재지에 맞지 않게 된 것이다.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칠곡군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최-정-장-권-강-조-윤 순서라 조씨보다 장, 권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이는 인동 장씨의 인동이 과거 칠곡군 소속이었고 지금도 칠곡군에 집성촌이 있기 때문.

축구선수 곽태휘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또한, 신현준은 1972~1974년에[79] 유치원생이었다.

2020년 2월과 3월에는 칠곡군 왜관읍에서 근무하는 병설유치원 교사 2명[80]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2021년 12월 7일에는 무지개유치원 원생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10. 안동시

1948년 안동교회 부설로 설립된 안동유치원이 최초로, 안동시가 아직 안동군이었던 시절 지금의 안동시 화성동에 개원했다. 첫 입학생은 1942년~1944년생이고, 첫 졸업생들이 현재 [age(1942-12-31)]~[age(1942-01-01)]세가 되어 벌써 팔순에 가까울 만큼 전통 있는 유치원으로 1950년 소실되었으나, 1953년 재건을 거쳐 1994년에 원사를 신축하였고, 2008년에 현재의 원사를 신축하였다. 반면 안동에서도 시골인 통합 이전의 안동군 지역에는 1970년대가 다 되도록 제대로 된 유치원이 없었다. 이들은 버스나 중앙선 열차 등을 타고 안동 시내에 있는 유치원으로 가야 했다. 심지어 의성군 등 안동 주변의 군 지역에서 원정 오는 경우도 있었다. 주로 의성군 단촌면에 살던 아이들이 그랬다고 한다. 물론 현재는 교통의 발달로 더 멀리 있는 청송군[81], 영양군[82], 예천군, 봉화군, 영주시[83]에서 원정 오는 건수도 드물게나마 있다.

사립유치원은 9곳 있고 9곳 모두 시내에만 있다. 특이하게 경북도청이 있는 풍천면에는 사립유치원이 없고 공립 단설 및 병설유치원이 1곳씩 있다. 사실상 안동시 풍천면과 홍성군 홍북읍을 제외한 나머지 도청소재지에는 모두 사립유치원이 있는 셈이다. 시내에는 옥동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인근에 공립 단설유치원이 1곳 있다. 안동댐, 임하댐 건설로 인한 수많은 자연마을들의 수몰[84]과 산업화에 따른 인구 유출로 1960년대 26만 2,008명이던 인구가 1970년대 27만 188명을 찍은 뒤 2021년 15만 8,907명으로 줄면서[85] 유치원도 줄었다.

안동시는 전국에서 권씨 비율이 가장 높아서[86] 안동 출신 중에는 자신이 유치원 시절 만났던 담임교사의 성이 모두 권씨였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냐면, 안동에 있는 유치원 중 일부 학급은 권씨 비율이 김씨보다 높은 곳도 있을 정도이다. 그 외 안동 김씨[87], 진성 이씨, 풍산 류씨, 의성 김씨 성을 가진 원생들도 있을 정도. 실제 안동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 이, 권, 박, 최, 정, 강, 조, 임, 장씨 순서이다. 때문에 항렬을 매우 철저히 따랐던 과거에는 유치원에서 동갑내기 친구를 '할아버지'라고 부르거나 친구에게 '할아버지'라고 불리는[88] 경우도 있었을 정도이다.

웹툰 작가 엉덩국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89]

2021년 1월 28일 안동시의 유치원생 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고 9월 26일에도 2명이 확잔됐다.

11. 상주시

1949년 지금의 상주시 서성동 (舊 상주읍 서성동)에 설립된 상주유치원이 최초로, 상주시가 아직 상주군이었던 시절에 개원되었다. 하지만 1928년에 상주읍교회에서 유치원 인가를 받았다는 주장도 있다. 이로 인해 상주보다 인구가 많은 경기도의 어지간한 도시들도 상주보다 유치원이 늦게 들어온 것이 된다. 상주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42년~1944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42-12-31)]~[age(1942-01-01)]세이다. 한편 상주에서도 시골인 지역이 남아 있는 도농통합 이전의 상주군 지역에는 1980년대가 돼서야 유치원이 들어왔다.

유치원이 많지 않던 시절에는 인근 문경시[90]에서 버스나 경북선 열차를 타고 원정 통학을 하기도 했고, 반대로 상주시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에서 문경으로 원정 통학을 하기도 했다. 충청북도 보은에서의 원정 통학은 그 건수가 적었는데, 보은에서 상주로 가려면 속리산을 넘어야 했기 때문이다. 2010년대에는 서산영덕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가 상주를 지나는 등 교통의 발달로 충청북도 보은군[91], 경상북도 의성군[92]에서 상주로 원정 통학을 하는 경우가 늘고, 또한 상주에서 유치원 추첨에 다 떨어진 아이들은 차선책으로 김천시, 구미시 등지로 원정 통학을 하기도 한다. 애초에 김천이나 구미는 상주보다 유치원이 많아서 상주시 거주 유아들이 사립유치원을 찾아서 원정을 떠나기도 할 정도이다.

관내에 있는 사립유치원 6곳은 모두 시내에만 있다. 즉, 교육기관 자체가 없는 화남면을 제외한 나머지 읍면 지역에는 공립 병설유치원만 있다.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상주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정-최-안-조-장-윤-권 순서라 최씨보다 정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1960년대 25만 602명이던 인구가 2021년 9만 7,228명으로 줄면서[93] 지역 사립유치원의 경영상태가 악화되고 있고, 차후 상주시의 인구 감소가 계속되면 경영 악화로 문을 닫는 사립유치원의 숫자가 늘어날 듯.

농구선수 김진유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2. 예천군

1950년 교회 부설로 개원된 예천유치원이 최초이지만, 현재는 없다. 소재지는 예천군 예천읍 노하리이다. 예천군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치원은 1981년 개원한 예성유치원인데, 공군부대 내에 있다.[94] 그래서 원생의 대다수가 제16전투비행단에서 근무하는 장교 또는 부사관의 자녀들이다.[95] 예성유치원에서 배출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75-12-31)]~[age(1975-01-01)]세가 됐다. 예천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44년~1946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44-12-31)]~[age(1944-01-01)]세이다. 1950년대~1960년대 출생인 공군 장교들 중 제16전투비행단으로 배치된 경우 이 유치원이 태어난 이후 방문한 최초의 유치원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1950~60년대 출생인 사람들이 유치원에 못 다닌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유치원이 드물었던 과거에는 경북선 열차나 버스를 타고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등 주변 도시로 원정 통학을 했다. 지금도 지보면, 풍양면은 문경시로 원정 통학을 하는 건수가 많은데 지보면은 지보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풍양면은 풍양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유일한 유치원이라 사립을 보내려면 그나마 가까운 문경으로 가야 했기 때문.

1960년대 16만 2,527명이던 인구가 2010년 4만 3,015명까지 줄어든 뒤 2021년 5만 5,613명으로 회복했는데도[96] 사립유치원 숫자가 줄어 현재 사립유치원은 유천면의 예성유치원과 예천읍의 룸비니유치원(불교) 2곳뿐이지만, 향후 인구가 증가해 2023년 2월 1일 호명면이 호명읍으로 승격되었다. 사립유치원이 생길 수도 있다. 교육기관이 없는 개포면[97], 보문면[98]과 사립유치원이 있는 유천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병설유치원만 있다. 2020년 현재는 사립유치원이 있으나 규모가 작고[99], 호명읍에는 설립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공립 단설유치원은 호명읍에 3곳 있는데, 2곳은 경북도청이전신도시 안에, 나머지 1곳은 호명읍 소재지에 있다.

안동시의 영향으로 원생과 교사 중 권씨 성[100]을 가진 경우가 은근히 많은데 어느 정도냐면 예천군 상위 10개 성씨가 김, 이, 박, 권, 최, 정, 윤, 장, 황, 임 순서로 권씨가 최씨보다 많다.[101] 또한 예천군은 지척의 안동시의 영향을 깊숙히 받아 아동의 남녀 성비가 남초 쪽으로 기울어서 군내 유치원들은 대다수가 남초이다.

양궁선수 윤옥희김제덕[102]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3. 문경시

1950년 설립된 점촌유치원이 최초로, 문경시가 아직 문경군이었던 시절에 개원했다. 1944년생부터 1946년생까지를 첫 원생으로 모집했고, 첫 졸업생이 현재 [age(1944-12-31)]~[age(1944-01-01)]세의 노인이 되었을 정도이다. 과거에는 상주시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이나 예천군 용궁면, 개포면에서 원정 통학을 왔을 정도이다,

사립유치원은 7곳 있으며, 그 중 5곳이 시내인 점촌(옛 점촌시 지역)에 몰려 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유치원은 1971년 개원한 상지유치원이다. 문경에서도 아직까지 시골인 지역이 제법 남아 있는 옛 문경군 지역에는 1980년대가 돼서야 겨우 유치원이 들어왔다.

광업이 흥하던 시절에는 문경읍가은읍에도 사립유치원이 있었으나 탄광이 문을 닫으면서 폐원되었다.

1960년대에 15만 8,783명이던 인구가 1975년 16만 1,018명까지 늘었다가 7만 1,406명으로 감소해[103] 지역 사립유치원의 경영이 악화되었고, 문경시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면 경영 악화로 문을 닫는 사립유치원이 늘어날 전망이다.

전국에서 전씨[104]가 가장 많아 유치원생 중 錢씨 성을 가진 경우를 보기 쉬운 편이다. 다만, 이 성씨는 상위권에 들지 못했는데 문경시 10대 성씨는 김, 이, 박, 정, 권, 최, 신, 장, 황, 임씨 순서이다.

가수 루나와 공신닷컴 설립자 강성태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4. 영천시

1951년 설립된 샛별유치원이 최초로, 영천시가 아직 영천군이었던 시절에 현재의 영천시 성내동에 개원했다. 영천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45년~1947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45-12-31)]~[age(1945-01-01)]세이다.

영천에는 전국에서 황보씨들이 많이 살아서[105], 영천에 있는 유치원에는 황보씨가 한둘은 꼭 있을 정도이다. 다만, 황보씨는 상위권에 못 들었는데 영천시 10대 성씨는 김, 이, 박, 정, 최, 권, 조, 윤, 서, 손씨인데 여기서 조씨는 '조나라 조'자를 쓰지 않고 '무리 조' (성 조)자를 쓴다.

경주시와 인접한 지리적 특성상 영천의 유치원에서는 경주로 소풍을 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구, 포항, 영천, 울산 등 경주와 가까운 지역에서는 경주월드를 끼워서 당일치기로 경주를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영천은 대구광역시의 베드타운에다 엄연한 인데도 불구하고 사립유치원의 개수가 어지간한 군 수준인 4곳에 불과하다. (심지어 대구광역시 달성군영천시보다 사립유치원이 5.5배나 많다.) 그리고 사립유치원도 모두 시내에만 있다. 교육기관 자체가 없는 자양면을 제외한 나머지 읍면 지역에는 병설유치원만 있는 셈. 영천에서도 시골인 지역이 많이 남아 있는 도농통합 이전의 영천군 지역에는 1970년대에야 유치원이 들어왔다.

1960년대 19만 8,471명이던 인구가 2021년 10만 2,015명으로 줄면서[106] 관내 사립유치원의 경영 상태가 악화되었다. 다만, 군위군 우보면, 산성면과 청송군 현동면에서 사립유치원을 찾아 원정 오는 아이들은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영천시도 사립유치원 없는 시가 될 수도 있다.

전직 프로게이머 손재범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5. 성주군

1951년 천주교 대구대교구 성주성당 부설로 설립된 신성유치원이 최초이다. 성주군 유일의 사립유치원이며, 성주읍 경산리에 있다. 최초의 원생은 1945년~ 1947년생으로, 첫 졸업생이 벌써 [age(1945-12-31)]~[age(1945-01-01)]세의 어르신일 정도로 유서가 깊은 편이다.

영천시와 같은 해에 유치원이 들어왔다. 경북 남부에서는 이 곳보다 유치원이 늦게 설립된 곳이 경산시(!!!), 청도군, 구미시(!!!) 3곳이나 있다. (경북 남부에서 유치원이 설립된 순서는 김천-고령-경주-포항-칠곡-영천・성주-경산-청도-구미이다.) 경기도의 어지간한 시들은 여기보다 유치원이 늦게 들어왔다.

성주에 사립유치원이 하나밖에 없는 이유는 대구, 김천, 왜관 등과 가깝지만 이들 도시와는 산이나 강으로 가로막혀 시가지가 확장될 틈이 없어서 1960년대 12만 29명이던 인구가 2001년 5만 380명으로 줄고, 2002년 5만 1,761명으로 잠깐 회복한 뒤 2021년 4만 3,414명으로 줄어들었고[107], 따라서 사립유치원들이 경영 악화를 감수하고 성주에 추가로 설립되지 못했던 것이다. 이런 이유로 면에서 사는 아이들은 병설유치원이나 신성유치원으로 모이고, 선남면, 벽진면[108] 등 일부 면에서는 아예 김천시, 칠곡군[109], 대구광역시 등지로 원정 통학을 하기도 한다. 차후 성주군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면 신성유치원이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폐원되어 성주도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될 수도 있다. 이미 경상북도에 군위, 청송, 영양, 울진 4개 군에 사립유치원이 없으니 성주가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된다면 5번째가 된다. 성주군에는 대학교도 없어서 성주에 사는 사람이 유치원 교사가 되고 싶으면 다른 지역에서 대학을 나온 뒤 성주로 돌아와야 한다. 굳이 성주에서 대학까지 마치고 싶다면 방통대나 사이버대학을 가면 되겠지만.

성주는 전국에서 배씨 비율이 가장 높아서[110] 성주 출신들은 유치원 시절 한 반에 배씨인 원생이 꼭 몇 명은 있고, 심지어 유치원 시절 교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배씨였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이는 실제 통계로도 증명되는데 성주군 상위 10개 성씨는 이, 김, 박, 정, 배, 최, 강, 장, 백, 여씨이다.

도경완과 하키선수 한혜령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6. 봉화군

1953년 봉화읍 내성리에 봉화제일교회 부설로 설립된 봉화유치원이 최초였으나 현재는 폐원되었다. 현존하는 곳 중에는 1969년 천주교 안동교구 봉화성당 부설로 설립된 성심유치원이 최초이다. 봉화군 유일의 사립유치원이며, 봉화읍 내성리에 있다. 1947년~1949년생을 첫 원생으로 모집했고,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47-12-31)]~[age(1947-01-01)]세가 됐다. 성심유치원이 설립되기 이전에는, 봉화읍에 사는 아이들이 봉화역에서 기차를 타고 영주에 있는 유치원으로 통학하는 경우도 있었고, 소천면[111]에 사는 아이들이 석포역에서 기차를 타고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의 유치원으로 통학하기도 했다. (그 때의 아이들이 지금은 50대 후반 이상이다.)

봉화군은 경상북도에 있지만 지리적인 이유로 폭설로 인한 휴원이 잦은 편이며, 4월10월에도 눈놀이를 할 수 있을 정도이다.[112] 기온이 낮아 4월과 10월에는 패딩을, 6월이나 8월 말에도 긴팔을 입는 원생이 있을 정도.[113]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봉화군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권-정-최-강-장-안-임 순서라 조씨보다 권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봉화군 자체가 산지라 개발이 불리했고, 영주시 시가지가 지형상의 이유로 여기까지 확장되지 못한 데다 교통까지 불편해서[114] 영주, 안동, 대구 등지로 끊임없이 인구가 유출돼 1960년대 11만 9,644명이었던 인구가 2021년 3만 1,494명으로 크게 줄어들어[115] 사립유치원들이 줄줄이 경영 악화로 문을 닫아 1곳만 남게 되었다. 이대로라면 봉화읍 성심유치원이 경영 악화로 폐원되어 2020년대 안에 봉화군이 경상북도에서 5번째로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된다.[116] 봉화군에는 대학도 없어 봉화에서 유치원 교사로 근무하고 싶으면 수도권이나 안동, 대구 등지로 가서 대학을 다닌 뒤 성심유치원에 취업하거나 임용고시를 봐서 합격하고 봉화군으로 발령받는 수밖에 없다.

축구선수 박병주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7. 경산시

1954년 설립된 경산유치원이 최초이다. 경산시가 아직 경산군이었고 대구 동구와 수성구의 일부분까지 관할하던 시절에 개원했다. 개원 초기에는 대구 고모동에서 기차로 통학하는 경우도 있었다(!). 1948년~1950년생을 첫 원생으로 모집했고, 첫 졸업생들의 나이가 현재 [age(1948-12-31)]~[age(1948-01-01)]세로, 이미 노인이 됐다. 과거에는 하양읍에서 대구선 열차를 타고 대구로 유치원 원정 통학을 하기도 했다. 현재는 교통의 발달로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월동,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은 물론 멀리 청도군에서도 원정 통학을 온다.

대구와 가까운 지리적 특성상 경산의 유치원에서는 대구 이월드로 소풍을 가는 경우가 상당히 많고, 경주로 가는 경우도 그나마 좀 있다.

사립유치원은 39곳 있는데, 면에는 없다. 심지어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압량읍[117]에도 없다. 시내, 진량읍, 하양읍에 몰려 있다. 하양읍, 진량읍, 압량읍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시골인 도농통합 이전의 경산군에는 1980년대에야 겨우 유치원이 설립되었다.[118]

1960년대 15만 9,744명이던 인구는, 안심읍[119]과 고산면[120]을 각각 대구광역시 동구와 수성구에 내 준 이후인 1985년 13만 9,652명까지 줄었다가 2021년 26만 3,728명으로 늘면서[121] 유치원도 같이 늘었다.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경산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최-정-권-서-윤-장-강 순서라 조씨보다 권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철권 프로게이머 배재민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2020년 8월 23일에 경산중앙유치원 원아 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으나, 8월 24일과 25일 양일에 걸쳐 진행된 검사에서 다른 원생과 교사는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지 않았다.

18. 청도군

1963년 천주교 대구대교구 청도성당 부설로 설립된 청도성모유치원이 최초이다. 청도에 3곳밖에 없는 사립유치원 중 하나이다. 2곳은 청도읍 고수리, 1곳은 화양읍 범곡리에 있다. 이는 1979년 청도읍 고수리에서 화양읍 범곡리[122]로 군청을 이전한 영향으로, 청도군 인구의 대부분이 청도읍과 화양읍에 몰린[123] 도시 구조 때문이다. 때문에 2018년 면내 마지막 교육기관이 사라진 이후로 교육기관이 없는 운문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지역에는 공립 병설유치원만 있다. 청도성모유치원이 설립되기 이전에는 청도군에 사는 아이들이 경부선 열차를 타고 대구밀양에 있는 유치원으로 원정 통학을 하기도 했다. 다만, 청도군의 지리적 특성[124]상 대구보다는 밀양으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청도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57년~1959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57-12-31)]~[age(1957-01-01)]세이다. 경기도의 어지간한 도시들과, 서울의 일부 자치구들이 1970년대 이후에야 유치원을 설립한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빠르다.

청도군 자체의 인구가 1960년대의 12만 1,985명에서 2021년 4만 2,263명으로 감소하고[125], 비슬산최정산 등으로 가로막힌 지형상의 이유로 대구광역시 시가지가 여기까지 확장되지 못한 게[126] 청도의 사립유치원 숫자를 줄인 원인이다. 게다가 대학도 없어 청도에서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들은 절대다수가 수도권이나 대구에서 대학을 다니고 고향에서 근무하기 위해 돌아왔거나 임용고시를 봐서 합격한 뒤 청도군으로 발령을 받은 사람들이다.

청도군은 전국에서 예씨 인구가 가장 많아[127] 청도의 유치원에서는 예씨 성 가진 원생 보기가 서울보다는 상대적으로 쉽다. 다만, 그 청도군조차 예씨는 순위가 12위인데 청도군 상위 10개 성씨는 김, 이, 박, 최, 정, 장, 서, 강, 손, 조씨이다. 사실상 경상북도에서 유일하게 권씨가 상위 10위에 못 드는 지역인 셈.

아나운서 윤재희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또한 김민경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으나, 대구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9. 구미시

1968년 설립된 선산유치원이 최초로, 구미시가 아직 선산군이었던 시절에 개원했다. 구미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62년~1964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62-12-31)]~[age(1962-01-01)]세이다.

특이하게 구미 시내(옛 선산군 구미읍+칠곡군 인동면)보다 선산읍에 먼저 유치원이 설립되었는데, 당시 선산군의 중심지는 현재의 구미 시내(옛 구미읍)가 아닌 선산읍(당시 선산면)이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어 구미 시내에는 선산유치원이 설립되고 3년이 지나서야 겨우 유치원이 설립되었다. 이 곳의 첫 원생은 1965년~1967년생이며, 첫 졸업생이 현재는 [age(1965-12-31)]~[age(1965-01-01)]세이다.

1968년 구미에 처음 유치원이 들어온 뒤 1990년대까지는 주로 강서 지역에 유치원이 설립됐으나[128] 1990년대 말부터 강동 지역에도 유치원이 속속들이 들어오고 있다.

사립유치원은 경북에서 가장 많은 64곳이다. 시내 외에 선산읍, 고아읍, 산동읍 등지에도 분산되어 있다. 이는 특례가 없는 일반시들 중 가장 많은 수준이다. 2021년 산동면을 산동읍으로 승격하면서 남양주시, 용인시 등과 함께 면에는 사립유치원이 없는 시가 되었다. 과거에는 구미에 사는 아이들이 경부선 기차나 버스를 타고 김천의 유치원으로 원정 통학을 한 적이 있었으나, 박정희의 구미시 육성 정책[129] 등의 영향으로 인해 현재는 역전되어서[130]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반대로 칠곡에서의 원정 통학은 지금도 많이 이뤄지고 있으며, 칠곡군 북삼읍에 사는 아이들이 자기 동네에서의 유치원 추첨에서 떨어지면 차선책으로 구미의 유치원에 가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김천시 아포읍, 칠곡군 북삼읍석적읍,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군위읍에서도 구미의 유치원 버스를 볼 수 있다.

또한 구미시 오태동은 칠곡군 북삼읍 인평리, 오평리에 인접해 있어[131] 칠곡군 북삼읍에 사는 아이가 구미의 유치원으로, 반대로 구미에 사는 아이가 칠곡군 북삼읍의 유치원으로 통학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132]다.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구미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최-정-장-권-강-윤-임 순서라 조씨보다 권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1960년대 11만 6,725명이던 인구가 2021년 41만 6,328명으로 늘면서[133] 유치원도 같이 늘었다.

야구선수 이수민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134]

2020년 5월 25일에 구미에서 킨더하바유치원 교사 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으나 원생은 모두 음성이었다. 2021년 12월 18일에도 구미에서 유치원발 코로나19 사태가 일어났다.

20. 영양군

1969년 천주교 안동교구 영양성당 부설로 설립된 영양성모유치원이 최초이지만 현재 폐원하면서 현존하는 곳은 1981년 군내 곳곳에 세워진 병설유치원들이다. 영양군 유일의 사립유치원이었으며, 영양읍 동부리에 있다. 교육기관이 없는 청기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공립 병설유치원만 있다. 1963년~1965년생을 첫 원생으로 모집했고,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63-12-31)]~[age(1963-01-01)]세가 됐다. 마지막 졸업생은 2014년생으로 현재 유치원생이다.

영양군은 경상북도에 있지만 폭설에 의한 휴원이 강원도 수준으로 잦은 편이다.[135]

이렇게 된 이유는 영양군의 낙후된 지역 환경[136] 때문이다. 안동 시가지가 지형상의 이유로 여기까지 확장되지 못한 데다 교통까지 불편해서[137] 1960년대 6만 8,153명이었던 인구가 1979년 7만 791명을 찍은 뒤 계속 줄어들어, 2021년 1만 6,692명으로 크게 줄어드는 등 인구가 2만 명도 안 되는 탓에[138] 사립유치원이 줄줄이 경영 악화로 문을 닫아서 1곳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현재 영양군의 어린이 인구는 1,058명으로 1,000명 선 지키기도 위태로운 상황인데, 이렇게 되면 2020년 영양군의 어린이 인구가 1,000명 아래로 내려가고, 2030~2040년경 영양군이 인구가 1만 명 미만으로 내려가 영양군이 사립유치원 없는 군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결국 2020년 영양군 유일의 사립유치원이 문을 닫으면서 영양군에 사는 유아들이 사립유치원을 다니려면 안동으로 갈 수밖에 없다.[139] 그나마 2020년까지는 아랫동네 청송군보다 나은 편이었는데, 청송에는 사립유치원이 없기 때문이다.[140] 영양군에서 가장 가까운 사립유치원은 안동시 용상동의 안동영재유치원으로 영양군청에서 차로 1시간, 입압면에서 45분 가야 한다. 이건 영양군 출신인 유아교사도 마찬가지인데, 영양군에는 대학이 없어 안동시 등 다른 지역의 대학을 졸업하고 영양군의 유치원으로 발령받아야 고향에서 근무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고향을 떠나거나 매일 안동 등지로 장거리 출퇴근을 해야 한다.

안동 수준은 아니지만 영양의 유치원생과 교사들의 성씨 중 권씨가 최씨보다 많다고 한다. 이는 영양군 상위 10개 성씨가 김-이-박-권-정-최-조-오-황-남 순서이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영덕군 못지않게 남씨들도 상대적으로 많은 편.[141] 영양군에는 남씨가 강씨보다 많이 사는 셈. 그나마 그 남씨들 대부분이 영양 남씨, 황씨는 평해 황씨다. 권씨들 중에 안동 권씨가 많은 건 안 봐도 비디오.

모델 장미관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21. 울릉군

1974년 설립된 도동유치원이 최초이다. 울릉도의 유치원 교육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시작이 늦은 편이었으나 경기도의 웬만한 도시들보다는 빨랐다.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는 김포시시흥시조차 1980년대에 들어서야 겨우 유치원 하나가 설립되었다. 여담으로 울릉군은 타 지역과 육로로 연결되지 않아[142] 전국에서 유일하게 타 지역으로의 원정 통학이 불가능한 지역이다.[143] 이런 이유로 도동유치원이 들어서기 이전에 이 지역은 유치원 음영지역이었고[144], 도동유치원의 첫 원생이 1968년~1970년생, 첫 졸업생이 현재 [age(1968-12-31)]~[age(1968-01-01)]세[145]인 것이다.

도동유치원은 울릉군 유일의 사립유치원이고, 나머지 5곳은 모두 공립 병설유치원이다. 참고로 도동유치원은 울릉읍 도동리 소재로, 국내 최동단 사립유치원이자 국내 최동단 유치원이다. 지근거리에는 국내 최동단 공립유치원인 울릉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있다. 군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울릉읍에 집중된 도시 구조 특성상 북면과 서면에 사는 아이들은 대개 병설유치원에 다녀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눈이 많이 내린다는 지리적인 특성상 폭설로 인한 휴원이 잦은 편이다. 애초 울릉도에서 눈이 한 번 내렸다 하면 거의 미터 단위로 쌓이는 게 일상이다 보니(...). 울릉도가 고향인 사람들은 어린 시절 겨울만 되면 눈이 무릎까지 쌓이는 바람에 유치원이 휴원하고, 다니던 유치원 앞에 제설차들이 여러 대 지나갈 정도라는 이야기를 아무렇지도 않게 할 정도이다.

경상북도의 시군들이 으레 그렇듯 성씨 순위가 전국과 상당히 달라 유치원생들의 성씨 분포가 상당히 다른데, 울릉군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최-정-임-장-서-윤-손 순서라 조씨보다 손씨들을 더 보기 쉬울 정도이다.

1960년대 2만 2,016명이던 인구가 1975년 2만 9,479명을 찍었다가[146] 2020년 9,457명으로 줄었는데도[147] 사립유치원 수는 거의 그대로다.

현재 울릉군에는 공립유치원이 6곳, 사립유치원이 1곳 있다. 울릉도에는 대학교가 없어서 울릉도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은 모두 다른 지역[148] 소재의 대학을 졸업했다.

울릉경찰서 서장인 강영우 총경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149]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22. 청송군

1979년 설립된 진보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최초이다. 청송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73년~1975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age(1973-12-31)]~[age(1973-01-01)]세이다.

특이하게도 청송읍보다 진보면에 유치원이 먼저 들어왔다. 이는 청송읍보다 진보면의 교통이 편리해서 청송읍보다 진보면의 인구가 많은[150] 도시 구조 때문이다. (경북북부교도소도 진보면에 있고, 고속도로도 진보면 쪽으로 지난다. 심지어 청송읍에서 출발한 시외버스도 진보를 경유해서 안동이나 서울로 갈 정도이다.)

청송읍 최초의 유치원은 1981년 개원한 청송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며, 아직까지 사립은 물론 공립 단설유치원도 없다. (이름만 봐서는 청송군에 있을 법한 청송유치원은 경상북도 청송이 아닌 인천광역시 연수구부평구, 강원도 강릉시에 하나씩 있다.)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면서 경상북도에서 가장 늦게 유치원이 들어온 지역은 청송군이 되었다.

아무래도 청송군은 안동과 가깝지만 산으로 가로막혀 안동 시가지가 여기까지 확장되지 못한 탓에 1960년대 8만 7,030명이던 인구가 2021년 2만 5,044명으로 감소하는 등 안 그래도 적은 인구가 계속 줄어들어, 군내에 인구 1만 명을 넘는 읍면이 하나도 없어서[151] 사립유치원이 못 들어온 듯. 심지어 이웃한 지역의 경우 영양군영덕군만 사립유치원이 없을 뿐 안동시, 의성군, 영천시, 포항시에는 모두 사립유치원이 있어서 청송군 주민들은 자녀들을 공립 병설유치원을 보내거나 이웃 동네로 원정 통학을 시켜야 할 판이다. 심지어 이 지역 출신인 유아교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라 고향에서 근무하려면 다른 지역의 대학[152]을 졸업하고 임용고시를 통과해야 하며, 사립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싶으면 고향을 떠나거나 안동시 등지로 장거리 출퇴근을 해야 한다.[153] 현재 청송군에서 가장 가까운 사립유치원은 의성군 의성읍에 있는 에덴유치원이다.

청송군은 경상북도이지만 강원도 못지않게 눈이 많이 내려[154] 청송 출신들은 어린 시절 겨울에 눈이 왔다 하면 자신이 다니던 유치원을 관리하는 아저씨들이 자신이 다니던 유치원 주변의 눈을 치우고 유치원 앞에 제설차들이 여러 대 다닌 것을 봤을 정도이다. 게다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155]를 배출하고도 사립유치원은 없다.

청송은 전국에서 심씨 비율이 가장 높아서 청송 출신들은 자신이 다니던 유치원에 적어도 심씨 성을 가진 친구나 교사가 한두 명은 꼭 있을 정도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게다가 강씨최씨보다 황씨가 더 많은 곳이 있을 정도[156]라고 한다. 실제 통계로도 증명되는데 청송군 10대 성씨는 김, 이, 박, 황, 권, 조, 윤, 최, 정, 임씨 순서이다.

유도선수 이원희가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157]

아직까지 유치원생인 코로나19 확진자는 없다.

[1] 박정희 이후 김천은 구미에 그 역할을 넘겨야 했다. 다만, 자사고는 김천에 김천고등학교가 있으나 구미에는 없다.[2] 영동군에 최초로 유치원이 설립된 해는 1956년이고, 영동군 동부는 훨씬 늦다.[3] 2018년 면내 마지막 교육기관인 농소초등학교가 혁신도시로 이전했다.[4] 2017년 면내 마지막 교육기관인 운곡초등학교가 혁신도시로 이전했다.[5] 그 와중에 김천시내 인구는 5만 6,981명에서 7만 4,869명 (율곡동 포함 시 9만 7,356명)으로 늘어 시내 집중도가 27.2%에서 53.2% (율곡동 포함 시 68.5%)로 높아졌다. 김천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7만 4,869명, 율곡동 2만 2,487명, 아포읍 7,131명, 어모면 4,062명, 대항면 3,469명, 감문면 3,305명, 봉산면 3,196명, 남면 3,128명, 농소면 3,043명, 구성면 2,835명, 개령면 2,478명, 대덕면 2,294명, 조마면 2,237명, 감천면 1,942명, 지례면 1,576명, 부항면 1,260명, 증산면 1,036명으로 면 지역의 인구가 5,000명을 못 넘는다. 심지어 대항면은 직지사라는 유명한 절이 있는데도 인구가 3,600명밖에 안 된다.[6] 최민호는 1980년 8월 18일생([age(1980-08-18)]세)이므로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은 1000원 지폐 한 장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던 시절에 유치원을 다녔고, 1986 서울 아시안 게임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첫 골 (박창선)과 첫 승점 (대 불가리아전, 1:1 무승부)을 유치원 시절에 봤던 셈이다.[7] 김천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박-정-최-강-임-장-전-윤이고 조씨는 서, 권, 백씨보다 적다. 조씨 아래로는 송-문-신-손-황-안씨 순이다. 김천에서는 전씨가 조씨보다 많은 셈.[8] 일제 강점기 당시에는 통천군, 고성군, 양양군, 강릉군, 삼척군, 울진군의 6개 군이었으나, 통천군은 북한으로, 울진군은 경상북도로 넘어갔고 양양군에서 속초시가, 삼척군에서 동해시태백시가 분리되고 강릉군이 강릉시로 승격되면서 현재는 5시 3군이 됐다.[9] 이렇게 시, 도 경계를 넘어 유치원을 통학하는 경우는 드물게나마 있다. 수도권의 경우는 평택-천안, 이천-음성, 가평-춘천, 포천-철원 등 주로 비수도권으로 가거나 비수도권에서 오고, 비수도권 간에는 단양-영주, 서천-군산, 청도-밀양, 울진-삼척, 제천-원주 등이 있다.[10] 이사이민 등은 고려하지 않음.[11] 2019년 개원 예정인 울진유치원과는 다른 곳이다.[12] 울진군에는 대학이 없다. 울진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은 절대다수가 대구, 안동 등 주변의 큰 도시로 가거나 아예 수도권으로 가서 대학을 다니고 왔다. 굳이 울진에서 대학까지 마치고 싶다면 방송통신대나 사이버대학을 가는 방법밖에는 없다.[13] 울진읍 1만 4,051명, 평해읍 2,869명, 후포면 7,546명. 평해읍보다 후포면의 인구가 약 3배 더 많다. 참고로 후포면은 울진읍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울진군의 읍면별 인구는 울진읍 1만 4,051명, 후포면 7,546명, 북면 7,399명, 죽변면 6,490명, 평해읍 2,869명, 근남면 2,768명, 기성면 2,548명, 매화면 2,022명, 온정면 1,753명, 금강송면 1,270명으로 전반적으로 남부보다 북부에 인구가 더 많다. 심지어 울진읍의 인구 비중은 28.8%밖에 안 된다.[14] 울진이 고향인 사람들은 '두 손으로 등을 긁을 때 어떤 손으로도 안 닿는 곳이 울진'이라는 말을 할 정도이며, 서울 등 수도권에서 울진으로 가려면 4시간 가까이 걸릴 정도이다. 실제 동서울터미널울진종합버스터미널을 잇는 버스는 경기고속강원여객이 나눠 운행하는데 경기고속은 4시간 5분, 강원여객은 3시간 50분이 걸린다.[15] 무려 울산, 수원, 제주도보다도 빨리 들어왔다. 제주도에는 1924년, 수원에는 1928년, 울산에는 1930년에 유치원이 설립됐다. 또한 세종특별자치시는 여기보다 50년 가까이 늦게 유치원이 들어왔다[16] 그나마 개성은 잠깐 남한 영토였던 적이 있었다.[17] 안동보다 26년, 구미보다 46년 빠르다.[18] 의성군 서부에서 그나마 인구가 많은 면이지만 5,000명을 못 넘는 곳이다.[19] 2014년 면내 마지막 교육기관인 단북초등학교가 폐교되었다.[20] 2011년 면내 마지막 교육기관인 사곡초등학교가 폐교되었다.[21] 2000년 면내 마지막 교육기관인 안계초등학교 고산분교가 폐교되었다.[22] 다만, 대구권의 대학 상당수는 경산시에 있다. 게다가 의성군과 가장 가까운 대구광역시 지자체인 군위군에는 대학이 없다.[23]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대학을 다니고 의성으로 발령받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의성군이 고향인 사람들이 많다.[24] 그만큼 의성군의 고령화가 매우 심각하다는 뜻이다. 의성군의 읍면별 인구는 의성읍 1만 3,447명, 안계면 4,585명, 금성면 4,384명, 봉양면 3,953명, 다인면 3,822명, 비안면 2,553명, 안평면 2,143명, 단촌면 1,937명, 구천면 1,821명, 옥산면 1,820명, 단북면 1,802명, 단밀면 1,756명, 점곡면 1,598명, 사곡면 1,565명, 춘산면 1,468명, 가음면 1,466명, 안사면 839명, 신평면 815명으로 면 지역은 인구가 5,000명을 못 넘고, 심지어 1,000명 미만인 면도 2곳이나 있다. 신평면은 경상북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읍면동인데, 경상북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읍면동인 포항시 북구 장량동 (인구 7만 741명)의 89분의 1 수준밖에 안 되며, 군 전체 인구도 포항시 장량동보다 적다. 반대급부로 의성읍의 비중은 높아졌는데 인구는 2만 4,306명에서 1만 3,447명으로 줄어들었으나 비중은 11.9%에서 26.1%로 높아졌다. 심지어 이 동네는 지역 소멸 지수도 가장 낮아서 소멸 위험이 매우 높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렇게 인구가 적은 시골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컬링 은메달리스트가 나왔다고 한다. 또한 제헌 국회 시절에는 의성군 갑, 의성군 을 이렇게 2명의 국회의원을 뽑았으나, 현재는 국회의원 1명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처지로 전락했다.[25] 이 동네에서는 다인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다인초등학교 -> 다인중학교 -> 안동 등 타지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 순으로 진학한다. 더 옛날에 초등학교도 남자반, 여자반이 있던 시절에는 (일부 초등학교는 남자반을 많이 편성하고 여자반은 1반만 편성하거나, 남학생 중 하위 몇 명을 발전하라는 뜻에서 여자반에 넣기도 했다.) 유치원을 못 다니거나 상주에 가서 다녔다.[26] 애초에 권씨들 대부분이 안동 권씨이다.[27] 의성군 다인면에 동래 정씨 집성촌이 있다.[28] 당시 경상북도 영일군 포항면 포항동.[29] 1982년 12월 24일 설립된 포항유치원과는 다른 곳이다.[30] 실제로 아침 시간대에 경주시 안강읍, 강동면을 가 보면 포항의 유치원 버스들이 안강읍, 강동면에 사는 유아들을 태우는 것을 볼 수 있다.[31] 울진군에는 사립유치원이 없다.[32] 외지인들에게는 해병대교육훈련단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33] 옛 포항시 지역은 1960년대의 6만 5,927명에서 2021년 33만 741명까지 늘어났으나 영일군 지역은 20만 8,337명에서 17만 2,175명으로 줄었다. 이로써 시내 집중도는 24%에서 65.7%까지 높아졌다. 구별로는 북구 27만 2,494명, 남구 23만 422명으로 북구에 53.4%, 남구에 46.6%가 거주하고 있다. 포항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33만 741명 (북구 동 지역 21만 2,771명, 남구 동 지역 11만 7,970명), 오천읍 5만 4,839명, 흥해읍 4만 604명, 연일읍 3만 633명, 동해면 9,908명, 구룡포읍 7,568명, 기계면 4,920명, 청하면 4,827명, 장기면 4,117명, 대송면 3,500명, 신광면 2,873명, 죽장면 2,719명, 송라면 2,490명, 호미곶면 1,887명, 기북면 1,290명으로 전체적으로 동, 읍 지역에 인구가 많이 퍼져 산다. 1960년대에는 기계면이 24,530명이나 될 정도로 잘 나갔으나 기계읍으로 승격하지 못하고 기북면까지 분리되면서 그대로 몰락해 기계초 병설유치원만이 기계면 유일의 유치원으로 남게 되었다. 여담으로 경상북도에서 인구가 많은 읍면동 3곳 중 2곳이 포항시, 그 중에서도 북구 (1위 장량동이 인구 7만 1,707명, 2위 오천읍이 5만 4,972명이다. 3위는 구미시 인동동인데 이 곳의 인구는 4만 9,857명)에 있다.[34] 전국 금씨 인구가 2만 5,432명인데 그 중 794명이 포항에 살고 있었다. 이는 금씨가 사실상 봉화 금씨 단본이기 때문이다.[35] 전국 편씨 인구가 1만 6,689명인데 그 중 포항에 541명이 살고 있었다.[36] 전국 황보씨 인구가 1만 383명인데, 그 중 1,141명이 포항에 살고 있었다. 이는 황보씨가 영천 황보씨 단본이기 때문이다.[37] 그 와중에 시내 인구는 4만 6,338명에서 7만 1,644명으로 늘어 시내 집중도가 29%에서 69.4%로 크게 늘었다. 영주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7만 1,644명, 풍기읍 1만 640명, 부석면 3,116명, 안정면 3,051명, 봉현면 2,739명, 이산면 2,370명, 장수면 2,206명, 순흥면 2,021명, 문수면 1,969명, 단산면 1,906명, 평은면 1,457명인데, 영주댐 건설로 인해 평은면의 인구가 많이 줄었다는 특징이 있다. 게다가 이 곳은 외지인들이 일부러 찾아올 정도로 관광지가 많은 곳도 아니다.[38] 이렇게 시, 도 경계를 넘어서 유치원 원정 통학을 하는 사례는 단양군-영주시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수도권비수도권 간 유치원 통학의 사례로 경기도 평택시-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이천시-충청북도 음성군, 경기도 가평군-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등의 경우가 있으며, 비수도권 간 통학으로는 단양군-영주시 외에 충청남도 서천군-전라북도 군산시, 대구광역시 군위군-경상북도 구미시, 충청북도 제천시-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충청북도 제천시 등 시, 도 경계에 접한 지역들에서 자주 볼 수 있다.[39] 게다가 소천면, 석포면 등 봉화군 동부에는 아예 없다.[40] 봉성면, 법전면 등 봉화군 동부의 경우는 영주로 가는 교통편이 부실해 (영주로 가는 경우는 거의 영동선 철도를 타야 하는데 단선이고 교행 대기 시간 때문에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 원정 통학 수요가 없다시피할 정도.[41] 금나나는 1983년 8월 19일생( [age(1983-08-19)]세)이므로 1987~1989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은 1988 서울 올림픽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개장, 그리고 번호판에 차~파, 처~퍼, 초~포, 추~후, 그~흐가 쓰인 자동차들을 유치원 시기에 봤던 셈이다. 그 시절이면 일본이 아직 월드컵에도 나가 본 적이 없는 축구 변방이었고 서울 청량리역에서 영주역으로 갈 때 3~4시간은 기본이고 많게는 6시간도 걸리던 시절이었다.[42] 당시 영덕면 우곡동. 영덕역이 있는 그 동네이다.[43] 지품면에는 지품1터널부터 지품10터널까지 터널이 10개나 있다.[44] 타 지역에서 영덕으로 가는 경우는 대개 청송, 포항, 울진 중 한 곳을 지나야 하고, 서울에서 영덕으로 가는 경우는 무조건 청송군을 경유한다. 심지어 국회의원 선거구도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으로 편성돼 있다. 사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영덕군이 국회의원을 단독으로 1명 뽑았으나, 1960년대 들어 청송군·영덕군으로 바뀌더니 중선거구제 시절에는 아예 울진이 붙어 영덕군·청송군·울진군이 됐다가 청송군·영덕군,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을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심지어 영덕군은 4월에 무려 34도까지 오르기도 했다.[45] 영덕군에서 인구가 1만 명 이상인 읍면은 영덕읍 (인구 1만 1,040명) 하나밖에 없다. 현재 영덕군의 읍면별 인구는 영덕읍 1만 1,040명, 영해면 6,381명, 강구면 6,248명, 병곡면 2,786명, 축산면 2,657명, 남정면 2,371명, 지품면 2,018명, 창수면 1,688명, 달산면 1,124명으로 영덕읍 혼자만 1만 명을 넘고 영해면, 강구면을 제외하면 인구가 5,000명을 넘는 면도 없다. 심지어 영덕읍의 비중은 30.5%이다. 이런 이유로 영덕군에 사는 사회복무요원들에게 자가용, 자전거, 오토바이 출퇴근은 거의 필수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동네에서 유명인이 2명 배출됐는데, 현직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인 류중일 (강구면 출신)과 전직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었고 동시에 현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인 신태용 (지품면 원전리 출신)이 그 주인공이다.[46] 1999년 달산초등학교가 폐교된 이후 달산면에는 교육기관이 없어서 해당 지역에 사는 유아들은 아예 이웃 동네로 가야 한다. 게다가 영덕읍 성심유치원은 아예 폐원되었다.[47] 영덕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는 포항시이다. 과거 영덕에서 공부를 잘 했다는 사람들은 포항고등학교 (남자)나 포항여자고등학교 (여자), 전교권 학생들은 경북고등학교 (남자)나 경북여자고등학교 (여자) 등 대구에 있는 학교로 진학했을 정도이다. 때문에 1950~60년대에는 매년 12월이 되면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보러 가기 위해 학교를 결석하거나 조퇴했다고 한다. 대학은 더 멀리 있는 수도권이나 대구로 많이 가는 편.[48] 과거에는 영해 신씨였다.[49] 여담으로, 영덕군에서 남씨 다음으로 많은 성은 황씨이다.[50] 김진규는 1985년 2월 16일생([age(1985-02-16)]세)이라 1988~1990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말 그대로 1988 서울 올림픽이 열릴 때 그는 유치원생이었고, 그와 같은 시기에 유치원을 다닌 사람으로 박나래, 하승진이 있는데, 하승진은 유치원 시절 자신보다 키가 40~50cm 가량 컸다고 한다. 그 시절이면 버스나 기차에서 담배 피우는 정도는 자연스러웠고, 심지어는 군대 내무반에서도 담배를 피우던 시절이라 유치원 통학버스에서 기사가 담배를 피우기도 했을 정도. 당시 영덕군의 인구는 7만 명 정도였다.[51] 손준호는 1992년 5월 12일생([age(1992-05-12)]세)이라 1995~1998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손준호가 유치원을 다니던 시절이면 에버랜드판다 밍밍과 리리가 있었고 영덕군에는 철도와 고속도로가 아예 없어서 서울에서 영덕을 가는 데만 5시간 넘게 걸렸으며, 영덕군의 사립유치원은 영덕읍, 영해면에만 있어 강구면에 살았던 그는 병설유치원이나 영덕읍의 사립유치원을 다녀야 했다.[52]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고령면 지산동. 고령면은 1979년 고령읍으로 승격됐으나 2015년 4월 대가야읍으로 개명했다.[53] 고령군에서 인구가 1만 명을 넘는 곳이 대가야읍 하나뿐일 정도이다. 읍면별 인구는 대가야읍 1만 77명, 다산면 8,445명, 쌍림면 3,397명, 성산면 2,594명, 개진면 1,941명, 운수면 1,883명, 우곡면 1,591명, 덕곡면 1,433명이며, 21세기 들어서는 대가야읍 (舊 고령읍)과 다산면만이 인구 1만 명을 넘겨 본 적이 있을 정도이고, 대가야읍에 32.1%, 다산면에 27.1%가 거주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이들 지역에 거주한다.[54] 예전에는 가야대학교가 있었으나 폐교 상태이다.[55] 주로 대구.[56] 고령 신씨는 전라도에 더 많다.[57] 고령군에서 배씨는 성씨 순위 6위이다.[58] 그 시절 경주에서 유년기를 보냈던 사람들은 어린 시절 눈이 오면 신라 왕릉에서 비료 포대를 가지고 썰매를 타고 놀았던 기억을 할 정도이다. 지금이야 경주가 관광도시로 각광을 받으면서 시내의 문화재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해 전국의 관광객들을 끌어모으고 있지만 (여기에 경주월드에 있는 드라켄, 발키리, 파에톤 등 전국구급 롤러코스터도 한몫 한다.), 그 당시에는 신라 왕릉이 문화재라는 인식이 없던 시절이었다. 이들의 말로는 중학교 전교 1~2등만 경주고등학교경주여자고등학교를 바라볼 수 있고 나머지는 선덕여고, 근화여고, 계림고 등으로 빠지거나 포항, 울산 등지로 빠지는 경우가 많았고, 심하면 20세가 넘어서 겨우 고등학교 입학을 했을 정도였다고 한다.[59] 시 승격은 포항이 경주보다 빨랐으나 (포항 1949년, 경주 1955년), 인구는 경주가 좀 더 많았다. 포항이 경주보다 인구가 많아진 시기는 산업화가 시작된 1970년대 이후이다.[60] 어찌 보면 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이 경주와 비슷한 처지이다. 다만, 이 쪽은 백제 시대의 문화재들이다.[61] 반대로 포항시 연일읍에서 경주의 유치원 버스를 볼 수 있다.[62] 애초에 감포읍 자체가 양북면에서 분리된 곳이다. 남은 곳은 문무대왕면으로 개칭.[63] 그 와중에 시내 인구는 8만 5,895명에서 13만 7,203명으로 늘어 시내 집중도가 29.4%에서 54.5%로 크게 높아졌다. 경주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13만 7,203명, 안강읍 2만 5,017명, 현곡면 2만 1,947명, 외동읍 2만 431명, 건천읍 9,502명, 강동면 6,323명, 양남면 6,322명, 천북면 5,730명, 감포읍 5,501명, 내남면 4,712명, 문무대왕면 4,327명, 서면 3,268명, 산내면 3,219명으로 현곡면, 안강읍 등 울산, 포항과의 접근성이 좋은 지역들에도 시내 어지간한 동 수준의 인구가 모여 산다. 반면, 건천읍은 KTX무궁화호가 정차하는 경주역이 있는데도 인구가 현곡면보다 적고, 1만 명을 못 넘고 있다. 이는 경주시 자체가 과거 신라의 수도여서, 땅만 파면 신라 시대의 문화재들이 쏟아져 나와 개발이 더디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과 비슷한 처지. 이 쪽은 백제.[64] 이건 서울과 수도권 지역도 비슷해서 수원시, 이천시, 광주시, 화성시, 여주시의 유치원에서 에버랜드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광명시의 유치원에서 서울랜드로, 구리시, 남양주시, 고양시, 의정부시, 성남시, 하남시 등 서울 주변 도시나, 심하면 양주시, 포천시, 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등 경기도 북부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에 있는 유치원에서 서울어린이대공원, 올림픽공원, 롯데월드 어드벤처 등지로 소풍을 가는 경우가 있다.[65] 최채흥은 1995년 1월 22일생([age(1995-01-22)]세)이므로 1997~2000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은 유치원에 입학하고 얼마 안 돼서 IMF 사태를 겪었고, 스타크래프트가 발매될 때 유치원을 다녔다. 그는 유튜버 정대철이 유치원을 다니던 시절에 태어났기 때문에 정대철과는 유치원 재학 시기가 겹치지 않는다.[66]구미시 강서 지구 동 지역. 구미면은 구미읍으로 승격된 후 1978년 시로 승격됐다.[67] 현재의 석적읍. 중지리 한정.[68] 현재의 북삼읍. 율리 한정.[69] 현 구미시 강서지구 동 지역.[70] 저 인구는 인동면, 칠곡읍을 다 포함한 수치이다. 1966년, 1970년, 1975년, 1980년 당시 경상북도 칠곡군의 인구는 11만 8,092명, 11만 5,566명, 11만 9,396명, 11만 923명이었는데 인동면 (1970년 8,652명, 1975년 8,820명)과 칠곡읍 (1970년 1만 5,670명, 1975년 2만 876명, 1980년 2만 8,986명)을 뺀 현재의 칠곡군만으로 계산하면 각각 9만 3,450명, 9만 1,235명, 8만 9,689명, 8만 1,937명이므로 실질적으로는 칠곡군의 인구가 1960년대보다 늘었다고 볼 수 있다.[71] 구미시 신동, 구평동, 진평동, 인의동, 시미동, 황상동, 임수동, 금전동, 옥계동, 거의동, 양호동, 구포동. 현재의 구미시 강동 지구의 동 지역으로, 행정동상으로는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이며 현재의 인구는 11만 1,402명.[72]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국우동, 도남동, 관음동, 동천동, 읍내동, 학정동, 동호동, 태전동, 매천동, 팔달동, 금호동, 사수동. 행정동상으로는 관문동, 구암동, 읍내동, 태전1동, 태전2동, 국우동, 관음동, 동천동으로 현재의 인구는 21만 8,661명.[73] 만약 인동면과 칠곡읍이 안 빠져 나갔으면, 칠곡군의 인구는 44만 4,821명으로 늘고, 진작에 시로 승격됐을 지도 모르는 일이다.[74] 그 와중에 왜관읍의 인구는 1960년대 2만 7,579명이었다가 2021년 3만 3,444명으로 늘어났고 읍내 집중도도 23.4%에서 28.9%로 높아졌다. 2위 석적읍의 인구는 3만 889명, 3위 북삼읍의 인구는 2만 4,305명으로 이들까지 합하면 읍 지역의 인구 비중은 76.8%까지 높아진다. 칠곡군의 읍면별 인구는 왜관읍 3만 3,444명, 석적읍 3만 889명, 북삼읍 2만 4,305명, 약목면 9,924명, 동명면 5,312명, 지천면 4,234명, 가산면 3,520명, 기산면 3,230명으로 다른 군에는 넘쳐나는 인구 5,000명 미만인 읍면이 3곳밖에 없다.[75] 영화 칠곡 가시나들의 촬영지이다. 이 영화의 주인공 할머니들 (박금분, 강금연, 곽두조, 안윤선, 박월선, 김두선, 박복형, 이원순)은 1930년대에 태어났는데, 그 시절이면 소학교 취학률조차 30% 미만이었고 (여자는 더 낮았다.), 유치원 취원율은 0.1% 미만이었다. 당시의 유치원 취원율은 현재 서울대학교 합격률 (0.5%), 9급 공무원 합격률 (약 1~2%)보다 더 낮은 셈.[76] 군위군 동부는 제외. 이 동네에서는 오히려 영천, 경주로 많이 간다.[77] 신천지 대구교회발 코로나가 한창 기승을 부리던 2020년 2월 28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왜관중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근무 53세 여교사가 구미 형곡동에 살고 있었고 같은 해 3월 2일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왜관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근무 48세 여교사는 대구에 살고 있었다. 이렇게 직장은 시골에 두고 주변 도시에서 사는 경우가 지방에서는 아주 흔하다.[78]대구광역시.[79] 신현준은 1968년 10월 28일생([age(1968-10-28)]세)이므로 1972~1974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은 악명높은 미니스커트 단속을 유치원 시절에 봤고, 중학교에 들어가자마자 과외가 금지되었으며, 데모라도 일어나는 날에는 안전 보장을 이유로 유치원들이 단축수업과 휴업을 강행해 며칠씩 유치원에 못 간 적이 있었던 셈. 그 시절이면 담배에 매우 관대해서 길거리, 버스, 택시, 기차, 지하철, 영화관, 병원, 학교, 식당은 물론 집 안, 심지어는 비행기에서까지 담배를 피우던 시절이다.[80] 왜관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근무 48세 교사, 왜관중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근무 53세 교사. 이들은 각각 남편, 아들에게 옮았다. 확진 순서는 2월 28일 왜관중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근무 53세 교사가 먼저 걸리고 3월 2일에는 왜관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근무 교사도 걸렸으며, 전자는 대구광역시에 살고 있었고, 후자는 구미시 형곡동 삼우타운아파트에 살고 있었다.[81] 청송군에는 사립유치원이 없다.[82] 영양군에는 사립유치원이 없다.[83] 영주시에는 사립유치원이 있지만, 평은면 등 안동에 가까운 곳에는 없다.[84] 이 때 안동군 월곡면이 폐지됐다.[85] 그 와중에 시내 인구는 6만 3,816명에서 11만 5,780명으로 늘면서 시내 집중도도 24.4%에서 73.3%로 크게 늘었다. 안동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11만 5,780명, 풍천면 6,702명, 풍산읍 6,390명, 와룡면 4,114명, 서후면 3,555명, 북후면 3,022명, 임하면 2,884명, 일직면 2,777명, 길안면 2,721명, 남선면 2,122명, 예안면 1,875명, 남후면 1,786명, 임동면 1,773명, 녹전면 1,771명, 도산면 1,635명으로 읍면 지역의 인구가 1만 명을 못 넘는다.[86] 안동에서 상위 3개 성씨가 ‘김이권’인 것도 이 때문이다. 안동 주변의 예천, 영주, 봉화 등지도 권씨 비율이 높은 축에 속한다. 권씨 자체는 수도권에 더 많이 살지만 (전국 권씨 인구 70만 5,941명, 수도권 거주 권씨 인구 32만 8,273명),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가면 안동이 1만 6,051명으로 1위인데 이는 권씨 중 가장 큰 본관이 안동 권씨이기 때문이다.[87] 안동시에서는 정치판을 안동 김씨와 안동 권씨들이 나눠먹을 정도로 세력이 강하다. 실제 15대 이후 안동 국회의원은 안동 김씨나 안동 권씨에서만 나왔고, 안동 시장도 정동호를 마지막으로 안동 김씨나 안동 권씨에서만 선출되는 실정이다. 여기서 안동 김씨는 구 안동 김씨이며, 신 안동 김씨 (장동 김씨)는 잘 없다.[88] 예를 들면 자신이 36세손 '혁'자 항렬이고 (권혁진, 권혁경, 권혁현 등) 친구가 38세손 '용'자 항렬인 (권용준, 권용학, 권용빈 등) 경우. 심하면 교사가 원생보다 항렬이 낮은 경우도 있다.[89] 엉덩국은 1994년 12월 24일생([age(1994-12-24)]세)이므로 1997~2000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은 유치원 시절 Y2K 문제 관련 뉴스를 많이 듣고 20세기 마지막 윤달과 거스 히딩크의 감독 취임을 경험한 셈. '엉덩국'이라는 이름은 필명이므로 유치원은 본명인 '김영택'으로 다녔다.[90] 심지어 이 둘은 국회의원 선거구도 상주시·문경시로 획정돼 있다. 사실 1950년대에는 상주에서 2명, 문경에서 1명을 뽑았다가 중선거구제 시절 상주는 김천, 문경은 예천과 붙었고 13대 국회에서 다시 갈라진 뒤 15대에서 19대까지 상주가 1명 뽑을 동안 문경은 예천과 합쳐서 문경시·예천군 선거구에서 1명을 뽑고, 20대에서는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주시·문경시·예천군으로 나눠 뽑다가 21대에서 같이 뽑게 되었다.[91] 주로 속리산면, 장안면 등 보은군 동부.[92] 주로 도리원 등 의성군 서부.[93] 그 와중에 상주시내 인구는 1960년대 4만 7,558명에서 2021년 5만 371명으로 늘었으며, 시내 집중도도 18.9%에서 51.7%로 늘었다. 상주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5만 371명, 함창읍 6,564명, 낙동면 4,062명, 공성면 3,956명, 사벌국면 3,853명, 화서면 2,784명, 외서면 2,730명, 청리면 2,673명, 모동면 2,570명, 모서면 2,507명, 공검면 2,145명, 이안면 2,060명, 화동면 1,993명, 내서면 1,960명, 외남면 1,668명, 화북면 1,565명, 은척면 1,526명, 중동면 1,414명, 화남면 827명으로 면 지역은 인구 5,000명 미만에 심지어 화남면은 인구가 1,000명 미만이다. 이런 상황이니 화남면은 1998년 평온초등학교와 평온초등학교 중눌분교가 동시에 폐교되면서 교육기관이 완전히 사라져 버렸고, 사립유치원들도 자연히 시내로만 몰리게 된 것이다.[94] 애초에 예성유치원이라는 이름이 제16전투비행단의 별명인 ‘예성대’에서 따 온 것이다.[95] 유치원생의 부모의 계급은 장교일 경우 주로 소령~중령, 부사관은 중사~상사급이다.[96] 이 과정에서 호명면이 이미 예천읍을 추월했다. 예천군의 읍면별 인구는 호명면 1만 9,193명, 예천읍 1만 4,801명, 풍양면 3,165명, 지보면 2,721명, 감천면 2,657명, 유천면 2,531명, 용궁면 2,456명, 용문면 2,309명, 보문면 1,697명, 개포면 1,523명, 은풍면 1,366명, 효자면 1,194명으로 호명면에 31.5%, 예천읍에 27.7%가 거주하고 있다. 예천읍의 비중도 높아졌는데 인구는 2만 6,198명에서 1만 4,801명으로 줄었지만 비중은 16.1%에서 27.7%로 높아졌다.[97] 2000년 개포초등학교 폐교.[98] 1999년 보문초등학교 폐교.[99] 예성유치원은 군부대 안에 있는 특성상 인원 공개를 하지 않음.[100] 대부분 안동 권씨.[101] 안동시는 한술 더 떠서 권씨가 박씨보다 많다.[102] 김제덕은 2004년 4월 12일생이라 2007~2010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김제덕의 또래인 2004년생은 장미란 (역도)과 박태환 (수영) 그리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금메달 획득을 유치원 시절에 봤고, 그야말로 공휴일 지옥 속에서 유치원을 다닌 셈. 이는 2009년설날 연휴 하루, 삼일절, 부처님오신날, 현충일, 광복절, 추석 연휴 중 이틀, 개천절 등 공휴일 8개가 주말에 겹치고 2010년에는 설날 연휴 이틀, 현충일, 광복절, 개천절, 크리스마스 등 공휴일 6개가 주말에 겹쳐 날아갔기 때문.[103] 그 와중에 시내 인구는 3만 3,102명에서 4만 1,588명으로 늘어 시내 집중도가 20.8%에서 58.3%까지 높아졌다. 문경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4만 1,588명, 문경읍 6,968명, 가은읍 4,054명, 마성면 3,565명, 산양면 3,044명, 산북면 2,777명, 농암면 2,609명, 영순면 2,451명, 호계면 2,399명, 동로면 1,951명으로 읍면 지역이 모두 인구 1만 명 미만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문경시는 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경상도 지역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서 문경시 문경읍까지는 자동차로 1시간 거리이다.)인데도 인구가 줄고 있다는 점이다.[104] 한자가 錢이다. 錢씨는 전국에서 3,678명밖에 없는 극희귀 성씨인데 문경에 148명이 살고 있다. 이는 '돈 전'자를 쓰는 전씨가 문경 전씨 하나뿐이기 때문이다.[105] 어느 정도냐면, 서울보다 영천에 황보씨들이 더 많이 살고 있을 정도.[106] 그 와중에 시내 인구는 4만 4,305명에서 5만 5,310명으로 늘어 시내 집중도가 22.3%에서 53.8%로 높아졌다. 영천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5만 5,310명, 금호읍 1만 1,088명, 고경면 5,874명, 북안면 4,448명, 임고면 4,242명, 청통면 4,161명, 신녕면 3,919명, 화산면 3,296명, 화남면 3,138명, 대창면 3,096명, 화북면 2,213명, 자양면 1,230명으로 육군3사관학교 버프를 받은 고경면을 뺀 나머지 면 지역은 상태가 매우 열악하며, 자양면에는 교육기관이 없다. 1960년대에는 화북면(21,053명), 고경면(20,483명)이 2만 명을 넘을 정도로 잘 나갔으나 화북읍, 고경읍으로 승격하지 못하고 그대로 몰락하면서 이들 지역의 사립유치원은 고경면의 충성대유치원이 전부일 정도로 줄었다.[107] 그만큼 성주군이 매우 열악하다는 뜻이다. 성주군의 읍면별 인구는 성주읍 1만 3,737명, 선남면 6,164명, 초전면 4,511명, 용암면 3,734명, 월항면 3,397명, 수륜면 3,111명, 벽진면 3,071명, 대가면 2,452명, 가천면 2,035명, 금수면 1,212명으로 성주읍을 제외하면 인구 1만 명을 넘는 읍면이 없다.[108] 잘 알겠지만 벽진 이씨의 ‘벽진’이 바로 이 곳이다. 이 곳에 사는 아이들은 벽진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나 신성유치원, 또는 김천의 사립유치원을 다닌다. 심지어 금수면은 1999년 금수초등학교가 폐교되면서 교육기관이 아예 사라졌다.[109] 주로 왜관읍.[110] 영월에서 5위인 성은 엄씨, 성주에서 5위인 성은 배씨이다. 심지어 성주에서는 최씨가 배씨보다 적고, 김씨보다 이씨가 더 많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김씨가 1위를 차지하지 못한 동네가 성주군일 정도. 과거에는 포천군도 이씨가 김씨보다 많았다.) 성주군의 상위 5개 성씨가 ‘이김박정배’, 10개 성씨는 ‘이김박정배최강장백여’일 정도. 전국에서 10위권에 드는 성씨 중 조씨, 윤씨, 임씨는 성주에서 10위권 밖인데 그나마 성주에서 조씨는 거의 함안 조씨이다. 이는 성주 이씨, 벽진 이씨, 성주 배씨 등 성주가 본관인 성씨들의 집성촌이 있는 영향이 크다. 수륜면에는 함안 조씨의 집성촌도 있다.[111] 그 당시에는 석포면이 소천면의 일부였다.[112] 과거 봉화군 지역은 추석 즈음에 얼음이 얼고, 개천절에 눈이 올 정도로 추웠다고 한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봉화군에서는 어린이날, 어버이날에도 눈이 왔을 정도이다.[113] 2021년 봉화군은 여름이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39일에 불과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짧았고, 광복절이 가을이었다.[114] 봉화군에는 고속도로가 없고 그나마 있는 영동선 철도도 단선이다. 수도권에서 봉화로 가려면 무조건 영주를 지나야 할 정도이다.[115] 그만큼 봉화군이 열악하다는 뜻이다. 봉화군의 읍면별 인구는 봉화읍 1만 8명, 춘양면 4,433명, 물야면 3,140명, 명호면 2,254명, 소천면 2,224명, 봉성면 2,116명, 석포면 2,029명, 법전면 2,014명, 상운면 1,754명, 재산면 1,522명으로 면 지역의 인구가 5,000명을 넘지 못하며, 심지어 봉화읍조차 2020년 11월에 잠시 1만 명 미만으로 인구가 감소한 적이 있었으며 소천면은 인구도 적은 데다 대중교통이 영동선 철도 외에는 없다시피하다. 그만큼 봉화읍도 비중이 31.8%밖에 안 된다. 하지만 반대로 철도역은 많아서 (영주역청량신호소 방향으로) 문단역, 봉화역, 거촌역, 봉성역, 법전역, 춘양역, 녹동신호장, 임기역, 현동역, 분천역, 비동역, 양원역, 승부역, 석포역 등 14개 역이 있고 그 중 8곳이 여객 취급을 한다.[116] 다만, 경상북도에 사립유치원이 하나만 있는 군은 울릉군도 있다. 경영 상황에 따라 영덕군이나 울릉군이 봉화군보다 먼저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될 수도 있는데 그 중 영덕군은 2023년 사립유치원 없는 군으로 전락했다.[117] 2019년 9월 압량면이 읍으로 승격.[118] 때문에 욕설로 유명한 공무원 시험 한국사 강사 전한길도 유치원은 다녀 보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보다시피 전한길 (본명 전유관)은 1970년 8월 21일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에서 태어났기 때문.[119] 이 지역의 현재 인구는 10만 5,684명. 신서혁신도시가 여기에 있다.[120] 현재 인구 9만 3,562명.[121]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당연히 시내이다. 1960년대 2만 334명이던 인구가 2019년 15만 9,179명으로 늘었고, 시내의 비중도 12.7%에서 60%로 높아졌다. 경산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15만 9,179명, 진량읍 3만 6,335명, 하양읍 2만 5,619명, 압량읍 2만 912명, 와촌면 5,985명, 자인면 5,558명, 남산면 3,760명, 용성면 3,346명, 남천면 3,034명인데, 대구와 가까운 시내, 하양읍 지역의 인구가 많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만약 안심읍과 고산면이 대구로 빠져나가지 않았다면 경산시의 인구는 48만 1,852명까지 늘어났을 것이다.[122] 신천지 대구교회와 더불어 코로나19 사태를 엄청나게 키운 청도대남병원이 있는 동네이다. 그 여파로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대구와 더불어 청도를 여행금지구역으로 지정했고, 청도의 유치원들도 졸업식을 하지 못했다.[123] 청도읍 1만 2,182명, 화양읍 8,372명.[124] 청도에서 대구까지는 40분, 밀양까지는 25분 걸려 밀양과의 교류가 많다.[125] 청도군의 읍면별 인구는 청도읍 1만 1,940명, 화양읍 8,305명, 이서면 4,507명, 풍각면 3,935명, 매전면 3,785명, 금천면 3,327명, 각북면 2,227명, 각남면 2,127명, 운문면 2,110명인데 면 지역의 인구가 5,000명을 넘지 못하고, 운문댐 건설로 인해 운문면의 인구가 많이 줄었다는 특징이 있다. (심지어 운문면은 2018년 면내 마지막 교육기관인 금천초등학교 문명분교가 폐교된 이후로 교육기관이 하나도 없다.) 청도읍은 인구가 2만 7,440명에서 1만 1,940명으로 줄었으나 비중은 22.5%에서 28.4%로 높아졌다. (화양읍은 19.4%)[126] 이서면, 각북면, 풍각면 정도만 대구와 접하고 있다. 심지어 이서면은 대구광역시로 바로 가는 시내버스가 있다. 이런 이유로 청도의 인구가 줄어 버스 배차간격도 나빠지고 (시간당 1대면 양반이다.), 청도군에 사는 사회복무요원들도 읍내에 살지 않는 이상 자가용이나 오토바이를 타고 출퇴근을 해야 할 정도이다.[127] 예씨는 전국적으로 1만 3,568명, 청도군에도 484명밖에 없는 희귀 성씨이지만 청도군은 기초자치단체 중 예씨 인구 1위이다.[128] 강동 지역 최초의 사립유치원이 황상동에 있는 사랑유치원인데, 1992년에 설립됐다.[129] 박정희 前 대통령의 고향은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이다. 그의 둘째 딸이자 2017년 3월 10일 헌정 사상 최초로 탄핵당한 대통령인 박근혜 前 대통령의 고향은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 심지어 박정희와 박근혜는 은지원과도 친척이다.[130] 1960년대 김천 20만 9,827명, 구미 11만 6,725명 → 2020년 김천 14만 863명, 구미 41만 9,296명.[131] 오태동 자체도 과거 칠곡군의 영역이었다.[132] 이건 시군구 경계에서는 흔한 일이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강동구 천호동과 성내동에 있는 유치원 재원생 중 송파구 풍납동 거주 원생이 있을 정도이며, 지방의 경우는 구미시 오태동과 칠곡군 북삼읍, 혹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과 속초시 같은 예가 있다. 심지어 시도 경계를 넘거나, 아예 수도권과 지방을 넘나드는 유치원 통학도 간간이 보인다. 전자의 예는 충청북도 옥천군에 사는 아이들이 대전광역시의 유치원으로 통학하는 것이 있고, 후자의 예는 경기도 여주시에 사는 아이들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있는 유치원으로 통학하는 것이나,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사는 아이들이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있는 유치원으로 통학하는 경우이다.[133] 시내 인구도 1960년대 2만 1,269명에서 2019년 21만 3,676명으로 늘어 시내 인구 비중이 18.2%에서 51.7% (옛 칠곡군 인동면 지역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은 11만 1,650명으로 전체 인구의 26.9%이다. 이 둘을 합치면 31만 5,168명이 되고 전체 인구의 75.2%로 높아진다.)로 높아졌다. 구미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21만 3,676명, 인동지구 11만 1,402명, 고아읍 3만 6,487명, 산동읍 2만 6,619명, 선산읍 1만 5,001명, 해평면 4,133명, 장천면 3,183명, 도개면 2,225명, 무을면 1,873명, 옥성면 1,729명으로 산업단지가 들어선 산동면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면 지역의 인구가 많이 열악하다.[134] 이수민은 1995년 9월 11일생([age(1995-09-11)]세)이므로 1998~2001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은 20세기 마지막 윤달 (1998.6.24~7.22)과 21세기 첫 윤달 (2001.5.23~6.20), Windows 98Windows 98 SEWindows 2000Windows MeWindows XP 5종류의 운영체제 발매 (동시에 Windows 1.xWindows 2.xWindows 3.xWindows NT 3.1•3.5•3.51Windows 95 등등 7종류의 운영체제 지원 종료), 풍납토성 경당지구 발굴을 모두 유치원 시절에 경험한 셈.[135] 과거에는 이 곳에서 첫눈개천절 무렵이면 내렸다고 한다. 1960~70년대까지만 해도 어린이날에 눈이 왔을 정도이다.[136] 인구가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1동과 비슷한 데다 (이 쪽은 풍납토성 문화재 때문에 낙후될 수밖에 없다.) 무려 1960년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준으로 낙후됐다. 그 시절에는 강남 지역에 변변한 건물이 없었고, 대치동에도 초가집이 있었을 정도이다. 이런 이유로 영양군에서 아파트를 보기 힘든 건 물론 어린이는 산삼 수준으로 드물어졌다.[137] 영양군에는 철도, 고속도로가 모두 없다. 게다가 다른 지역에서 영양으로 가려면 거의 무조건 안동시를 지나야 한다. 서울에서 영양으로 오는 경우는 대개 안동을 경유한다.[138] 심지어 2006년에 이미 1만 9,989명을 기록하며 2만 명 선이 무너졌고, 인구가 5,000명을 넘는 곳이 영양읍 하나밖에 없다. 현재 읍면별 인구는 영양읍 7,305명, 입암면 2,141명, 석보면 2,042명, 일월면 1,772명, 청기면 1,739명, 수비면 1,693명으로 군청 소재지인 영양읍조차 인구 1만 명을 넘지 못한다. 다만, 영양읍의 비중은 43.3%이며 동서울터미널로 가는 버스도 다닐 정도이다.[139] 다민 영양 주변의 군 중 봉화군은 아직 사립유치원이 있다. 울진군, 청송군, 영덕군은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지만(...).[140] 하지만 인구는 청송이 8,484명 더 많다. 청송의 인구는 2만 5,430명, 영양의 인구는 1만 6,946명이다.[141] 심지어 이 동네는 우씨와 금씨도 20위 이내에 든다. 우씨가 단양 우씨, 금씨가 봉화 금씨 하나뿐인 걸 생각하면 상당히 비중 있는 성씨인 셈.[142] 한반도 내의 주요 도시에서 울릉도를 갈 때는 주로 포항에서 배를 타고 간다. 일각에서는 이런 특수성을 감안해 울릉군을 특별자치군으로 승격하자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143] 게다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어린이 인구가 1,000명 미만이다. 다만, 울릉도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은 모두 다른 지역에서 대학을 나왔는데, 울릉군에는 대학이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울릉도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등 중요한 시험을 볼 수 없고, 방통대나 사이버대학을 가는 경우가 아닌 이상 울릉도에서는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없다.[144] 가끔씩 울릉도가 고향이지만 유치원을 다녔다는 어르신들은 아주 어린 시절에 포항 등 육지로 이사를 간 사람들이다. 애초에 울릉도 사람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포항으로 가서 치르고 국회의원 선거구도 포항시 남구·울릉군으로 편성돼 있을 정도이다.[145] 1968년생, 1969년생, 1970년생이 도동유치원 최초의 원생이었는데 (당시에는 4세와 5세 아동만 유치원생으로 받아 줬다. 3세 아동을 유치원에 받아 준 것은 1991년이다.), 1968년생은 [age(1968-12-31)]~[age(1968-01-01)]세, 1969년생은 [age(1969-12-31)]~[age(1969-01-01)]세, 1970년생은 [age(1970-12-31)]~[age(1970-01-01)]세이기 때문이다. 그 시절에는 유치원 취원율이 아이비 리그 합격률 (6.79%)은 물론 하버드 대학교 합격률 (4.5%)보다 낮았다.[146] 이 때 울릉읍의 인구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당시 울릉군의 읍면별 인구는 울릉읍 1만 6,750명, 북면 5,943명, 서면 6,782명.[147] 그만큼 울릉군의 생활 수준이 열악하다는 뜻이다. 울릉군의 읍면별 인구는 울릉읍 6,434명, 서면 1,322명, 북면 1,321명으로 울릉읍에 전체 인구의 70.2%가 몰려 있고, 그나마 거주하는 주민 대부분이 노인들이다. 아파트 역시 울릉읍에만 있다. 현재 울릉군보다 인구가 적은 지방자치단체는 없다. 그나마 1960년대 경기도 과천시 (인구 7,945명. 당시 시흥군 과천면)보다는 많지만.[148] 주로 포항시, 대구광역시.[149] 강영우 총경은 1976년생([age(1976-01-01)]세)이므로 1980~1982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이 유치원을 다닐 시절에는 한국이 아직 월드컵에 1번밖에 나가지 못한 약체였고, 모든 국민이 국기강하식을 경험했다.[150] 청송읍 5,293명, 진보면 6,629명으로 진보면의 인구가 1,336명 더 많다.[151] 진보면 6,438명, 청송읍 5,106명, 안덕면 2,609명, 현서면 2,532명, 부남면 2,507명, 현동면 2,097명, 주왕산면 1,860명, 파천면 1,805명. 때문에 군 전체 인구의 절반이 청송읍이나 진보면에 거주한다. 심지어 청송읍은 비중이 21%밖에 안 되고, 인구가 가장 적은 군청 소재지라는 오명까지 얻었다.[152] 청송군에는 대학이 없고 그나마 군에서 가장 가까운 대학은 안동시에 있다.[153] 청송읍이나 진보면 기준이며, 현동면 (흔히 도평리라고 부른다.)은 오히려 포항으로 많이 간다.[154] 옛날에는 무려 개천절 무렵에 첫눈이 왔다.[155] 유도 이원희. 실제로 그는 이 지역에서 병설유치원을 다녔거나 유치원 시절 서울로 이사를 갔을 것이다.[156] 청송에서 황씨는 인구가 1,081명이 있고 4위인데, 최씨는 879명이고 8위, 강씨는 334명이고 아예 10위권 밖에 있다. 청송의 10대 성씨는 '김이박황권조윤최정임'이다. 그나마 그 황씨들 대부분이 평해 황씨다.[157] 이원희는 1981년 7월 19일생([age(1981-07-19)]세)이므로 1985~1987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청송에는 사립유치원이 없기 때문에 병설유치원을 나왔거나, 청송에서 유치원을 다니다가 서울로 이사를 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