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 땅 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チ, ジ | ||||||
일본어 훈독 | つち, ところ | ||||||
- | |||||||
표준 중국어 | de, d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地의 필순
[clearfix]
1. 개요
地는 '땅 지'라는 한자로, '땅', '대지(大地)'를 뜻한다. '따 지'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땅 |
음 | 지 | |
중국어 | 표준어 | dì |
광동어 | dei6 | |
객가어 | thi | |
민북어 | dī | |
민동어 | dê[文] / diê[白] | |
민남어 | tē[文] / tī, tōe[白] | |
오어 | di3 | |
일본어 | 음독 | チ, ジ |
훈독 | つち, ところ | |
베트남어 | địa |
유니코드에는 U+573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PD(土心木)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ㄉˊ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也(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국어에서는 단어 뒤에 的(과녁 적)이 붙어 부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와 동일한 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 모순적으로→矛盾地) 이때는 발음도 的과 동일하게 de(더)로 변한다.
서예에 있어서 나름 중요한 글자 취급받는데, 왜냐하면 地의 4번째 획이 극소수의 한자에만 사용되는 필획[5]이기 때문이다. 이 필획을 사용하는 한자는 也(어조사 야)와 그것이 구성요소인 한자(地를 포함한 他(다를 타), 池(연못 지), 馳(달릴 치), 弛(늦출 이), 拖(끌 타), 施(베풀 시) 등) 및 乜(사팔뜨기 먀)가 전부이다.[6]
경기도 광주시, 여주시, 이천시에서 개최된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의 공식 마스코트는 '토야'라는 캐릭터인데, 이 토야의 이름은 地를 土(흙 토)와 也(어조사 야)로 나누어 붙인 것이다.
천자문에서는 '따 지'라고도 읽으며, 하늘 천에 이어 두 번째로 나오는 걸로 유명한 글자다.
일본어에서는 じ, ち 2가지 음독이 존재하는데, じ로 읽는 경우는 地面(じめん, 지면), 地震(じしん, 지진) 등이 있고, ち로 읽는 경우는 地図(ちず, 지도), 地球(ちきゅう, 지구), 地下鉄(ちかてつ, 지하철), 地方(ちほう, 지방)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간석지(干潟地)
- 관광지(觀光地)
- 궁지(窮地)
- 기지(基地)
- 농경지(農耕地)
- 단지(團地)
- 대지(垈地/大地/臺地)
- 도읍지(都邑地)
- 도회지(都會地)
- 등지(等地)
- 매립지(埋立地)
- 명승지(名勝地)
- 묘지(墓地)
- 백사지(白沙地)
- 번지(番地)
- 부지(敷地)
- 분지(盆地)
- 사지(死地)
- 산지(山地)
- 생지(生地)
- 소재지(所在地)
- 소지(素地)
- 숙지(熟地)
- 습지(濕地)
- 식민지(植民地)
- 양지(陽地)
- 여지(餘地)
- 오지(奧地)
- 온상지(溫床地)
- 외지(外地)
- 유원지(遊園地)
- 육지(陸地)
- 입지(立地)
- 주둔지(駐屯地)
- 지각(地角)
- 지각(地殼)
- 지경(地境)
- 지구(地球)
- 지구(地區)
- 경지지구(耕地地區)
- 계엄지구(戒嚴地區)
- 고도지구(高度地區)
- 공관지구(公館地區)
- 공업지구(工業地區)
- 미관지구(美觀地區)
- 수복지구(收復地區)
- 아지구(亞地區)
- 자유지구(自由地區)
- 지구당(地區黨)
- 지구대(地區隊)
- 풍치지구(風致地區)
- 지대(地帶)
- 지도(地圖)
- 지뢰(地雷)
- 지리(地理)
- 고지리(古地理)
- 지리구(地理區)
- 지리국(地理局)
- 지리적(地理的)
- 지리학(地理學)
- 경관지리학(景觀地理學)
- 경제지리학(經濟地理學)
- 고지리학(古地理學)
- 공업지리학(工業地理學)
- 공중지리학(空中地理學)
- 광업지리학(鑛業地理學)
- 교통지리학(交通地理學)
- 군사지리학(軍事地理學)
- 농업지리학(農業地理學)
- 동물지리학(動物地理學)
- 문화지리학(文化地理學)
- 민족지리학(民族地理學)
- 방언지리학(方言地理學)
- 사회지리학(社會地理學)
- 산업지리학(産業地理學)
- 생물지리학(生物地理學)
- 생산지리학(生産地理學)
- 생태지리학(生態地理學)
- 수리지리학(數理地理學)
- 식물지리학(植物地理學)
- 언어지리학(言語地理學)
-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
- 예술지리학(藝術地理學)
- 인류지리학(人類地理學)
- 인문지리학(人文地理學)
- 인종지리학(人種地理學)
- 일반지리학(一般地理學)
- 자연지리학(自然地理學)
- 정치지리학(政治地理學)
- 지리학겸교수(地理學兼敎授)
- 지리학과(地理學科)
- 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
- 지리학교정(地理學敎程)
- 지리학사(地理學史)
- 지리학자(地理學者)
- 지리학적(地理學的)
-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 토양지리학(土壤地理學)
- 향토지리학(鄕土地理學)
- 화성지리학(火星地理學)
- 지명(地名)
- 지반(地盤)
- 지방(地方)
- 지선(地選)
- 지상(地上)
- 지역(地域)
- 건조지역(乾燥地域)
- 계엄지역(戒嚴地域)
- 공용지역(公用地域)
- 보세지역(保稅地域)
- 비행지역(非行地域)
- 상업지역(商業地域)
- 유보지역(留保地域)
- 지역구(地域區)
- 지역급(地域給)
- 지역별(地域別)
- 지역상(地域相)
- 지역성(地域性)
- 지역어(地域語)
- 지역제(地域制)
- 지역학(地域學)
- 항공지역(航空地域)
- 지옥(地獄)
- 지위(地位)
- 지자체(地自體)
- 지저(地底)
- 지지(地支)
- 지진(地震)
- 지평(地平)
- 지하(地下)
- 지형(地形)
- 지황(地黃)
- 진지(陣地)
- 처지(處地)
- 천지(天地)
- 축지법(縮地法)
- 타지(他地)
- 택지(宅地)
- 토지(土地)
- 험지(險地)
- 현지(現地)
- 황무지(荒蕪地)
- 후보지(候補地)
운지(隕地)[7]
3.2. 고사성어/숙어
- 간뇌도지(肝腦塗地)
- 검림지옥(劍林地獄)
- 경천동지(驚天動地)
- 구천구지(九天九地)
- 무간지옥(無間地獄)
- 발설지옥(拔舌地獄)
- 병사지야(兵死地也)
- 사지동고(死地同苦)
- 아비지옥(阿鼻地獄)
- 역지사지(易地思之)
- 음지전양지변(陰地轉陽地變)
- 복지부동(伏地不動)
- 지각천애(地角天涯)
- 지추덕제(地醜德齊)
- 진천동지(震天動地)
- 천방지방(天方地方)
- 천방지축(天方地軸)
- 천지간(天地間)
- 천지신명(天地神明)
- 함지사지(陷之死地)
3.3. 인명
한국 작명소에서는 地를 쓰는 것을 권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인명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 한자이다. 대자연의 기에 눌려 험난한 인생을 살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곤치인 스덴(金地院 崇伝)
- 김지수(金地粹) - 조선의 문신
- 김지웅(金地雄)
- 다이치 아키타로(大地 丙太郎)
- 몬치 카오리(門地 かおり)
- 무카이치 미온(向井地 美音)
- 미나고로시 지장(鏖 地藏)
- 바지 케이스케(場地 圭介)
- 아마치 시로(天地 志狼)
- 아마치 히츠기(天地 ひつぎ)
- 와타나베 다이치(渡辺 大地)
- 이지용(李地鎔) - 흥인군의 양자손
- 정은지(鄭恩地)
- 정지(鄭地)
- 지장보살(地藏菩薩)
- 카마다 다이치(鎌田 大地)
- 카바지 무네히로(樺地 崇弘)
- 칸바라 다이치(神原 大地)
- 코메이지 사토리(古明地 さとり)
- 코메이지 코이시(古明地 こいし)
- 토치 히로키(東地 宏樹)
- 키쿠치 미카(菊地美香)
3.4. 지명
- '지구(地區)', 단지(團地)', '택지(宅地)' 등의 접미사를 사용하는 지역들
- 금호지구(琴湖地區)
- 노오지동(老梧地洞)
- 바리어붕따우성(婆地淎艚省)
- 지곡동(地谷洞)
- 양지동(陽地洞)
- 지정면(地正面)
- 삼각지역
- 지식정보단지역
- 가산디지털단지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국제업무지구역
3.5. 창작물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育成スキルはもういらないと勇者パーティを解雇されたので、退職金がわりにもらった【領地】を強くしてみる(육성 스킬은 이제 필요 없다고 용사 파티에서 해고당했기 때문에, 퇴직금 대신 받은 [영지]를 강하게 만들어본다)
- 지구오락실(地球娛樂室)
- 地球の裏(지구의 뒷면)
- 地球儀
3.6. 기타
- 긴급지진속보(緊急地震速報): 일본의 방송
- 문천지(文天地)
- 물화생지(物化生地)
- 배송대행지(配送代行地)
- 세지(世地)
- 쌍지(雙地)
- 월경지(越境地)
- 지거국(地據國)
- 지균(地均)
- 지뢰녀(地雷女)
- 지민비조(地民比祖)
- 지방충(地方蟲)
- 지잡대(地雜大)
- 지옥철(地獄鐵)
- 지옥탈출(地獄脫出), 지탈(地脫)
- 천방지축마골피(天方地丑馬骨皮)
- 한지(韓地)
- 한국토지주택공사(韓國土地住宅公社)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 -真天地開闢集団-ジグザグ: 일본의 록밴드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𥝀[⿰禹也](뱀 사)
- 灺(불똥 사/타)
- 虵(긴뱀 사)[8]
- 𤜣[⿰犭也](이리 시, 뱀 사)
- 釶(짧은창 시)
- 吔(음역자 야)
- 祂(흙탕물 야)
- 貤/𥃸(거듭할 이)
- 𤖪[⿰片也](국 이)
- 酏(기장술 이)
- 杝(나무이름 이, 쪼갤 치)
- 弛/𧿇[⿰𧾷也](늦출 이)
- 衪(옷선 이)
- 䄬(옮길 이)[9]
- 訑(자랑할 이, 방탕할 탄)
- 肔(찢을 이/치)[10]
- 𤕮[⿰爿也](횃대 이)[11]
- 毑(어머니 자/저)
- 她(아가씨 저)
- 池(못 지)
- 𩚉[⿰𩙿也](엿 지)
- 𦧇(핥을 지)[12]
- 䪧(함지 지)
- 䊶(쇠고삐 진)[13]
- 馳(달릴 치)
- 䶔(드러날 치)
- 阤(비탈 치, 허물어질 타/시, 경사질 이)
- 𦏸(제비나는모양 치)
- 扡(끌 타)[14]
- 他(다를 타)
- 𩵔[⿰魚也](문절망둑 타)
- 牠(뿔없는소 타)
- 彵(편안하게걸을 타)
- 忚(속일 혜/나)
- 𡖐[⿰多也](다)
- 𬺼[⿰丁也]
- 𬼨[⿰名也]
- 𬼭[⿰亨也]
- 𬼩[⿰幷也]
- 𬼮[⿰⿱田廾也]
- 𬼰[⿰底也]
- 𬾍[⿰企也]
- 𭆰[⿰⿳⺕冖又也]
- 𭅤[⿰卑也]
- 𬽓[⿰亭也]
- 𭀍[⿰儞也]
- 𪨥[⿰山也]
- 𭕗[⿰尼也]
- 𭇠[⿰吉也]
- 𭕟[⿰尾也]
- 𭔳[⿰㝵也]
- 𭘬[⿰帝也]
- 𭔞[⿰寧也]
- 𭰿[⿰波也]
- 𭞱[⿰惹也]
- 𭢽[⿰摩也]
- 𮏡[⿰苾也]
- 𮟉[⿰達也]
- 𥐨[⿰石也]
- 𤱡[⿰⿱龴田也]
- 𭻠[⿰畢也]
- 𦍔[⿰羊也]
- 𫂴[⿰米也]
- 𮋭[⿰耳也]
- 𮌊[⿰肉也]
- 𨤤[⿰里也]
- 𮜮[⿰身也]
- 𮮶[⿰鼻也]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𤱲[⿱田地](귀신 귀)[15]
- 逇(거역할 돈, 구덩이 지)
- 哋(주문에쓰는말 지)
- 𫧜[⿱區地]
- 𢓧[⿰彳地]
- 𡜤[⿰女地]
- 𫭩[⿱地土]
- 𭔭[⿱地寸]
- 𭕚[⿸尸地]
- 𪵸[⿰氵地]
- 𭤵[⿱地方]
- 𱼆[⿰⺼地]
- 𥒦[⿰石地]
- 𱶶[⿱穴地]
- 𬵍[⿰魚地]
[文] 문독[白] 백독[文] [白] [5] 한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작은 단위. 쉽게 말해 획의 종류를 말한다.[6] 다만 해당 필획은 CJK 공통한자에서 합의 하에 분류한 36개의 필획 중 'HZG'(㇆)에 속해 있고 특별히 따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다. HZG 필획에는 완전 직각 필획, 세로 부분이 약간 기운 필획, 그리고 본문에서 언급했던 필획이 전부 포함된다.[7] 고인드립이다. 문서 참조[8] 蛇(긴뱀 사)의 속자[9] 移(옮길 이)의 속자[10] 胣(찢을 이/치)의 동자[11] 椸(횃대 이)의 동자[12] 舐(핥을 지)의 본자[13] 紖(쇠고삐 진)의 동자[14] 拖(끌 타)의 동자[15] 鬼(귀신 귀)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