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행정조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부 20청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px" | 기획재정부 | 교육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외교부 | ||||
}}}{{{#!wiki style="margin: -5px -1px" | 통일부 | 법무부 | 국방부 | 행정안전부 | ||||
}}}{{{#!wiki style="margin: -5px -1px" | 국가보훈부 | |||||||
}}}{{{#!wiki style="margin: -5px -1px" | 보건복지부 | 환경부 | 고용노동부 | 여성가족부 | ||||
}}}{{{#!wiki style="margin: -5px -1px -26px" | 국토교통부 | 해양수산부 | 중소벤처기업부 | |||||
}}} {{{#!wiki style="margin-top:-10px; font-size: 0.8em; letter-spacing: -0.4px" | 중앙행정기관 상급 기관장(국무위원) · 중앙행정기관 하급 기관장 | |||||||
}}}}}}}}}}}}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교육부 敎育部 | Ministry of Education | |
설립일 | 2013년 3월 23일 |
장관 | 이주호 |
차관 | 오석환 |
주소 | |
정부세종청사 14동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08 | |
하위 기관 | 소속 5개[1], 책임운영 1개[2], 산하 22개[3] |
정원 | 858명 (본부 640명+소속기관 212명+한시조직 6명) |
| | | | | |
교육개혁, 대한민국 재도약의 시작 |
교육부가 입주한 정부세종청사 14동 전경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교육, 학술, 인적자원 개발정책 행정을 총괄하는 부총리급 중앙행정기관이다.
2. 역사
교육부 상징의 변천사 | |||||
<rowcolor=#fff> 1990.12~1999.05 | 1999.05 ~ 2001.01 | 2001.01 ~ 2008.02 | |||
<rowcolor=#fff> 2008.02 ~ 2013.03 | 2013.03[4] | 2013.04 ~ 2016.03 | |||
<rowcolor=#fff> 2016.03 ~ 현재 |
||<tablewidth=38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fff,#1f2023> 문교부 (1948.) ||
↓ |
교육부 (1990.12.) |
↓ |
교육인적자원부 (2001.1.) |
↓ |
교육과학기술부 (2008.2.) |
↓ |
교육부 (2013.3.) |
교육부는 1948년〈정부조직법〉의 제정에 따라 설치된 문교부로 부터 그 역사가 시작된다. 문교부는 교육과 동시에 문화·예술 및 체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으나, 1961년 6월 〈정부조직법〉개정으로 문화 및 예술에 관한 사무는 공보부(지금의 문화체육관광부)로 이관되고, 1982년 3월 법 개정으로 체육부가 신설됨에 따라서 체육에 관한 사무가 체육부로 이관되었다. 문화 관련 업무가 떨어져나갔음에도 한동안 문교부라는 명칭이 유지되다가, 1990년 12월 27일〈정부조직법〉개정에 따라 1991학년도부터 명칭을 교육부로 개칭하고, 기능도 조정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문화 업무를 담당하던 시절에도 문교부의 영문 명칭은 'Ministry of Education'이었다.[5]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0년 12월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2001년 1월 29일 교육인적자원부로 바뀌었으며, 2008년 2월 29일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2008학년도부터 조직개편 당시 교육 업무를 담당하던 교육인적자원부에 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업무가 통합되어 교육과학기술부가 되었다.
2013년 3월 23일 박근혜 정부의 출범과 함께 실시된 정부조직개편으로 인해 과학기술 분야는 미래창조과학부에 이관하게 되어 12년 만에 교육부라는 본연의 명칭으로 환원되었고, 이듬해인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의 여파와 함께 후속 조처로 제출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따라 교육부 장관은 교육, 사회, 문화분야의 부총리를 겸하게 되면서 교육부총리는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1년 신설됐다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년에 폐지된 이후 6년만에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2014년 교육부 부총리직 부활 이후 현재는 정부조직법상 서열 2위인 부처이며, 교육부장관이 사회부총리를 겸하게 된다.
2013년 12월 23일 교육부청사를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했다.
교육자치가 본격화되었지만 관선 시절의 흔적처럼 각 시도교육청에 국가직 고위공무원들이 들어가 있어 교육부 내의 인사적체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에는 고공단 가급인 부교육감과 고공단 나급인 기획업무담당실장 자리가 있고, 경기도교육청에는 제1부교육감, 제2부교육감, 기획업무담당실장 3자리가 모두 고공단 나급이며, 나머지 15개 시도교육청에는 고공단 나급인 부교육감 자리들이 있다. 다 합치면 중앙부처 실장격인 고공단 가급 1자리에 중앙부처 국장격인 고공단 나급 19자리가 있는 셈이다. 광역자치단체가 1개 늘어나면 최소 국장급 1자리씩은 늘어난다고 보면 된다.
3. 특징
예산의 경우 2014년 54조, 2015년 55조, 2016년 55조 7천억, 2017년 60조 6천억.[6] 게다가 추경을 하면 일정 금액 이상의 예산을 무조건 교육부에 우선 배정하는 법률도 존재하기 때문에 상당히 권력이 강력한 부처이다. 또한 국가에 끼치는 영향력 또한 상위권이다.[7] 물론 기획재정부, 검찰, 감사원처럼 다른 부처에 직접적인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성질의 기관은 아니지만 국방부와 마찬가지로 휘하 조직이 무척 크며, 교육 정책은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교사, 대학, 교수, 사교육 등 대부분의 국민들이 영향을 받는다. 예산도 많고, 산하기관도 많고, 교육청도 광역단위마다 있어서 고위 공무원도 많다. 당장 전국에 교육을 제공받는 학생 수와 교육을 제공하는 교사 수[8]만 생각해 봐도 답이 나온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인재 개발을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매우 중요하게 여겼던 만큼, 교육열이 뜨거운 나라여서 교육의 위상이 상당히 높다. 이에 따라 교육을 주관하는 교육부의 수장인 교육부장관의 지위 역시 다른 나라에 비해 상당히 높다. 당장에 대한민국에서 장관 의전서열 1위인 기획재정부장관[9] 다음가는 위치에 있으며 사회부총리를 겸한다.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학교가 공립이건 사립이건 교육부 입김이 강력한 편이다. 수업일수부터해서 교과목 등 세부적인 것 하나하나 교육부가 관리감독을 한다. 때문에, 우리나라의 사립학교들은 설립만 사립일 뿐 모든 행정에 교육부가 깊게 관여해서 공립하고 다른 점이 거의 없다.[10] 미국의 사립학교의 경우 사립 마음대로 할 수 있다.[11] 때문에 최상위 대학들로 칭해지는 아이비 리그는 전부 사립인 것을 볼 수 있다. 이 방식의 단점은 엘리트주의와 사회적 위치의 대물림이 무한 반복이 가능해지는 구조이기도 하다.
4. 장관
자세한 내용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문서 참고하십시오.역대 교육부장관 중 초·중등 교원[12] 출신 장관은 단 한 명도 없었으며, 대학 총장/교수 출신 장관은 소수 있었다. 현재 교육부가 초·중등교육뿐만 아니라 고등교육(대학/대학원)도 담당하고 있는 점, 그리고 초·중등교육만 담당하는 교육청의 수장인 교육감의 경우조차도 교육 분야와 관련 없는 전공의 대학교수 출신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한국의 문화, 여기에 더해 2022년 7월 국가교육위원회 출범과 함께 초·중등 교육분야가 교육부 손을 떠나[13] 본격적으로 시도교육청으로 이양되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향후 초·중등 교원 출신 교육부 장관이 나올 가능성은 낮다. #
문재인 정부 초기에는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당시 교육부 장관을 역임한 시절이 있었고, 이후 2018년 10월 2일부터 2022년 5월 9일까지 재임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사상 최장기간 동안 대한민국 교육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 당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했던 이주호 장관이 2022년 윤석열 정부에서 교육부 장관 및 사회부총리로 재차 임명되었다.
5. 차관
자세한 내용은 교육부차관 문서 참고하십시오.6. 비판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교육부/비판 문서 참고하십시오.7. 조직
교사 출신이 전직 가능한 교육연구사, 교육연구관, 장학관으로 보임하는 직위와 보직이 실, 국, 관, 과 및 직속기관에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행정고시나 7급, 9급공채로 들어오는 타 중앙부처(단, 검사 또는 군인 출신이 고위직에 진출할 수 있는 법무부와 국방부는 제외) 구성원들의 입부 형태와 달리, 임용시험을 통과해 교사로 입직한 뒤 교육연구사로 전직하여 교육연구관, 장학관 승진을 통해 교육부 고위직으로 올라선 경우도 발생한다. 장차관 등 정무직을 제외하면 부내 최고위직인 실장(고위공무원단 가급)에도 장학관 티오가 존재하여[14] 교사 출신들이 최종적으로 이 자리에 진출한다.차관보가 설치된 부처 중 하나다.[15] 사실 교육인적자원부 시절인 2001년 차관보가 신설되어 2008년 2월 노무현 정부 임기 말까지 운영되었다가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폐지되었다. 그러다가 11년이 지난 2019년 5월 각 부처와의 협력 강화(교육ㆍ사회 및 문화 분야 정책 조정 등의 기능 강화)를 이유로 차관보 부활 떡밥이 돌더니 2019년 6월 직제가 신설되고, 2019년 7월 차관보를 임명했다.
-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정책보좌관
- 대변인[가급]: 기존에는 고공단 나급이었으나 2023년 8월부터 가급으로 상향
- 홍보담당관
- 디지털소통팀
- 차관
- 감사관[나급]
- 감사총괄담당관
- 반부패청렴담당관
- 사학감사담당관
- 입시비리조사팀
- 운영지원과
- 차관보[가급]
- 기획조정실[가급]
- 정책기획관[나급]
- 기획담당관
- 예산담당관
- 혁신행정담당관
- 규제개혁법무담당관
- 양성평등정책담당관
- 교육시설담당관
- 사교육·입시비리대응담당관
- 글로벌교육기획관[나급]
- 글로벌교육정책담당관
- 교육국제화담당관
- 재외교육지원담당관
- 비상안전담당관
- 사회정책협력관[나급]
- 사회정책총괄담당관
- 사회정책분석담당관
- 디지털교육기획관[나급]
- 디지털교육전환담당관
- 디지털인프라담당관
- 교육데이터담당관
- 교육데이터기반성과분석팀
- 인재정책실[가급]
- 인재정책기획관[나급]
- 인재양성정책과
- 인재양성지원과
- 학술연구정책과
- 인재선발제도과
- 대학규제혁신추진단
- 지역인재정책관[나급]
- 지역인재정책과
- 지역혁신대학지원과
- 산학협력취창업지원과
- 대학혁신경영지원과
- 평생직업교육정책관[나급]
- 평생직업교육기획과
- 평생학습지원과
- 중등직업교육정책과
- 고등직업교육정책과
- 청년장학지원과
- 사학분쟁조정위원회지원팀
- 의대교육지원관[나급]
- 의대교육기반과
- 책임교육정책실[가급]
- 책임교육정책관[나급]
- 학교교수학습혁신과
- 2022개정교육과정지원팀
- 교실혁신지원과[31]
- 교육컨텐츠정책과
- 동북아교육대책팀
- 기초학력진로교육과
- 교육자치안전정책관[나급]
- 교육자치협력과
- 지방교육재정과
- 교육안전정책과
- 교원학부모지원관[나급]
- 교원정책과
- 교원양성연수과
- 학부모정책과
- 교육복지늘봄지원국[나급]
- 학생맞춤통합지원과
- 늘봄학교정책과
- 특수교육정책과
- 이주배경학생지원팀
- 영유아정책국[나급]: 유보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6월 27일 신설되었다. 보건복지부에서 영유아 보육업무를 맡았던 보육정책관 조직이 교육부 영유아정책국으로 이관되었다.
- 영유아정책총괄과
- 영유아재정과
- 영유아안전정보과
- 영유아지원관[나급]
- 영유아기준정책과
- 영유아교원지원과
- 교육보육과정지원과
- 학생건강정책국[나급]
- 학생건강정책과
- 인성체육예술교육과
- 사회정서성장지원과
- 학교폭력대책과
7.1. 주요 간부 명단
<colbgcolor=#003764><colcolor=#fff> 교육부 주요 간부 명단 | |
부총리 | |
이주호 | |
차관 | 오석환 (행시 36회) |
차관보 | 김영곤 (행시 36회) |
대변인 | 구연희 (행시 37회) |
기획조정실장 | 박성민 (행시 34회) |
인재정책실장 | 최은희 (행시 38회) |
책임교육정책실장 | 고영종 (행시 40회) |
소속기관장 | |
국사편찬위원장 | 허동현 (외부 임용) |
교원소청심사위원장 | 김연석 (장학관) |
8. 소속기관
- 국사편찬위원회 - 경기 과천에 있다.[38] 위원장은 차관급 정무직[39](1987년 차관급 격상)이고, 편사부를 두어 고공단 나급의 편사연구관이 편사부장을 맡는다. 1946년 광복 직후 사료 소실의 방지를 위해 미군정청과의 교섭을 통해 「국사관 설치 규정」에 근거하여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가 가지고 있던 자료를 인수받아 경복궁 뒤뜰 집경당에 국사관을 설치하면서 시작되었고, 1949년 문교부 국사편찬위원회로 개편되었다. 2006년부터 시행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 교원소청심사위원회 - 정부세종청사 내에 있다.[40] 위원장은 고공단 가급 임기제공무원이고, 상임위원은 고공단 나급 임기제 공무원이다. 1991년 5월 「교원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되어 1991년 7월 교원징계재심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94년 2월부터 교육공무원고충심사위원회 기능까지 관장하게 되었다. 2005년 기관 명칭이 교원소청심사위원회로 바뀌었다.
- 중앙교육연수원 - 대구 동구[41]에 있고, 원장은 고공단 나급 일반직 또는 장학관이다. 1963년 7월 문교부 중앙시청각교육원으로 설립되어 1970년 2월 문교부 중앙교육행정연구원, 1974년 3월 문교부 중앙교육연구원, 1981년 6월 문교부 중앙교육연수원, 1985년 8월 문교부 중앙교육평가원, 1990년 12월 27일 교육부 중앙교육평가원을 거쳐 1996년 7월 교육부 교육행정연수원이 되었다. 1999년 1월 IMF 외환위기 여파로 정부조직 축소 기조로 행정자치부로 이관되어 행정자치부 국가전문행정연수원 교육행정연수부[42]가 되었다가 2005년 1월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연수원으로 부활되었고, 2008년 2월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연수원을 거쳐 2013년 3월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이 되었다.
- 국립특수교육원 - 아산 배방읍[43]에 있고, 원장은 고공단 나급 상당의 장학관이다.[44] 1994년 7월 교육부 소속 국립특수교육원이 설립되었다.
- 국립국제교육원 - 성남 분당구[45]에 있는 책임운영기관(2001년 지정)으로 원장은 고공단 나급 임기제 공무원이다. 1962년 3월 서울대학교에서 재일동포 모국수학생 지도를 시작한 것을 계기로 1970년 6월 서울대학교 재외국민교육연구소가 설립되었고, 1977년 3월 서울대학교 재외국민교육원을 거쳐 교육부로 이관되어 1992년 3월 교육부 국제교육진흥원이 되었으며, 2008년 7월 국립국제교육원으로 바뀌었다.
- 특수학교
- 서울농학교 - 서울 종로구에 있는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다.[46] 1913년 4월 제생원 맹아부로 설치되어 1945년 10월 6년제 초등교육을 담당하는 국립맹아학교로 바뀌었고, 1952년 6월 서울맹아학교가 되었다. 1959년 1월 시각장애담당 서울맹학교가 분리되어 나가고, 청각장애담당 서울농아학교로 개편되었고, 1988년 3월 서울선회학교을 거쳐 2002년 3월 서울농학교로 명칭 변경되었다. 1947년 9월 중학 과정이 설치되었고, 1964년 고등부를 신설하여 일반고등학교 성격을 띄게 되었고, 현재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사범과 과정이 통합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 국립청각장애교육지원센터 - 서울 종로구에 있다. 2016년 3월 청각장애교육지원센턱 시범운영되다가 2019년 3월 국립청각장애교육지원센터로 공식 운영되기 시작했다.
- 서울맹학교 - 서울 종로구에 있는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다.[47] 1913년 4월 제생원 맹아부로 설치되어 1945년 10월 6년제 초등교육을 담당하는 국립맹아학교로 바뀌었고, 1952년 6월 서울맹아학교가 되었다. 1959년 1월 서울농아학교와 서울맹학교로 분리되었다.
- 국립시각장애교육지원센터 - 서울 종로구에 있다. 2016년 3월 시각장애교육지원센터가 시범운영하다가 2019년 3월 국립시각장애교육지원센터로 공식 운영되기 시작했다.
- 한국경진학교 - 고양 일산동구에 있는 정서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다. 1997년 유치부(3), 특수유치부(3), 초등부(12), 중학부(6), 고등부(6) 등 총 30학급으로 개교했다. 2021년 현재 유치원과정, 초등학교과정, 중학교과정, 고등학교과정, 전공과를 두고 있다. 꿈드림이라는 명칭으로 학교기업도 운영하고 있다.
- 한국선진학교 - 안산 상록구에 있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다. 1990년 3월 한국선진학교가 개교했다. 2021년 현재 유치원과정, 초등학교과정, 중학교과정, 고등학교과정, 전공과를 두고 있다.
- 선진자연학습원 - 화성 남양읍에 있다. 2003년 2월 선진자연학습원이 개원했다. 야생화단지, 체험학습관, 수목원 및 숲 체험장, 농작물 경작지 등을 갖추고 있다.
- 한국우진학교 - 서울 마포구에 있는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다. 2000년 교육부 설립 인가로 한국우진학교가 개교했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과정이 통합된 형태다.
- 우진스포츠센터 - 서울 마포구에 있다. 장애인 인식 개선과 사회체육 발전을 위해 지역주민 및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수영장, 휘트니스장을 갖추고 있다.[48]
- 대한민국 학술원 - 서울 서초구에 있다.[49] 학술 발전에 현저한 공적이 있는 과학자를 우대ㆍ지원하고 학술 연구와 그 지원사업을 함으로써 학술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8.1. 국립대학
교육부가 관할하는 국립대학이 40여 개나 되는 관계로 과거에는 전국의 국립대로 인사이동이 가능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이후로 대학의 자율성을 높인다는 이유로 사무국장의 임용 권한을 각 대학교 총장으로 넘겼다. #민간에도 개방하기도 하지만 인사이동이 가능한 중앙부처 국장급인 국립대 사무국장 자리가 10개가 넘어간다는 이야기다.[50][51]국립대학의 설립 근거인 〈국립학교 설치령〉에 의하면 한 국립대학은 한 광역자치단체 내부에 소재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도시의 광역화와 대학 간 통폐합 및 정책적인 제2캠퍼스 부설 등을 감안하여 일부 대학들에 한해 예외조항을 두고 있다. 아래의 대학들은 교육부 소속기관인 국립대학만 소개되어 있다.
타 부처 소속기관이나 산하 대학 등에 대한 내용은 국립대학 문서 참고하십시오.
- 종합대학[52] - 보통 총장들은 장관대우, 차관대우라 칭해지는 특1호봉, 특2호봉으로 구분된다. 특3호봉은 한국복지대학교 정도가 있다. 보통 학내에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회라든지 신문사, 방송사 등을 두고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다만, 총장 선거 등에서는 교수 등 교직원 위주라 학생들의 영향력이 미비하다. 총장 임명은 교육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이 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 규모에 따라 부총장을 두는 곳도 있는데, 한 명이 아니라 여러 명을 두는 대학도 있다.[53] 기본적으로 도서관, 박물관 등은 가지고 있다. 대부분 OO대학교발전기금이라는 이름으로 재단법인을 만들고, XX대학교산학협력단[54]이라는 식으로 법인 조직을 거느리고 있다.
- 강릉원주대학교(강릉시, 원주시) - 1946년 강릉사범학교로 출발하여 1968년 강릉교육대학, 1978년 강릉초급대학, 1979년 강릉대학이 되었다. 1991년 종합대학인 강릉대학교로 승격했고 2007년 원주대학과 통합하여 2009년 강릉원주대학교가 되었다. 원주대학과 합병으로 원주대학 부설유치원(원주 흥업면)을 흡수하였는데,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등의 단과대학 부설이 아닌 대학교가 직접 부설기관으로 두고 있다. 강릉캠퍼스에 제163학생군사교육단이 설치되어 있다.
- 강원대학교(춘천시, 삼척시) - 1947년 강원도립 춘천농업대학를 시작으로 1951년 춘천농과대학, 1970년 강원대학을 거쳐 1978년 강원대학교가 되었다. 강원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를 가지고 있다. 육군학생군사학교 127학군단이 주둔한다.
- 경북대학교(대구광역시, 상주시) - 사범대학 부설로 부설고등학교, 부설중학교, 부설초등학교가 있다. 대구캠퍼스에 육군학생군사학교 109학군단이 주둔한다.
- 경상국립대학교(진주시, 창원시, 통영시) - 사범대학 부설로 부설고등학교, 부설중학교를 두고 있다. 가좌캠퍼스에 육군학생군사학교 126학군단이 주둔한다. 2021년 3월 경상대학교와 경남과학기술대학교[55]와 통합하여 경상국립대학교로 개편되었다.
- 공주대학교(공주시, 천안시, 예산군) - 1948년 충청남도립 공주사범대학으로 출발하여 1950년 국립대학인 공주사범대학이 되었고, 1954년 4년제 사범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90년 공주사범대학에서 공주대학으로 명칭이 바뀌고, 199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했다. 1992년 예산농업대학을 공주대학교 산업대학으로 흡수하고, 2001년 공주문화대학을 공주대학교 영상보건대학으로 흡수했다. 총장 아래 2명의 부총장을 두고 있다. 사범대학은 부설로 부설고등학교, 부설중학교, 부설유치원을 가지고 있다. 공주신관캠퍼스에 육군학생군사학교 135학군단이 주둔한다.
- 군산대학교(군산시) - 육군학생군사학교 155학군단이 주둔한다.
- 금오공과대학교(구미시) - 1979년 대통령 신분이던 박정희 지시로 1980년 금오공업전문대학으로 개교했다. 1990년 국립대학으로 전환되었다.[56] 1993년 금오공과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육군학생군사학교 152학군단이 주둔한다.
- 목포대학교(무안군, 목포시, 영암군) - 육군학생군사학교 160학군단이 주둔한다.
- 목포해양대학교(목포시) - 1950년 설립된 목포수산상선고등학교를 모체로 1952년 도립 목포상선고등학교로 문교부 장관이 인가하였고, 1956년 목포해양고등학교를 거쳐 1979년 목포해양전문대학으로 개편 후 1993년 4년제 목포해양대학로 확대되고 1994년 목포해양대학교가 되었다. 해군교육사령부 1군사교육단 2002학군단이 주둔한다.
- 부경대학교(부산광역시) - 1996년 부산수산대학교[57]와 부산공업대학교[58]가 통합된 케이스이다. 육군학생군사학교 157학군단과 해군교육사령부 1군사교육단 1003학군단이 주둔하는 등 한국에서 유일하게 육군과 해군 학군단을 동시 보유하고 있다.
- 부산대학교(부산광역시, 양산시, 밀양시) - 사범대학 부설로 부설고등학교를 가지고 있다. 부산캠퍼스에 육군학생군사학교 110학군단이 주둔한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특별시) - 1910년 설립된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를 기초로 1931년 경성공립직업학교, 1944년 경기공립공업학교, 1953년 경기공업고등학교, 1963년 경기공업고등전문학교, 1974년 경기공업전문학교 등을 거쳐 1982년 경기공업개방대학이 개교하면서 경기공업전문학교는 폐교하고 경기공업개방대학으로 통합된다. 이후 1988년 서울산업대학[59]으로 교명이 바뀌었다가 1993년 서울산업대학교가 되었으며 2010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60]가 되었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대학설립심사위원회에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일반대 전환 심사가 통과하여 2012년부터 국립 일반대로 전환되었다. 육군학생군사학교 201학군단이 주둔한다.
- 순천대학교(순천시) - 육군학생군사학교 159학군단이 주둔한다.
- 안동대학교(안동시) - 양궁부를 두고 있다.[61] 육군학생군사학교 161학군단이 주둔한다.
- 인천대학교(인천광역시)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와 미추홀구에 캠퍼스를 둔 인천광역시 유일의 국립대학법인 종합대학이다.
- 전남대학교(광주광역시, 여수시) - 사범대학 부설로 부설고등학교, 부설중학교를 가지고 있다. 광주캠퍼스에는 육군학생군사학교 105학군단, 여수캠퍼스에는 1051분단이 주둔한다.
- 전북대학교(전주시, 익산시, 고창군) - 사범대학 부설로 부설고등학교를 가지고 있다. 육군학생군사학교 106학군단이 주둔한다.
- 제주대학교(제주시) - 교육대학 부설로 부설초등학교가 있고, 사범대학 부설로 부설고등학교, 부설중학교가 있다. 해군교육사령부 1군사교육단 1002학군단이 주둔한다.
- 창원대학교(창원시) - 육군학생군사학교 165학군단이 주둔한다.
- 충남대학교(대전광역시) - 1952년 도립 충남대학교로 출발하여 1962년 충북대학을 통합하여 국립 충청대학교로 개편하였다가 1963년 원래대로 분리하여 국립 충남대학교로 재개편하였다. 대전/충남/세종을 대표하는 국립 부설학교들을 공주대가 가지고 있어서 지거국 중에선 유일하게 부설학교가 없다. 육군학생군사학교 116학군단이 주둔한다.
- 충북대학교(청주시) - 1951년 2년제 도립 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출발하여 1956년 도립 충북대학이 되었다가 1962년 충남대학교와 통합하여 국립 충청대학교가 되기도 했다. 1년 뒤인 1963년 국립 충북대학으로 독립하여 1977년 충북대학교로 승격했다. 총장 아래 교학부총장과 대외협력연구부총장을 두고 있다. 사범대학 부설로 부설고등학교, 부설중학교를 가지고 있다. 육군학생군사학교 123학군단이 주둔한다.
- 한경대학교(안성시) - 대학 명칭 때문에 국립인 줄 모르는 사람이 많아서인지 국립한경대학교임을 강조한다. 2023년 3월 한국복지대학과 통합되어 한경국립대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한밭대학교(대전광역시) - 육군학생군사학교 210학군단이 주둔한다.
- 한국교원대학교(청주시)) - 1978년[62] 즈음부터 교원양성대학 또는 국립사범대학 설립 요구가 지속되어 1982년 문교부가 교원양성종합대학교 기본계획안을 확정하여 1984년 설립되었다.[63] 현재도 잊을 만하면 각 지방에 흩어져있는 교육대학을 교원대학교와 통합하는 방안이 거론되기도 한다. 총장과 부총장이 있으며 단과대학은 특이하게 1대학, 2대학, 3대학, 4대학이라는 이름을 쓴다. 종합교육연수원이라는 부설기관을 두어 일선교사들이 연수를 오기도 한다.
- 한국교통대학교(충주시, 증평군, 의왕시) - 2012년 충주대학교와 한국철도대학이 통합되어 개칭되었다. 공군기본군사훈련단 공군군사훈련전대 3학군단이 주둔한다.[64]
- 한국해양대학교(부산광역시) - 1919년 설립된 진해고등해원양성소를 모체로 1945년 진해고등상선학교가 개교하고, 1946년 진해해양대학으로 바뀌었다가 1947년 인천으로 이전하여 기존의 인천해양대학과 통합 후 국립해양대학으로 개편된다.[65] 1947년 군산으로 이전하고, 1954년 다시 부산 거제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55년 UNKRA[66] 자금으로 부산 영도구에 자리잡게 된다. 1991년 한국해양대학교로 바뀌었다. 1978년 재단법인 한국해양대학학술진흥회를 설립한 바 있다. 해군교육사령부 1군사교육단 1001학군단이 주둔한다. 2012년 한국 최초로 단과대학 형태의 계약학과인 해양군사대학[67]을 신설했으며 해양군사대학장은 예비역 해군제독이 맡는다. 또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약정 체결을 통해 2013년부터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68]을 운영하고 있다.
- 교육대학 - 보통 도청소재지이거나 도청소재지였던 곳에 자리잡고 있다. 교육대학 총장은 예외없이 특2호봉 대우를 받는다.[69] 규모로 볼 때는 종합대학의 정원이 많은 단과대학 규모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경기권과 경남권의 경우 교육대학이 2개이기 때문에 교육대학을 1개밖에 보유하지 못한 타 권역에 비해 특혜를 얻고 있다.
- 경인교육대학교 - 1946년 개성사범학교로 시작하였으나 6·25로 인해 개성 수복이 불가해지자 1952년 국립기관인 인천사범학교가 설립된다. 1962년 인천교육대학이 되었다가 1982년 4년제 승격을 거쳐 1993년 인천교육대학교가 되었다.[70] 경기도청과의 합작으로 2003년 경인교육대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2005년 안양에 경기캠퍼스를 만들어 학교 조직이 확대되었다. 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복수캠퍼스 체제를 갖춘 곳은 전국에서 경인교육대학교가 유일하다.
- 공주교육대학교 - 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 광주교육대학교 - 1923년 전라남도 공립사범학교로 출발하여 1938년 광주사범학교, 1955년 광주사범대학이 되었다. 1961년 초등학교 교원양성기관이 되었고, 1963년 광주교육대학으로 바뀌었으며 1981년 4년제로 개편되었다. 1993년 광주교육대학교가 되었다. 광주부설초등학교와 목포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육군학생군사학교 79학군단이 주둔한다.
- 대구교육대학교 - 대구부설초등학교와 안동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교육대학교 - 1946년 공립 부산사범학교로 출발하여 1950년 국립화되었고, 1961년 부산사범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62년 부산대학교 아래 단과대학 부산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가 1963년 부산교육대학이 독립했으며 1981년 4년제로 승격되고 1993년 부산교육대학교로 바뀌었다. 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경남권역에 교육대학이 2개나 있기도 하고, 부산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부산이나 진주 한 쪽으로 일원화하는 게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71]
- 서울교육대학교 - 1946년 구 경기고등학교 구내 경기공립사범학교로 개교하였다. 1962년 서울대학교부속 교육대학(2년제)이 되었으나, 1963년에 현재와 같은 대학 형태로 분리되었다. 1977년 성동구 행당동(현 행당중학교 자리)에서 강남구 서초동으로 캠퍼스를 이전했다. 1981년 3월 4년제 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85년 부설국민학교를 개교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에 소재한다.
- 전주교육대학교 - 1923년 전라북도 공립사범학교로 출발하여 1962년 2년제 전주교육대학을 거쳐 1983년 4년제로 개편 후 1994년 전주교육대학교가 되었다. 전주부설초등학교와 군산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 진주교육대학교 - 1923년 경상남도공립사범학교로 출발하여 1940년 관립진주사범학교를 거쳐 1963년 진주교육대학이 되었다. 1993년 진주교육대학교로 개편되었다. 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 청주교육대학교 - 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 춘천교육대학교 - 1939년 춘천사범학교로 출발하여 1962년 2년제 춘천교육대학을 거쳐 1983년 4년제 춘천교육대학이 되었으며 1993년 춘천교육대학교로 바뀌었다. 부설초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전국단위로 지역대학이 있다. 1972년 3월 서울대학교 부설 2년제 초급과정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이 개교했다. 1981년 초급과정에서 5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되었고, 1982년 2월 서울대학교에서 분리되었다. 1991년 5년제 학사과정에서 4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되었고, 1993년 3월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바뀌었으며 학장도 총장으로 격상되었다. 2012년 총장이 특2호에서 특1호로 격상되었다. OUN 방송대학TV라는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
- 서울지역대학(본부) - 종로구에 있다.
- 남부학습센터 - 양천구에 있다.
- 북부학습센터 - 성동구(임시)에 있다.
- 서부학습센터 - 고양 덕양구에 있다.[72]
- 동두천시학습관 - 동두천 지행동에 있다.
- 남양주시학습관 - 남양주 다산동에 있다.
- 인천지역대학 - 남동구에 있다.
- 부천시학습관 - 부천 송내동에 있다.
- 경기지역대학 - 수원 권선구에 있다.
- 성남시학습관 - 성남 분당구에 있다.
- 안산시학습관 - 안산 단원구에 있다.
- 안양시학습관 - 안양 만안구에 있다.
- 강원지역대학 - 춘천 효자동에 있다.
- 속초시학습관 - 속초 교동에 있다.
- 강릉시학습관 - 강릉 송정동에 있다.
- 원주시학습관 - 원주 반곡동에 있다.
- 동해시학습관 - 동해 송정동에 있다.
- 태백시학습별관 - 태백 황지동에 있다.
- 충북지역대학 - 청주 서원구에 있다.
- 제천시학습관 - 제천 신월동에 있다.
- 충주시학습관 - 충주 달천동에 있다.
- 대전·충남지역대학 - 대전 유성구에 있다.
- 천안시학습관 - 천안 서북구에 있다.
- 공주시학습관 - 공주 중학동에 있다.
- 홍성군학습관 - 홍성 홍성읍에 있다.
- 서산시학습관 - 서산 동문동에 있다.
- 전북지역대학 - 전주 완산구에 있다.
- 남원시학습관 - 남원 도통동에 있다.
- 정읍시학습관 - 정읍 시기동에 있다.
- 익산시학습관 - 익산 영등동에 있다.
- 군산시학습관 - 군산 경장동에 있다.
- 광주·전남지역대학 - 광주 광산구에 있다.
- 순천시학습관 - 순천 서면에 있다.
- 여수시학습관 - 여수 학동에 있다.
- 해남군학습관 - 해남 해남읍에 있다.
- 목포시학습관 - 목포 옥암동에 있다.
- 대구·경북지역대학 - 대구 달서구에 있다.
- 포항시학습관 - 포항 남구에 있다.
- 경주시학습관 - 경주 성동동에 있다.
- 구미시학습관 - 구미 남통동에 있다.
- 상주시학습관 - 상주 서문동에 있다.
- 안동시학습관 - 안동 수상동에 있다.
- 부산지역대학 - 부산 북구에 있다.
- 울산지역대학 - 울산 중구에 있다. 2002년 8월 경남지역대학 울산학습관이 울산지역대학으로 승격했다.
- 경남지역대학 - 진주 주약동에 있다.
- 창원시학습관 - 창원 마산합포구에 있다. 2010년 8월 마산시학습관을 창원시학습관으로 명칭 변경했다.
- 진해별관 - 창원 진해구에 있다. 2010년 8월 창원시 진해구학습관을 진해별관으로 축소했다.
- 거제시학습관 - 거제 고현동에 있다.
- 제주지역대학 - 제주 노형동에 있다.
- 전문대학
8.2. 한국교육원
전 세계 각지에 한국교육원을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현지 관할 대한민국 외교공관 소속이나, 교육부에서 파견하고 운영한다. 예를 들어, 런던에 개설되어 있는 영국 한국교육원은 교육부 및 주영 대한민국 대사관 소속이다.9. 소속 위원회
'법률로' 설치된 교육부 소속 위원회로는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 과학·수학·정보 교육융합위원회 -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
- 교육과정정상화심의위원회 -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 법학교육위원회 -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 사학분쟁조정위원회 - 사립학교법
- 중앙영재교육진흥위원회 - 영재교육 진흥법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
- 중앙유아교육위원회 - 유아교육법
-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심의회 -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 이 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이기도 하다.
- 인성교육진흥위원회 - 인성교육진흥법
- 자격정책심의회 - 자격기본법
- 중앙특수교육운영위원회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위원회 -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 평생교육진흥위원회 - 평생교육법
- 학교도서관진흥위원회 - 학교도서관진흥법
- 학교안전사고예방위원회 -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 학교체육진흥중앙위원회 - 학교체육 진흥법이다. 이 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이기도 하다.
- 학자금 지원 제도 심의위원회 - 한국장학재단 설립 등에 관한 법률
10. 산하 기관
산하 공공기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대학교병원 | 강원대학교병원 | 충북대학교병원 | 충남대학교병원 | |
전북대학교병원 | 전남대학교병원 | 경북대학교병원 | 부산대학교병원 | ||
경상국립대학교병원 | 제주대학교병원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병원 | ||
경북대학교치과병원 | 부산대학교치과병원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사립학교교직원 연금공단 | ||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한국보육진흥원 | 한국사학진흥재단 | ||
한국장학재단 | 동북아역사재단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 |
2019년 2/4분기 기준 인력규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교병원의 인력규모가 어마어마하여 공공의료인프라 제공 외에도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획재정부와는 별도로 산하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우선 국립대학교병원을 보면, 서울대학교병원[73]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61명 포함)은 6,841명, 비정규직은 173명이고, 부산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232명 포함)은 6,420명, 비정규직은 231명이다.
전남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약 302명 포함)은 약 4,502명, 비정규직은 약 187명이고, 경북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140명 포함)은 4,501명, 비정규직은 102명이며, 충남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약 731명 포함)은 약 4,233명, 비정규직은 약 135명이다.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0명 포함)은 3,347명, 비정규직은 약 595명이고, 전북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427명 포함)은 2,677명, 비정규직은 약 80명이며, 충북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0명 포함)은 2,155명, 비정규직은 63명이다.
제주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173명 포함)은 1,726명, 비정규직은 약 40명이고, 강원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38명 포함)은 1,533명, 비정규직은 135명이다.
국립대학교치과병원을 보면,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0명 포함)은 581명, 비정규직은 97명이고,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36명 포함)은 262명, 비정규직은 19명이며,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0명 포함)은 199명, 비정규직은 8명이다. 또한, 경북대학교치과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0명 포함)은 189명, 비정규직은 약 9명이다.
그 외에도 한국장학재단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134명 포함)은 463명, 비정규직은 1명이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112명 포함)은 325명, 비정규직은 44명이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58명 포함)은 271명, 비정규직은 16명이다.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11명 포함)은 235명, 비정규직은 7명이고, 한국고전번역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44명 포함)은 139명, 비정규직은 19명이며,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86명 포함)은 177명, 비정규직은 11명이다.
동북아역사재단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30명 포함)은 117명, 비정규직은 2명이고, 한국사학진흥재단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21명 포함)은 115명, 비정규직은 6명이다.
- 국립대학병원들 - 모두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립대학교병원이라는 특성상 보건복지부 이관 떡밥[74]이 한번씩 돈다. 당연히 교육부는 국립대학교병원 이관에 반대하고 있고, 대학병원들은 시어머니가 하나 더 생기는 격이라며 반대한다. 그냥은 반대하기 뭐하기 때문에 대학병원 교수들이 임상 외에 교육‧연구도 하고 있다는 명분을 내세운다. 권역에 따라 분원을 두고 있는 국립대학병원들도 있다.[75] 또한, 어린이병원, 암병원 등의 명칭이나 권역외상센터 버프로 조직을 확장하기도 한다.
- 서울대학교병원[76] - 서울 종로구에 있다. 1885년 제중원이 출범했고, 1899년 광제원이 개설되었는데 1907년 광제원과 관립의학교 및 부속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하여 대한의원이 건립된다. 1910년 조선총독부의원이 되고 1928년 경성의학전문학교 의학부 부속의원이 되었다. 일제 패망 후인 194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출범으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및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고, 1978년 두 병원이 통합하여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이 되었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서울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2차관, 교육부 차관, 보건복지부 차관,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장, 서울대학교치과병원장 등이 있다. 1987년부터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77]을 수탁·운영하고 있고, 2015년 UAE 왕립병원까지 위탁·운영하고 있다. 2004년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이 독립법인으로 떨어져나갔다. 다른 국립대학교병원들과 달리 대통령이 병원장 임명권을 행사한다.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성남 분당구에 있다. 소재 시군의 이름을 따는 다른 분원들과 달리 행정구인 분당을 따온 명칭을 가지고 있다. 2003년 개원했다.
- 강원대학교병원 - 춘천에 있다. 1910년 관립자혜의원이 개설되고, 1946년 도립춘천병원이 되었다가 1973년 강원도립의료원을 거쳐 1982년 법인 형태의 지방공사 강원도춘천의료원이 되었다. 1994년 강원대에 의예과 신설이 승인되고, 1997년 의과대학이 설치되었으며 2000년 춘천의료원이 피인수되어 법인 형태의 강원대학교병원이 출범했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강원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강원대학교병원장,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강원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등이 있다.
- 충북대학교병원 - 청주 서원구에 있다. 1984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이 인가, 신설되었고 병원 건물은 1987년 11월 20일에 착공, 1991년 7월 20일에 개원했으며, 당연직 이사진으로 충북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충북대학교병원장,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등이 있다.
- 충남대학교병원 - 대전 중구에 있다. 1968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이 신설되고 1971년 충남도립의료원을 이관받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바꾸어 1972년 개원하였으며 1988년 충남대학교병원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충남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충남대학교병원장,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대전광역시청 행정부시장 등이 있다.
- 전북대학교병원 - 전주 덕진구에 있다. 1909년 전주 관제자혜의원이 출범하고 1910년 전라북도 관제의원, 1925년 전라북도립 전주의원을 거쳐 1951년 전라북도립 전주병원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 전라북도립 의료원이 되었다가 1975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거쳐 1988년 전북대학교병원이 되었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전북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전북대학교병원장,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장,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전라북도 행정부지사 등이 있다. 분원으로 군산전북대학교병원 설립을 추진 중이다.
- 전남대학교병원 - 광주 동구에 있다. 1910년 전남광주자혜의원이 개원하고 1925년 전남도립 광주의원으로 바뀌었다가 1945년 광주의학전문학교 부속병원이 되었다. 다시 1946년 광주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바뀌고 1952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거쳐 1988년 전남대학교병원이 되었으며 1993년 법인화되었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전남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전남대학교병원장,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장,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광주광역시청 행정부시장 등이 있다. 광주시립제2요양병원, 화순노인전문병원을 위탁·운영하고 있다.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화순에 있다. 2004년 개원하였다.
- 경북대학교병원 - 대구 중구에 있다. 1910년 관립자혜의원이 개설되고 1912년 경상북도립 대구의원이 되었다가 1945년 대구의학전문학교가 대구의과대학으로 개편되면서 대구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 1952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가 1988년 경북대학교병원으로 개칭되었으며 1993년 법인형태로 떨어져나왔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경북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 경북대학교병원장,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장, 경북대학교치과병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대구광역시청 행정부시장 등이 있다. 2008년 분원격인 경북대학교치과병원이 개원했다. 울진군청 산하 울진군의료원도 수탁·운영하고 있다.
- 부산대학교병원 - 부산 서구에 있다. 1956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설립되고, 1988년 부산대학교병원으로 개칭되었다. 1994년 법인으로 전환되었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부산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부산대학교병원장,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장, 부산대학교치과병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부산광역시청 행정부시장 등이 있다. 2010년에는 부산대학교한방병원도 개원했다.[80] 2011년 부산대학교치과병원이 독립법인으로 떨어져나갔다.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양산 물금읍에 있다. 2000년 부산대학교 2캠퍼스부지로 양산신도시가 선정된 후, 2003년 부산대학교병원 분원 설립 정부 지원이 확정되었고, 2008년 개원하였다.
- 경상국립대학교병원 - 진주에 있다. 1982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인가 후 1987년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하여 1995년 특수법인 경상대학교병원이 되었고 2021년 3월 경상국립대학교병원으로 개칭하였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경상국립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 경상국립대학교병원장,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등이 있다.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창원 성산구에서 2016년 개원한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의 분원이다.
- 제주대학교병원 - 제주 아라1동에 있다. 1995년 제주대학교 의예과 신설 후 1998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이 만들어지고 1999년 제주의료원 인수계획을 정부가 승인하여 2001년 법인 형태의 제주대학교병원이 개원하였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제주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제주대학교병원장,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등이 있다.
- 국립대학치과병원들 -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을 제외하면 국립대학병원을 모 병원으로 하여 부설 형태로 설치되었다가 독립해나온 형태로 치과병원들이 생겨나고 있다. 전남대학교병원과 전북대학교병원도 부설 형태로 전남대학교치과병원과 전북대학교치과병원을 두고 있어 향후 독립법인으로 분화될 여지가 있다.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서울 종로구에 있다. 1922년 설립된 경성치과의학교가 1924년 경성치과의학교 부속의원을 설립하고 1946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 1978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과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합쳐져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이 출범하였으나 2004년 독립법인으로 떨어져 나왔다. 당연직 이사장은 서울대학교 총장이고, 당연직 이사로 기획재정부 제2차관, 교육부차관, 보건복지부 제2차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장,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장, 서울대학교병원장 등이 참여한다. 서울대학교병원과 마찬가지로 (교육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성동구)을 위탁·운영하고 있다.
-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서울 관악구에 있다. 2015년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이 국립대학치과병원 중 처음으로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이라는 분원을 만들었다.
-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 강릉에 있다. 이사진으로 강릉원주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당연직 비상임이사장을 비롯하여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장,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 강원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등이 있다.
- 경북대학교치과병원 - 대구 중구에 있다. 2016년 독립법인이 되었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경북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당연직 비상임이사장을 비롯하여 경북대학교치과병원장,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장, 경북대학교병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대구광역시청 행정부시장 등이 있다.
- 부산대학교치과병원 - 양산 물금읍에 있다. 2009년 개원하였다. 당연직 이사진으로 부산대학교 총장이 겸임하는 비상임 이사장을 비롯해 부산대학교치과병원장,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장, 부산대학교병원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등이 있다.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서울 중구에 있는 기타공공기관. 한국교육개발원의 평생교육센터, 학점은행센터 및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독학학위검정원의 업무를 모아 2008년 설립된 평생교육진흥원은 2014년 국가평생교육진흥원으로 바뀌었다. 시·도별로 있는 평생교육진흥원들[81]도 지원하고 있다.
-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 나주 빛가람동에 있는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1974년 사립학교교원연금관리공단으로 설립되어 2010년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으로 바뀌었다.[82] 서울센터(영등포구), 대전센터(서구), 부산센터(부산진구) 등 3개 센터를 두고 있다.
- (주) TPS - 대전 서구에 있다. 2017년부터 시작된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정책에 힘입어 2019년 3월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자회사로 출범했다.
- 한국고전번역원 - 서울 은평구 진관동[83]에 있는 기타공공기관. 1970년 정부 후원으로 학·예술계 원로들이 모여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를 설립하고 이를 모태로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이 탄생하였다. 부설기관으로 고전번역교육원으로 두고 있으며 교육원은 전주분원, 밀양분원, 대전분원을 두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학번역원과의 업무 영역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대구 동구에 있는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1999년 한국교육방송원[84]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1997년 신설)와 한국학술진흥재단[85] 부설 첨단학술정보센터(1996년 신설)를 통합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탄생했다.
- (재) 한국보육진흥원 - 서울 용산구에 있는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86]. 2009년 설립되어 2012년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원래 보건복지부 산하기관이었으나, 2024년 6월 27일부터 영유아 보육업무가 교육부로 이관되어 교육부 산하로 변경되었다.
- 한국사학진흥재단 - 대구 동구[87]에 있는 기타공공기관. 1989년 사학진흥재단으로 출발하여 1995년 한국사학진흥재단이 되었다.
- 한국장학재단 - 대구 동구에 있는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2009년 설립되었고 2010년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서울현장지원센터(종로구), 경기현장지원센터(수원 영통구), 강원현장지원센터(춘천 효자동), 대전현장지원센터(유성구), 광주현장지원센터(북구), 대구현장지원센터(북구), 부산현장지원센터(연제구) 등 7개 현장지원센터를 두고 있다.
- (재) 동북아역사재단 -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기타공공기관. 고구려사 등을 비롯한 중국의 역사왜곡에 학술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4년 설립된 고구려연구재단이 확대되어 2006년 동북아역사재단이 되었다.
- (재) 한국학중앙연구원 - 성남 분당구에 있는 기타공공기관. 1978년 재단법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출발하여 2005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되었다. 원장, 부원장 아래 기획처, 사무국, 장서각 등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11. 유관 단체
☆로 표시한 단체는 공직유관단체다.- 법정단체
- 국립대학법인
- ☆서울대학교 - 2011년 거점국립대학교 중 최초로 법인화된 국립대학이다.[88] 법인형태가 됨에 따라 이사회를 구성하게 되었는데, 당연직 이사로 서울대학교 총장, 부총장[89] 중 2인, 기획재정부 차관 중 1인, 교육부 차관 등이 있다. 서울캠퍼스에 육군학생군사학교 101학군단이 주둔한다. 사범대학 부설로 고등학교, 중학교, 여자중학교, 초등학교까지 두고 있으며 위에서 언급된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외에도 법학전문대학원장이 이사장을 겸임하는 서울대학교법학발전재단도 있다.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대학교발전기금
- ☆인천대학교 - 2013년 서울대 사례와 유사하게 법인화 국립대가 되었다.[90] 당연직 이사로 인천대학교 총장, 부총장 중 1인[91], 교육부 장관 추천자, 기획재정부 장관 추천자, 인천광역시장 추천자, 인천대학교총동문회장 추천자 등이 있다.
- 인천대학교산학협력단
- 인천대학교발전기금
- ☆한국교육시설안전원 - 서울 영등포구에 있다. 1948년 8월 사단법인 학교재해복구공제회로 출범하였다가 2004년 11월 사단법인 교육시설재난공제회를 거쳐 2020년 12월 특수법인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 바뀌었다. 설립 초기에는 공립학교만 가입대상이었다가 1974년 전국 7대도시에 한해 사립학교 가입을 허용했고 1990년 1월 전국 사립학교 가입을 받게 되었으며 1997년 8월 국립학교도 대상이 되었다. 교육시설재난공제회 시절 초창기 당연직 회장을 문교부 차관이 겸임하다가 1996년 12월 한국사학진흥재단 이사장, 1999년 7월 교육인적자원부 차관을 거쳐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에서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 겸임으로 바뀌었다.[92] 그러다가 2010년 8월 당연직 회장제를 상근 회장제로 변경하여 관치(官治) 성격을 조금이나마 덜게 되었다. 2020년 12월 안전원으로 개편 후 이사장 아래 경영관리본부, 사업관리본부 등을 두고 있다. 권역지원처 아래 지역조직으로 서울강원지부(영등포구), 경기인천지부(영등포구), 대전충청지부(대전 서구), 호남제주지부(광주 서구), 대구경북지부(대구 동구), 부산경남지부(부산 동구) 등을 두고 있다. 교육부 교육안전정보국장과 17개 시·도교육청 교육연구시설공제업무담당 국장을 명예회원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립·경영하는 학교의 장을 국립회원으로, 시·도교육청 교육감 및 교육지원청 교육장을 공립회원으로, 사립학교법인 이사장 또는 사립대학의 장, 학력인정시설의 장을 사립회원으로 한다.
- ☆(재) 한국교육환경보호원(KEEPA) - 청주 흥덕구에 있다. 2016년 2월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2018년 2월 한국교육환경보호원이 출범했다.
-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 서울 구로구[93]에 있다. 1997년 11월 대한민국정부가 제29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아시아·태평양교육원 설립을 제안하고, 2000년 대한민국정부와 유네스코 간의 아시아·태평양교육원 설립 협정 체결 후 설립되었다. 이사진 중 대한민국 정부 대표는 교육부 국제협력관, 외교부 문화외교국장,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정책관이 참여하고, 유네스코 본부 대표로 유네스코 포괄·평화·지속가능발전국장이 참여하며 그 외에도 유네스코 회원국 대표, 국제이해교육 분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 학교안전공제중앙회 - 서울 용산구에 있다. 2007년 학교안전공제중앙회와 시·도학교안전공제회가 설립되었다.
- ☆한국교직원공제회 - 서울 영등포구에 있다. 1971년 3월 대한교원공제회로 출범하여 1971년 7월 한국중등학교교직원공제회를, 1971년 9월 대한교육연합회공제조합를 각각 통합하였으며 2004년 한국교직원공제회로 바뀌었다. 서울지부(종로구), 인천지부(남동구), 경기북부지부(의정부 의정부동), 경기남부지부(수원 팔달구), 강원지부(춘천 온의동), 충북지부(청주 상당구), 대전지부(대전 서구), 세종지부(대전 서구), 충남지부(대전 서구), 전북지부(전주 완산구), 광주지부(서구), 전남지부(광주 서구), 대구지부(수성구), 경북지부(수성구), 부산지부(동구), 울산지부(남구), 경남지부(창원 성산구), 제주지부(제주 이도1동) 등 18개 지부를 두고 있다. 1973년 기교재개발공사를, 1974년 과학교구공사를 각각 설립하였다가 1976년 양 공사를 통합하였고, 1997년 과학교구공사를 폐업하였다. 2011년 산하 사업체 브랜드를 The-K로 통합했다.[94]
- (주) The-K저축은행 - 서울 강남구에 있다.
- (주) The-K손해보험 - 서울 종로구에 있다.
- (주) The-K예다함상조 - 서울 마포구에 있다.
- (주) The-K교직원나라 - 서울 영등포구에 있다. 2000년 주식회사 교직원나라로 출범하여 2012년 주식회사 The-K교직원나라로 바뀌었다.
- (주) The-K서드에이지 - 창녕 고암면에 있다. 2006년 3월 주식회사 서드에이지로 출범하여 2011년 8월 주식회사 The-K서드에이지로 바뀌었다.
- (주) The-K소피아그린 - 여주 점동면에 있다.
- (주) The-K호텔앤리조트 - 서울 서초구에 있다. 1990년 4월 주식회사 대교개발로 출범하여 2012년 주식회사 The-K대교개발을 거쳐 The-K호텔앤리조트가 되었다.
- (주) The-K제주호텔 - 제주 삼도2동에 있다.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한국대학평가원 - 서울 금천구에 있다. 2009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병설 독립기관인 한국대학평가원이 설립되었다. 평가기획팀, 한국고등교육정보센터 등을 두고 있다.
-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 서울 중구에 있다. 2009년 9월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부설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이 설립되었다. 원장 아래 인증기획팀, 인증운영팀 등을 두고 있고,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독립된 전문대학평가인증위원회 및 재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 회장은 현직 교육감 중 1명이 맡는다.
- (사) 한국교육삼락회
- 학교체육진흥회 -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2017년 대선 당시 문재인 캠프 측 공약으로 설립이 추진되었다. 설립 근거법률인 학교체육 진흥법부터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공동소관법률이고, 17개 시·도교육청, (통합)대한체육회 등 여러 기관의 협의과정을 거쳐 공동으로 설립했다.[95] 2018년 10월 학교체육진흥회 창립총회가 열렸으며 초대 이사장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조희연 교육감이 겸임하게 된다.
- (사) 한국학교보건협회 - 서울 영등포구에 있다. 1955년 문교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학교보건협회가 출범했다. 1975년 국제학교보건협회에 가입했다. 서울북부지부(도봉구), 서울남부지부(강남구), 인천지부(남동구), 경기남부지부(수원 권선구), 경기북부·강원지부(춘천 효자동), 충북지부(청주 서원구), 대전충남지부(대전 중구), 전북지부(전주 완산구), 광주전남지부(광주 남구), 대구경북지부(대구 동구), 부산지부(사하구), 울산경남지부(양산 다방동) 등 12개 지부를 두고 있다.
- (사) 국비유학한림원(KAGS)[96] - 성남 분당구 국립국제교육원 내에 있다. 2010년 8월 국비유학한림원 창립총회 후 2010년 11월 사단법인 국비유학한림원이 출범했다.
- (사) 한국공학교육인증원 - 서울 강남구에 있는 공학교육인증 관련 단체로 산업통상자원부와도 연관이 있다. 1999년 설립되어 2000년 6월 교육부 허가로 사단법인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출범했다. 이사회에는 교육부 차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이 당연직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 (사)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서울 광진구에 있다. 1998년 교육부 허가로 사단법인 한국교육환경연구원으로 출범하여 2014년 사단법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으로 개칭되었다. 환경부 및 국토교통부 지정 녹색건축인증기관이고, 국토교통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기관이다.
- (사)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 - 성남 분당구에 있다. 2001년 2월 한국한자한문능력검정연구원으로 설립되어 2001년 11월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으로 바뀌었으며 2002년 교육인적자원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이 출범했다. 한자능력자격 1급, 2급, 준2급, 3급 등 민간자격증시험을 관리한다. 분사무소를 서울 동대문구에 두고 있다.
- (사)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 - 서울 은평구에 있다. 1996년 사단법인 한국한자교육연구회로 출범하여 2001년 사단법인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로 개편되었다. 연구회 이사장 아래 대한검정회를 두고 있고, 연구협력기관으로 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한국서당교육협의회, 청학동예절연수원, 한국한문교사중앙연수원 등을 두고 있다. 그 외에도 강남본부, 강북본부, 인천본부, 경기동본부, 경기남본부, 대전본부, 광주본부, 전남본부, 대구본부, 부산본부, 서부산본부, 울산본부, 경남남본부, 제주본부 등 14개 지역본부를 두고 있다. 민간자격인 · 한자·한문전문지도사[97]와 한자급수자격검정(사범급, 1급, 준1급, 2급, 준2급)을 관리한다.
- (사) 한자교육진흥회 - 서울 중구에 있다. 1990년 교육인적자원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자교육진흥회가 설립되었다. 민간자격증인 한자·한문지도사(특,1,2,3급)와 한자실력급수(사범,1급,2급,3급) 시험을 관리한다.
- (사) 한국어문회 - 서울 서초구 한국어문회관 내에 있다. 1969년 임의단체인 한국어문교육연구회로 출발하여 1990년 사단법인 한국어문회가 출범했다. 민간자격인 한자능력급수시험을 관장한다.
- (사) 한국국어능력평가협회 - 서울 금천구에 있다.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 허가로 사단법인 한국국어능력평가협회가 출범했다. 민간자격인 한국실용글쓰기검정(1,2,3급) 시험을 관리한다.
- (사) 한국평생교육평가원 - 서울 영등포구에 있다. 2002년 교육인적자원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평생교육평가원이 출범했다. 민간자격인 한국영어검정(TESL)(1,2,2A급) 및 한국한자검정(1,2,3,준3급) 시험을 주관한다.
- (사) 한국창의인성교육연구원 - 서울 서초구에 있다. 민간자격인 E-TEST Professionals(1,2,3,4급) 및 실용수학(1급,2급,3급) 시험을 주관한다.
- (사) 한국창의인성교육원 - 부산 동구에 있다. 2014년 교육부 허가로 사단법인 한국창의인성교육원이 출범했다. 창의인성교육지도사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 (사)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 서울 중구에 있는 법학전문대학원 관련 단체. 기관 성격상 법무부, 대법원과도 관련이 깊다. 2008년 설립되었으며 법학전문대학원 유치에 성공한 대학들이 가입해 있다. 이사장은 각 회원대학 법학전문대학원장 중 1명이 맡는데, 검찰총장후보자추천위원회 당연직 위원으로도 참여한다.[98] 또한, 법관인사위원회 위원 1인의 추천권도 갖고 있다.
- (사) 한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 대전 유성구에 있다. 1996년 9월 전국 10개 국·공립대학 사회(평생)교육원장들이 모여 임의단체인 전국국(공)립대사회(평생)교육원협의회를 창립하였고, 2000년 6월 전국국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2000년 12월 전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를 거쳐 2002년 2월 사단법인 한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로 재출범했다.
- (사) 한국사학법인연합회 - 서울 마포구에 있다. 1949년 문교부 인가로 사단법인 문교재단연합회로 출범하여 1971년 사단법인 사학재단연합회, 1972년 사단법인 한국사학재단연합회를 거치다가 1986년 일부 조직이 사단법인 한국대학법인협의회로 분리되고, 1987년 다시 일부 조직이 사단법인 한국전문대학법인협의회로 분리되었으며 잔여 조직은 1989년 사단법인 한국사학법인연합회가 되었다. 1992년 일부 조직이 사단법인 한국사립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로 분리되었다.
- (사) 한국대학법인협의회 - 서울 마포구에 있다. 1988년 문교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대학법인협의회가 출범했다.
- (사) 한국전문대학법인협의회 - 서울 중구에 있다. 1988년 문교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전문대학법인협의회가 출범했다. 서울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인천·경기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강원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대전·충청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전북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광주·전남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대구·경북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부산·울산·경남·제주지역전문대학법인협의회 등 8개 지역협의회를 두고 있다.
- (사) 한국사립초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 - 서울 영등포구에 있다. 1990년 임의단체인 한국사립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를 모태로 1992년 교육인적자원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사립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가 출범했다. 이후 초등학교까지 포괄하는 사단법인 한국사립초중고등학교법인협의회로 바뀌었다.
- (사) 대학연구윤리협의회 - 주소는 회장이 속한 대학교 소재지로 계속 바뀌고 있으며 2015년 설립되었다.
- (사)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 서울 송파구 지역사회교육회관 내에 있다. 1969년 한국지역사회학교후원회가 창립되고, 1989년 한국지역사회교육후원회, 1991년 한국지역사회교육중앙협의회를 거쳐 1997년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가 되었다. 30개 지역협의회를 두고 있다. 1988년 재단법인 한국지역사회교육연구원을 설립했으나 2015년 지역사회교육회관 신축을 두고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 (사) 한국학점은행평생교육협의회 - 서울 서초구에 있다. 2006년 학점은행제 교육기관 발전을 위한 협의회 준비위원회가 발족하고, 2008년 9월 교육과학기술부 인가 사단법인 학점은행제기관장협의회로 출범하여 2009년 평생교육학점은행제기관협의회를 거쳐 2013년 한국학점은행평생교육협의회가 되었다.
- (사)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 서울 중구에 있다. 1989년 한국대학사회교육협회가 창립되고, 2000년 한국대학평생교육협회로 바뀌었다가 2001년 사단법인 한국대학부설평생교육원협의회가 출범했다. 2010년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으로 개칭했다.
- (사) 한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 대전 유성구에 있다. 1996년 전국 10개 국·공립대학 사회(평생)교육원장들이 모여 전국국(공)립대사회(평생)교육원협의회를 창립했다. 2000년 6월 전국국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2000년 12월 전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로 이름을 바꾸다가 2003년 법인 설립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국공립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이 되었다.
- (사) 한국원격대학협의회 - 서울 종로구에 있다. 2004년 사단법인 한국원격대학협의회가 출범했다.
- (사) 한국약학교육협의회 - 서울 서초구에 있다. 2010년 사단법인 한국약학교육협의회가 출범했다. 2011년 재단법인 한국약학교육평가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 (사) 한국중등교장협의회 - 서울 서초구에 있다. 1960년 설립되었다. 회원은 전국 중·고등학교장 및 교육전문직(장학관) 등이다. 17개 시·도교장협의회를 두고 있다.
- (사) 한국초등교장협의회 - 서울 송파구에 있다. 영문 약칭은 KESPA(Korea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ssociation)이다. 1956년 설립되었다. 회원은 한국의 국·공립, 사립초등학교장, 교장을 역임한 장학관 또는 연구관 등이다. 17개 시·도회와 245개 시·군·구회를 두고 있다.
- (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 서울 서초구에 있는 교과서 관련 단체. 1992년 재단법인 한국교과서연구소로 출범하여 1999년 한국교과서연구원을 거쳐 2000년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이 되었다.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재)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 서울 서초구에 있다. 1971년에 설립된 유서 깊은 장학재단으로 한국장학재단[99]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였다. 1982년 3개 장학법인(한서장학재단, 울산장학회, 서울장학재단)[100]을 흡수·통합하고, 이름을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으로 바꾸었다.
- (재)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 서울 종로구에 있다. 2002년 교육인적자원부 인가로 재단법인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이 출범했다. 이사장 아래 상임이사, 국장 등을 두고 있다. 이사회에는 이춘호 전 한국교육방송공사 이사장, 김신일 전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등이 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 (사) 소비자교육중앙회 - 서울 중구에 있다. 1971년 문교부 인가로 사단법인 소비자교육중앙회가 출범했다. 전국 16개 시·도지부와 그 아래 각 지회를 두고 있다.
- (사)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 서울 강남구에 있다. 2002년 산업자원부 허가로 사단법인한국e러닝산업협회가 출범하고, 2017년 사단법인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로 바뀌었다.
-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대전 서구 목원대학교 내에 있다.[101] 2001년 연세대학교 교육개발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엄을 계기로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발족을 결의하면서 시작되었다. 대학교육개발전문가협의회와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다.
- (사)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 - 서울 강남구에 있다.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허가로 사단법인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협의회로 출범하여 2015년 사단법인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가 되었다.
- (재) 산학협동재단 - 서울 서초구에 있다. 1974년 한국무역협회 등이 출연하여 재단법인 산학협동재단이 출범했다. 1980년 문교부 소관 법인이 되었다.
- (사) 교육행정사협회 - 성남 분당구에 있는 교육행정사 직역단체다. 2016년 경기도교육청 허가로 설립되었다.
-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 기관 특성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도 연관성이 있다.
- (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서울 서초구에 있다. 1989년 조선교육연합회를 모체로 1947년 대한교육연합회가 되었고, 1989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로 바뀌었다. 부설기관으로 한국교육정책연구소를 두고 있으며, 한국교육신문을 설립하기도 했다. 시·도별 교원단체총연합회가 있는 전국조직이다.
- (사) 한국유치원총연합회 - 서울 용산구에 있다. 전국에 16개 지회를 두고 있으며 약칭은 한유총이다. 1995년 사립유치원총연합회로 출범하여 1996년 한국사립유치원연합회를 흡수하면서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2019년에 일으킨 2019년 한국유치원총연합회 소속 유치원 개학 연기 사건 때문에 2019년 4월 서울특별시교육청이 법인 설립 허가를 취소했으나 한유총이 소송을 걸어 대법원까지 승소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 (사) 전국사립유치원연합회 - 서울 강서구에 있다. 2011년 7월 창립총회를 열었고, 이후 사단법인 전국사립유치원총연합회가 출범했다. 회장, 부회장 아래 사무처를 두고 있다. 2018년 기준 전국 사립유치원 4200여 곳 중 1200여 곳이 속해 있다.
- (사) 한국사립유치원협의회 - 2019년 2월 서울특별시교육청 허가로 사단법인 한국사립유치원협의회가 출범했다.
- (사)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 서울 서초구에 있다. 1997년 한국학술단체연합회가 창립되고, 2000년 사단법인이 되면서 법인 이사회 체제로 개편되었다. 2007년 사단법인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주로 교수 출신들이 회장을 맡는데 2대 회장인 김신복 회장은 교육인적자원부 차관 및 서울대 부총장 경력을 가지고 있고, 4대 이태진 회장은 국사편찬위원장(차관급)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사) 한국학원총연합회 - 서울 용산구에 있다. 1957년 사단법인 전국사설학원총연합회가 출범하고, 1975년 사단법인 서울특별시학원연합회, 사단법인 서울특별시독서실연합회를 통합하여 사단법인 한국학원총연합회가 되었다. 17개 시·도지회를 두고 있다.
-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 - 2016년 3월 기간제교사들이 모여 설립한 임의단체다. 서울지부, 인천지부, 경기지부, 강원지부, 충청지부, 대전세종지부, 전라지부, 경상지부, 부산지부, 제주지부 등 10개 지부를 두고 있다.
- (사) 문우회 - 서울 종로구에 있다. 1987년 사단법인 문우회가 출범했다. 회장과 부회장, 기획본부를 두고, 중앙문우회(서울), 서울특별시문우회, 인천광역시문우회, 경기도문우회(수원), 강원도문우회(춘천), 충청북도문우회(청주),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문우회(대전), 전라북도문우회(전주), 광주광역시·전라남도문우회(광주), 대구광역시문우회, 경상북도문우회(대구), 부산광역시문우회, 울산광역시문우회, 경상남도문우회(창원), 제주특별자치도문우회(제주) 등 15개 시도문우회를 두고 있다.
- (사) 세계도덕재무장 한국본부 - 서울 강서구 국제청소년센터 내에 있다. 1965년 서울의 MRA세계대회, 1966년 MRA아시아대회 이후, 1969년 문교부 장학지침으로 MRA(Moral Re Armament)운동이 전국 각지의 중·고교 특별활동으로 보급되었고, 1982년 6월 4일 문교부 소관 사단법인 세계도덕재무장 한국본부로 출범했다. 총재, 상임이사, 지도교사협의회 등을 두고, 지방조직으로 서울본부, 인천본부, 경기본부, 강원본부, 충북본부, 세종본부, 대전본부, 충남본부, 전북본부, 광주본부, 전남본부, 대구본부, 경북본부, 부산본부, 울산본부, 경남본부, 제주본부 등 17개 지방본부를 두고 있다. 2005년부터 동북아(한·중·일)청소년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2012년 여성가족부 비영리민간단체로 등록되었다.
- (사) 수과학교육놀이협동조합 - 서울 영등포구에 있다. 2013년 7월 사단법인 수과학교육놀이협동조합이 출범했다.
- 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102]에 근거하여 국립대학교는 비영리 특수법인이 산학협력단을 설립할 수 있다.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강릉 지변동에 있다. 2004년 2월 특수법인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으로 출범했고, 2009년 3월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으로 바뀌었다. 단장은 임기 2년으로 대학교 총장이 임명한다. 협력단 운영위원회에는 협력단장이 위원장을 맡고, 당연직으로 강릉원주대학교 교무처장, 학생처장, 기획협력처장, 사무국장, 산학협력단장, 분단장, LINC+사업단장, 산학협력종합지원본부장, 교무과장, 재무과장이 참여한다.
- 원주분단
- 공주대학교산학협력단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순천대학교산학협력단
- 안동대학교산학협력단
- 창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부경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경대학교산학협력단
- 한밭대학교산학협력단
- 금오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교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목포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충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부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경인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춘천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청주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공주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주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광주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대구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부산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진주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복지대학교산학협력단
- 국립대학교발전기금(재단)
- 강릉원주대학교발전기금재단 - 재단 이사장은 강릉원주대학교 총장이 겸임한다.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376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764>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청사 | |||
<colbgcolor=#e4032e> 1동 | 국무조정실 | 국무총리비서실 | 국제개발협력본부 | 대통령 세종집무실 | |||
2동 | 공정거래위원회 | |||
3동 | 정부청사관리본부 | |||
4동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조세심판원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 농림축산식품부 | 해양수산부 | |||
5동 | 농림축산식품부 | 해양수산부 | 국토교통부 | |||
6동 | 환경부 | 국토교통부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해양수산부 | |||
7동 | 법제처 | 소청심사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
8동 | 우정사업본부 | |||
9동 | 국가보훈부 | |||
10동 | 보건복지부 | |||
11동 | 고용노동부 | 중앙노동위원회 | 최저임금위원회 | 고용보험심사위원회 | 무역위원회 | |||
12·13동 | 산업통상자원부 | 교육부 | 경제자유구역기획단 | 전기위원회 | 중앙토지수용위원회 | |||
14동 | 교육부 | 문화체육관광부 | |||
15동 | 문화체육관광부 | |||
S동 |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기동단 제1기동대, 제2기동대 | |||
I동 | 정부세종청사 종합안내실 | |||
제2청사 | ||||
16동 | 국세청 | |||
17동 | 인사혁신처 | 소방청 | 한국정책방송원 | |||
제3청사 | ||||
중앙동 | 기획재정부 | 복권위원회 | 행정안전부 | 정부청사관리본부 | |||
고용노동부 별관 | ||||
고용노동부 별관 | 산업안전보건본부 |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 |||
민간건물 임차 | ||||
청암빌딩 | 환경부 | 교원소청심사위원회 | 청년정책추진단 | |||
KT&G B빌딩 | 행정안전부 | 보건복지부 |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 |||
NH 세종통합센터빌딩 | 환경부 | |||
뱅크빌딩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 가덕도신공항 건립추진단 | e-Nav 중앙운영센터 | 부동산거래분석기획반 | |||
세종비즈니스센터 | 중앙해양안전심판원 | 보훈심사위원회 |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 |||
세종파이낸스센터 3차 | 중소벤처기업부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 |||
엠브릿지빌딩 | 정부합동부패예방추진단 | 국가물관리위원회지원단 | 국가물관리위원회 | 포항지진 진상규명 및 피해구제 지원단 | |||
단국빌딩 | 미세먼지개선기획단 |
[1] 국사편찬위원회, 국립특수교육원, 중앙연수교육원,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대한민국 학술원[2] 국립국제교육원[3]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구 1개(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구 2개(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장학재단), 기타공공기관 19개(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4] 교육부로의 개편 직후 임시로 사용한 상징이자 1999년 이전에 사용했던 상징이기도 하다.[5] 영어 위키백과 등 외국 웹에는 문교부를 직역한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이라고 써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제1공화국 당시 사용하던 영문 명칭에 Culture는 들어가지 않았음을 문헌이나 사진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참고1참고2[6] 본청 예산만 60조 6천억이 아니라 시도교육청으로 전입되는 교부금(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라고 한다.), 국립대 사대부설학교 등 국립 초중등학교에 투입되는 예산, 그리고 국립대학에 지원하는 예산 등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7] 이는 미국하고는 매우 다른 사정이다. 미국의 경우 사립 학교의 경우 교육부가 관여하는 정도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덜 하다.[8] 2017년 기준 유치원·초·중·고·특수학교 등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원만 모두 합해도 49만 명에 달하는데 이는 공무원 조직 내에서도 매우 거대한 규모이다. 나름 인텔리 직업군 중 하나인데 인원마저 많으므로 표심부터 무시 못 한다.[9] 경제부총리를 겸한다.[10] 선생님들만 안 바뀌는 장점이 있다.[11] 수업일수를 줄이던 늘리던, 어느 과목을 가르치던 사립 마음대로다. 결국 자본주의 시장법칙이 여기에도 적용되므로, 좋은 학교면 자연스레 좋은 선생님과 학생들이 몰리는 구조로 무한경쟁을 추구한다고 볼 수도 있다.[12] 현행법상 교원은 교수, 교사, 교감, 교장을 말하며 초·중등 교원은 고등 교원인 교수를 제외한 나머지를 지칭한다.[13] 교육부는 대신 교육복지, 교육격차, 학생안전·건강, 예산·법률 등 국가적 책무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집중하며, 고등교육, 평생직업교육과 인재양성 등 사회부총리 부처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14] 책임교육정책실 등이 이에 해당한다.[15] 정부조직법상 차관보를 설치할 수 있는 부처는 기획재정부, 교육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9개 부처지만 실제로는 기획재정부, 교육부,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5개 부에만 차관보가 설치되어 있다. 특이하게 다른 부처들은 그냥 차관보라는 보직인데,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통상차관보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가급] [나급] [가급] [가급] [나급] [나급] [나급] [나급] [가급] [나급] [나급] [나급] [나급] [가급] [나급] [31] 교육부 및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에 규정되지 않은 보조기관이다.[나급] [나급] [나급] [나급] [나급] [나급] [38] 서울 종로구(경복궁 뒤뜰 집경당)에서 출발한 국사편찬위원회는 법무부 도서관, 대신초등학교 건물(이후 서울시교육원 청사로 바뀜), 1972년 9월 서울특별시학교건강관리소 건물(당시 종로구) 등을 전전하다가 1987년 1월 정부과천청사에 입주했다.[39] 1949년부터 1965년까지는 문교부 장관이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했다.[40]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서 2010년 3월 서울 중구 순화동을 거쳐 2013년 12월 세종으로 이전했다.[41] 1999년 1월 이전에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있었고, 1999년 행정자치부 국가전문행정연수원 교육행정연수부 시기에는 수원 장안구 파장동에 있었으며 2005년 3월 교육부처 소속기관인 교육인적자원연수원으로 재탄생하면서 서울 서초구 방배동(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교육동)에 입주해 있다가 2015년 10월 대구로 이전했다.[42] 1999년 1월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연수원, 교육부 교육행정연수원, 농림부 농업공무원교육원, 건설교통부 건설교통공무원교육원, 특허청 국제특허연수원, 통계청 통계연수원 등 6개 중앙부처 소속 교육·연수기관이 통폐합되어 행정자치부 국가전문행정연수원 자치행정연수부, 교육행정연수부, 농업연수부, 건설교통연수부, 국제특허연수부 및 통계연수부가 되었다.[43] 종전에는 안산 단원구 봉오동에 있었으나 2010년 11월 아산으로 이전했다.[44] 2003년에는 원장 임용 예정 직급 2~3급 상당 장학관 또는 계약직으로 임용기간은 2년이며 근무실적 양호 시 총 5년의 범위 내에서 연장이 가능하다는 내용으로 공개모집을 하기도 했다.[45] 서울 종로구에서 2015년 11월 성남 분당구로 이전했다.[46] 1913년 제생원 맹아부 당시에는 서울 서대문구 천연동에 있다가 1931년 4월 종로구 신교동 쪽으로 옮겼고, 1950년 12월 한국전쟁으로 부산 및 제주로 이전하여 부산배화학교, 제주영지학교라는 이름으로 이어나갔으며 1952년 다시 서울로 이전했다. 부산에서도 교육은 이어져 1953년 9월 서울맹학교 부산분교가 개교하고 1955년 9월 부산맹아학교가 되었고, 1975년 3월 부산맹학교와 부산농학교로 분리되었다. 부산농학교는 1992년 9월 부산배화학교가 되었고, 현재 부산광역시교육청 관할 공립 부산배화학교로 운영되고 있다.[47] 1913년 제생원 맹아부 당시에는 서울 서대문구 천연동에 있다가 1931년 4월 종로구 신교동 쪽으로 옮겼고, 1950년 12월 한국전쟁으로 부산 및 제주로 이전하여 부산배화학교, 제주영지학교라는 이름으로 이어나갔으며 1952년 다시 서울로 이전했다. 1951년 설치된 제주북초등학교 맹아분교는 1969년 9월 일도초등학교 맹아분교, 1971년 4월 제주맹아학교를 거쳐 1987년 3월 제주영지학교로 변경되었고, 현재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관할하는 공립 제주영지학교로 운영되고 있다.[48] 지역주민들이 장애인 대상 특수학교 설립에 반대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이런 시설들을 입막음복지 차원에서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49] 국립중앙도서관 옆에 청사가 위치해 있다. 대한민국 예술원과 청사를 같이 쓰고 있다. 現 청사는 1987년 10월 경복궁에서 신축 이전한 것이다.[50] 국립대 사무국장 자리는 39개인데, 5자리 정도는 외부 개방으로 돌리고 남은 자리 중 일부 변동이 있으나 14자리는 중앙부처 국장급(고공단 나급), 12자리는 비고공단 3급, 대학규모가 작은 교육대 등은 4~5급이 사무국장 보직을 나눠먹는다고 한다. 다만, 통칭해서 사무국장이라 했으나 총장이 차관급(특2호)으로 규모가 작은 10개 교육대학들은 사무국장이 아닌 총무과장이라는 보직을 두고 있었으나 점차 사무국장으로 바뀌었다. 과거 총무처가 있던 시절의 흔적으로도 보인다.[51] 고위공무원단 제도가 도입되기 전인 1999년 교육인적자원부의 인사 자료를 보면 한국교원대 사무국장, 강릉대 사무국장은 이사관(2급) 자리이고, 군산대 사무국장, 경북대 사무국장, 한국해양대 사무국장은 부이사관(3급) 자리였다.[52] 교육부 외에 다른 부나 청이 소관청인 국립대학들도 있다. 상세는 국립학교 문서로. 후술하듯이 서울대학교, 인천대학교는 아예 별도 법인으로 전환되어 있다.[53] 국립대학 통합된 곳들 중에 흡수된 곳에 부총장직을 만들어두는 경우가 있다.[54]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산촉법)’이 시행되면서, 산학협력단이라는 조직이 학교법인과 분리된 단독 법인으로 세워지게 되었다. 산학협력단장의 인사권은 책임자인 총장(학장)이고, 대학의 장이 임명하는 산학협력단장이 이사를 겸하는 구조다.[55] 진주 칠암동에 있었다. 1910년 공립진주실업학교를 모체로 1911년 진주공립농업학교, 1946년 3월 진주공립농림학교, 1946년 8월 진주농림중학교, 1948년 초급 진주농과대학, 1951년 진주농림고등학교(이 과정에서 진주남중학교가 분리 개교), 1953년 국립기관인 진주농과대학이 된다. 1965년 진주농림고등전문학교, 1973년 진주농림전문학교, 1979년 진주농림전문대학 등의 시기를 거쳐 1993년 4년제인 진주산업대학교가 되었다. 2011년 경남과학기술대학교로 바뀌면서 산업대학이라는 카테고리에서 벗어났다. 육군학생군사학교 219학군단이 주둔한다.[56] 가만히 있는데 국립대 전환시켜준 건 아니고 1988년 금오공대 학생들 300명이 경부고속도로 상하행선을 불법점거하고 국립화를 요구해서 국립화되었다.[57] 1941년 4년제 전문학교인 부산고등수산학교로 시작하여 1946년 국립기관인 부산수산대학교로 승격되었고, 1990년 종합대학교가 되었다. 한편, 부산대학 수산과대학이 1947년 분리되어나갔는데 이것이 부산수산대학교와 이어져있기 때문에 부산대학교와 한 뿌리라고도 볼 수 있다.[58] 1924년 2년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출발하여 1963년 5년제 부산공업전문학교가 되었고, 1973년 국립기관인 부산공업전문학교가 되었다. 1983년 4년제 개방대학인 부산개방대학이 되었고, 1988년 부산공업대학으로 바뀐다. 1993년 부산공업대학교로 바뀌었다.[59] 서울시립대학교가 1974년부터 1981년 이전까지 서울산업대학이라는 이름을 썼기 때문에 서울산업대라고 칭하면 연배가 있는 세대에서는 두 대학을 착각하기도 한다.[60] 당시 이명박 정부의 교육부처 이름이 과학업무까지 관장하는 교육과학기술부였던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대학교가 아닌 산업대학교였다면 현재의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우호적인 시선을 보낼 만한 이름이지만 이명박 정부에서는 산업자원부를 지식경제부라는 특이한 명칭으로 바꾸었고, 지식경제대학교라는 네이밍은 일반인들에게 생소하게 느껴질 여지가 컸다.[61] 주로 체육과 학생들이 양궁부에서 활동한다.[62] 1978년 한국교육개발원이 제시한 안에서는 각 교육대학과 사범대학들을 통합해서 설치하는 방안이 나왔었다.[63]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정의당에서는 긴축예산을 편성하고 신규사업을 억제해야 한다며 설립을 반대했으나 강행되었다.[64] 1학군단은 한국항공대학교에, 2학군단은 한서대학교에 있다.[65] 이 과정에서 소관 부처가 교통부에서 국방부로 이관된다. 1949년 다시 국방부에서 교통부로 원상회복된다. 1955년에는 상공부로 이관된다. 1956년 문교부로 이관된다.[66]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소위 유엔 한국재건단으로 1950년 유엔총회에서 대한민국의 재건을 돕기 위한 원조자금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5년에 주한 미군 경제조정관실로 업무를 이관하면서 폐지되었다.[67] 해군정보장교 등의 재교육도 실시한다.[68]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및 해양관리기술학과가 있다. 뭔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해양특화버전 같다.[69] 과거에는 교육대학장 줄여서 학장으로 불렸다.[70] 총장실과 대학본부는 인천 쪽에 두고 있다.[71] 시도별로 교육청 관할은 달라도 공주교육대 졸업자가 대전과 충남을 커버하고, 광주교육대 졸업자가 광주와 전남을 커버하며, 대구교육대 졸업자가 대구와 경북을 커버하는 걸 보면 큰 문제는 없어보인다.[72] 종전에는 은평구 대조동에 있었으나 2016년 고양으로 이전했다.[73] 서울대학교병원 분원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규직 정원(무기직 정원 0명 포함)은 3,640명, 비정규직은 119명이다.[74] 2006년 보건복지부 이관 입법 시도가 있었다. 당시 입법이 성공했다면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립대병원장 임명권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75] 경남권의 경우, 부산대학교병원과 경상국립대학교병원이 각각 분원을 만들었기 때문에 다른 권역들보다 상당한 특혜를 보고 있다. 경기권의 경우 서울대학교병원이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 전남권의 경우, 전남대학교병원이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을, 경북권의 경우, 경북대학교병원이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을 설립하는 등 모 병원이 1개이기 때문에 1개씩 추가되었고, 강원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등처럼 심지어 아직 분원을 설립하지 못한 곳들도 있는 반면, 경남권의 경우 치과대학병원을 따로 쳐도 이미 4개의 국립병원이 설립된 셈이기 때문이다.[76] 서울대학교치과병원과 마찬가지로 특수법인이다. 인터넷등기소에는 '의료법인'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이는 전산입력상의 착오로 보인다.[77] 당시 명칭은 시립 영등포병원이었다.[78] 충남대학교와 충남대학교병원이 홍성과 당진 등에 간보기를 하다가 분원은 결국 세종에 지어서 충청남도 쪽 여론이 좋지 않았다.[79] 대구 인근의 칠곡군을 떠올리기 쉽지만 대구 내에 있는 분원으로 유일하게 본원과 같은 도시 내에 있는 분원이다.[80] 2008년 설치된 한의학전문대학원 버프로 보이지만, 한방병원 유치 확정이 2005년이었다. 그 다음해인 2006년 국립대학들 간에 유치전이 있었는데 노무현 정권에서 부산대의 손을 들어주었다. 일련의 과정상 PK밀어주기로 볼 여지도 있다.[81]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인천평생교육진흥원,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강원도평생교육진흥원, 충청북도평생교육진흥원, 세종특별자치시평생교육진흥원, 대전광역시평생교육진흥원, 충청남도평생교육진흥원, 전라북도평생교육진흥원, 광주광역시평생교육진흥원, 전라남도평생교육진흥원, 대구평생교육진흥원, 경상북도평생교육진흥원,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울산광역시평생교육진흥원, 경상남도평생교육진흥원, 제주특별자치도평생교육진흥원 등이 있다. 이 중에는 시·도청에서 직접 재단법인 형태로 운영하는 곳도 있고 해당 시도 내에 있는 기관 중 평생교육기관으로 지정하여 위탁한 형태 등도 있다.[82] 대학이나 사립초·중·고교에서 교수 및 교사들은 교원이라는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행정업무 등을 맡는 직원들은 사학연금 대상이 아니었는데 이들에게도 연금 혜택이 확대되면서 교원 → 교직원으로 바뀌게 되었다.[83] 2018년 5월 종로구 구기동에서 이전해왔다.[84]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의 전신이다.[85] 2009년 한국학술진흥재단(1981년 설립)이 한국과학재단(1977년 설립),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2004년 설립)과 통합하여 한국연구재단이 된다.[86] 2019년 기타공공기관에서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변경되었다.[87] 일부 조직은 서울 중구에 있는 서울사옥에 두고 있다.[88] 일각에서 장관급 대우를 받는 국립대 총장은 법인화 이전 서울대 총장 뿐이었다는 얘기가 있으나 한국교원대 총장, 강원대 총장, 충남대 총장, 전남대 총장, 경북대 총장, 부산대 총장 등 장관급 대우라 할 수 있는 특1호 총장은 여럿 있었고 지금도 그렇다.[89] 부총장은 총 3인이 있는데 교육부총장 겸 대학원장, 연구부총장, 기획부총장 등이다.[90] 사립대학을 인수한 케이스라 그 이전에는 인천광역시청 산하 법인화 공립대학 형태였다.[91] 어차피 부총장을 1명밖에 두고 있지 않아서 큰 의미는 없다.[92] 당연직 이사자리도 1964년까지 시·도지사가 겸임하다가 시·도교육감으로 바뀌었고, 1997년 8월 시·도교육청 관리국장이 겸임하게 되었다.[93] 설립 당시에는 중구 명동에 있었다가 2010년 7월 이전했다.[94] `The-K`는 교직원공제회의 영문명칭인 KTCU(The Korean Teachers` Credit Union)의 머리글자를 따온 것이다.[95] 다만, 학교체육 진흥법 제17조(학교체육진흥원) ① 학교체육 진흥을 위한 다음 각 호의 사업과 활동을 위하여 교육부장관 소속으로 학교체육진흥원을 설립할 수 있다. 라는 조문에서 알 수 있듯이 교육부 입김이 좀 더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조문에 교육부 나와바리임을 명시해놓았는데 학교체육진흥회 설립 추진 시점에 교육부가 부총리 겸임 부처였기 때문에 문화체육관광부에 비해 부처 간 파워게임에서 유리했을 수밖에 없다.[96] The Korean Academy of Goverment-funded Scholars의 약자다.[97] 세부적으로는 지도사1급, 지도사2급, 훈장 특급, 훈장 1급, 훈장 2급, 아동지도사급으로 나뉜다.[98] 당연직 위원 5명은 법원행정처 차장, 대한변호사협회장, 한국법학교수회장,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이사장, 법무부 검찰국장이다.[99] 2009년에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과학재단의 학자금지원업무를 통합하여 설립된 한국장학재단과는 이름만 같을 뿐이다.[100] 한서장학재단은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설립했고, 울산장학회는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이, 서울장학재단은 김진만 전 국회부의장이 설립했었는데, 전두환 정권 당시 문교부에서 권력형 부정축재 재산 환수 대상으로 걸려들었다. 서울 종로구에 있는 서울장학재단은 2009년 서울특별시청에서 출연하여 새로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1982년 해산된 서울장학재단과는 별개의 단체이다.[101] 회장이 되는 교수가 소속된 학교를 주소지로 쓰는 듯하다.[102] 제25조(산학협력단의 설립ㆍ운영) ① 대학은 학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학에 산학연협력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조직(이하 “산학협력단”이라 한다)을 둘 수 있다. ② 산학협력단은 법인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