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2:04:08

합포왜성

마산일본성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1454F>
파일:그림4ㅈㅂㄷㄱ4.png
왜성
倭城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color: #fff;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임진왜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rowcolor=#888> 울산광역시 울주군 부산광역시 기장군
<rowcolor=#aaa> 서생포왜성
西生浦倭城
‡ 임랑포왜성
林浪浦倭城
기장왜성 | 죽성리왜성
機張倭城 | 竹城里倭城
<rowcolor=#888>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동구
<rowcolor=#aaa> ‡ 동래왜성 | 동래읍성
東萊倭城 | 東萊邑城
부산포왜성 | 증산왜성
釜山浦倭城 | 甑山倭城
자성대왜성 | 부산진성
子城臺倭城 | 釜山鎭城
부산광역시 영도 부산광역시 중구 부산광역시 북구
<rowcolor=#aaa> ‡ 추목도왜성 | 동삼동왜성
椎木島倭城 | 東三洞倭城
† 박문구왜성 | 중앙동왜성
迫門口倭城 | 中央洞倭城
구포왜성
龜浦倭城
<rowcolor=#888> 부산광역시 강서구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죽도왜성 | 김해왜성
竹島倭城 | 金海倭城
‡ 눌차도왜성 | 가덕도왜성
訥次島倭城 | 加德島倭城
안골포왜성
安骨浦倭城
<rowcolor=#888>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거제시
<rowcolor=#aaa> 웅천왜성
熊川倭城
‡ 명동왜성 | 삼포진
明洞倭城 | 森浦陳
영등포왜성 | 구영등성
永登浦倭城 | 舊永登城
<rowcolor=#888> 경상남도 거제시 <#01454F>
<rowcolor=#aaa> 송진포왜성
松眞浦倭城
장문포왜성
長門浦倭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정유재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울산광역시 중구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울산왜성
蔚山倭城
양산왜성 | 증산리왜성
梁山倭城 | 甑山里倭城
‡ 합포왜성 | 마산왜성
合浦倭城 | 馬山倭城
경상남도 거제시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진주시
<rowcolor=#aaa> ‡ 견내량왜성 | 광리왜성
見乃梁倭城 | 廣里倭城
‡ 고성왜성 | 고성읍성
固城倭城 | 固城邑城
† 망진산왜성
望晉山倭城
경상남도 사천시 경상남도 남해군 전라남도 순천시
<rowcolor=#aaa> 사천왜성 | 선진리성
泗川倭城 | 船津里城
남해왜성 | 선소리왜성
南海倭城 | 船所里倭城
순천왜성
順天倭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산성개축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부산광역시 강서구 경상남도 거제시
<rowcolor=#aaa> ‡ 갈마봉산성 | 성북왜성
渴馬峰山城 | 城北倭城
‡ 율포산성
栗浦山城
‡ 탑포산성
塔浦山城
경상남도 창원시
<rowcolor=#aaa> ‡ 자마산성
子馬山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folding [ 시기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남도 김해시
<rowcolor=#aaa> † 호포왜성
弧浦倭城
‡ 마사리왜성
馬沙里倭城
‡ 농소리왜성
農所里倭城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folding [ 위치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사천시? 전라남도 광양시?
<rowcolor=#aaa> § 영춘왜채
永春倭寨
§ 곤양왜채
昆陽倭寨
§ 광양왜채
光陽倭寨
전라남도 구례군? 전라남도 순천시?
<rowcolor=#aaa> § 순천왜채
順天倭寨
§ 구례왜채
求禮倭寨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실체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부산광역시 사하구 경상남도 거제시
<rowcolor=#aaa> † ¶ 서평포진성
西平浦鎭城
‡ ¶ 다대포진성
多大浦鎭城
¶ 지세포진성
知世浦鎭城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 경기도 평택시
<rowcolor=#aaa> ‡ ¶ 임진산성 | 풍덕천진
壬辰山城 | 豊德川陳
§ 백련봉진
白蓮峰陳
¶ 농성
農城
서울특별시 중구 강원도 철원군 평안남도 ???
<rowcolor=#aaa> † ¶ 왜성대
倭城臺
¶ 성재산성 | 성산성
城齋山城 | 城山城
§ 마상산왜성
馬上山倭城
평양직할시 평천구역
<rowcolor=#aaa> † ¶ 평양성 왜성
平壤城 倭城
}}}}}}}}}
{{{#fff † : 멸실   ‡ : 멸실 위기   ¶ : 왜성으로 구전 / 개축 기록 불확실   § : 일본 측 자료에만 수록 / 상세 확인 불가}}}
<colbgcolor=#01454F><colcolor=#fff> 합포왜성
[ruby(合浦, ruby=ハッポ)][ruby(倭城, ruby=わじょう)] | Happo Japanese Fortress
파일:51035nxidnikrrz.jpg
이칭 마산산호동용마성지(馬山山湖洞龍馬城址)
마산일본성(馬山日本城)
마산왜성(馬山倭城)
창원왜성(昌原倭城)
용마산성(龍馬山城)
형태 제곽식 산성
면적 미상
건설 1593년 (선조 26년)[미완성]
1597년 (선조 30년)
다테 마사무네[미완성]
나베시마 나오시게 등 2인
폐성 미상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531-2
1. 개요2. 위치 및 구조3. 과거 모습 및 현황4. 교통5. 여담6. 외부 링크7. 둘러보기8. 관련 문서


1. 개요

전하여 듣건대, 영남의 왜적은 문경 · 함창 · 상주 · 선산 · 김해 · 창원 · 웅천 등에 주둔해 있고 일본에서 새로 도착한 왜적은 가덕항(加德項)에 정박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1593년 5월 22일
22일 새벽에 행장(行長)이 병사의 숙소로 사람을 보내와 문안하였고 병사가 새벽에 약속 장소로 갔는데, 행장 등도 창원의 마산포에서 자고서 조신(調信)[1] · 현소(玄蘇) · 죽계(竹溪)가 먼저 당도하고 행장 · 의지(義智)가 뒤따라 이르렀으며, 행장의 아우와 다른 왜장 3명도 들어와 참석하였답니다. 그들의 각 장수가 거느린 군사는 거의 3천여 명이나 되었고 또 진해 · 마산포 등처에 진을 쳤으며, 병사가 거느린 병졸은 다만 1백여 명뿐이었답니다.
조선왕조실록1594년 12월 7일
지금 경상우도의 해변으로 논한다면, 김해웅천은 현재 적의 소굴이 되었으니 집단 생활을 계획할 일에 대해 말할 것이 없고, 창원은 적의 소굴에서 매우 가깝기 때문에 역시 공허한 지대가 되었고,
조선왕조실록1595년 1월 26일
제장을 모아놓고 관백이 약속하기를 「조선이 매번 이처럼 나를 속이고 있으니 내가 분함을 참지 못하겠다. (...) 행장고성, 의지거제, 죽도(竹島)의 왜는 창원죽도부산, 다른 왜장은 기장, 안골포의 왜는 가덕도, 가덕도의 왜와 청정(淸正)서생포, 이런 식으로 8개 지역에 나누어 둔거하고, 그 나머지는 다시 그 나라 안으로 들어가라. (...) 너희는 죽을 힘을 다하라. 만약 내 말을 듣지 않으면 너희 처자를 모두 죽이겠다. 」고 하였다. (...) 평행장이 나 요시라에게 말하기를 「(...) 근일에 신병(新兵)이 나오면 나는 마산포로 진을 옮길 것이다. (...) 」 하였다.
조선왕조실록1597년 6월 14일
다만 경상좌도의 울산 · 양산 · 동래와 경상우도의 김해 · 창원 · 웅천 · 고성 · 거제 · 진주 · 사천 · 곤양(昆陽) · 남해와 전라좌도의 순천 등 주(州) · 부(府) · 군(郡) · 현(縣)이 아직 함락당하여 있습니다. 현재 3로(路)로 일제히 진격하면 거의 옛강토를 회복할 것입니다.
조선왕조실록1598년 9월 28일
비변사가 아뢰기를, "경상도 병영(兵營)을 옮겨 설치하라고 전교하셨습니다. 작년 겨울에 체찰사(體察使) 이원익(李元翼)의 장계에 의하여 우병영(右兵營)을 그 근처에서 형편이 좋은 곳을 골라 설치하도록 이미 계하하셨었습니다. 지금 창원 · 마산 등지의 적의 소굴이었던 곳이 형세가 험한 것을 의거할 만하면 병영을 그곳으로 옮기는 것이 과연 마땅합니다. 체찰사로 하여금 다시 한번 살펴본 다음 치계하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윤허한다고 전교하였다.
조선왕조실록1601년 1월 28일
1597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일대의 용마산에 일본군이 쌓은 연곽식 산성. 기록에 거의 등장하지 않아 상세한 것을 알기 힘들지만, 일본군 측 기록에 창원성(昌原城)으로 등장하는 장소가 이곳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593년다테 마사무네가 쌓다가 중단한 것을 1597년 정유재란죽도왜성을 쌓은 나베시마 나오시게 와 그 아들 나베시마 가쓰시게(鍋島勝茂)가 다시 축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 당시 축성자는 다테 마사무네가 아니라 사노 료하쿠(佐野了伯)[2]라는 설도 있는데, 확실하지 않다.

일본에서는 죽도왜성의 전진기지(出城)로 보고 있다. 축성자가 같은 사람인 점도 그렇고, 정유재란 당시에는 웅천왜성휘하 전진기지들이 쓰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하므로 합리적인 추론이다. 죽도왜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는 하나, 그 규모가 독립적인 성으로 보기에는 작아 죽도왜성장문포왜성, 고성왜성 사이를 잇는 연결성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일제강점기였던 1936년사적으로 지정되었고 이를 그대로 답습하여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36호로 지정되었으나, 보존가치가 없다는 이유로 1969년 8월 1일 문화재 지정을 해제한 뒤 재지정하지 않고 있다. 1965년 5월 25일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주곽부 자리에 충혼탑과 위령각을 세웠으며 1994년 산호공원이 되어 지금에 이른다.

2. 위치 및 구조

파일:그림221324567.png
합포왜성 위치관계도
파일:스크린샷 2025-01-19 113455.png
합포왜성 항공사진 (1950)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247, 259-2, 262-1, 299-2, 531-1, 531-2, 532-3, 532-7, 532-13
진해만 안쪽으로 깊숙히 들어와 있는 마산만(馬山灣)에 솟아있는 해발 약 85m의 용마산(龍馬山) 동측 자락을 따라 성을 쌓았다. 마산포(馬山浦)의 본래 이름은 합포(合浦/蛤浦)로, '학개'의 음차인 것으로 추정하는데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창원의 바깥 나루 역할을 하던 작은 포구였다. 북측으로 조금 내륙으로 들어간 곳에 합포성지(合浦城址)로 불리는 경상우도병영성이 위치할 만큼 안보적으로도 중요한 곳이었고, 서남측에는 삼국시대부터 치소성(治所城)으로 쓰였으며 고려시대는 정동행성과 절도사영이 설치되기도 한 회원현성(會原縣城)이 있는 등 창원의 중심지와 가까웠다.

바다로 보면, 마산만은 구산반도 앞으로 나가 견내량에서 부산포 방면으로 들어오려는 조선 수군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영등포왜성안골포왜성과 연계하여 진해만을 가로질러 오는 동선을 끊어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때문에 조선 수군에 대응하기 위해 수군 전력을 확충한 정유재란 시점의 일본군이 진해만에서의 해상 기동을 지원하기 위해 건설한 중계 거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성이 위치한 용마산은 마산이라는 지명이 유래된 곳으로 추정하는데, 정확한 명명 과정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다. 길게 ㄴ자로 뻗은 산지로 주변의 평평한 포구 지형 한가운데에 독립적인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어 위에 올라서면 주변을 조망하기가 좋다. 서북측에 솟은 반월산 위에는 삼국시대의 테뫼식 산성인 이산성지(鯉山城址)가, 북측에는 경상우도병영성이, 남측 바다 쪽에는 합포 바다가, 서남측 구릉지에는 회원현성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위치다.[3] 특히, 지금은 모두 매립되어 옛 모습을 상상하기 힘들지만 50년대까지만 해도 용마산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배를 정박하기도 쉬웠다. 다만 합포왜성은 용마산의 동측에 치우쳐 쌓았는데, 그 이유는 현재 제1곽이 위치한 곳보다 서측에 성을 쌓으면 반월산에 가려 경상우도병영성과 창원 방면을 조망할 수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동서로 길게 뻗은 용마산의 산마루 한가운데를 능선절단형 해자(堀切り)로 끊어내고, 서측에 데쿠루와(出郭)를, 동측에 제1곽을 두었다. 현재는 이 해자 한가운데를 수직으로 메우고 석축을 쌓아올려 충혼탑으로 통하는 도로 겸 주차장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해자가 있는지조차 알아보기 쉽지 않다. 이곳에서 정동측을 바라보고 서면 박정희 대통령 시절 세운 충혼탑과 위령공간의 푸른 기와지붕 건물이 보이는데, 그 아래로 현대의 석축과 왜성의 석축이 뒤섞여 남아있다. 이곳이 위령공간으로 개조된 제1곽으로 대체로 합포왜성의 석축으로 소개하는 것은 좌측(북측) 통로의 석축이나, 이 부분은 일부 현대식으로 개조가 되어버려 왜성임을 한눈에 알아보기는 어렵다. 대신 그 반대편에 왜성의 축조 방식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남측 돌출부가 남아있지만, 높은 현대식 축대로 막힌 야산 능선부에 있어 관찰이 쉽지 않다.

제1곽의 동측에는 한 단 낮은 평탄한 대지가 있어 제2곽으로 상정할 수 있다. 그 동측에는 사다리꼴의 경사면이 산 아래까지 펼쳐지는데 여기를 따라 토축으로 된 계단형의 부곽(副郭)들이 배치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아주 낮은 석축이 곳곳에 남아있다. 이 사다리꼴 지형 동북측으로 뻗은 능선의 경계에 노보리이시가키(登り石垣)와 수직 해자(竪堀)가 나란히 뻗어 지형을 차단한다. 노보리이시가키의 가운데에는 북측으로 튀어나온 방형의 돌출부가 있어 망루 기단(櫓台)으로 추정한다.

제2곽의 동남측 능선의 경계에도 몇 단으로 된 석축이 경사를 타고 내려오지만 반대편의 노보리이시가키에 비해서는 짧다. 사다리꼴 지형의 최하단부인 동측 끝에는 비교적 평탄하고 길쭉한 부곽이 있어 제3곽으로 상정하는데, 동남측을 향해 돌출부가 1곳 있다. 이곳이 바로 앞에 있었을 선착장(舟入り)과 통하는 곳이었을 것으로 판단한다.

전체적인 평면구조가 서생포왜성과 대단히 닮아서, 서생포왜성의 축소판이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 다만 원형이 그리 많이 남아있지 않고 충혼탑과 공원을 만들면서 훼손이 심해져 현재는 그 모습을 잘 볼 수 없는 상태다.

3. 과거 모습 및 현황

파일:pan031440.jpg
마산 왜성 원경[4]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이하 유리건판 사진 동일)
파일:pan031441.jpg
마산 왜성 성벽 일부[5]
파일:pan031442.jpg
마산 왜성 성벽 일부[6]
파일:14108131421_cff9887526_o.jpg
제1곽 서북측 모서리[7]
파일:14108325982_25973197c0_o.jpg
제1곽 북측 석축 축조 상태
파일:14108330232_eb888e6019_o.jpg
제1곽 남측 석축 축조 상태
파일:스크린샷 2025-01-19 202823.png
제1곽 서남측 돌출부
파일:스크린샷 2025-01-19 203151.png
제2곽 동남측 계단형 석축 일부
파일:스크린샷 2025-01-19 203333.png
남측 노보리이시가키 잔존 상태
파일:스크린샷 2025-01-19 203700.png
북측 노보리이시가키의 돌출부 모서리
파일:스크린샷 2025-01-19 204030.png
북측 노보리이시가키
파일:스크린샷 2025-01-19 204232.png
제3곽 돌출부 석축 축조 상태

4. 교통

합포왜성은 산호공원으로 정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심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해 접근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여성회관 정류장이나 합포동 정류장에 하차하여 길을 건너 산호공원으로 올라가는 입구를 통과해 올라가면 된다. 충혼탑이 나오면 그곳이 제1곽이며, 그 너머 동측 산비탈에 석축이 분포해 있으나 일반인이 들어가기는 어려운 지역이다.

5. 여담

6. 외부 링크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승주신성리성[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사천성진리성[7]}}}


[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6]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7]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기장죽성리성[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천안골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생포성[11]}}}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물금증산성[12]}}}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8]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0]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만인의총[22]}}}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2]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 살곶이 다리[23]}}}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 영산 석빙고[24]}}}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3]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4]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5]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임당동고분군[F]}}}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광한루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담양소쇄원[29]}}}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8]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29]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3]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4]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5]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8. 관련 문서


[1] 야나가와 시게노부(柳川調信).[2] 본명은 사노 후타츠나(佐野房綱)이다.[3] 물론 지금은 공원을 조성하면서 나무가 우거져, 바깥을 내려다볼 수가 없어졌다.[4] 용마산 정상의 좌측에 깊게 파인 능선절단형 해자와 우측의 제1곽 석축이 보인다.[5] 능선절단형 해자에서 제1곽을 올려다본 모습으로 추측된다.[6] 제1곽 동북측 모서리에 있었던 방형의 기단. 이곳이 합포왜성의 천수 기단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사라져 버린 상태이다.[7] 위령공간의 시멘트 축대 좌측으로 살짝 나온 왜성의 석축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