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5 20:23:15

공손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공손연(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위서(魏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9d9f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181818,#e5e5e5
1권 「무제기(武帝紀)」 2권 「문제기(文帝紀)」
조조 ,조등 왕준, 조비
3권 「명제기(明帝紀)」 4권 「삼소제기(三少帝紀)」
조예 ,학소 진랑 맹타, 조방 ,장특, · 조모 · 조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181818,#e5e5e5
5권 「후비전(后妃傳)」
무선황후 · 문소황후 · 문덕황후 · 명도황후 · 명원황후
6권 「동이원유전(董二袁劉傳)」 7권 「여포장홍전(呂布臧洪傳)」 8권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동탁 ,이각 곽사 마등 한수,
원소 ,저수 전풍 원담 원희 원상, · 원술
유표 ,유종 부손 괴월 한숭 채모,
여포 ,장막 진궁 진등, · 장홍 공손찬 ,유우, · 도겸 · 장양
공손도 ,공손연,
장연 · 장수 · 장로
9권 「제하후조전(諸夏侯曹傳)」 10권 「순욱순유가후전(荀彧荀攸賈詡傳)」
하후돈 ,하후무 한호 사환, · 하후연 ,하후패, · 조인 ,조순, · 조홍 · 조휴 ,조조(肇),
조진 ,조상 이승 환범 하안, · 하후상 ,하후현 이풍 허윤,
순욱 ,순의 예형, · 순유 · 가후
11권 「원장양국전왕병관전(袁張凉國田王邴管傳)」 12권 「최모서하형포사마전(崔毛徐何邢鮑司馬傳)」 13권 「종요화흠왕랑전(鍾繇華歆王朗傳)」
원환 · 장범 ,장승, · 양무 · 국연
전주 · 왕수 · 병원 · 관녕 ,왕렬 장천 호소,
최염 ,공융 허유 누규, · 모개 · 서혁
하기 · 형옹 · 포훈 · 사마지
종요 ,종육, · 화흠 · 왕랑 ,왕숙,
14권 「정곽동류장류전(程郭董劉蔣劉傳)」 15권 「유사마량장온가전(劉司馬梁張溫賈傳)」 16권 「임소두정창전(任蘇杜鄭倉傳)」
정욱 ,정효, · 곽가 · 동소
유엽 ,유도, · 장제 · 유방 ,손자,
유복 ,유정, · 사마랑 · 양습 ,왕사,
장기 ,유초 장집, · 온회 ,맹건, · 가규 ,가충,
임준 · 소칙 · 두기(畿) ,두서 악상,
정혼 ,정태, · 창자 ,안비 영호소,
17권 「장악우장서전(張樂于張徐傳)」 18권 「이이장문여허전이방염전(二李藏文呂許典二龐閻傳)」
장료 · 악진 · 우금 · 장합 · 서황 ,주령, 이전 · 이통 · 장패 ,손관, · 문빙 · 여건 ,왕상,
허저 · 전위 · 방덕 ·방육 ,조아, · 염온
19권 「임성진소왕전(任城陳蕭王傳)」 20권 「무문세왕공전(武文世王公傳)」
조창 · 조식 ,양수 정의 정이, · 조웅 조앙 · 조삭 · 조충 ·조거 · 조우 ·조림(林) · 조곤 · 조현 ·조간 ·조표 ·조정 ·조림(霖)
21권 「왕위이유부전(王衛二劉傳)」 22권 「환이진서위노전(桓二陳徐衛盧傳)」 23권 「화상양두조배전(和常楊杜趙裴傳)」
왕찬 ,진림 완우 유정, · 위기 · 유이 · 유소 · 부하 환계 · 진군 ,진태, · 진교 · 서선 · 위진 · 노육 화흡 · 상림 ,시묘, · 양준 ·두습 · 조엄 · 배잠 ,배수,
24권 「한최고손왕전(韓崔高孫王傳)」 25권 「신비양부고당륭전(辛毗楊阜高堂隆傳)」 26권 「만전견곽전(滿田牽郭傳)」
한기 · 최림 · 고유 · 손례 · 왕관 신비 ,신헌영, · 양부 ,왕이, · 고당륭 ,잔잠, 만총 · 전예 · 견초 · 곽회
27권 「서호이왕전(徐胡二王傳)」 28권 「왕관구제갈등종전(王毌丘諸葛鄧鍾傳)」
서막 · 호질 ,호위, · 왕창 · 왕기 왕릉 ,선고 영호우, · 관구검 ,문흠, · 제갈탄 ,당자, · 등애 ,주태, · 종회 ,장창포 왕필,
29권 「방기전(方技傳)」
화타 · 두기(夔) ,마균, · 주건평 · 주선 · 관로
30권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오환 · 선비 ,가비능, · 부여 ·고구려 · ·읍루 · 예맥 · 동옥저 ·마한 · 진한 · 변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bgcolor=#fff> 관련 틀:
촉서
오서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8b><tablebgcolor=#00008b>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동연의 역대 국왕
공손도 | 공손강 | 공손공 | 공손연
동연의 초대 왕
公孫淵
공손연
성씨 공손(公孫)
(淵)
문의(文懿)
고향 유주(幽州) 요동군(遼東郡) 양평현(襄平縣)
사망지 평주(平州)[1] 요동군(遼東郡) 양평현(襄平縣)
양평성(襄平城) 동남쪽 유성이 떨어진 장소
생몰 기간 ? ~ 238년 8월 23일[2]
아버지 공손강(公孫康)
재위기간 연왕(燕王)
237년 ~ 238년 8월 23일[3]
연호 소한(素漢)
시호 없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역임한 관직 및 작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조위(조예) 거기장군(車騎將軍) 낙랑공(樂浪公)
칭왕
}}}}}}}}}

[clearfix]

1. 개요

삼국시대 동연의 4대이자 마지막 수장으로 요동 연나라의 왕이다. 자는 문의(文懿)로 제1대 공손도의 손자이자, 제2대 공손강차남으로 유주 요동군 양평현 사람이다.

2. 정사 삼국지

공손씨는 공손연의 할아버지 공손도 때부터 대대로 요동 일대를 점거하고 있었다. 공손연의 아버지 공손강조조원소의 잔존세력을 소탕할 때 원희원상참수해 화평을 청했다.

221년에 아버지 공손강이 사망하자 나이가 어린 까닭으로 숙부 공손공이 뒤를 이었지만 228년에 공손공을 내쫓고 스스로 요동 지방의 군주로 군림했다. 이때 조예는 그에게 거기장군 자리를 하사했다.

232년 손권(燕)왕의 작위와 구석의 지위를 내려 우호관계를 맺으려고 장미허안 등을 사신으로 보냈다. 그러나 공손연은 사신이 가지고 온 보물을 탐내었고 무엇보다 애초에 손권과 관계를 맺을 생각이 없어서 두 사신들을 목베고 보물을 빼앗았다. 이렇게 손권의 뒤통수를 후려갈겼고 이때 참수한 오나라 사신들의 목을 위나라에 진상해 낙랑공이란 작위를 수여받았다.[4] 그러나 위나라는 공손연에게 계속 의심을 품었고 결국 237년 관구검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했다.

위군을 격퇴해 낸 공손연은 스스로 연호를 소한(素漢)으로 하고 연왕을 자칭해 독립까지 선언하였다. 이때 말리는 가범윤직처형했는데, 공손연의 반란 소식이 위나라 조정에 알려지자 수도인 낙양에 인질로 가 있었던 그의 형 공손황은 목숨을 잃고 말았다.

사실 공손황은 공손연의 반란 이전부터 계속 모반의 가능성을 이야기했지만 볼모의 특성상[5] 죽음을 피할 수는 없었다. 게다가 위나라 입장에서는 공손황의 의도가 후계 구도를 염두에 둔 건지 아니면 다른 의도가 있는 건지 확실치도 않은 상황이라 살려주지 못할 이유가 많았다.

그러나 공손연은 238년 사마의가 이끄는 위나라의 군대[6]고구려 동천왕이 파견한 군대에게 참패하고 말았다. 공손연은 크게 두려워하며 살기 위해서 상국 왕건(王建)과 어사대부 유보(柳甫)를 보내 포위를 풀어줄 것과 면박(面縛)[7]하여 항복할 것을 청했다. 그러나 사마의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왕건과 유보의 목숨을 빼앗고는 곧바로 공손연에게 격문을 보냈다.
옛날 초나라(楚)와 정나라(鄭)는 열국이었으나, 정백[8]은 웃통을 벗고 (羊)을 끌고 나와 초왕을 영접했다.[9] 나는 왕의 신하로 상공(上公)인데 왕건 등이 내게 포위를 풀고 물러나라고 하니 어찌 초나라와 정나라의 전례에 비기겠는가! 두 사람은 늙고 혼미하여 필시 말을 전하는데 실수가 있었을 터이므로 이미 죽였다. 만약 더 할 말이 있다면 젊고 명쾌하게 결단할 수 있는 자를 보내도록 하라.
이에 공손연은 시중 위연(衛演)을 보내 날짜를 정해 인질을 보낼 것이라고 청했다. 이때 사마의는 그 유명한 명언을 위연에게 말하며 거절했다.
군사로 맞설 때는 중요한 다섯 가지 원칙이 있다. 싸울 수 있을 때는 마땅히 싸워야 하고, 싸울 수 없을 때는 마땅히 지켜야 하고, 지킬 수 없을 때는 마땅히 달아나야 한다. 나머지 두 가지는 항복 아니면 죽음뿐이다. 너희들은 스스로 면박하려 하지 않으니 이는 죽음을 각오한 것일 터, 인질을 보낼 필요는 없다(軍事大要有五, 能戰當戰, 不能戰當守, 不能守當走, 餘二事惟有降與死耳. 汝不肯面縛, 此為決就死也, 不須送任).
결국 절망한 공손연은 남쪽의 포위망을 공격하여 돌파하였으나 사마의는 이를 추격하여 공손연과 그 아들 공손수를 잡아 참수했다. 그리고 사마의는 수도 양평성(襄平城)[10]에 들어간 후 두 개의 표식을 세워 젊은이와 늙은이를 구분했는데, 15세 이상 남자 7,000여 명을 모두 죽이고, 경관(京觀)[11]을 만들었다. 그리고 공경(公卿) 이하 관원을 모두 주살하고 장군 필성(畢盛) 등 2,000여 명을 죽였다. 그리고 이때 공손씨는 멸족되는 비운을 맞이했다.

3. 삼국지연의

요동에서 수성하는 입장이였던 정사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낙양을 공격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때 묘사된 병력수는 무려 15만인데 공손연의 영역이 요동, 요서 일부, 한반도 일부였던 걸 생각하면 현실성이 없는 수치. 사마의가 인질 받기를 거절할 때 말한 대사가, "군사로 맞설 때는 중요한 다섯 가지 원칙이 있다. 싸울 수 있을 때는 마땅히 싸워야 하고, 싸울 수 없을 때는 지켜야 하고, 지킬 수 없을 때는 달아나야 하고, 달아날 수 없을 때는 항복해야 되고, 항복할 수 없을 때는 마땅히 죽어야 한다."(軍事大要有五, 能戰當戰, 不能戰當守, 不能守當走, 不能走當降, 不能降當死耳)로 약간 달라졌다.

4. 미디어 믹스

4.1. 삼국지 시리즈

파일:삼국지3공손연.png
삼국지 3
파일:Gongsun_Yuan_2_(1MROTK).webp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Gongsun_Yuan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64.jpg
삼국지 12, 13
파일:공손연.jpg
삼국지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역사대로 의리 바닥에 야망이 최고치다.[12] 그래서 과거 공손씨 세력이 따로 편성되지 않고 위나라 소속으로 양평 태수를 맡았을 경우 툭하면 반란을 일으키곤 했다. 이벤트가 많은 시리즈에서는 전용 이벤트까지 있다.

삼국지 5를 제외한 모든 시리즈에서는 공손연의 능력치며 세력이며 모든 게 영 좋지 않지만, 그나마 휘하에 가범, 윤직, 양조, 비연이 있어서 공손도, 공손강, 공손공보다는 할 만하다. 물론 이 넷의 능력치가 딱히 좋진 않지만 말이다.

삼국지 2에서는 시나리오 6을 플레이 하면 높은 확률로 반기를 들고 독립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73/수지 71/무력 72/지력 65/정치 60/매력 74로 그나마 좋은 능력치다. 다만 야망이 최고라서 양평이나 북평에서 거병을 자주 한다. 그러니 위나라로 플레이할 때는 가능한다면 공손씨 일족들을 전부 낙양으로 소환시키자.

삼국지 5에서는 무력치가 84라서 인재가 부족한 후기 시나리오에서는 쓸 만하다. 다만 의리가 너무 낮은 게 흠.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9/지력 64/정치 22/매력 79다. 237년 1~6월 사이 반란을 일으켜 연왕으로 독립하는 이벤트가 따로 마련되어 있으며, 발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1.낙양과 양평을 동시에 지배하는 군웅이 있으며, 해당 세력의 본부가 양평에 위치하지 않을 것. 2. 공손연이 가범, 비연, 양조, 윤직과 함께 양평에 주둔하고 있을 것. 이벤트가 발동되면 가범과 윤직은 독립에 반대하다 참수된다. 일부러 보려고 들면 어렵지는 않으나 자연적으로는 상당히 보기 힘든 이벤트. 234년 오장원에 지는 별 시나리오로 시작하면 해당 조건이 예쁘게 충족되어 있으니 그대로 3년만 버티면 되지만, AI가 위나라를 조작할 경우 저 5명을 양평에 그대로 내버려두는 경우가 드물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71/지력 55/정치력 39. 돌파, 기사, 제사, 혼란, 매도 등 1단계 병법만 있어서 좋다고 하긴 좀 그런 장수. 거기다가 숨겨진 의리 수치에서도 아주 독보적인 수치를 기록하는데 의리 0에 야망 15다. 천하의 여포도 야망이 13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 와중에 완벽하게 0과 15로 개막장을 그리는 어떤 의미로는 제일 무서운 장수. 어지간하면 등용하지 않는 게 좋다. 충성도 관리가 안 되는 상황에서는 백하팔인보다 더 암적인 존재로 재야나 포로 상태에서 등용하더라도 오자마자 배신하거나 독립하는 골 때리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참고로 삼국지 9에서 의리 0에 야망 15로 설정되어 있는 장수는 공손연을 포함해서 딱 4명이다. 나머지 3명은 원술, 동탁, 손침. 나름대로 공손연을 대단한 인재로 평가해준 셈이다. 물론 별로 안 좋은 의미로. PK에서는 그래도 장수발탁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1단계 병법으로라도 고루 적성이 분포된 공손연이 직접 발탁장수를 가르치면 나름 쏠쏠한 성장은 가능하다. 물론 공손연의 의리가 저 모양이므로 공손연이 장수 발탁하면 잘 키워도 이간질 때문에 못 쓴다는 게 함정. 성격은 저돌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 무력 69/ 지력 58/ 정치력 50/ 매력 51로 매력이 바닥인 공손도보다 능력치 합은 2 높지만 공손강에게는 많이 밀린다. 특기는 기술, 돌격, 반목, 혼란, 회복. 총 5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70/ 지력 56/ 정치 35/ 매력 55로 전작에 비해 통솔, 무력, 매력은 소폭 상승했으나 지력이 소폭 하락했고, 정치가 15나 하락했다. 병종 적성은 창병 B, 기병 B를 제외하고 모두 C이다. 여전히 다른 세력에서는 잡장 1이지만 요동 공손씨 일족으로 플레이 할 경우 굉장히 귀한 인재이다. 특히 영웅집결에서는 군주인 공손도 다음가는 무력을 자랑한다.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전작들과 비슷해 여전히 잉여하나 절도지책을 보유한 채 시작한다. 군사가 없어 군사 아이템을 달아줘야 하나, 절도지책을 보유한 장수가 몇 안된다는 사실[13]을 기억하자. 사실 절도지책이라도 없으면 공손연 세력으로 플레이하기에는 너무나도 하드코어해서 준 듯.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두 손을 펼친 채 음흉한 얼굴로 웃어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 무력 70/ 지력 60/ 정치력 35. 특기는 순찰 1, 신속 2에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전법은 창병공격진이다. 특이한 점은 PK판에서 고유위명인 '연왕'을 가지고 있다. 엄백호의 동오덕왕과 같은 천하명장을 바탕으로 한 위명이고, 군령은 '면종복배'로 외교초기교섭률↑・순찰성과↑↑・도시내구↑↑의 효과를 갖고 있다.

다만 후반기 시나리오인 오로침공과 출사표에서 공손연은 둘 다 공손공의 휘하장수로 있는 상태라 시작부터 군주로 플레이할 기회는 없지만, 연왕 위명은 공손씨 일족 모두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왕 위명을 써보고 싶다면 공손도나 공손강으로 하면 된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오른손으로 턱을 잡고 있으면서 음흉하게 웃음을 짓고 있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는데 아마도 연왕이 될 생각을 품고 있는 듯한 이미지다.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70, 지력 60, 정치 42, 매력 50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 정치력이 7 상승했다. 개성은 사역, 징세, 낭비, 오만, 탐욕, 주의는 아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4, 진형은 방원, 학익, 장사, 전법은 업화, 도발, 매성, 시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고 PK에서는 도발 전법이 삭제된 대신 고유 전법으로 적군에게 도발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적군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현조쌍황이라는 무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다. 이번작부터 형 공손황과 부하 장수인 한기가 추가되어서 비교적 할 만해졌다.

4.2. 반삼국지

아버지 공손강이 원희와 원상에게 했던 것처럼 요동으로 쫓겨온 조비 일가가 자살하자 그 목을 베어 한군에게 보내고 요동 영유권을 인정받는다. 제갈각과 더불어 양대 마개조 사례다.

4.3. 진삼국무쌍 시리즈

진삼국무쌍 6부터 클론 무장으로 등장. 첫 스테이지부터 사마의에게 털린다. 이후 꾸준히 진나라 시나리오에서 공손연의 난을 주도하고 신나게 박살나는걸로 찬조 출연중. 전술한 5가지 원칙은 빠지지 않고 나와 사마의가 공손연을 깔 때 쓴다. 거기다가 목소리도 어째 멍청하게 연기해서 더더욱 바보 같아 보인다.

4.4.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파일:전략공손연.png

짤막하게나마 마지막 60권에서 등장하지만 짧게 묘사한다.

4.5. 삼국전투기

영화 아포칼립스 나우(지옥의 묵시록)의 커츠 대령(말론 브란도 역)으로 패러디되었다. 아마 이민족들 사이에서 군주로 지냈다는 점에서 채택된 듯. 작중에서 '공포…공포' 하는 장면이 나온다. 제갈량 사후 이야기의 시초를 여는 인물인데, 사마의는 공손연의 상책은 도망가는 것이지만 공손연은 요수에서 막다 양평으로 들어가는 최악의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 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그리고 물론 공손연은 대판 깨졌다. 여기서 작가는 클래스의 차이라는 말을 덧붙였다.

기산 전투 (1)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며 처음 등장. 소개컷에는 변방인 요동의 지배자로 줄타기의 달인이라 서술되어 있다.

228년경, 뭔가 심상치 않은 인물이 요동을 차지했다고 하며 그 이름이 언급되지만, 첫 등장 시점에서는 공포라고 중얼거리기만 하고 딱히 뭘 하지는 않았다.

성산 전투 편부터 본격적으로 등장. 오의 사신으로서 요동을 찾아온 주하를 보고 호구라고 인식한 뒤 중앙에서 자기를 좋게 보고 있지 않은 현 시점에서 오와 손을 잡는 듯한 제스처를 취했을 때 그들이 어떻게 나올 것인가 생각해 보고 채찍을 들든, 당근을 주든 어느쪽도 나쁘지 않다고 판단한 뒤 오의 제의에 긍정적인 제스처를 취했다.

이후 청주에서 주하를 비롯한 오의 사신들이 잡혔다는 소식을 들은 공손연은 선물과 함께 손권에게 협력하겠다는 내용의 서신을 써 보냈다. 이에 기뻐한 손권은 주변 인물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병사 1만과 많은 보물을 실은 대규모 사절단을 보냈지만, 그 동안 손익 계산을 마친 공손연은 오와 손을 잡는 건 위와 손을 잡는 것보다 이득이 없다며 그대로 오를 손절하고 병사와 보물을 죄다 꿀꺽한 뒤 사신으로 왔던 장미의 목을 잘라다 조예에게 바쳤다. 조예는 이에 공손연에게 대사마직을 부여하지만 이름뿐인 직책이란 걸 서로가 알기에 딱히 기뻐하지는 않았다.

요동 전투 편에서는 대사마 관직을 받고도 대놓고 조예를 까는 등 간이 배 밖으로 나온 행동을 지속한다. 이에 조예에게 토벌 대상으로 찍히고, 관구검이 요동으로 공손연을 치러 오게 되었다. 관구검이 보낸 황제의 낙인이 찍힌 입조하라는 내용의 서신을 받지만, 미쳤다고 죽으러 가겠냐면서 무시하고 대응을 결심한다.

그러나 일대 격전이 벌어지려던 찰나 열흘 가까이 폭우가 쏟아지면서 관구검은 요동 정벌을 포기하고 우북평으로 퇴각하여 일단은 공손연의 부전승이 되었다. 그리고 공손연은 이 승리에 자아도취를 너무 심하게 한 나머지 독립국 선언에 백관까지 뽑아 대놓고 위를 등졌다.

이를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던 조예가 사마의에게 4만 군사를 주어 요동으로 보내자 공손연은 겁을 제대로 집어먹고 뻔뻔하게도 뒷통수를 쳤던 오나라에 사신을 보내 동맹을 요청했다. 다만 위 쪽은 오나라의 참전 소식을 들었음에도 오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을 거라고 확신했기에 별 도움은 되지 않았다.

공손연은 사마의군을 막고자 비연과 양조로 하여금 요수에 진을 치게 하고 자신은 양평에서 사마의의 위군을 기다리지만 사마의가 요수를 무시하고 바로 양평을 공격하자 당황하여[14] 비연과 양조를 도로 양평으로 불러들였다.[15] 그리고 난관을 돌파하고자 비연으로 영격을 보냈으나 비연이 관구검에게 대패하자 방도가 없어 멘붕하게 된다. 공손연은 저번처럼 비가 오면 될 거라고 현실부정을 시도했고, 이에 공손연의 수하가 그런 쎄뽁이 두 번 다시 일어날 리 없지 않겠냐고 소리를 쳤으나...

진짜로 비가 왔다. 그것도 무려 한 달 가까이 비가 쏟아졌다. 그러나 관구검과는 달리 사마의는 비 따위는 신경도 쓰지 않고 진영을 지켰고, 결국 장마를 피해 없이 넘기고 공성에 들어가게 된다. 이에 더 이상 버틸 수 없었던 공손연은 야반도주를 시도하지만, 사마의에게 걸렸고 그대로 잡혀서 처형됐다.

비류 전투 편에서는 고구려가 요동에 눈독을 들일 230년대 당시 요동의 지배자였기에 특별출연했다.

4.6. 삵의 발톱

공손공이 실력도 없이 요동을 다스리게 되었다면서 그 자리를 빼앗으려고 했는데, 고구려 출신의 주율이 위나라의 사신을 사칭하고 요동을 다스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에 속아서 성을 빠져 나갔다가 응암성을 빼앗겼으며, 이로 인해 요동군과 주율의 용병단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면서 외길로 응암성을 공격하려고 했다가 주율이 부하들을 시켜 전면과 후면에서 돌을 떨어뜨려 길이 막히게 된다.

그래도 주율이 있는 곳까지 성공했지만 공손연이 병사들을 종처럼 대했기에 병사들은 모두 공손연을 따르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주율이 요동의 수장 자리를 주는 대신에 응암성을 넘겨줄 것을 제안하자 이를 받아들여 주율이 응암성을 가지는 대신 공손연은 공손공을 죽이고 요동의 수장이 된다.

주율이 고구려에서 공작을 펼친 끝에 고구려에서 근위대장이 되었는데, 중원에 진출하기 위해 밀우, 유유 등이 사신으로 파견되어 요동 세력에 지원을 받으려고 할 때 등장하는데, 이 때 유유는 임무를 수행하다가 주율이 한 것에 대해 의심을 품고 밀서를 불태웠다. 이로 인해 밀서 없이 도움을 요청하자 그들을 투옥하면서 밀우, 유유와 함께 온 주율의 부하인 우치에게 고구려의 옥새가 찍힌 밀서를 가져온다면 고구려의 편이 되겠다고 한다.

고구려와 위나라의 전쟁이 벌어지려고 할 때 둘 사이에서 제안이 오자 양 측 모두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처럼 하면서 양평성에서 고구려군을 없애고 위나라를 도우려고 했는데, 동천왕이 찾아오자 그를 죽이려고 했지만 도리어 발각되어 고구려군의 공격을 받아 붙잡히고 참수되었다.

5. 관련 항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공손연이 지배하는 동연에서 유주 동쪽 지역에 유주를 고쳐 설치한 주[2] 임오일[3] 임오일[4] 이때 오의 사절로서 파견되었던 주하는 살아서 배를 타고 돌아가려 했지만, 풍랑을 만나 좌초되어 청주의 해안까지 떠내려갔다. 이를 예측한 전예가 산둥 반도에 진을 치고 있다가 주하를 사로잡았다. 그나마 살아돌아온 일행마저 위에 붙잡혔으니 오가 공손연에 파견한 사절들은 모두 좋은 꼴을 보지 못한 셈이다.[5] 본보기로 보여야 하는 측면도 있다. 안 죽이면 볼모를 잡아봐야 씨알도 안 먹히기 때문이다.[6] 연의에서 사마의는 가는 데 4개월, 공략하는 데 4개월, 오는 데 4개월로 총 1년이 걸릴 것이라고 호언장담했고, 실제로 이루어졌다.[7] 양손을 등 뒤로 돌려 결박하고 얼굴을 들게 하여 사람들에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8] 당시 정나라 군주였던 정나라 양공을 말한다. 정나라 군주는 오등작 중에 백작이었다.[9] 초나라 장왕이 침공해오자 정나라 양공은 웃통을 벗고 양을 끌고 나와 항복했다. 웃통을 벗는 것은 항복, 양을 끌고 나오는 것은 하인이 되어 주인을 섬기겠다는 뜻으로 결국 항복 의식이었다. 훗날 서진 민제 사마업도 전조의 유총에게 항복하면서 이 의식을 행하는데, 이 두 의식을 행한 것은 물론이고 구슬(시신을 염할 때 입에 물리던 옥구슬)을 입에 물기까지 했다.[10] 후에 고구려의 요동성, 현재의 중국 랴오닝 성 랴오양 시다.[11] 사람을 죽이고 해골을 쌓아 흙으로 덮어 산을 이룬 것으로, 고대의 전승기념비이다. 훗날 이 기록을 접한 동진의 명제는 '저런 짓을 했으니 서진이 금방 망했지.'라고 디스했다. 사실 고대에 '저런 짓'을 서진만 한 것은 아니고, 고구려도 이런 경관을 만든 적이 있다.[12] 다만 실제 행적으로 봤을 때 공손연은 야심가라기보다는 어설픈 기회주의자라는 주장도 있다. 의리가 바닥인 건 몰라도 야망이 최고인 건 고증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13] 고대무장 빼고는 법정, 사마의, 가후, 여몽, 그리고 잠재로 가진 공손연, 단 5명이 보유한다. 고대무장은 악의와 여상이 갖고있다.[14] 일반적으로 먼 원정을 와 적의 수도를 공략하는 등 장기간 체류할 시에는 근처에 근거지를 확보하기 마련이었기에 공손연은 요수를 먼저 공격하리라 판단하여 에이스를 전부 요수에 배치했지만 사마의가 이를 읽어버린 것이다.[15] 이 또한 공손연의 판단 미스로 묘사된다. 이에 대해 작가는 만일 촉이나 오가 같은 상황이었으면 적이 양평을 치게 놔두고 요수의 병력을 활용해 양동을 노렸을 수도 있었으리라고 손권의 입으로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