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숙어
1. 개요
고사성어(故事成語)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한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은 것은 두 자, 긴 것은 열두 자(예: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나 된다.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2. 설명
고사성어의 상당수는 전국시대에 생겨났다. 제자백가들이 위정자들을 상대로 유세하면서 역사적 일화를 근거로 들며 설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제자백가나 위정자들 본인도 온갖 드라마틱한 사건들을 겪으며 다양한 일화들을 만들어냈다. 이 사건들이 한데 모여 관용어처럼 쓰이면서 오늘날의 고사성어 중 상당수를 이루게 되었다. 때문에 정작 금문이나 춘추시대에 성립된 텍스트에서는 고사성어가 잘 발견되지 않는다.운문을 맞추기 위해 한자 4글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많다. 그래서 한자 4개가 모인 말이라고 해서 '사자성어(四字成語)'라고 하기도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는 다른 것이다. 고사성어는 역사에 대한 일을 알고 있어야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있지만, 사자성어는 한자 4개만 모이 이루어진 단어라면 전부 사자성어이다. 그래서 고사성어지만 사자성어는 아닌 단어도 있고, 반대로 사자성어지만 고사성어는 아닌 단어도 있다. 고사성어의 대부분이 사자성어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둘이 같은 말은 결코 아니다.
다음과 같이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 한자성어: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로 우화 등의 비유나 교훈, 그 외에 고전 문헌에서 유래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말.
* 예) 당랑거철: '사마귀가 수레에게 앞발을 들고 덤빈다'라는 뜻으로 《장자(莊子)》에 나오는 우화에서 유래.
* 고사성어: 한자 성어 중, 옛이야기(故事)에서 유래한 의미를 함축한 말.
* 예) 삼고초려: 촉한의 유비가 남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가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고사'에서 유래.
* 사자성어: 한자 네 글자(四字)로 이루어진 말.
따라서 고사에서 유래되지 않고, 한자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는 고사성어라고 볼 수 없다. 다음과 같은 경우를 보자.이런 경우는 한자성어보다 더 상위 범주인 한자어에 해당된다. '고사성어'라는 말 자체도 한자어에 해당한다. 신조어가 많지만 두세 자 정도인 한자어 중에는 오래전부터 관용적 용법으로 쓰인 표현도 많이 있다. 다만 명확한 고사나 출전이 없기에 고사성어 또는 한자 성어라고 하지 않을 뿐이다.(일타쌍피 부귀영화는 사자성어로도 구별된다.)* 예) 당랑거철: '사마귀가 수레에게 앞발을 들고 덤빈다'라는 뜻으로 《장자(莊子)》에 나오는 우화에서 유래.
* 고사성어: 한자 성어 중, 옛이야기(故事)에서 유래한 의미를 함축한 말.
* 예) 삼고초려: 촉한의 유비가 남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가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고사'에서 유래.
* 사자성어: 한자 네 글자(四字)로 이루어진 말.
무엇보다도 네 글자가 아닌 고사성어[1]도 흔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헷갈림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고사성어의 '사'가 '일 事'를 쓰지만 '숫자 四'로 많이들 착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이유 중 하나다.
보통 중국의 역사나 신화, 문학 등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많고, 현재도 중국어로 읽는다면 고사성어 그 자체가 문장인 것들도 많다. 대한민국 고유의 고사성어도 존재한다. 같은 의미이지만 중국과 대한민국에서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속담을 한문으로 번역한 성어, 즉 한자 성어도 많다.(속담 문서 참조) 서양에서도 역시 신화, 종교, 역사 등에서 유래한 표현들이 많으며 격언, 명언으로 인용되는 경우도 자주 있다.
한자를 사용한 단어들이기에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한자'를 대입해서 원래의 뜻과는 다른 새로운 단어를 창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역인 것도 많지만 제법 말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일부러 재해석하여 인용한다. 거의 관용어로 굳어져서 사용되며 사람들이 어떤 일을 보았을 때 그와 관련된 고사성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 오월동주인 처지가 되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따개비 한문숙어라는 학습만화가 사자성어 전파에 큰 역할을 했다.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부딪히는 한 가지 장벽이다. 위 네 언어들을 배우기 어려운 언어로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이자 고급 수준의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를 구사하려면 넘어야 되는 벽 중 하나다. 고사성어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그 말이 만들어진 배경까지 알아두고 있어야 하는데, 이게 한자의 본고장인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된 말들이 많기 때문. 단순히 한자를 안다고 말의 뜻을 이해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보니,[2] 한자까지 어느 정도 능숙하게 구사하는 외국인조차도 고사성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기란 또 다른 노력이 요구된다. 이는 동양권 사람들이 서양권 언어를 배울 때마다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라틴어 표현을 어려워하는 것과 비슷하다. 물론 서양권 숙어도 그 숙어가 만들어진 배경을 알아두고 있어야 알기 쉬워지는 숙어가 많다. '다리나 부러져라!(Break a leg!)'가 '행운을 빈다(Good luck)'라는 뜻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울 테니.
또한 시대가 지남에 따라에 따라 고사성어가 생명력(통용력)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고사성어가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옛사람들의 가치관이므로 시간이 지난 현재의 시대 정신과 조화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그러므로 고사성어라 해서 무작정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은 않다.
현대 한국어에서의 일상대화에선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몰라도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한국어에서보다는 많이 쓰이지만 역시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 편이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봉건 왕조 시절만큼 수시로 쓰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일상적으로 쓰이는 편이고 긴 고사성어를 쓰기도 한다. 원어민답게 상황에 맞게 한자를 교체해 쓰는 경우도 흔하다. 고사성어를 모르면 중국 현대극 드라마의 대사를 이해하는 것조차 어려울 정도이다.
공무원 시험에서 툭하면 등장하는데, 등장하기만 하면 오답률 톱을 찍는다.
3. 목록
3.1. 고사성어가 아닌 것
고사성어로 착각하기 쉬우나, 단어, 행시 또는 고사성어처럼 줄임말로 만들어진 유행어.20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일반에 한문 교양이 다소 남아있어서, "대마불사(大馬不死)", "복지부동(伏地不動)" 같은 유사 고사성어가 만들어지고 유행어가 되기도 했었으나, 오늘날의 한국어에서는 한자 어원이 더 이상 상식으로 작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어원 회복성(resilience)이 사라지고 4자 형태의 비한자 성어들이 많이 생겼다.
내로남불, 할많하않, 자강두천 등 모양만 사자성어인 유행어를 언론이나 방송에서 쓰이기도 한다고 비하할 여지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음운부의 표상성을 나타내는 아주 대표적인 예시로서 언어학적으로는 상당히 흥미로운 주제이다. 즉, 한국어에서 기능하는 성어 자체가 4음절이라는 표상체(template)에 구성어들을 끼워 넣는 작용으로 형성된다는 것이지 그 구성어의 어원은 무관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층위 혼동의 예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마지노선'의 경우 각 음절은 한자에 대응되기 때문에 마치 한자에 기반한 고사성어로 혼동되는 것이다. 층위 혼동의 다른 예시로는 시소, 도대체 등이 있다. 각각 외래어와 한자어인데 고유어로 착각하는 것이다.
- 가패삼기 - "가둬놓고 패다 보면 삼 대 영은 기본." - 축구계 은어이다.
- 강약약강 -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하다. 2010년대 들어와서 생긴 축약어이다.
- 권악징선 - 권선징악의 안티테제이다.
- 낙장불입 - 복수불반분과 비슷하게도 쓰인다. 다만 원본이 화투 용어이므로 진지한 자리에서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내로남불 -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 '불(不)' 만 한자어다. 심지어 '로(romance)'는 외국어이다.[3]
- 내선일체 - 내지와 조선이 한 몸(一體)이다. 라는 뜻을 가진 일본제국의 의제. 일본제국의 대동아공영권이나 나치독일의 레벤스라움과도 궤를 같이하는 말이다.
- 동귀어진 - 엄연히 한자 네 글자로 이루어진 말이기는 하지만 무협 소설 등에서 시작해 현실에서도 많이 쓰이는 언어일 뿐. 고사성어나 사자성어는 아니다.
- 러심푸난 - 러바오 심은 데 푸바오 난다
- 마지노선 - 프랑스의 방어선이다.[4]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구상한 사람의 이름에 '선'이 붙은 것. 다만 어감도 어감이고,[5] 최후의 보루라는 뜻으로 고사성어처럼 사용되는 빈도는 높다.
- 모기지론 - 한자어가 아니라 영어인 Mortgage Loan이며 경제 용어다. 그런데 언뜻 보기에 '론'까지 붙어 있는 게[6] 한자어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에 사자성어인 줄 아는 사람들도 꽤 있다. 실제로 母基地論으로 인식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한자어 모기지(母基地)는 항공 용어로 항공기의 등록 기준지를 뜻한다.
- 반농반목
- 복지부동 - 고사성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1990년대의 유행어이다. 공무원들이 일 안 하고 나 몰라라 하는 모습을 풍자한 것.
- 부초서천 - "부산은 초라하고 서울은 천박하다." - 2020년에 이해찬 전 의원에 의해 만들어진 망언이다... 게다가 '초'와 '서'는 고유어다.
- 사자성어 - 사연속으로 자신감있게 성공한 어윤수
- 사탕발림 - '발림' 부분이 한자가 아니다.
- 삼한사온 - 한국의 겨울철 기후를 말하는 것이다.
- 삼한사미 - 최근 들어 겨울에 중국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삼 일은 혹한, 사 일은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다는 뜻.
- 신토불이 -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뜻은 20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 여촌야도 - 농촌에서는 여당 찍고 도시에서는 야당 찍는다. 80년대까지 한국 선거의 대략적인 구도를 나타내는 의미이다.
- 예송논쟁 - 실리 없이 명분만을 위한 싸움 내지는 시시콜콜해 보이는 논쟁 속에 정치적 대립 관계가 있는 상황을 비유하는 상황에서 언론 등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는데,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지 고사성어로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다.
- 예토전생 - 만화 나루토에 등장하는, 죽은 사람을 되살리는 술법. 예토와 전생 둘 다 국어사전에도 있는 말이고 단어가 실제로 한자로만 구성되어 있어 어감이 있기 때문에 인터넷 은어로 무언가를 부활시킨다는 뜻으로써 고사성어처럼 자주 사용된다.
- 이부망천 - "이혼하면 부천가고 망하면 인천간다." - 2018년에 정태옥 의원에 의해 만들어진 망언이다.
- 일도이부삼백 - '백'은 영어 background에서 유래되었다.
- 자강두천 - "자존심 강한 두 천재의 대결." - 고사성어가 아닌 신조어며 '두'는 한자어가 아니고 순우리말이다.
- 정진정명 - 일본어 단어로, 정확히는 [ruby(正,ruby=しょう)][ruby(真,ruby=しん)][ruby(正,ruby=しょう)][ruby(銘,ruby=めい)](쇼ー신쇼ー메이)이며, 이 세상에 정진정명이라는 표현은 없다. 일기토처럼 일본어 번역체으로, 그냥 한자 4자로 이루어진 일본어 단어를 멋대로 한국식 한자로 읽어버린 잘못된 단어인데, 거기다 고사성어인줄 아는 경우도 허다하다. 의미는 그냥 거짓없이 진실된 분명한 그런 의미.
- 천화동인, 화천대유 - 주역의 64괘 중 ☰ + ☲인 동인(同人)과 ☲ + ☰인 대유(大有). 뉴스에도 등장했던 회사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 홍동백서, 조율이시 - 제사상 법칙. 생긴 지 100년도 안 된 말이다.
- 회유불탁, 회유부탁 - 회원님의 유머에 부랄을 탁~! 치고 갑니다.
- 아시타비 - 내로남불과 같은 뜻.
이 중 고사성어는 아니지만 한자 성어에는 해당하는 경우도 있다. 강약약강(强弱弱强), 검수완박(檢搜完剝), 권악징선(勸惡懲善), 삼한사온(三寒四溫), 삼한사미(三寒四微), 신토불이(身土不二), 이부망천(離富亡川), 여촌야도(與村野都), 예송논쟁(禮訟論爭), 예토전생(穢土転生), 홍동백서(紅東白西))는 한자로 이루어졌으므로 사자성어에 해당된다고 할 수는 있다. 검수완박, 이부망천, 여촌야도 등은 줄임말이고 예송논쟁, 예토전생 등은 특정한 것을 가리키는 고유어지만 고사성어 중에서도 줄임말이나 고유어로 시작한 경우가 적지 않다.[7]
4. 한자 성어를 많이 사용하는 캐릭터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앙골 모아
나중에 가면 소재 고갈(?)로 인해, 그냥 4글자 한자어부터 시작해 점점 사자성어와 먼 말도 한다.말하자면 '아무거나'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 XIII의 라운드 전 대사와 승리 대사를 보면 사자성어를 많이 쓴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따개비 한문숙어 - 등장인물 전원
- 듀라라라!! - 키시타니 신라
- 런닝맨 - 리우
작전명을 붙일 때 사자성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8] - 명탐정 코난 - 모로후시 타카아키
- 모험왕 비트 - 바라사
- 변신자동차 또봇 - 이사팔, 최희죽
- 사이퍼즈 - 루시 리
- 사키 -Saki- - 아마에 코로모 - 평소에 한자어를 많이 섞어 쓴다. 팬픽 같은 데 나오기라도 하면 마냥 귀여운 모드가 아닌 이상 작가의 어휘력을 시험하는 존재.
- 삼국지 조조전 - 여몽
- 앙상블 스타즈 - 미케지마 마다라
- 용사다 시리즈 - 후요 릴리엔솔 유우나
- 우리는 공부를 못해 - 키리스 미하루
- 작안의 샤나 - 티아마트(작안의 샤나) - 고사성어를 많이 쓰는 정도가 아니라 대부분의 대사가 상황에 맞는 고사성어 하나를 툭 던지는 식이며 고사성어가 아닌 말을 한 적이 별로 없다.
- 지박소년 하나코 군 - 야시로 네네
- 철권 - 요시미츠(철권)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자두맛 쿠키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아카자 반반
- 프리파라 - 토도 시온
- 푸른 뇌정 건볼트 爪 - 텐지안
- 휴먼버그대학교 - 와나카 소이치로
- Library of Ruina - 샤오(Project Moon 세계관) - 샤오뿐 아니라 같은 리우 협회 소속 캐릭터들은 고사성어로 된 스킬 이름이 많다. 하지만 대사에서 고사성어를 쓰는 것은 샤오 하나뿐.
5. 관련 문서
6. 외부 링크
- 사이버백과 고사성어
01: 가계야치 ~ 격화소양 .... 25: 호사다마 ~ 희황상인까지 수많은 고사성어의 의미를 정리해둔 사이트.
[1] 계륵, 모순, 등용문, 배수진, 동가식서가숙 등 은근히 많고 자주 쓰인다.[2] 여기서 한자 문화권 버프가 제대로 드러난다. 학교에서 어느 정도 가르쳐 주는지라 굳이 큰 노력 없이 일반적인 사자성어는 알아낼 수 있다.[3]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라는 그럴싸한 신조어로 재창조되어 2020년 교수신문에서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되긴 했다.[4] 영어로 쓰면 'Maginot Line'이다.[5] 魔之路線, 즉 마의 노선으로 착각하기 딱 좋은 어감이다.[6] 이론, 담론, 논쟁, 논문 등 논~론을 한자로 쓰는 사례가 많기 때문.[7] 예를 들어 각 한자의 뜻과는 하등 상관없는 고사성어 새옹지마도 특정 이야기를 가리키는 고유어에서 출발했고, 수많은 고사성어들이 각종 서책 저자의 명언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따르면 예송논쟁은 원래 조선 현종 시기의 정치적 논쟁을 뜻하지만 이미 현대에는 '남이 보기엔 쓸데없는 논쟁'이라는 뜻의 관용어로 자리잡았으며, 예토전생도 만화 나루토의 술법을 가리키는 말에서 죽은 것이 살아 돌아온다는 일상용어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8] 물론 단순히 사자성어가 아닌 4자로 이루어진 단어 또는 영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