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px><tablebordercolor=#ece5b6> 昌寧 曺氏 창녕 조씨 | }}} | |
<colbgcolor=#000> 관향 | 경상남도 창녕군 | ||
시조 | 조계룡(曺繼龍) | ||
중시조 | 조겸(曺謙) | ||
집성촌 | 서울특별시 서초구·중구 부산광역시 기장군·중구 대구광역시 달성군·중구 강원도 강릉시 경기도 여주시·파주시 충청북도 옥천군·진천군 충청남도 금산군·보령시 전라북도 고창군·부안군 전라북도 임실군·순창군·장수군 전라남도 담양군·영암군 전라남도 보성군·진도군·화순군 경상북도 고령군·김천시·상주시 경상북도 성주군·영천시·울릉군 경상남도 밀양시·산청군·의령군 경상남도 창녕군·창원시·합천군 | ||
황해도 봉산군·옹진군 평안남도 강서군·대동군 평안북도 박천군 함경남도 고원군·홍원군 | |||
인구 | 366,798명(2015년) | ||
링크 | 창녕조씨대종회[1] |
[clearfix]
1. 개요
창녕 조씨(昌寧 曺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조계룡(曺繼龍)이다.2. 역사
창녕 조씨의 시조 조계룡은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사위라 전해진다. 조씨 득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 내려온다.한림학사 이광옥(李光玉)의 딸 예향은 창녕현 고암촌(鼓岩村) 태생으로 그녀가 자라서 혼기에 이르렀을 때 우연히 복중에 병이 생겨 화왕산 용지에 가서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리니 신기하게 병이 완쾌되었고 몸에는 태기가 있었다. 어느날 밤 꿈에 한 남자가 나타나 "이 아이의 아버지는 용의 아들 옥결이다. 잘 기르면 자라서 경상이 될 것이며 자손만대 번영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그 후 달이 차서 진평왕 48년(626)에 아들이 태어나니 용모가 준수하고 겨드랑이 밑에 조(曺) 자가 붉게 쓰여 있었다. 이것을 본 학사는 이상히 여겨 이 사실을 왕에게 알리자 왕도 신기하게 여기며 성은 조(曺), 이름은 계룡(繼龍), 자는 인경(鱗卿)이라 하사하였다고 한다. 뒤에 진평왕이 그를 부마로 삼음으로써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지고 벼슬이 보국대장군 상주국대도독 총지휘제군사(輔國大將軍 上柱國大都督 總指揮諸軍事) 금자광록대부 태자태사(金紫光祿大夫 太子太師)에 이르렀다.
창녕 조씨 인물들이 정사에서 뚜렷하게 행적이 남겨진 것은 고려 후기부터이다. 특히 위화도 회군으로 유명한 조민수를 꼽을 수 있는데, 조민수(曺敏修)는 창성부원군이라는 작위를 받은 바 있으며, 이것은 시조 조계룡이 받았다는 작위의 이름과 동일하다. 그리고 공민왕 때 찬성사에 오른 조익청(曺益淸)과 시중에 오른 조한룡(曺漢龍)[2], 조민수의 막내 동생으로 밀직부사를 지낸 조경수(曺敬修부), 고려 말 태학사를 지내고 여말선초 두문동 72현 중 한 사람인 조의생(曺義生)[3]과 역시 두문동 72현 중 한 사람으로 제학을 지낸 조희직(曺希直)[4] 등이 있다. 또 조선 전기에 편찬된 삼강행실도언해에는 고려 고종 40년(1250)에 지금의 춘천 지역에서 몽골군에 항전하다 아내와 같이 불속에 뛰어들어 죽은 조효립(曺孝立)의 기록이 실려 있다.
창녕 조씨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더욱 활발한 활동을 보인다. 조민수의 동생으로 태조 때 경상도병마도절제사를 지낸 조익수(曺益修), 세종 시대에 문과에 장원급제한 조상치(曺尙治),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우고 영의정을 지낸 조석문(曺錫文), 성종 때 성리학의 대가로 두시언해와 만분가를 지은 대문장가 조위(曺偉), 조위의 동생으로 시에 뛰어났으며 중종의 명으로 2륜행실도를 편찬한 조신(曺伸), 연산군 때 호조참판을 역임한 조계형(曺繼衡), 광해군 때 공조참판을 지낸 조탁(曺倬), 임진왜란에서 의병으로 활동하고 광해군 때 대구부사를 지낸 조응인(曺應仁), 인조 때 합천군수를 지낸 조희인(曺希仁), 인조 때 정주목사를 지낸 조정립(曺挺立), 인조 때 창원부사를 지낸 조정생(曺挺生), 인조 때 예조좌랑을 지낸 조시일(曺時逸), 효종 때 양산군수를 지낸 조시량(曺時亮), 숙종때 문과에 장원 급제한 조효창(曺孝昌), 조선 중기의 대유학자이자 북인의 거두로서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등의 의병장들을 배출한 조식(曺植), 고종 때 동지돈녕부사를 지낸 조진구(曺鎭九)와 조진억(曺鎭億), 고종 때 관찰사를 지낸 조시영(曺始永) 등이 이름을 날렸다.
통일신라의 고문헌을 인용[5]하여 녹두처사라는 신원 미상의 인물이 저술한 조선시대 야사서인 삼한습유기[6]에 의하면 조선의 조씨(曺氏)는 현도군(玄菟郡) 유민 자손이라 기록되어있다. 현토군은 옛 고구려와 양맥국, 개마국, 소수맥, 옥저(부조) 같은 남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이다.
3. 기록
3.1. 고려시대
- 문과 합격자 : 3명.
3.2. 조선시대
4. 인구 변화
- 1985년 - 72,213가구, 299,669명
- 2000년 - 105,282가구, 338,222명
- 2015년 - 366,798명
5. 분파
조씨(曺氏)는 창녕 조씨가 단일본이며, 분파는 약 49여 개에 이른다. 같은 조(曺)씨이면서 본관을 달리하는 집안이 있는데, 그 수가 많지 않을 뿐더러 모두 한 집안에서 나왔으므로 단일본으로 본다.- 감사공파(監司公派)
- 낭장공파(郎將公派)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 만호공파(萬戶公派)
- 문익공파(文翊公派)
- 문장공파(文莊公派)[9]
- 문정공파(文貞公派)[10]
- 문간공파(文簡公派)
- 목사공파(牧使公派)
-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 병조참의공파(兵曹參議公派)
- 부사직공파(副司直公派)
- 부위공파(副尉公派)
- 병사공파(兵使公派)
- 부사공파(府使公派)
-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 시직공파(侍直公派)
- 승지공파(承旨公派)
- 사의공파(司議公派)
- 사성공파(司成公派)
- 사정공파(司正公派)
- 사직공파(司直公派)
- 성시공파(成世功派) [11]
- 송학공파(松鶴公派)
- 수찬공파(修撰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12]
- 시중공파(侍中公派)
- 양평공파(襄平公派)[13]
- 지평공파(持平公派)
- 직장공파(直長公派)
- 장양공파(壯襄公派)
- 좌시중공파(左侍中公派)
- 중추공파(中樞公派)
- 지중추공파(知中樞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찬성공파(贊成公派)[14]
- 청간공파(淸澗公派)[15]
- 청구당공파(靑邱堂公派)
- 참의공파(參議公派)[16]
- 참판공파(參判公派)
- 충간공파(忠簡公派)
-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 참의공파(參議公派)
- 충정공파(忠貞公派)
- 충익공파(忠翼公派)
- 취원당파(聚遠堂派)[17]
- 태복경공파(太僕卿公派)[18]
- 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
- 판사공파(判事公派)
- 판윤공파(判尹公派)
- 헌납공파(獻納公派)
- 현감공파(縣監公派)
- 희천공파(熙川公派)[19]
- 효강공파(孝康公派)[20]
6. 항렬
오늘날의 창녕 조씨의 항렬은 비교적 근래에 재정립한 것이다. 창녕 조씨는 조선 중기 이후 각 파에서 항렬자를 엄격히 제정하여 사용하다가, 갑술대동보(1880)를 발간할 때 전국의 종친들이 모여 각 파에서 사용하는 항렬자를 통일하였다. 고려 말기의 인물로 추정[21]되는 갱시조(更始祖) 삼송 형제(송무松茂, 송군松君, 송학松鶴)[22]를 1세로 하여 세대수를 초기화하고 그 22세손을 ◯승(承), 23세손을 병(秉)◯, 24세손을 ◯환(煥) 자로 정한 후 그 이후 세대부터 각 항렬별로 세 자씩의 항렬자를 정했다. 항렬자의 원칙은 오행(五行)인 목화토금수를 부수로 하는 글자로 정했다. 각 세대당 세 자씩 항렬자를 정한 이유는 같은 이름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분파마다 상이하지만[23] 오늘날 활동하는 창녕 조씨의 항렬은 대략 24세에서 28세인데, 오랜 역사에 비해 대수가 짧아 보이는 것은 고려 중기를 기준으로 세대수를 한 번 재정립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세대수의 일의 자릿수가 1이나 6이면 金, 2나 7이면 水, 3이나 8이면 木, 4나 9면 火, 5나 0이면 土이다.그러나 창녕조씨 대종회에서는 각 문중의 파보에 제시되어 있는 항렬자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통일하기로 했다. 2016년 6월 초부터 9월 말까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창녕조씨 족보를 비롯하여 중앙화수회, 대구종회 등 여러 종회에 보관된 파보의 항렬자를 조사하여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항렬자를 2017년 전종대회에서 표준항렬자로 확정하였다. 따라서 아래 항렬표는 2017년 창녕조씨 대종회에서 새롭게 제정한 표준 항렬자이다.
22세 | ◯承(승) |
23세 | 秉(병)◯ |
24세 | ◯煥(환) |
25세 | 圭(규)◯, 喜(희)◯, 在(재)◯ |
26세 | ◯鉉(현), ◯鎬(호), ◯鐘(종) |
27세 | 永(영)◯, 海(해)◯, 洙(수)◯ |
28세 | ◯根(근), ◯植(식), ◯穆(목) |
29세 | 容(용)◯, 炯(형)◯, 然(연)◯ |
30세 | ◯載(재), ◯坤(곤), ◯塤(훈) |
31세 | 鎰(일)◯, 鍵(건)◯, 鏞(용)◯ |
32세 | ◯泰(태), ◯淳(순), ◯淵(연) |
33세 | 東(동)◯, 相(상)◯, 英(영)◯ |
34세 | ◯燮(섭), ◯烈(열), ◯杰(걸) |
35세 | 均(균)◯, 重(중)◯, 垣(원)◯ |
36세 | ◯鎔(용), ◯鎭(진), ◯錫(석) |
37세 | 潤(윤)◯, 準(준)◯, 汶(문)◯ |
38세 | ◯稷(직), ◯栢(백), ◯杓(표) |
39세 | 熙(희)◯, 煐(영)◯, 螢(형)◯ |
40세 | ◯堉(육), ◯墩(돈), ◯培(배) |
41세 | 鐫(전)◯, 銓(전)◯, 鑽(찬)◯ |
42세 | ◯浩(호), ◯河(하), ◯洛(락) |
43세 | 和(화)◯, 楨(정)◯, 桓(환)◯ |
44세 | ◯勳(훈), ◯黙(묵), ◯愚(우) |
7. 집성촌
7.1. 서울·경기·강원
7.2. 경상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수리리
- 대구광역시 중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
- 부산광역시 중구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24]: 태복경공파
-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25]·신리·예지리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매호리: 태복경공파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흥산리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삼호리·오계리[26]·원기리
-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병암리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귀호리·금호리·삼창리[27]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28]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연금리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웅동리
-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대하리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사리[29]
- 경상남도 의령군 화정면 상정리[30]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도야리
-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간상리·대암리·원촌리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이방리
-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세진리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감계리[31]
-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도옥리·봉곡리·안성리: 태복경공파
-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김봉리·압곡리: 태복경공파
-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덕봉리 :부사직공파
7.3. 충청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
-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기전리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동리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
-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봉당리
-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담산리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금지리
7.4. 전라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황산리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동전리
-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산수리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봉덕리
-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삼고리
- 전라남도 곡성군 입면 금산리
-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월양리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금현리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성월리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내리
-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대곡리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대안리
-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 당고리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32]·남풍리
-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오산리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용호리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앵무리[33]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감도리[34]·수만리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대포리·백용리·복암리·서성리·운농리·장동리·청궁리
-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면 남치리·수리·옥리·용곡리
-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대비리[35]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한계리
-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백학리[36]
-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천마리[37]
7.5. 북한
- 황해도 봉산군 영천면 가산리
- 황해도 옹진군 부민면 광평리·부암리
-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반일리[38]
- 평안남도 대동군 용산면 원로리
- 평안북도 박천군 남면 남송리
- 함경남도 고원군 하발면 대수곡리
- 함경남도 홍원군 용원면 도룡리
8. 주요 인물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조경규: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조만식의 손자.
- 조경규: 前 환경부장관
- 조경수 : 가수
- 조경식: 前 환경부장관, 前 농림수산부장관
- 조경택: 前 야구선수, 現 두산 베어스 2군 코치
- 조경환: 前 영화 미술 감독
- 조경환: 前 야구선수
- 조광현: 前 치과의사, 인터넷 유명인.
- 조광환 : 예명 나화랑, 작곡가. 가수 조규찬의 아버지.
- 조국: 前 법무부장관, 前 청와대 민정수석, 교수[39]
- 조규광: 초대 헌법재판소장
- 조규성: 現 FC 미트윌란 소속 축구 선수
- 조규갑: 前 제헌 국회의원
- 조규만: 가수 겸 작곡가
- 조규완: 前 5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규일: 現 진주시장
- 조규제: 前 야구선수
- 조규찬: 가수
- 조규준(영화감독): 영화감독, 작가
- 조규홍: 現 보건복지부장관
- 조규현: 보이그룹 슈퍼주니어의 멤버
- 조기상: 前 정무제1장관, 前 11대, 1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기현: 前 교사, 現 시인
- 조나인: 안무가
- 조다현: 유튜버
- 조닭발: 틱톡커. 본명 조서연
- 조대영: 플로어볼 국가대표
- 조대원: 정치인
- 조대현: 前 KBS 사장
- 조대환: 변호사, 前 청와대 민정수석
- 조덕현: 前 11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도선: 독립유공자
- 조도순: 국립생태원 원장
- 조동연: 군인, 교수
- 조동현: 농구선수
- 조동현: 축구선수
- 조만식: 호 고당. 일제강점기에 물산장려운동을 주도했으며, 비폭력 계몽주의 노선을 택해 '조선의 간디'라 불린다. 해방 후 고향인 평양 지역에 남아 공산화 되어 가는 북한의 현실과 맞서 싸우다 결국 공산당에 의해 처형.[40]
- 조명희: 前 21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미미: 가수
- 조미연: 걸그룹 (여자)아이들과 K/DA의 멤버
- 조민: 조국의 딸.
- 조민국: 축구선수
- 조민수: 고려 말의 권문세족 및 장군. 위화도 회군 당시 좌군도통사로서 이성계와 함께 회군하였고 이후 좌정승에 올라 창왕을 옹립하였으나, 이성계파의 탄핵을 받고 유배에 오름. 문하시중을 지냄.
- 조민호: SBS Sports 소속 아나운서
- 조민우: 보이그룹 EPEX의 멤버. 활동명 아민(EPEX)
- 조방헌: 가수 태진아
- 조범현
- 조병국
- 조병환: 정치인
- 조보아: 배우
- 조봉암: 호 죽산. 대한민국 초대 농림부 장관으로 농지개혁을 이끌었다. 이후 자유당의 독주와 이승만의 독재에 맞서 진보당을 결성하여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두각을 드러냈으나 이승만 정권에 의해 간첩으로 몰려 처형 되었다. 이후 2009년 복권 되었다.[41]
- 조상: 호 봉강. 성리학자
- 조상우: 야구선수
- 조상진
- 조상치: 고려 말 명신인 조익청의 손자. 세종 대에 좌정언('정언'은 승지의 옛 이름)과 집현전 학사 등을 지냈으며, 단종 대에 집현전 부제학이 되었다.[42]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한 후 예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벼슬을 사직하고 낙향하여 후학을 길렀다. 많은 글을 남겼으나 사망 후 모두 소각하라는 유언을 남겼고, 자신의 묘비에는 ‘노산조 부제학 포인 조상치의 묘[魯山朝副提學逋人曺尙治之墓]’라고 쓰라는 유언 또한 남겼다. '노산조'라고 함은 수양대군의 신하가 아님을 밝힌 것이고, '부제학'은 있었던 사실을 그대로 기재한 것이며, '포인'이라 함은 망명하여 도망간 신하를 뜻하는 것이다.
- 조상현: 농구선수
- 조서연 : 뮤지컬 배우
- 조서영: 걸그룹 퍼플키스의 멤버
- 조석문: 조민수의 막내 동생으로 공신이자 서성군(瑞誠君)에 봉해진 조경수(曺敬修)의 손자로 세조 대 영의정을 지냈으며,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 조성모: 가수
- 조성현: 가수 태진아의 아들인 이루
- 조성환: 호 청사. 독립유공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 북로군정서 군사부장, 신민부 외교부장 및 집행위원, 한국독립당 대표[43]
- 조성환: 정치인
- 조세림: 걸그룹 EVERGLOW의 멤버
- 조세호: 개그맨, MC
- 조수미: 성악가
- 조수민: 배우
- 조수향: 배우
- 조승아: 바둑기사
- 조승연: 보이그룹 UNIQ의 멤버이자 솔로가수 WOODZ
- 조승우: 배우
- 조식: 호 남명. 조선 중기의 대유학자로, 영남학파의 거두. 주로 실천적 입장에서의 유학을 주장하였으며, 인(仁)을 중시한 퇴계 학파와 달리 의(義)를 중시하여 실제로 그의 제자 중 상당수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다. 대표적인 인물이 곽재우, 정인홍. 붕당 중 북인의 뿌리로 알려져 있다.
- 조아람
- 조양은
- 조양환
- 조여정: 배우
- 조영규: 호 관해. 의사, 제헌 국회의원, 前 3대, 4대, 5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영달: 교육인
- 조오섭: 現 21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웅천: 야구선수
- 조위: 조선, 성종대. 조민수의 막내 동생 서성군(瑞誠君) 조경수(曺敬修)의 증손자이며,성리학의 대가로 두시언해와 만분가를 지었으며 대문장가이다. 도승지,성균관대사성,관찰사,호조참판 등을 역임했으며 호는 매계(梅溪),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 조유리: 걸그룹 IZ*ONE 출신 여자 솔로 뮤지션.
- 조유민: 축구선수
- 조윤서: 유튜버
- 조윤형: 축구선수
- 조은심: 가수 송가인
- 조은애: 걸그룹 소나무 前 멤버(디애나)
- 조이환
- 조익청: 고려 말의 명신. 충숙왕 때 처음 중랑장으로 벼슬을 시작하였고, 충혜왕 즉위 후 충숙왕이 복위하자, 충혜왕 시기의 간신을 제거하였으나 얼마 안 되어 충숙왕이 승하하고 충혜왕이 다시 왕위에 오르자 좌천되었다. 공민왕이 즉위하자 다시 중용되어 찬성사가 되고, 1352년에는 공민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호종한 공으로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1등에 올랐으며, 이어 좌정승에 올라 하성부원군(夏城府院君)에 봉해지고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純城直節同德贊化功臣)의 칭호를 받았다. 1376년(우왕 2) 공민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 조일현: 前 14대, 17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일호
- 조일환: 호 일송. 前 4대, 5대, 7대, 8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재영: 前 야구선수 現 야구코치
- 조재진
- 조재천: 前 25대 내무부 장관
- 조재현: 배우
- 조정민: 가수
- 조정석: 배우
- 조정익: 배우
- 조정치: 가수
- 조정환: 前 38대 제2작전사령관, 前 43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 조진호: 야구선수
- 조철현
- 조평규: 기업인
- 조평열
- 조하슬: 걸그룹 이달의 소녀의 멤버
- 조해녕: 前 창원시장(관선), 前 대구광역시장(민선)
- 조해진: 前 18대, 19대, 現 21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향현
- 조형부
- 조혜정: 배구선수
- 조혜정: 배우, 조재현의 딸.
- 조화성: 디자이너
- 조효원: 프라우드먼 소속 댄서.
- 조훈현: 프로 바둑기사, 前 20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 조흥만: 前 11대 내무부 치안국장, 조대현의 아버지
- 조희대: 대한민국 제17대 대법원장
- 조희성
- 조희연: 사회학자, 前 서울특별시교육감
- 조희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사기 사건을 일으킨 사기꾼
- 조성현: 대한유화 연구원
[1] 홈페이지 체제에서 다음 카페 체제로 바뀜[2] 조한룡의 아버지는 조정통으로 고려시기 시중에 올랐고, 조정통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강진조에 나오는 조정(曺精)이란 인물과 동일인이다. 조정통은 바둑에 뛰어난 재주가 있었으며, 조한룡을 포함한 다섯 아들이 모두 문과에 급제해 오룡(五龍) 집안이라 불렸다. 조한룡은 태종14년 입적하여 청간(淸簡)의 시호가 내려졌다.[3] 자는 원촌(遠村)[4] 조한룡의 손자로, 공민왕때 정언(正言, 종6품)으로 재임했고, 부인은 강윤충(康允忠)의 딸이며 조선 태조 이성계와 처사촌 지간이다. 신돈의 비행을 탄핵하다 진도로 유배되었고, 진도군에 세거하는 후손들의 파조이다.(청간공파, 정언공파로 불리운다.)[5] 청학집(1614년)에 삼한습유기가 신라 서산(瑞山)의 석실에서 발견되었다고 기록된것을 참고하면 저자인 녹두처사가 옛 신라의 고문헌들을 참고해서 저술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처사(處士)라는 용어는 고려시대 초기~조선시대 중기에 사용되었다. 일제시대 학자 이마니시 류가 소장한 운학선생실기에는 나단산(羅端山)으로 적혀있지만 가장 오래된 판본인 규장각본을 포함한 다른 판본들에 전부 서(瑞)로 적혀있어서 한자어 라(羅)가 신라의 약칭으로 쓰였음을 참고하여 신라 서산이라 해석하여 읽기도 한다.[6] 원본은 실전되었고 청학집에 일부 내용이 적혀있고 참고로 삼한습유기의 일부 기록은 조선왕조 건국 이후에 내용이 추가된 것으로 보이므로 삼한습유기 문헌을 발견한 청학상인 위한조(魏漢祚)가 삼한습유기의 실질적인 저자라 보기도 한다.[7] 세조 때 영의정 조석문은 3차례 공신(적개공신, 익대공신, 좌리공신)에 책록되었다. 중종 때 문신 조계형은 정국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삭훈되었다.[8]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9] 경상북도 김천출신인 문장공 매계 조위(曺偉)를 파조로 한다.[10] 문정공 남명 조식을 파조로 한다.[11]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는 시기에 활약한 고려의 무신 성시공을 파조로 한다.[12] 고려 말 정4품 관직인 시랑공을 지낸 조갑생을 파조로 한다.[13] 고려 후기 연저수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좌정승에 올라 하성부원군에 봉해진 양평공 조익청(曺益淸)을 파조로 한다. 창녕조씨 대종회 추산 전국 40만 창녕조씨 중 약 65% 정도가 양평공의 후손이라한다.[14] 조민수의 동생으로 단성좌명공신 좌찬성 조경수(曺敬修)를 파조로 한다.[15] 고려 때 시중(侍中)을 역임한 조한룡(曺漢龍)을 파조로 한다.[16] 조민수의 동생 찬성공 조경수의 막내 아들로 김천입향조인 참의공 조심(曺深)을 파조로 한다.[17] 조선 중기 평안도도사를 역임한 조광익(曺光益)을 파조로 한다. 조광익의 호(號)가 취원당(聚遠堂)이다.[18] 고려 후기 종3품 태복경(太僕卿)을 역임한 조흥(曺興)을 파조로 한다. 항렬에서 1세로 삼는 갱시조 삼송 형제(송무松茂, 송군松君, 송학松鶴) 중 송군(松君)의 후손으로는 태복경공파가 유일하다. 과거합격자 수십명을 배출한 명문가였지만 이인좌의 난에 가담해 일부 계대의 후손들이 몰락했다.[19] 조선 태조 때 판희천군사(判熙川郡事)를 지낸 조신충(曺信忠)을 파조로 하며, 주로 경상북도 영천시 일원에 세거한다.[20] 경상북도 김천출신으로 매계 조위의 동생 효강공 적암 조신(曺伸)을 파조로 한다.[21] 1세대를 30년으로 보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2020년 현재 창녕 조씨는 24~28세까지 생존해 있다. 24×30=720이므로, 2020-720=1300, 즉 고려 말기가 된다. 중시조 조겸으로부터 계산해도 같은 결과를 얻는다.[22] 이들 3형제는 중시조 조겸의 12대손(=13세손)이다. 조겸으로부터 이들 3형제까지의 계보는 태복경공파보(1990) 등에 나와 있다.[23] 일부 분파에선 27~32세가 현재 활동 중인 경우도 있다.[24] 성리학자 봉강 조상, 4선 국회의원 조일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 창녕조씨 태복경공파 집성촌, 우리 집안이 이인좌의 난 때문에 몰락함[25] 작사·작곡가인 고려성·나화랑 형제의 출신 지역이자 형제그룹 조트리오의 본적지다.[26] 사기꾼 조희팔이 이 마을 출신이다.[27] 희천공파(熙川公派)-사의공계(司議公系) 후손들이 주로 세거하는 마을로, 독립유공자 조병화·조재만, 조규설·조규창 전 국회의원, 정치인 조병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28] 독립유공자 조병진·조재복이 이 마을 출신이다.[29] 남명 조식의 묘소가 이 마을에 있다.[30] 독립유공자 조재학이 이 마을 출신이다.[31] 독립유공자 조윤호와 조희순이 이 마을 출신이다.[32] 독립유공자 조문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33] 트로트가수 송가인이 이 마을 출신이다.[34] 조국현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35] 독립유공자 조병의가 이 마을 출신이다.[36] 국가등록문화재 영광 창녕조씨 관해공 가옥 (靈光 昌寧曺氏 觀海公 家屋)이 있다.[37] 조암부락, 금자부락에 창녕 조씨 선영이 있다.[38] 독립운동가 조만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39] 법적인 본명이자 실제로 사용하는 이름은 조국이지만, 창녕 조씨 태복경공파보(1990)에는 항렬자를 맞추어 조국현으로 기재되어 있다.[40] 197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41] 매계 조위의 15대손이다.[42] 집현전의 수장은 대제학이지만, 대제학은 겸직이라 부제학이 실질적인 수장이었다.[43]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