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2:31:15

PokéRogue

포켓로그에서 넘어옴
<colbgcolor=#303f6c><colcolor=#fff> 포켓로그[1]
PokéRogue
파일:pokerogue_logo.png
개발 Pagefault Games
장르 RPG, 로그라이크
플랫폼 (TypeScript)
출시 2024년 3월
언어 영어, 한국어[2],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브라질 포르투갈어), 중국어(번체, 간체)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포켓로그 위키 로고.png[위키]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
2.1. 스타팅 포켓몬2.2. 포켓몬 융합2.3. 색이 다른 포켓몬
3. 모드
3.1. 클래식
3.1.1. 트레이너 배틀3.1.2. 보스 포켓몬3.1.3. 추천 포켓몬
3.2. 챌린지 모드3.3. 엔드리스
3.3.1. 주요 전략 및 추천 포켓몬
3.4. 엔드리스(융합체)3.5. 데일리 런
4. 바이옴5. 아이템6. 진화
6.1. 진화의돌6.2. 바이옴 진화6.3. 아이템 진화6.4. 통신 진화6.5. 친밀도 진화6.6. 레벨 업 진화6.7. 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7. 알
7.1. 알 뽑기7.2. 알 바우처
8. 배틀 기믹9. BGM
9.1. BGM 리스트
10. 구현되지 않은 기술 및 특성
10.1. 미구현 (N)10.2. 부분 구현 (P)
11. 오류 및 버그
11.1. 목록
12. 평가13. 기타

[clearfix]

1. 개요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대전을 기반으로 한 로그라이트팬 게임이다. 게임 메인 홈페이지에 의하면 공식적으로 Risk of Rain 2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한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 가능한 웹게임이며, 공식 깃허브에서 PC나 모바일에서 실행 가능한 오프라인 버전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4] 2024년 5월 30일 공식으로 온라인 한국어 버전이 나옴과 동시에 유명 방송인들이 여럿이 플레이하면서 한국에서 주목을 받았다. 한국에서 접속 시 기본적으로 한국어로 실행되며 설정을 통해 다른 언어로 변경이 가능하다.

2. 특징

포켓몬스터 본가 시리즈의 배틀 시스템을 위주로 차용해 만들어져, 계속 배틀을 하며 나아가는 본가의 배틀타워와 같은 느낌을 준다. 맵 등의 탐험 요소는 전혀 없고 PvE에 집중되어 있으며, 배틀의 종류는 야생 배틀, 트레이너 배틀, 보스 배틀 같은 '웨이브(wave)'로 나뉜다.

포켓몬 보유 수는 본가와 마찬가지로 최대 6마리까지만 데리고 있을 수 있다. 배틀 시 6마리가 모두 기절하는 경우 게임 오버 처리가 되어 해당 저장 데이터는 사라진다.[5]

로그라이트의 게임 방식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 웨이브 종료 시점마다 상점이 열리고, 랜덤하게 지급되는 아이템 중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많은 로그라이크 게임처럼 어떤 아이템이 등장하는지에 따라 게임 난이도 차이가 크다. 이 때문에 포켓몬 하나에 여러 종류의 아이템을 지니게 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 대신 기존의 방식처럼 배틀 도중 원하는 타이밍에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다. 포켓몬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배틀에서 승리해야 한다는 뜻. 이 때문에 포켓로그에서는 '내 포켓몬에게 공격이 들어오기도 전에' 상대 포켓몬을 먼저 한 방에 기절시키는 배틀 방식이 선호되며, 본편보다 열매의 사용 빈도가 소소하게 오르기도 했다. 그래서 난도는 체감상 여타 게임보다 더욱 어렵다.

모든 배틀은 연속해서 이루어지며, 상점이나 특정 웨이브의 전체 회복을 제외하면 별도의 회복 조치는 없다. 야생 포켓몬 상대로는 배틀 시작 전에 포켓몬을 교체할 수 있으며, 이걸로는 턴이 경과하지 않기에 상성에 유리한 포켓몬으로 상대할 수 있다. 스테이터스 상승이나 필드에 영향을 끼치는 변화는 배틀이 끝나도 효과가 지속되기에 한번 능력치를 올려놓으면 다음 배틀이 쉬워진다. 배틀 종료 시점은 '한쪽 포켓몬이 전멸 + 필드에 나와 있는 모든 포켓몬이 기술을 사용한 후'이므로 더블 배틀 등에서는 일단 상대를 쓰러트린 후 보조 기술을 사용해서 다음 배틀을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단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일단 내보낸 포켓몬을 한 번 집어넣은 후 다시 내보내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전부 사라진 상태로 시작하게 된다.

또한 파티가 전부 다운되었더라도 게임 오버가 되기 전에 새로고침 혹은 설정으로 배틀의 시작 시점부터 다시 할 수 있는데, 이때 포케로그 특성상 변수나 확률은 변동되는 것이 아닌 고정값으로 계산되기에 주의. 만약 상대한테서 기술이 빗나가거나 급소에 명중되는 경우로는 아무리 새로고침해도 반드시 빗나갈 확률이 있는 기술은 반드시 빗나가고 급소도 반드시 맞는 등 결과는 반드시 고정된다는 소리. 따라서 포켓몬을 교체하거나 다른 기술을 써서 상대 포켓몬을 쓰러뜨리는 타이밍을 바꿔야 다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포켓몬은 1세대부터 9세대까지 전부 등장하며, 메가진화리전폼 등 배틀 기믹도 존재한다. 레벨 100이 한도인 포켓몬 본가와는 달리 클래식 모드에서는 레벨캡 개념으로 10라운드마다 레벨캡이 상승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레벨 제한이 200까지 상승한다.[6] 또한 무한 모드에서는 레벨 제한이 없기 때문에 레벨 수만 이상의 포켓몬도 볼 수 있다.

이미지는 모두 5세대 도트 그래픽 기반이며,[7] 공식 도트 그래픽이 없는 6세대부터는 포켓몬 쇼다운에서 제공되는 팬메이드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게임 기본 그래픽 설정은 5세대 포켓몬까지만 움직이고 6세대 포켓몬부터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설정 메뉴의 'Sprite Set'에서 'Mixed Animated'를 선택하면 6~9세대 포켓몬도 (일부)움직이는 도트 스프라이트를 볼 수 있다.[8] BGM의 경우는 공식 포켓몬 게임의 BGM이 대부분이나 몇몇 곡들은 PokéRogue 오리지널 곡들인 경우도 존재한다. 자세한 건 후술할 BGM 문단 참조.

2.1. 스타팅 포켓몬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는 1~9세대의 스타팅 포켓몬만 선택할 수 있으나,[9] 게임을 진행하며 포켓몬을 잡거나 알을 부화하면 새로 하기(New Game)를 할 때 잡거나 부화한 포켓몬을 고를 수 있게 된다. 한 종류의 포켓몬을 여러 마리를 잡으면 개체치는 각 스탯마다 가장 높았던 수치로 대체되며, 특성과 성격, 성별 또한 해당 포켓몬으로 발견한 것들 중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하기에 회차 플레이를 할 수록 더욱 쉬워진다. 만약 진화체를 잡았을 경우 그 포켓몬의 미진화체가 대신 해금된다.[10]

기본적으로 포켓몬마다 정해진 코스트(Cost)가 할당되어 있으며, 모드마다 정해진 코스트 한도 내에서 최대 6마리의 포켓몬을 엔트리에 포함시킬 수 있다.

스타팅 포켓몬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사탕(Candies)이 있는데, 이는 해당 포켓몬을 포획하거나 친밀도가 일정 수치만큼 누적될 때마다 하나씩, 알에서 해당 포켓몬이 부화했을 때 두 개씩 획득할 수 있다. 포획, 부화시 한정으로 보스는 2배, 일반 이로치는 5배, 레어 이로치는 10배, 에픽 이로치는 20배의 사탕을 얻을 수 있다. 획득한 사탕으로는 포켓몬의 코스트를 1씩 최대 2번 절감하거나,[11] 패시브를 해금할 수 있다.[12] 또한 패시브를 해금한 포켓몬에 사탕을 사용하여 대상 포켓몬의 알을 확정 획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확정 알에서는 이로치 포켓몬 및 레어 알 기술을 보유할 확률이 높아진다. 알을 하나 뽑는데 드는 사탕은 커먼 35개, 레어 30개, 에픽 20개 / 15개[13], 레전더리 10개이다.

포켓러스 또한 원작과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데, 매일 국제표준시 기준 오전 12시, 한국 기준 오전 9시마다 선택 화면에서 랜덤한 3마리의 포켓몬이 포켓러스에 감염되며, 보라색 테두리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포켓러스에 감염된 포켓몬은 경험치 획득량이 1.5배로 늘어나며, 모든 전투가 시작될 때마다 엔트리에 포함된 다른 포켓몬에게 포켓러스를 1/10 확률로 전염시킨다.

2.2. 포켓몬 융합

아시아권 포덕들에게는 생소해 끔찍한 혼종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영어권에서는 스토리 돌파 위주의 포켓몬 유튜버라면 퓨전 포켓몬 팬게임/개조롬은 어지간하면 한번은 해보고 넘어가는 정도로 나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이렇다보니 본 게임에서도 포켓몬의 융합이 가능하다.

융합체 포켓몬은 게임 중 도구 선택화면에 등장하는 유전자쐐기(DNA Splicers)를 사용하면 지니고 있는 포켓몬 두 마리를 선택하여 융합할 수 있다.

2.3. 색이 다른 포켓몬

본가의 색이 다른 포켓몬은 희귀할 뿐 그저 치장성 시스템에 불과하나, 포켓로그의 색이 다른 포켓몬은 게임 플레이에 큰 영향을 주며, 본가 이상으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야생에서는 6세대 이후의 본가에 비해서 2배 높은 1/2048의 확률로 등장하며, 빛나는부적을 소지하고 있으면 1/256로 대폭 상승하고, 추가적인 빛나는부적을 얻을 때마다 2배씩 높아져 최대 4개인 1/32까지 높일 수 있다. 알에서 부화할 때는 야생보다 훨씬 높은 1/256의 확률로 등장하며, 다른 색 업! 뽑기에서 나온 알은 1/64로 확률이 오른다.

포켓로그에선 색이 다른 포켓몬에도 종류와 등급이 존재하는데, 본가에 존재하는 배색인 일반 이로치 외에 포켓로그의 오리지널 배색인 레어 이로치, 에픽 이로치가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일반 - 레어 - 에픽 순으로 더욱 희귀해지며, 레어 이로치는 일반의 1/2, 에픽 이로치는 일반의 1/6의 확률로 등장한다.

색이 다른 포켓몬이 파티에 존재 할 경우 행운(Luck) 수치가 오르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행운 등급이 높아져 등장하는 아이템의 등급이 상승할 확률이 오르게 된다. 행운 수치는 이로치의 등급에 따라 1~3까지 부여되며, 기절하지 않은 상태의 이로치 포켓몬의 행운 수치를 합산하여 결정 된다. 만약 유전자 쐐기로 이로치 포켓몬을 합칠 경우 두 포켓몬의 행운 수치 역시 합쳐지며, 합치기 전과 동일한 행운 등급을 유지하게 된다. 다만 합체 후 분리할 경우에는 2번째로 선택한 포켓몬의 행운 수치는 사라지므로 주의.

행운 등급은 이로치가 없는 0포인트 기준 D등급부터 시작하여, 최대 14포인트의 SSS등급까지 오를 수 있다. 행운 등급이 상승할 때마다 대략 0.7~0.8%p의 확률이 증가하며, 최대 등급인 SSS은 최저 등급인 D보다 4배 이상의 확률로 아이템 등급이 상승하므로 이로치의 유무는 고급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등급에서 거의 동일한 %p의 확률이 증가하므로, 행운 수치가 낮은 시점에서의 등급 상승 체감이 상대적으로 훨씬 높으니 파티에 일정량의 이로치를 확보해둘 것이 권장된다. 4포인트 정도만 확보해 B등급만 되어도 D등급의 2배에 육박한다.
행운
<rowcolor=#ffffff> 행운 수치 행운 등급 등급 상승 확률
0 D 4/128 (3.12%)
1 C 4/102 (3.92%)
2 C+ 4/85 (4.70%)
3 B- 4/73 (5.48%)
4 B 4/64 (6.25%)
5 B+ 4/56 (7.14%)
6 A- 4/51 (7.84%)
7 A 4/46 (8.70%)
8 A+ 4/42 (9.52%)
9 A++ 4/39 (10.3%)
10 S 4/36 (11.1%)
11 S+ 4/34 (11.8%)
12 SS 4/32 (12.5%)
13 SS+ 4/30 (13.3%)
14 SSS 4/28 (14.3%)

3. 모드

포켓로그에는 아래와 같은 게임 모드가 있다.

3.1. 클래식

가장 기본적인 모드로, 10웨이브마다 바이옴들이 바뀌며 모든 포켓몬의 HP 및 상태이상이 회복된다. 이때는 다른 웨이브와 달리 아이템 구매/포켓몬 간 전달이 불가능하다. 지도 아이템을 얻은 경우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바뀔 때 일정 확률로 현재 바이옴에서 연결된 다음 바이옴을 선택할 수 있다. 총 200개의 웨이브까지 존재하며, 최초로 웨이브 200에서 승리하면 엔드리스 모드의 해금과 함께 최종 보스가 지니고 있던 미니 블랙홀[19]이 상점 아이템 테이블에 추가된다. 또한 유전자쐐기를 사용한 융합 포켓몬을 데리고 승리했다면 스플라이스드 엔드리스 모드도 함께 해금된다.

일반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 이외에 야생 보스 포켓몬, 일반 트레이너, 라이벌, 체육관 관장, 사천왕, 챔피언, 악의 조직과의 배틀이 존재한다.

드문드문 나타나는 라이벌의 대사를 보면 의외로 간단한 스토리가 존재하는데, 요약하면 포켓로그의 배틀 자체가 무한다이노가 만들어낸 루프이며, 주인공과 라이벌이 루프 속에서 무한히 헤메고 있었다는 내용이다. 클래식 모드에서 연달아 진행한 배틀이 모두 무한다이노의 루프라는 설정.

3.1.1. 트레이너 배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kéRogue/트레이너 배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보스 포켓몬

보스 포켓몬은 HP 바가 '보스 실드'라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있고, 각 포켓몬 계열에게 지정된 패시브 효과를 보유한 강력한 포켓몬이다. 보스 실드는 일반적으로 한 번의 공격으로 한 줄을 초과하는 대미지를 줄 수 없으며, 실드 한 줄이 사라질 때마다 보스의 5대 능력치 중 하나가 1랭크 상승한다. 또한 길동무, 멸망의노래, 아픔나누기, 죽기살기 등 피해 없이 HP를 조작하는 기술에 면역이다.

약점 찌르기, 카운터 등의 반격기, 고위력 자속기 등으로 한계를 초과하는 대미지를 입힐 경우, 동시에 여러 개의 실드를 파괴할 수 있다. 추가 실드 파괴는 (실드 한 줄 HP)×2^(추가 실드 개수)만큼의 대미지를 줘야 한다. 예를 들어 실드가 4줄인 195웨이브 라이벌의 메가레쿠쟈는 실드 한 줄만큼의 HP의 8배의 대미지를 줘야 모든 실드를 한 번에 파괴할 수 있다. 보스 포켓몬을 모든 실드를 파괴하려면 실드가 2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1배, 3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1.333배, 4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2배, 5줄일 때는 최대 체력의 3.2배의 대미지가 필요하다.

체육관 관장 및 챔피언 배틀이 아닌 10의 배수 웨이브에서는 해당 바이옴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중 하나가 2줄의 실드를 가진 야생 보스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실드가 한 줄만 남은 경우 포획이 가능하며, 마스터볼을 던지면 실드를 무시하고 한 번에 포획할 수 있다. 단, 엔드 바이옴의 보스 포켓몬은 클래식 모드를 플레이중이고 소유하고 있지 않는 한 잡을 수 없으며, 플레이어는 보스 포켓몬의 패시브를 사용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없다.

웨이브 191부터는 야생 포켓몬들이 패러독스 포켓몬들로 고정되며, 처음에는 이들을 잡을 순 없고 알 뽑기에서 획득한 패러독스 포켓몬에 한해서 잡을 수 있다. 마지막인 웨이브 200에서는 무한다이노가 고정으로 등장한다.[20]

3.1.3. 추천 포켓몬

클래식 모드를 공략해나가는 데 좋은 포켓몬은 다음과 같다.

3.2. 챌린지 모드

특정 세대나 특정 타입, 혹은 둘 다 제한해 플레이하는 모드이다. 스타팅 포켓몬은 선택한 세대/타입을 제외하곤 선택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 포획은 가능하나 배틀에 내보낼 수 없다. 만약 선택한 세대/타입의 포켓몬이 전부 쓰러졌다면, 엔트리에 (해당 포켓몬들을 제외한) 다른 포켓몬들이 있더라도 패배한 것으로 처리된다.

특정 세대 제한 챌린지의 경우, 미진화체가 다른 세대인 경우 진화형을 직접 잡아서 사용해야 하며, 반대로 진화형이 다른 세대에 나온 포켓몬(예:골뱃→크로뱃)일 경우 진화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된다.[39] 특정 타입 제한 챌린지의 경우, 진화해야 해당 타입이 추가되는 포켓몬들은 진화형을 직접 잡아서 사용해야 하며, 반대로 진화하면 해당 타입이 사라지는 포켓몬들은 진화시키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예외로 포켓로그 시스템상 진화지만 배틀 기믹인 메가진화와 거다이맥스는 세대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테라스탈의 경우 해당 챌린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입 포켓몬은 어느 타입으로 테라했든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없는 포켓몬도 챌린지와 동일한 타입으로 테라스탈했다면 10번의 배틀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3.3. 엔드리스

클래식 모드 최초 클리어시 해금되는 모드. 이름대로 끝없이 싸우는 모드지만, 실제로는 2024년 6월 기준 5850층이 끝이다.[40]

엔드리스 모드는 첫 포켓몬 선택 포인트가 클래식보다 5 증가한 15로 시작하여 편성이 좀 더 편리해지고, 바이옴은 1~4웨이브마다 랜덤으로 변경되며 지도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50웨이브마다 랜덤한 보스 패러독스 포켓몬이 등장하고, 250웨이브마다 무한다이노가 등장하며, 1000웨이브마다는 무한다이맥스 무한다이노가 등장한다.

트레이너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의외로 초반에는 체급이 높은 포켓몬으로 쓸어버릴 수 있어 클래식보다 수월한 면도 있다. 하지만 가면 갈수록 엔드리스 전용 시스템인 토큰 시스템으로 인해, 상대 야생 포켓몬이 각종 사기적인 효과를 받게 되면서 레벨을 따라잡는 것만으로는 배틀에서 승리하기 힘들어진다. 토큰의 종류만 해도 평범하게 입히는 데미지가 증가하거나 받는 데미지가 감소하는 토큰은 기본이고[41], 몇백 층 정도만 등반해도 공격에 맹독, 화상, 마비와 같은 상태이상을 10스택 기준 50% 확률로 묻히는 토큰도 생기는데다, 이보다 높은 층수에서는 10스택 기준 20% 확률로 일격기를 제외한 모든 데미지에 한 턴 동안 확정으로 살게 만드는 버티기 토큰과, 매 턴 체력 20% 회복, 25% 확률로 상태이상을 해제하는 토큰까지 생기면서 사실상 평범한 배틀 전략으로는 3000층 이후로는 웨이브 격파가 불가능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보통 이 이후로 진행할 생각이 있다면 후술할 도주런이라는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까지 극악의 환경까지 치닫는 엔드리스 모드를 등반하는 이유로는, 실질적인 최종 웨이브인 5850웨이브 도달을 목적으로 도전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0웨이브마다 얻는 플러스 바우처, 그리고 클래식의 몇십 배나 되는 수많은 웨이브에서 쌓아올린 패시브 아이템을 누적시켜, 최종적으로 클래식에서 보기 드문 색이 다른 포켓몬과 전설의 포켓몬을 다수 포획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물론 도주런을 시작하면 보스전의 보상인 플러스 바우처 외의 아이템은 사실상 얻을 수 없지만, 대신 그 전까지 쌓아둔 수많은 아이템들, 특히 빛나는부적 4스택을 모은 뒤 전설의 포켓몬이나 색이 다른 포켓몬을 그 전까지 쌓아둔 마스터볼로 잡으면 그만이다. 따라서 무한 모드는 처음부터 높은 행운 수치로 2000층 전까지 빛나는부적을 4스택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아이템의 밸류를 올려 최소한의 행운을 확보할 이로치가 2마리 이상 있을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추천된다. 물론 이로치가 없더라도 워낙 여유 웨이브가 많고[42], 그에 따라 금구슬류의 아이템이 주는 골드 대비 리롤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폭락하기 때문에 록캡슐을 챙긴 뒤 상점에서 무한 리롤을 돌려 마스터 등급 아이템을 여러 차례 띄우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그 많은 웨이브에서 만나는 야생 포켓몬 중에서 색이 다른 포켓몬이 출현할 가능성도 꽤나 높으므로, 행운 수치 0으로 시작하더라도 도주런 전까지 충분히 많은 행운 수치를 확보하는 것도 불가능은 아니다. 1회차에는 적당히 기반이 될 이로치를 모을 겸 1000층대 정도까지만 가고, 2회차부터 본격적으로 1회차에 파밍한 이로치를 추가로 기용해 안정적으로 등반하는 것도 방법.

굳이 이로치를 노리는 상황이 아닌, 클래식을 여러 번 돌아 어지간한 관장을 전부 깨서 플러스 바우처를 얻기 힘들어진 이후라면 클래식 반복런보다 훨씬 고효율로 플러스 바우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굳이 2000층까지 가지 않아도 적당한 고효율 준전설만으로 충분히 많은 양의 바우처를 파밍할 수 있으므로, 클래식 3~4회차 정도를 넘기고 어느 정도 알까기를 진행한 뒤, 이제 막 초전설이나 이로치를 노리는 상황이라면 적극 추천된다. 아예 엔드리스 50층 보상만 먹고 다시 시작하는 50층런이 초반 파밍법 중 하나일 정도.

3.3.1. 주요 전략 및 추천 포켓몬

이 문단에서는 일반적인 엔드리스 모드를 플레이하는 주요 목적인, 색이 다른 포켓몬과 전설의 포켓몬을 파밍할 때를 위한 전략을 서술한다.
이 때는 도주런 대비에 대해서는 그다지 생각하지 않고, 에이스 포켓몬의 도핑작, 마음의물방울 스택을 쌓으면서 록캡슐을 먹고 빛나는부적을 4스택 쌓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다만 아직 여러 번의 리롤은 비용이 다소 부담스러울 시기이기 때문에, 웨이브 여유도 아직 충분하고 하니 너무 과하게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 클래식에서도 유용했던 픽업 특성은 이곳에서는 그 이상으로 유용하므로, 반드시 미리미리 영입해두는 것을 추천한다. 이 때 모아둔 열매 및 각종 타입별 딜뻥 도구들, 행복의알과 황금의알 같은 경험치 도구는 도주런 시기까지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버리는 시점은 열매를 90% 확률로 소모하지 않게 되는 열매주머니 3스택 이후를 추천하지만, 픽업몬이 이로치라면 다른 이로치와 합쳐 행운 등급 유지용으로 사용해도 괜찮다.
주로 추천되는 것은 까다로운 더블배틀을 쉽게 밀어낼 광역기를 보유한 포켓몬이며, 물리형은 위협, 나쁜손버릇 등 변수가 많아 특수형 포켓몬이 훨씬 선호받는다. 주로 스피드가 빠르고, 타점이 좋은 타입의 광역기를 배우는 포켓몬들이 선호받는다. 다만 무한모드 특성상 실크스카프를 얻을 확률이 다른 타입 도구에 비해 훨씬 높으므로, 1000층 중후반대부터는 비자속이라도 하이퍼보이스폭음파의 데미지가 더 강해질 수 있어 이를 채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2500층 이후로는 배틀을 통한 일반적인 공략이 아예 불가능하기 때문에 파티에서 아예 빠지거나, 사용하고 싶다면 도주 특성을 합성하거나, 스톤샤워+멀티렌즈+왕의징표석 고스핏 풀죽음 담당[43], 옹골참+메탈버스트[44]등의 서브 역할을 맡게 된다.
한편, 인터넷 상의 많은 공략들에 현재는 추천 포켓몬이 아닌 자시안이나 버드렉스가 무한모드 최상위 딜러라고 적혀있는데 이는 초기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초창기에는 열매 소지 한도가 10개나 됐기 때문에 긴장감 관련 특성 여부가 시간 단축에 말도 안 되는 차이를 발생시켰고, 때문에 일단 긴장감은 필수로 두고 광역기는 없어도 처음부터 캐리가 되는 자시안을 1순위, 광역기는 훌륭하나 고삐를 얻기 전까지 캐리가 어려운 버드렉스를 2순위로 놓았던 것. 지금은 시간 지연의 주원인이던 자뭉열매와 의문열매의 소지 한도가 2개로 크게 감소했기에 긴장감은 있으면 좋다고 평가받긴 해도 그보다 광역기 소지 여부와 견제폭, 결정력 등이 더욱 중요시된다.
{{{#!folding [ 추천 딜러 포켓몬 ]
* 미라이돈: 원탑. 드래곤 / 전기 타입이라 공격의 일관성이 상당히 좋으며 스피드도 다른 전설들이 평균 90~95선인 반면 혼자 135라는 독보적인 수치를 지닌 덕에 플로젤이나 크로뱃같은 고스핏 포켓몬 상대로도 선턴을 잡을 수 있다. 딜 또한 뛰어난데, 특성인 하드론엔진 때문에 높은 전기 타입 대미지를 줄 수 있어 싱글은 라이트닝드라이브드래곤에너지 한 번 써주면 이중 반감이 아닌 이상 어지간하면 다 정리되며, 더블로 가도 드래곤에너지와 방전으로 다 쓸어버릴 수 있다. 패시브로 편승[45]을 가지고 있어 보스전으로 가도 결코 밀리는 일이 없다.[46] 가히 엔드리스의 불도저같은 포켓몬. 단점이라면 드래곤에너지가 희귀 알 기술이라 해금하기 빡세며[47], 미라이돈 자체가 자력으로 배우는 기술폭이 생각보다 좁아서 자력기로는 땅 / 강철 / 페어리 타입 포켓몬 견제가 힘들다는 것.[48][49]
* 레시라무, 레쿠쟈, 그란돈, 위유이: 미라이돈 바로 밑의 강캐들로, 사실상 스피드나 특성의 유용함 정도에서 다소 차이가 날 뿐 미라이돈과 거의 동일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특히 패시브 해금 이후에는 거의 동격에 가까워지는 경우도 있다.
레시라무는 알 기술로 드래곤에너지 / 분화를 배워야한다는 빡센 선행조건만 달성하면 거의 미라이돈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미라이돈과의 차별점으로는 상대 특성을 무시하는 특성 터보블레이즈로 옹골참 / 타오르는불꽃 / 내열 / 노릇노릇바디 / 수포 / 두꺼운지방 / 멀티스케일 등을 무시하고 딜을 박을 수 있다는 것. 드래곤에너지와 분화를 번갈아 선택하면서 타입 상성에 대처할 수 있고, 패시브로 진홍빛고동을 해금하면 솔라빔으로 땅 / 물 타입에도 대응이 가능해 상당히 강력하다. 다만 미라이돈이 하드론차지로 특공을 1.3배 올리고 시작하기 때문에 결정력이 훨씬 높은 데 반해 레시라무는 진홍빛고동으로 불꽃 타입 공격만 강화시킬 수 있어서 불꽃에 약점인 타입 이외에는 결정력이 떨어진다. 스피드가 애매해 자칫하면 상대에게 선공을 허락할 수 있다는 것도 단점.
레쿠쟈는 역시 알 기술로 드래곤에너지를 배우면 미라이돈 및 레시라무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드래곤에너지가 희귀 알 기술이 아니라 얻기 쉽고, 긴장감을 패시브로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레쿠쟈의 딜은 메가레쿠쟈의 180이라는 깡 종족값에서 나오지 특성에서 오는 것이 아니기에 델타스트림을 버리고 옹골참을 쐐기로 붙여주기도 좋다. 단점으로는 기술폭이 그리 넓지 않은데 쌍두이기 때문에 특수쪽에서 쓸만한 서브웨폰 자력기가 원시의힘이 전부고, 특수형 알 기술도 상성 보완이 안되는 자속기 데스윙 뿐이기 때문에 강철 타입 저격은 기술머신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며, 마찬가지로 드래곤에너지 외에 자력으로 배우는 광역기는 초반 딜량이 썩 좋지 않은 하이퍼보이스 뿐이라 분화나 해수스파우팅 등의 추가적인 광역기를 하나하나 직접 쐐기로 가르쳐 주어야 한다. 또한 메가진화 전까지 4배 약점인 얼음 타입과 드래곤에너지가 통하지 않는 페어리 타입에 취약한데, 바이옴 루트 연쇄 중 페어리 동굴 - 얼음 동굴(67%) - 눈 덮인 숲(확정)때문에 메가진화나 기술 쐐기를 하기 전 3연타로 약점을 찔려 사고가 날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란돈은 레시라무와 달리 알 기술이 없어도 분화를 배울 수 있고 기본 특성이 가뭄이라 밑준비가 적으며 원시회귀하면 약점인 물 타입에 의한 피해를 없애면서 안정적으로 딜을 수행할 수 있다. 패시브가 터보블레이즈[50]라 레시라무와 마찬가지로 상대 특성을 무시하고 풀파워 분화를 때려박을 수 있다는 장점도 동일. 대신 분화를 활용하려면 특수형으로 가야 하기에 광역기가 사실상 분화 하나밖에 없으며[51] 원시회귀를 못하면 비자속 분화만으로 풀어가기엔 화력이 불안정하다.
위유이는 특성 재앙의구슬로 특방을 깎기 때문에 킬 결정력이 높은데다 알 기술에 타오르는분노 / 플레어송 / 하이드로스팀 / 분화 등 알짜들만 모여있고 패시브가 가뭄이라 알 기술 + 패시브 해금 상태라는 가정 하에 거의 미라이돈과 필적하는 위력을 선보일 수 있다. 물론 그만큼 알 기술과 패시브가 매우 중요해서 밑준비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이 단점.
* 화이트큐레무, 가이오가, 흑마 버드렉스[52]: 위의 넷보다는 못하지만 쓸만한 포켓몬. 상술한 포켓몬들에 비해선 특성 혹은 패시브나 화력 면에서 밀리기 때문에 상술한 포켓몬들의 하위 호환으로 분류된다.
화이트큐레무는 미라이돈 / 레시라무의 하위 호환. 드래곤에너지가 희귀 알 기술이 아닌 일반 알 기술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고 얼음 / 드래곤이라는 희귀한 타입을 살려 강한 피해를 선사할 수 있다. 패시브 눈퍼뜨리기를 해금하면 광역기 중 눈보라가 필중기가 되는 것은 덤. 대신 랭업이나 공격력 증가 요소가 하나도 없어 후반으로 갈수록 화력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가이오가는 그란돈의 하위 호환. 해수스파우팅 / 근원의파동 덕에 광역기가 2개이며 단일 물 타입이라 방어 상성과 공격 상성이 훌륭하고 번개 / 냉동빔 등 서브 웨폰도 출중하지만 원시회귀 시 변화하는 특성 시작의바다가 그란돈과 달리 가이오가에게는 방어 상성적인 이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단점. 패시브 또한 젖은접시라는 쓸데없는 특성이라[53] 패시브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다.[54]
흑마 버드렉스는 레쿠쟈의 하위 호환. 긴장감 특성으로 상대의 나무열매 도핑을 차단하며 상대를 쓰러뜨리면 특공 능력치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초반 불도저로 쓸 수 있다. 전용기 아스트랄비트가 노 패널티로 120의 대미지를 때려박는 상대 광역기인 것은 덤. 대신 기술폭이 상당히 좁아 알 기술이 강제되며[55] 타입이 에스퍼 / 고스트라 비자속이라도 기습 한 방에 죽어버리는 사태가 자주 발생해 내구력이 좋지 못하다. 또한 엔드리스는 자주 바이옴이 바뀌어 랭크 변화 초기화 빈도가 높다 보니 생각보다 화력이 잘 나오지 않으며 후반으로 갈수록 보스전에서 불리하다. 무엇보다도 흑마 버드렉스가 쓸 수 있는 자력 광역기가 아스트랄비트 단 하나 뿐이라, 쐐기나 기술머신으로 다른 광역기를 가져오지 않으면 노멀 타입 상대로 대책이 없다.
* 가디안: 초전설과 비교해도 차별점을 가질 수 있을 정도로, 일반 포켓몬 중에서는 매우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는 포켓몬. 우선 일반 포켓몬이므로 코스트 가성비가 매우 좋다는 독보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단 극초반 킬리아 시기까지는 여러모로 무력하지만 30레벨에 진화 시 배우는 광역기 매지컬샤인을 습득하는 순간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만약 희귀 알 기술인 폭음파를 습득한 채 시작한다면 이 극초반 위험 구간도 비교적 쉽게 넘길 수 있다. 이후 무사히 가디안나이트를 먹고 메가진화까지 넘길 수 있다면 상기한 추천 초천설 포켓몬 대다수에 못지않은 특공과 스피드 종족값을 보유하게 되며, 특성이 페어리스킨이 되어 폭음파가 페어리 타입 자속을 받게 되면서 활약할 수 있다. 특히 패시브 해금으로 사이코메이커를 얻은 상태라면 이러한 고스핏 유리대포형 포켓몬에게 치명적인 선공기는 전부 차단되고,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는 자속 광역기 와이드포스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어지간한 초전설과 차별화되는 강점까지 얻을 수 있다. 만약 쐐기로 흑마 버드렉스를 합쳐주면 페어리스킨을 포기하는 대신 더욱 빠른 스피드와 아스트랄비트, 고스트 타입을 얻을 수 있으니 버드렉스를 얻었다면 한번쯤은 합쳐주는 것이 추천된다. 취향에 따라 아스트랄비트만 먹고 분리하더라도 강철 타입에 비반감인 고화력의 광역기를 얻을 수 있어 나쁘지 않다.
* 타부자고: 클래식에서도 강캐 중 하나이며 엔드리스에서도 가디안과 마찬가지로 준수한 활약이 가능한 일반 포켓몬. 전용기 골드러시가 위력 120의 상대 광역기이며 희귀 알 기술로 아스트랄비트가 있어서 흑마 버드렉스와 비슷한 감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버드렉스와의 차별점이라면 강철 / 고스트라는 타입에서 나오는 매우 훌륭한 방어 상성과 준수한 내구, 특성 황금몸 덕에 변화기의 영향 자체를 안 받아 실질 내구력이 괜찮다는 것. 무엇보다도 패시브가 무려 심술꾸러기라 패시브 해금 시 골드러시가 상대 전체를 공격하고 난 뒤 특공을 1랭크 올리는 개사기 기술로 탈바꿈한다. 거기에 타부자고의 알 기술 중 쓰고 난 뒤 방어 / 특방을 1랭크 하락시키는 아머캐논이 있어 심술꾸러기 해금 시 특공 / 내구 보강 어느 쪽도 못 하는 게 전혀 없다. 이런 랭크 변화 포함 공격기가 그렇듯 멀티렌즈와의 궁합이 최상이라, 멀티렌즈 3개 기준 골드러시는 특공 4랭업, 아머캐논은 방어 / 특방 4랭업이라는 어마어마한 랭업 효율이 나온다. 알 기술 중엔 어시스트파워도 있어 골드러시 / 아머캐논을 채용했을 경우 화력이 뻥튀기되는 진풍경도 볼 수 있다. 단점은 골드러시를 늦게 배우기에 초반부를 알 기술에 의존해야 하며 애매한 스피드 때문에 스피드 보강을 하지 않으면 자속 악 / 불꽃 / 땅 / 고스트 타입에 맞아죽을 수 있다는 것. 주의사항으로, 심술꾸러기를 해금했을 경우 능력치 상승 계열 열매들은 절대로 들고 가면 안 된다! 되려 능력치가 대폭 낮아져 맞아죽기 쉽다. 따라서, 보통 필수로 집을 것이 권장되는 끈기갈고리손톱이나 미니블랙홀은 타부자고에겐 트롤템이 되니 무조건 거르도록 하자.
샤로다 - 단일 풀 타입이라 공격 / 방어 상성이 나쁜데다 스피드를 빼면 공격 / 특공 종족값이 상당히 낮아서 별로 좋을 것 같지 않지만 샤로다의 진가는 숨겨진 특성 심술꾸러기와 알 기술에 있다. 알 기술에 무려 스케일노이즈, 골드러시가 존재하기 때문. 심지어 희귀 알 기술은 플뢰르캐논이라 싱글 / 더블 어느 쪽이든 매우 강력한 화력을 보장한다. 패시브도 멀티 스케일이라 선공기 맞고 죽을 걱정이 덜한 것도 장점이며, 가디안과 마찬가지로 커먼 등급이라 접근성이 매우 좋다.
}}}
종합적으로, 도주-저주-깔짝 담당의 세 포켓몬을 준비하는 것은 필수이며, 그 후 보험용으로 에이스 포켓몬에게 쐐기로 스톤샤워를 습득시킨 뒤 풀죽음 요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남은 두 자리는 추가적인 옹골참, 이탈 기술 등을 배운 포켓몬을 배치하거나, 이로치를 융합해 행운 등급을 유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3.4. 엔드리스(융합체)

융합체 포켓몬을 지닌 상태에서 클래식 모드를 클리어하면 해금되는 모드이다. 스타팅 선택은 두 융합체 포켓몬 중 첫번째 종만 지정할 수 있고, 두번째 종은 랜덤으로 설정되어 시작해 상대하는 포켓몬들도 전부 융합체 상태로 등장하여 랜덤성이 일반 모드보다 훨씬 커진다. 이외의 진행 방식은 일반 엔드리스 모드와 같다.

3.5. 데일리 런

클래식 모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부터 플레이 가능한 모드이다. 총 웨이브 50까지 존재하며, 클래식 모드처럼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바뀐다.

본인이 선택한 레벨 5 포켓몬으로 아무 도구 없이 시작하는 클래식 모드와는 달리, 랜덤한 레벨 20 포켓몬 3마리+도구를 가지고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랜덤한 클래식 모드와는 다르게 데일리 런에서는 24시간 동안 난수값이 고정되어 있어 항상 같은 개체값의 포켓몬과 같은 포켓몬을 지닌 트레이너가 같은 웨이브에서 등장한다. 데일리 런에서 잡은 포켓몬도 클래식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60] 웨이브 50에서는 확정적으로 전설의 포켓몬/ 환상의 포켓몬이 등장하는데, 포획이 불가능하다.

데일리 런은 한국 시간 오전 9시에 리셋되며, 알 바우처 같은 보상 아이템은 24시간에 1번씩만 얻을 수 있다. 상술하듯 모든 사람에게 난수값이 고정이기 때문에 그날그날 확실한 공략법이 존재하며, 보통 유튜브에 일일 공략법이 올라온다.

4. 바이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kéRogue/바이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kéRogue/아이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진화

포켓몬 본가 게임을 바탕으로 한 게임이기 때문에, 레벨 업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레벨에 도달하면 진화할 수 있다. 본가 게임에서는 야생이나 트레이너 배틀 중 진화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배틀이 종료되었을 때 진화가 이루어지지만, 포켓로그에서는 배틀 도중이더라도 조건이 충족되면 즉시 진화한다.

게임 특성상 조건 없는 레벨 업이 아닌 다른 진화 방식은 조금 변경되었다.

6.1. 진화의돌

진화의돌을 통한 진화의 경우, 웨이브를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아이템으로 진화할 수 있다. 소지한 포켓몬 중 진화의돌로 진화하는 포켓몬이 있다면,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진화의돌이 등장한다.

보통 진화의돌 진화의 경우 기술 되살리기가 아니라면 기술을 새로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진화의 돌이 기술을 되살리는 아이템(기억버섯)보다 더 귀하기 때문에 주력으로 채용할 생각이 있다면 발견 즉시 진화시키는 편이 좋다.

엘레이드눈여아는 가디안, 얼음귀신과 같은 레벨 업 진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진화의돌 진화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포켓몬도 있다. 안그래도 진화의 돌 드랍률이 그리 높지않은만큼 이런 특정 조건까지 맞추기는 상당히 힘든 편.

6.2. 바이옴 진화

일부 리전폼 포켓몬은 특정 바이옴에서만 진화할 수 있다.

6.3. 아이템 진화

진화의돌과 마찬가지로 아이템을 사용하여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을 때 웨이브 클리어 보상으로 일정 확률로 진화 아이템이 등장한다.

이 방식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은 애프룡, 단지래플, 과미르, 카디나르마, 파라블레이즈, 브리두라스, 가라르 야도란, 가라르 야도킹, 우라오스, 마휘핑[62], 포트데스, 사마자르, 그우린차, 다투곰이다.

6.4. 통신 진화

포켓로그는 싱글플레이 게임이기 때문에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처럼 '연결의끈(Linking Cord)'이라는 아이템이 있어야 통신 진화 포켓몬을 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아이템 진화처럼, 통신 진화하는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연결의끈이 등장한다.

대부분 아이템을 사용하면 즉시 진화하지만, 특정 조건하에서 통신 교환을 해야 진화하던 포켓몬은 진화 조건이 일부 변경되었다. 왕구리야도킹왕의징표석 없이, 킹드라는 용의비늘 없이 연결의끈만 사용해도 진화한다.[63]

6.5. 친밀도 진화

게임 특성상 친밀도를 올리기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친밀도 진화의 필요 친밀도 수치가 매우 낮아졌다. 아래 펼치기는 친밀도 진화 조건이며, 괄호 안은 진화 이전 포켓몬의 초기 친밀도이다. 타부자고는 원래 친밀도 진화 포켓몬이 아니지만, 본 게임에서는 친밀도 진화로 변경되었다.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025_f00_s0.png 피카츄: 90 (70)


친밀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황은 3가지가 있다.

6.6. 레벨 업 진화

원래는 특정 진화 조건이 있던 일부 포켓몬의 경우, 레벨 업 방식의 진화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진화였지만 다른 진화 형태와 진화 방식을 구분하기 위해 조건이 추가된 경우도 있다.

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475_f00_s0.png 엘레이드: 수컷 킬리아 레벨 30 진화[67]


특정 시간대에 레벨 업[69]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157_f00_s0.png 블레이범: 새벽이나 낮에 레벨 36 진화


기타 조건 레벨 업[73]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226_f00_s0.png 만타인: 총어를 잡거나 부화한 적이 있는 상태에서 레벨 32 진화

6.7. 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엄밀히 따지면 진화가 아닌 폼 체인지로 분류되지만, 시스템의 한계상 진화의 돌처럼 상점에서 아이템을 구매하여 항시 진화시키는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상점에서 메가링/다이맥스밴드를 구매하면 이후 나이트/다이버섯이 등장하며, 이를 사용가능한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진화의돌을 사용하는 진화처럼 진화하게 되며, 이후 인벤토리에서 변화를 되돌릴 수 있다.

다만 거다이맥스의 경우 원본과 같이 다이맥스기술 없이 단순 스탯의 증가만 있어, 팬텀처럼 메가진화와 다이맥스가 모두 있는 포켓몬의 경우 메가진화가 조금 더 선호되는 편이다.

변화 후에는 나이트/다이버섯을 다른 포켓몬에게 옮겨도 메가진화/거다이맥스가 풀리지는 않지만, 이 경우 보상에 나이트/다이버섯이 중복으로 등장하면서 확률을 잡아먹는데다 변화를 취소하면 다시 변화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파생되는 팁으로, 거다이맥스가 가능한 초반 포켓몬(이브이, 피카츄, 나옹 등)이 있을 때 다이버섯을 미리 먹어둔 뒤에 다른 거다이맥스 포켓몬을 포획하여 바로 다이버섯을 주는 꼼수도 가능하다. 메가진화와는 달리 거다이맥스는 변화 아이템이 다이버섯으로 통일되어있어 가능한 전략.

큐레무[74], 네크로즈마, 버드렉스 등 다른 포켓몬과 합체해서 폼 체인지를 하는 전설의 포켓몬의 경우, 다른 포켓몬 없이 원본이 되는 포켓몬만 있어도 상점에서 폼 체인지에 사용되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합체시킬 수 있다.

7.

포켓로그에는 본가 게임과는 달리 맵이 없기 때문에, 교배로 알을 얻을 수는 없다. 그 대신 여러 경로로 얻은 알 교환 바우처(voucher)를 알 뽑기(Egg Gacha)에 사용하여 알을 얻을 수 있다. 한마디로 가챠권을 모아 가챠하는 것. 알의 종류는 총 6개가 있으며 알을 얻은 뒤 게임을 하면 특정 웨이브 수 이후 자동으로 부화한다.

알에서 부화한 포켓몬은 개체치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고, 랜덤한 알 기술 하나가 해금된다. 부화할 때 알 기술 4개 중 하나가 골라지고 잠겨있는 기술이었으면 해금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미 해금된 기술이 골라졌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7.1. 알 뽑기

6월 8일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알 뽑기에 천장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알 등급과 같은 등급 내 신규 포켓몬의 2가지 종류의 천장이 존재한다. 정확한 작동 원리는 공식적으로는 밝히지 않았으나, 위키에서 확인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등급 알 등급 천장 신규 포켓몬 천장
레어 9개 10개
에픽 59개
레전더리 412개
즉, 알을 9개를 뽑았는데 레어 등급이 없다면 10번째 커먼 등급 알은 반드시 레어 등급으로, 알을 59개를 뽑았는데 에픽 등급이 없다면 60번째의 커먼 등급은 반드시 에픽 등급으로, 알을 412개를 뽑았는데 레전더리가 없다면 413번째 커먼 등급은 반드시 레전더리 등급으로 변하며, 각 등급마다 9번동안 기존 포켓몬만 뽑힌다면 10번째 해당 등급 알에서는 반드시 신규 포켓몬이 나온다는 것. 그 외에도, 알 배출 시스템을 뜯어보면 각 코스트별로 배출 비중이 존재하여 1코스트는 가중치 2, 2코스트는 가중치 1.5, 4/6/8 코스트는 가중치 1.75, 3/5/7/9코스트는 가중치 1로 배출되며, 알로라/가라르/팔데아 리전폼은 가중치 0.5, 히스이 리전폼은 가중치가 무려 0.125로 배출 확률이 바닥을 친다.
특히나 알기술 중에서는 불꽃채찍을 배우는 나오하나 아이스스피너를 배우는 모부기, 암석엑스를 배우는 모아머 등등 아예 극상성 타입의 기술이나 특정 포켓몬의 전용기를 배우는 경우도 많아서 이런 포켓몬을 가지고 시작을 하는 것은 클래식 모드의 난이도를 낮추는데 큰 도움이 되며, 이런 알기술 덕분에 본작 비디오 게임에 비해서 소위 애정몬의 활용도가 더 높다고 볼수있다.
하지만 아래 두 뽑기에 비해 중요도가 조금 묻히는 경향이 있는데 4번째 알기술이 다른 뽑기에서 안나오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이 뽑기에서 쓸만한 포켓몬이 나온다는 보장조차 없기에 뽑을거 다 뽑은 후반에 유전자 쐐기용 포켓몬을 줄이기 위해 뽑는다.
그냥 멋들어질 뿐인 본가와는 다르게 게임에 영향을 주는, 특히 상점을 볼일이 많은 무한 모드에서 큰 영향을 준다. 때문에 전설 업! 뽑기에서 쓸만한 전설[79]을 얻었다면 주로 이 뽑기에 바우처를 갈아넣는다.
커먼 등급의 알들은 다른 알들보다 코스트가 낮기에 이로치 포켓몬이 많아야 하는 행운 시스템 특성상 해당 뽑기에서는 오히려 레어보다 환영받으며 만약 베베솔트, 지그제구리, 고오스와 같이 무한모드에서 주로 쓰이는 포켓몬이 이로치로 나와준다면 게임 난이도도 쉬워질 뿐더러 원래 이로치 포켓몬을 넣던 자리에 유전자 쐐기용 포켓몬을 넣어 안정성을 높여주거나 그대로 다른 이로치 포켓몬을 넣어 행운 등급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여줄 수도 있기에 애용되지만, 도주런 팟을 한번 맞추고 나면 어차피 후반에 쏟아지는 게 이로치요, 준전설에 전설들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이로치를 얻고 난 이후엔 중요도가 떨어진다.

7.2. 알 바우처


라운드 클리어 후 아이템 선택지에 등장한 것을 선택하거나[80], 게임의 특정 구간을 클리어하면 '알 바우처'를 획득할 수 있다. 알 바우처는 4가지 종류가 있다.

8. 배틀 기믹

Z기술을 제외한 메가진화, 다이맥스, 테라스탈이 모두 존재하며 각각의 기믹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81]를 얻고 해당 기믹을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을 엔트리에 소지하고 있다면 관련 도구가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기본적으로 전부 복수 포켓몬에게 적용할 수 있다.

메가진화의 경우 진화의돌과 비슷하게 ~나이트를 고르면 해당 포켓몬에게 사용할 수 있는데, 게임 시스템상 밸런스 조절로 메가진화를 한 이후엔 턴이 지나도, 쓰러졌다 부활해도 계속 유지가 된다. 이를 해제하려면 상태창에서 임의로 해제해야한다. 추가로 본래 원시회귀는 메가진화와는 별개 기믹이라 메가링이 필요없지만, 밸런스 패치의 일환인지 메가링을 획득한 상태여야 주홍구슬, 쪽빛구슬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이맥스의 경우 거다이맥스 형태가 존재하는 포켓몬만 거다이맥스 할 수 있으며 공용 아이템인 다이버섯을 사용하면 된다. 판정은 메가진화와 동일하게 상태를 쭉 유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임의로 해제할 수 있다. 무게 관련 기술, 앙코르, 사슬묶기, 풀죽음에 면역인 점은 그대로 구현되어 있지만 이 쪽도 밸런스 조절 차원에서 체력이 2배로 늘어나는게 아니라 메가진화처럼 총합이 100 늘어난 새로운 종족값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다이맥스 기술도 사용할 수 없어 원작 다이맥스의 효과와 비교하면 너프에 가깝게 조정되어 있다.

테라스탈의 경우 테라스탈오브를 획득한 이후 특정 타입으로 변화시켜주는 피스들이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피스를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배틀 참가 여부와 상관없이 10웨이브 동안 해당 테라스탈타입으로 변하며 포켓몬 모습에 해당 타입의 색깔이 입혀진다. 클래식 모드 중에 네임드 NPC들이 애용 중이며,[82] 마찬가지로 파티 내 중복 적용이 가능하다.

테라파고스의 경우, 일단 스텔라 테라피스 까지는 존재하지만 스텔라폼이 미구현되어 테라스탈오브를 획득하더라도 스텔라폼으로 전환할 수 없다. 테라셸도 미구현된 상태라 스텔라폼이 구현되기까진 꽤 오래 걸릴 듯.

9. BGM

BGM의 경우 대부분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OST,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OST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의 음악들을 사용하지만, PokéRogue 자체 작곡 오리지널 곡도 3개 존재한다.[83]

이후 2024년 6월 8일 업데이트로 게임 설정에 Music Preference 옵션이 추가되었는데, Consistent와 Mixed 두가지 중 선택이 가능하다. Consistent는 최대한 닌텐도 DS용 게임에서 가져온 BGM들만 사용하여 게임 그래픽에 걸맞는 퀄리티의 BGM만 흘러나오게 하는 옵션이고, Mixed는 원작 게임의 기종과 상관 없이 최대한 많은 BGM들을 가져와 포켓몬 전투 테마의 원작 고증을 지키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Mixed로 바꿀 시,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OST, 포켓몬스터 X·YOST,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OST, 포켓몬스터 썬·문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OST, 포켓몬스터 소드·실드OST,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OST도 게임에 사용된다.

PokéRogue 공식 GitHub 홈페이지 Credits 부분에 원작 게임들의 음악에 참여한 인물들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의 경우에는 이치노세 고, 사토 히토미, 카게야마 쇼타의 이름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의 경우에는 이이요시 아라타, 사카모토 히데키, 이토 케이스케, 사이토 켄이치, 마에다 요시히로의 이름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의 경우에는 이토 케이스케, 이이요시 아라타, 이시즈나 아츠히로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84] 그리고 PokéRogue 오리지널 곡인 대도시와 연구소 테마는 Firel의 이름이, 정글 테마는 Lmz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9.1. BGM 리스트

{{{#!folding [BGM 리스트 펼치기/접기]
<rowcolor=#fff>{{{#!wiki style="margin:-16px -11px" 제목 }}}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300> 음원 }}}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240> 원곡 }}}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60> 비고 }}}
타이틀 화면
메뉴 테마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포켓몬 선택
포켓몬의 세상에 온 걸 환영한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전투! 야생 포켓몬
전투! 야생 포켓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86]
레벨 업!
레벨 업!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반바지 꼬마의 테마
시선! 반바지 꼬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짧은 치마의 테마
시선! 짧은 치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전투! 트레이너
전투! 트레이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87]
트레이너에게 승리!
트레이너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마을
랜덤 던전 테마 3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라이벌의 테마
체렌의 테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88]
전투! 라이벌 1
전투! 체렌·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89]
회복
회복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평야
하늘의 절정(초원)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쌍둥이의 테마
시선! 쌍둥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사이클링의 테마
시선! 사이클링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풀숲
사과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호수
수정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대도시
PokéRogue 오리지널 곡
비즈니스맨의 테마
시선! 비즈니스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예술가의 테마
시선! 신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높은 풀숲
짙은 안개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늪지
폐쇄되어진 바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해변
축축한 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파라솔 아가씨의 테마
시선! 파라솔 아가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공사장
거대 암석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슬럼
하늘의 절정(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빡빡이의 테마
시선! 빡빡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검은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동굴
하늘의 절정(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백팩커의 테마
시선! 백팩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묘지
신비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초능력자의 테마
시선! 초능력자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바다
바닷가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연안의 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도장
텅구리 도장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발전소
일렉트릭 평원 저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전투! 체육관 관장 (관동)
전투! 체육관 관장 (관동)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E4]
전투! 체육관 관장 (성도)
전투! 체육관 관장 (성도)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E4]
전투! 체육관 관장 (호연)
전투! 체육관 관장 (호연)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체육관 관장 (신오)
전투! 체육관 관장 (신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E4]
전투! 체육관 관장 (하나)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93]
전투! 체육관 관장 (칼로스)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체육관 관장 (가라르)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96]
전투! 체육관 관장 (팔데아)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98]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진화
진화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진화 축하
진화 축하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초원
하늘의 절정(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정글
PokéRogue 오리지널 곡
악지
메마른 골짜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심연
어둠의 화구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얼음 동굴
대빙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해저
바닷가 동굴 최심부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공장
숨겨진 유적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사원
파수꾼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사막
북쪽 사막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연구원의 테마
시선! 연구원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뿔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눈 덮인 숲
하늘의 절정(설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고대 유적
봉인의 암반 저편 너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화산
열수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전투! 라이벌 2
전투! N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99]
전투! 준전설 포켓몬
전투! 전설의 포켓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00]
전투! 라이코
전투! 라이코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앤테이
전투! 앤테이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스이쿤
전투! 스이쿤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전설의 거인
전투! 레지락·레지아이스·레지스틸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104]
전투! 전설의 거인
전투! 레지락·레지아이스·레지스틸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준전설 포켓몬 (신오)
전투! 전설의 포켓몬 (신오)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DP]
전투! 유크시·엠라이트·아그놈
전투! 유크시·엠라이트·아그놈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DP]
전투! 카푸
전투! 카푸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울트라비스트
전투! 울트라비스트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가라르 전설의 새 포켓몬
전투! 전설의 새 포켓몬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재앙의 보물
전투! 재앙의 보물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세벗님
전투! 세벗님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페어리 동굴
별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우주
금은보화의 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황무지
환상의 대지 저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연구소
PokéRogue 오리지널 곡
엘리트 트레이너의 테마
시선! 엘리트 트레이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전투! 초전설 포켓몬
전투! 레시라무·제크로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15]
전투! 전설의 포켓몬 (관동)
전투! 뮤츠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루기아
전투! 루기아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칠색조
전투! 칠색조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그란돈·가이오가
전투! 원시회귀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레쿠쟈
전투! 초고대포켓몬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디아루가·펄기아
전투! 디아루가·펄기아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DP]
전투! 기라티나
전투!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124]
전투! 큐레무
전투! 큐레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전투! 제르네아스·이벨타르·지가르데
전투! 제르네아스·이벨타르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솔가레오·루나아라·네크로즈마
전투! 솔가레오·루나아라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자시안·자마젠타
전투! 자시안·자마젠타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블리자포스·레이스포스
전투! 블리자포스·레이스포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버드렉스
전투! 버드렉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오거폰
전투! 오거폰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테라파고스
전투! 제로의 비보 테라파고스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복숭악동
전투! 복숭악동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사천왕 (호연)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사천왕 (하나)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34]
전투! 사천왕 (칼로스)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사천왕 (알로라)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사천왕 (가라르)
전투! 파이널 토너먼트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사천왕 (팔데아)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사천왕 (블루베리그)
전투! 블루베리그 사천왕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챔피언 (관동)
전투! 챔피언 (관동)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성도)
전투! 챔피언 (성도)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호연)
전투! 챔피언 (호연)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신오)
전투! 난천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40]
전투! 챔피언 (하나)
전투! 챔피언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41]
전투! 챔피언 아이리스
전투! 챔피언 아이리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칼로스)
전투! 챔피언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챔피언 (알로라)
정상결전! 하우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MP]
전투! 챔피언 (가라르)
결전! 챔피언 단델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챔피언 (팔데아)
전투! 치프 챔피언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챔피언 네모
전투! 챔피언 네모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챔피언 (블루베리그)
전투! 챔피언 카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챔피언에게 승리!
챔피언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엔드 1
천공의 탑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148]
결전! 라이벌
결전! N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49]
엔드 2
천공의 탑 최상단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150]
전투! 무한다이노
레쿠쟈의 영역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151]
결전! 무한다이노
전투! 게치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52]
}}}

10. 구현되지 않은 기술 및 특성

아직 개발 단계에 있는 게임이기에 일부 기술이나 특성 등은 미구현 상태이다. 이 경우 미구현 상태일 경우 N[153], 일부 구현 상태일 경우 P[154]가 기술 혹은 특성 이름 옆에 붙는다. 미구현 기술/특성은 획득/보유해도 사용/발동이 불가능하고, 일부 구현의 경우는 사용/발동은 가능하지만 일부 효과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들은 대부분 원본보다 좋지 않지만 드물게 패널티가 사라져 역으로 사기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케이스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폭거북스의 전용기 트랩셸은 '물리기 피격시에만 후공으로 발동'이라는 제한이 미구현된 탓에 명중 100, 위력 150의 전체공격 자속기라는 무지막지한 기술이 되었다.

10.1. 미구현 (N)

미구현 기술의 경우 대부분 변화 기술이다.
}}}
{{{#!folding [미구현 특성 목록 펼치기/접기]
* 곡예
* 공생
* 그대로꿀꺽미사일
* 기분파
* 도망태세
* 되새김질
* 마이티체인지
* 매직미러
* 멀티타입
* 멸망의바디
* 무아지경
* 미러아머
* 볼주머니
* 볼줍기
* 부자유친
* 사령탑
* 서투름
* 시간벌기
* 싱크로
* 아로마베일
* 오라브레이크
* 위기회피
* 의태
* 인분
* 일루전
* 자력
* 제로포밍
* 총대장
* 퀵드로
* 테라셸
* 틈새포착
* 프렌드가드
* 플라워베일
* 협연
* AR시스템
}}}

10.2. 부분 구현 (P)

공격기술의 경우 대미지만 구현되고 기술 효과가 구현이 덜된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7~9세대다.
{{{#!folding [부분 구현 기술 목록 펼치기/접기]
* 3연화살
* 대검돌격 - 부가효과 발동 X[155]
* 돌림노래
* 드래곤애로 - 더블배틀에서도 단일기로서 작동함
* 드래곤옐
* 따라가때리기
* 매혹의보이스 - 부가효과 발동 X
* 멀티어택 - 메모리 미구현
* 메테오드라이브
* 문어굳히기
* 물의맹세
* 바디퍼지
* 부리캐논
* 분노 - 부가효과 발동 X
* 분풀이
* 불꽃의맹세
* 불꽃튀기기
* 비밀의힘
* 사이코노이즈 - 부가효과 발동 X
* 섀도레이
* 섀도스틸 - 부가효과 발동 X
* 섬뜩한주문 - 부가효과 발동 X
* 셸암즈
* 소란피기
* 숲의저주
* 스케일샷 - 부가효과 발동 X
* 시럽봄
* 심판의뭉치 - 플레이트 미구현
* 원수갚기
* 정글힐
* 지옥찌르기 - 부가효과 발동 X
* 질투의불꽃 - 부가효과 발동 X
* 초승달의기도
* 크로스썬더
* 크로스플레임
* 타르샷 - 부가효과 발동 X
* 테라버스트
* 테라클러스터 - 부가효과 발동 X
* 트랩셸
* 포톤가이저
* 풀의맹세
* 플라스마피스트 - 부가효과 발동 X
* 한판내기 - 부가효과 발동 X
* 핼러윈
}}}
{{{#!folding [부분 구현 특성 목록 펼치기/접기]
* 강철정신 -
* 고대활성 -
* 균사의힘 - 변화기의 우선도 변경이 적용되지 않는다.
* 대운 - 야생 포켓몬이 도구를 지닐 확률이 올라가지 않음.
* 떠도는영혼 - 돌머리 특성의 포켓몬이 반동기를 사용할 때 교체하여 막아내면, 특성이 교체되어 돌머리 포켓몬이 반동을 받아야 하는데 아직 적용되지 않는다.
* 리밋실드 - 코어의 모습이 되기 전의 상태이상 면역이 적용되지 않는다.
* 부식 - 매직미러 등과 함께 적용되지 않음.
* 스웜체인지 - 10% 지가르데는 아직 구현되지 않음.
* 스위트베일 - 아군 포켓몬도 잠듦에 면역이 되어야 하나, 아군 포켓몬은 잠들 수 있음.
* 승리의별 - 아군 포켓몬의 명중률이 올라가지 않음.
* 심안 - 자신의 명중률 하락은 방어할 수 있지만, 상대의 회피율 변화를 무시하지 못한다.
* 쿼크차지 -
* 탈 - 연속기나 도구 멀티렌즈를 사용한 기술이 '평소의 모습' 상태의 탈 특성 포켓몬에게 피해를 주지 못함.
* 파스텔베일 - 아군에게도 독 상태 무효가 걸려야 하나 적용되지 않는다.
* 풍력발전 - 순풍 상태일 때도 발동해야 하나, 발동하지 않음.
* 플라워기프트 - 체리꼬가 폼 체인지하지 않음.
* 하늘의은총
* 화학변화가스 - 일부 특성과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 황금몸 - 일부 변화기를 막지 못한다.
}}}

11. 오류 및 버그

전문 제작자는 아닌 것으로 보이는 이들이 만든 팬게임이기에 게임상의 오류나 버그가 자주 보이는 편으로 이전에 본가를 즐겨왔던 사람이라면 의아할 부분이 종종 나타나는 편이다.

타이틀 화면에 랜덤으로 뜨는 문구 중 하나인 '마나피 알 사건'도 그 중 하나로, 랜덤하게 새 게임 생성, 기존 게임의 진행이 불가능해지고 보유중인 모든 알이 마나피 알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고 한다.

11.1. 목록


12. 평가

팬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본가 1세대부터 최신작 9세대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포켓몬 종류, 타입, 특성, 기술, BGM, 트레이너(관장, 사천왕, 챔피언, 악의 조직) 등을 최대한 구현해놓았고, 메가진화, 다이맥스, 테라스탈 등 특수 배틀 기믹 또한 독자적인 방식으로 구현하여 게임에 녹였다. 직접 제작한 도트는 물론 팬이 만든 도트들도 적극 활용하여 모든 세대의 포켓몬들을 2D 도트로 구현했다. 덕분에 포켓로그는 전 세계에서 웹 게임치고도 이례적인 흥행을 몰게 되었다.

또한 포켓로그만의 고유한 스타팅 수집 + 알 까기 시스템이나 색이 다른 포켓몬 및 날마다 변경되는 포켓러스 대상 포켓몬 시스템과 특유의 중첩형 개체치 등 반복 플레이를 즐겁게 권장하는 풍부한 수집 요소까지 갖추고 있는 덕에 제대로 파고들기를 할 경우 플레이 타임이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개발진의 활발한 업데이트와 피드백 수용[157] 또한 장점으로, 첫 공개 이후로 꾸준히 여러 신규 컨텐츠 및 편의성 업데이트[158]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업데이트 로드맵도 공식 디스코드 서버에서 공개하고 있다.

13. 기타


===# 스플래시 메시지 #===
포켓로그의 타이틀 오른쪽에는 "스플래시 메시지"라는 무작위의 노란색 문구가 나온다. 마인크래프트스플래시를 패러디한 것으로, 현 시점에서 총 32개의 스플래시 메시지가 존재한다. 포켓로그의 시스템에 관한 내용들이 많으며, 포켓몬과 관련된 개조 롬이나 다른 팬 게임들에 대해 언급하는 스플래시도 있다.
내용 번역 비고
(누적 배틀 승리 횟수) Battles Won! (누적 배틀 승리 횟수) 번의 배틀에서 승리했어요![162] 개인의 배틀 승리 횟수가 아닌 전체 플레이어의 배틀 승리 횟수를 집계한 수다.
Join The Discord! 디스코드에 가입하세요!
Infinite Levels! 무한한 레벨!
Everything Stacks! 모든 것이 누적됩니다!
Optional Save Scumming! 원한다면 세이브 노가다를!
35 Biomes! 35개의 지역(바이옴)!
Open Source! 오픈 소스!
Play With 5x Speed! 5배속으로 플레이해봐요!
Heavy RoR2 Influence! RoR2에 강한 영향을 받았어요!
Pokémon Risk and Pokémon Rain! 포켓몬 리스크 오브 포켓몬 레인!
Now with 33% More Salt! 이제 33% 더 과몰입 가능!
Infinite Fusion[163] at Home! 집에 있는 인피니트 퓨전![164] We Have Food at Home 밈을 차용한 듯 하다.
Broken Egg Moves! 알기술까기!
Magnificent! 훌륭해요![미번역][166]
Mubstitute! 타출동![미번역]
That's Crazy! 미쳤습니다!
Orance Juice! 오렌 주스![168]
Questionable Balancing! 의심스러운 밸런싱!
Cool Shaders! 쿨한 셰이더!
AI-Free! AI 미포함![미번역]
Sudden Difficulty Spikes! 돌연사 가능![170]
Based on an Unfinished Flash Game! 미완성된 플래시 게임 기반![171]
More Addictive than Intended! 기획보다 중독적이예요!
Mostly Consistent Seeds! 일관성 있는 랜덤 시드!
Achievement Points Don't Do Anything! 업적 포인트는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You Do Not Start at Level 2000! 레벨 2000에서 시작하지 않아요!
Don't Talk About the Manaphy Egg Incident! 마나피 알 사건에 대해선 이야기하지 맙시다! 과거 포켓로그에 있었던 치명적인 버그 중 하나로, 기존의 게임을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하거나, 새 게임을 시작하지도 못하게 했고, 가지고 있던 모든 알을 마나피의 알로 바꿔 버리는 버그였다고 한다.
Also Try Pokéngine! Pokéngine도 해 보세요! 자작 포켓몬들이 나오는 MMORPG 팬 게임.
Also Try Emerald Rogue! Emerald Rogue도 해 보세요! 포켓몬스터 에메랄드에 로그라이크 요소를 넣은 개조 롬.
Also Try Radical Red! Radical Red도 해 보세요!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개조 롬 중 하나.
Eevee Expo! 영어권의 포켓몬 팬 포럼 사이트 중 하나.
YNOproject! 유메닛키온라인 지원 파생작들을 모아놓는 프로젝트.


[1] 타이틀명 발음 자체는 '포케로그'고 이렇게 부르는 유저들도 많으나, 원래부터 포켓몬 쪽에서 Poké(또는 ポケ)라는 접두어는 '포켓' 혹은 '포켓몬'에 대응되는 경향이 있고, 결정적으로 공식 지원되는 한국어 표기에서 첫 접속 시 문구가 "포켓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이기 때문에 포켓로그가 맞다. 포켓기어(Pokégear/ポケギア)나 포켓파인더(Poké Finder/ポケファインダー) 등의 명칭이 어떻게 표기되는지를 생각하면 간단하다.[2] 부분 한국어화.[위키] 포켓로그 위키[4] 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하던 정보를 다운받아 오프라인에서 이어서 할 수는 있으나, 오프라인 플레이 정보를 공식 홈페이지로 불러올 수는 없다.[5] 하지만 체력 회복이나 부활 아이템을 게임 중 얻을 수 있고, 일정 웨이브마다 전체 포켓몬의 체력과 상태이상을 회복해 주기 때문에 너즐록 챌린지처럼 포켓몬이 기절했다고 더 이상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6] 전투가 끝나고 랜덤하게 등장하는 이상한사탕을 통해 이 레벨캡을 무시하고 레벨을 올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래식 191~200층의 레벨캡은 200이지만 이상한사탕을 통해 레벨이 200을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다.[7] 4세대까지는 스프라이트 크기 제한 등 여러 문제로 뒷면 스프라이트는 상반신까지만 나오는 형식이었으나 5세대는 전신이 다 나오고 모션 기능이 추가된 도트 스타일 스프라이트, 6세대부터는 3d모델링으로 교체했다.[8] 대부분 움직이지만, 일부 비비용 폼, 코라이돈, 미라이돈 등 일부는 Mixed Animated를 설정해도 움직이지 않는다.[9] 초기 상태에는 모든 개체값이 10, 성격은 무보정 성격이다.[10] 베이비 포켓몬들은 그 포켓몬의 진화체와 별개로 선택이 가능하며, 피츄의 경우 기본형 피카츄를 포함해 아무 버전의 코스프레 피카츄 한 마리만 포획하면 해금된다.[11] 코스트 1의 포켓몬은 코스트가 절반으로 줄어들어, 0.5에서 0.25까지 줄어든다. 때문에 스타팅 포켓몬 풀이 넓어져서 이로치나 고성능 특성의 코스트 1 포켓몬을 다수 사용할 수 있는게 아니라면 코스트 절감의 효과를 제대로 보기 어려우니 주의.[12] 패시브란 포켓몬마다 정해진 2번째 특성을 말한다. 주로 숨겨진 특성 등과도 별개로 해당 포켓몬을 굴리기 좋은 특성으로 정해져 있으며, 패시브를 해금하면 기본 특성과 패시브 2개의 특성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다. 스타팅 포켓몬에게 베이비 포켓몬이 존재할 시 베이비 포켓몬만 패시브를 해금할 수 있다.[13] 사탕 20개는 코스트 6, 사탕 15개는 코스트 7 포켓몬이 해당된다.[예시] 이브이세꿀버리→님피아세꿀버리o,이브이비퀸x 님피아비퀸x[15] 꼬이밍고두더류→꼬이밍고몰드류[16] 돌핀맨의 마이티체인지, 킬가르도의 배틀스위치 등[17] 예를 들어 돌핀맨이 마이티폼인 상태로 융합하면 공격 160과 남은 포켓몬의 평균치가 융합상태의 공격 수치가 되고, 나이브폼인 상태로 융합하면 공격 70과 남은 포켓몬의 평균치가 융합상태의 공격 수치가 된다.[18] 단, 이 경우 마이티체인지, 배틀스위치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버그가 있으니 주의. 다르게 말하면 융합포켓몬의 배틀스위치, 마이티체인지 같은 특성은 없는 특성이 되니 첫 번째 포켓몬으로 쓰면 좋다.[19] 턴마다 상대방이 지닌 아이템 중 하나를 빼앗음[20] 작중에서 유일하게 포켓몬임에도 말을 한다. 타이틀 화면에서 무작위로 나오는 스플래시등 중에서 'RoR2에 강하게 영감을 받았어요!'를 가리키는 것 중 하나이다.[21] 플레이어와 달리 이 HP회복은 PP가 1이라 1번만 사용하지만, 플레이어에게서 뺏어온 과사열매의 효과로 PP를 회복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22] 이 기술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받아낼 수 있는 포켓몬은 다이맥스포는 반감으로, 나머지 둘은 무효로 받는 타오르는불꽃 특성의 하드런과 풀 / 얼음 / 벌레 / 강철 / 페어리 / 드래곤 이외의 타입으로 테라스탈했거나 풀 / 얼음 / 벌레 / 드래곤 / 강철 이외의 제1타입 포켓몬과 합체한 껍질몬이 있다. 후자는 준비물이 많아 갖추기 어렵지만 특성 불가사의부적 때문에 확실하게 무적이 보장된다.[23] 다만 라이벌, 관장 등등 트레이너 배틀에선 랭크업이 초기화되는 데 주의해야한다.[24] 보통은 5의 배수 바이옴부터 도핑 아이템 파밍을 시작하며, 사천왕~챔피언전인 180 웨이브대는 181 웨이브부터 도핑 아이템을 파밍해야 하고, 190층대에서도 195웨이브의 라이벌전이 정말 어렵기 때문에 191 웨이브부터 도핑 아이템을 파밍해야 한다. 5웨이브만 적용되므로, 도핑의 지속 카운트 점검은 반드시 해줘야한다.[25] 이 부류의 끝판왕이 꼬이밍고. 알까기로 천둥차기라도 습득하고 나오게 되면 막바지까지 활약하게 된다. 단 자력기가 적다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인파이트 기술머신이 나오거나 천둥차기를 가지고 시작하는 게 아니면 중반부터 급격히 힘이 빠질 수 있다.[26] 사탕 10개로 패시브인 소울하트를 해금한 이벨타르 역시 여기에 해당된다.[27] 둘 다 드래곤이고 레쿠쟈가 비행/드래곤이라 얼음타입이 유리할 것 같지만, 얼음 타입은 방어 상성이 최악인데다 약점 타입도 전부 흔한 타입들이고, 심지어 상술했듯 우수한 타입인 페어리와 강철과의 조합조차 강철 4배, 격투/불꽃 4배라는 환장할 성능 때문에 포켓로그에서는 어지간하면 얼음 기술만 물 타입 포켓몬의 서브웨폰으로 채용하지 얼음 타입 포켓몬을 들고 다니지는 않는다. 그러나 물/얼음 타입은 예외이며, 특히 후술할 스킬링크 파르셀은 스토리 멤버로 넣을 시, 일반 보스 구분없이 양학에 가깝게 활약할 수 있다.[28] 무한다이노 1페이즈의 공격기술은 오물폭탄과 무한다이빔뿐이지만 각각 독타입과 드래곤타입이라 강철/페어리 복합 타입을 가진 포켓몬을 상대로는 코스믹파워와 용의춤밖에 쓸 수 없다.[29] 본래는 천하장사였으나, 밸런스 패치로 바뀌었다.[30] 다만 두드리짱은 레쿠쟈의 경우 약점을 무난하게 찌를 수 있지만 무한다이노의 약점을 찌를 기술이 마땅치 않으며 2페이즈의 소지 기술 중 화염방사에 약점을 찔린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두드리짱을 사용하려 할 경우 화력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치근거리기의 타점을 올려 줄 수 있는 칼춤을 기술머신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으며, 알까기로 좋은 기술을 많이 얻기 때문에 아이스해머를 습득하게 되면 레쿠쟈는 문자 그대로 갈아버리고 무한다이노 전에서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게 되며, 매지컬엑셀을 습득한다면 치근보다 안정적이고 조금 더 강력하면서 혼란까지 끼얹어줄 수 있다.[31] 두드리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무한다이노 1페이즈에서 강철타입 포켓몬과 페어리타입 포켓몬을 계속 교체하면 강철에 다이맥스포/페어리에 오물폭탄을 번갈아 쓰다 역으로 강철에 오물폭탄/페어리에 다이맥스포가 박혀 상쇄되며 이걸 반복하다 보면 PP 5짜리 다이맥스포가 금새 PP가 바닥나 강철타입을 공격할 수단이 사라진다. 이때 강철 포켓몬으로 랭크업기를 풀스택 누적 후 일방적으로 두들겨 패는 게 가능. 이 형태로 사용하기 좋은 멤버로 특공 2랭크 상승기인 나쁜음모와 반감 없이 유효타를 줄 수 있는 섀도볼을 습득하는 타부자고, 공격 2랭크 상승기인 칼춤을 지니고 자속으로 약점을 찌르는 지진/드릴라이너를 보유한 몰드류가 있다. 단 무한다이맥스 이후에는 화염방사를 지니고 있어 약점을 찔리니 주의.[32] 예시로 알까기로 승리의 춤을 배우고 역린을 채용한 지가르데로 최대한 반감 스킬로 맞으면서 공격, 스피드를 둘다 6랭크까지 올린다면 메가레쿠쟈를 역린 한방에 무지개다리로 보내주고 무한다이노도 억 하는 순간에 보내준다.[33] 다만 파티 내에 존재하기만 하면 지속적으로 아이템을 수급해 주는 픽업에 비해 매지션은 아이템을 대량수급할 수는 있어도 직접 전투에 참여해야 하므로 충분한 육성이 필요하다는 점은 주의해야 된다.[34] 문제가 있다면, 베베솔트 계열이 등장하는 바이옴은 동굴(Cave)과 산(Mountain)인데, 동굴이라면 몰라도 산 바이옴에 도달하는건 엄청 어렵다.[35] 최단 루트를 탈 경우 마을(Town)→평야(Plains)[ruby(→, ruby=33%)]풀숲(Grassy Field)→높은 풀숲(Tall Grass)[ruby(→, ruby=50%)]동굴(Cave)[ruby(→, ruby=50%)]악지(Badlands)[ruby(→, ruby=50%)]산(Mountain) 순서다.[36] 무한다이맥스 시에는 화염방사를 들고 나오기 때문에 껍질몬은 바로 눕는다.[37] 사실, 오히려 알기술 덕분에 스타팅으로 조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38] 노말 or 악 타입에 껍질몬의 특성과 제2타입인 고스트가 조합되어 노멀타입은 악타입, 악타입은 페어리 타입에만 피해를 입게 된다.[39] 미진화체도 해당되긴 하나, 후속 세대에서 미진화체가 추가된 경우는 베이비 포켓몬들이므로 (1차) 진화형을 문제없이 선택 가능하다.[40] 여담으로 처음엔 마지막 웨이브 도달시 경험치 정산과 알 바우처를 얻었다는 메세지 이후 화면 전환 및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머물렀으나 업데이트를 통해 '끝에 도달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더 많은 컨텐츠를 기다려주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프리미엄 알 바우처를 제공하고 세이브가 사라진다.[41] 이마저도 약 1500층 근방부터는 몇십 토큰이 쌓이면서 도핑을 잘 한 초전설도 원킬을 못내거나 역으로 원킬이 나기 시작하며, 스택 한계가 999나 돼서 극후반에는 풀스택 기준 입히는 데미지 4995%, 받는 데미지 2497.5% 감소라는 초월적인 수치까지 오르게 되므로 평범한 기술로는 데미지를 입히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진다.[42] 빛나는부적이 속한 마스터 등급 아이템의 등장 확률은 0.1%, 록캡슐이 속한 로그 등급 아이템의 등장 확률도 1.12% 밖에 되지 않지만, 엔드리스 모드는 최대 정석적으로도 1000 ~ 2000웨이브 가까이 플레이하며, 10의 배수가 아닌 웨이브에서는 항상 3 ~ 6개의 아이템 보상 목록을 보게 되므로 해당 보상이 여러 차례 뜰 수 있는 충분한 기댓값이 있으며, 행운 수치가 0인 D등급부터 존재하는 기본적인 3.12%의 등급 상승 찬스와 록캡슐 고정 리롤을 감안한다면 그 확률은 더더욱 높아진다.[43] 이때는 민트로 스핏 상승 성격으로 변경하고 행운의 알도 몰아줘서 스핏을 밀리지 않게 해야한다. 드래곤테일도 채용해서 포획, 도주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특성은 옹골참을 추천.[44] 물리, 특수 모두 1.5배로 대응하는 반격기. 우선도가 없어서 민트로 스핏을 낮춰야한다. 자세한건 후술.[45] 2024/06/16 이전에는 쿼크차지[46] 보스전에서 굉장히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 '선공으로 보스 체력 감소 - 랜덤 랭크업 - 보스의 스피드가 랭크업되어 다음턴 선공을 뺏기고 기절'인데 보스의 랭크업을 똑같이 따라가므로 이런 사태가 완전히 방지된다.[47] 알 기술로 드래곤에너지를 가진 나무지기 / 드라꼰을 스타팅으로 편성해 유전자쐐기로 융합시켜 드래곤에너지만 전수한 뒤 융합을 해제하는 방법이 있다.[48] 위력 130에 강철 2배인 오버히트를 습득 가능하나 오버히트는 특공 2랭크 감소라는 큰 패널티가 있어 채용하기 힘들다.[49] 그나마 기술폭 문제는 기술머신으로 러스터캐논 / 파워젬 / 매지컬샤인 등을 배울 수 있으며 알 기술에 냉동빔이 있어 사정이 낫다. 가장 추천되는 건 페어리 / 얼음 견제가 가능한 러스터캐논 또는 땅 견제가 가능한 냉동빔.[50] 2024/06/16 이전에는 고대활성. 그란돈이 사실상 특수형으로 간다는 걸 감안하면 매우 큰 상향이다.[51] 랜드로스를 잡아 유전자쐐기로 융합시켜 열사의폭풍을 가져오면 그나마 땅 타입 특수 광역기 하나가 추가되긴 한다. 물론 열사의폭풍은 명중률 80%라 광각렌즈로 95%까지 보정시켜야 쓸만하다.[52] 백마 버드렉스는 비추천. 엔드리스에 부적합한 물리형인 데다 스피드가 너무 느려서 후반에 맞아죽기 좋다.[53] 2024/06/16 이전에는 촉촉바디였으며, 이 덕에 상태이상을 무시하고 딜을 박을 수 있었다. 사실상 큰 너프를 당한 셈.[54] 이 점이 가이오가를 그란돈의 하위 호환으로 만드는 주요 원흉이다. 그란돈은 불꽃 타입 공격을 무효로 하는 노릇노릇바디 / 타오르는불꽃 같은 성가신 특성 및 패시브를 무효로 만드는 터보블레이즈 덕에 상대가 뭐든 이중 반감만 아니라면 분화 하나만 딸깍해도 되지만 가이오가는 마중물 / 저수 / 건조피부 같이 물 타입 공격을 무효로 하는 특성 및 패시브에 해수스파우팅이 그대로 막혀버려 대책이 없다. 자칫하면 비자속에 날씨의 혜택마저도 못 받는 냉동빔으로 공격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55] 최소한 신비의칼 정도는 해금해둬야 그나마 낫다. 운 좋게 희귀 알 기술인 포톤가이저를 해금했다면 금상첨화.[56] 단, 매커니즘상 플러스 바우처는 리롤을 4회 이상 돌리면 등장 확률이 사라지기 때문에 바우처만 노리고 리롤을 많이 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니 주의. 또한 클래식에서는 마스터 등급에서 등장하는 프리미엄 바우처는 무한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57] 패시브 도주의 직구리, 패시브 긴장감의 다크라이, 깜까미가 베스트 조합. 대신 두마리나 스타팅으로 데려가야한다.[58] 소금절이는 물, 강철 타입에게 두배로 들어가며, 씨뿌리기는 풀 타입에게 무효된다.[59] 일정량 이상의 로그볼을 쌓아둔 후 마구 던져 몇번째에 포획했는지를 체크하고 리로드해 해당 횟수 이전까지 아무 공격기나 사용한 후 해당 횟수에 볼을 던지면 된다. 다만 당연하게도 시간이 오래 걸려 시간 단축이 핵심인 도주런에는 다소 안 맞으며 새로고침을 자주 하는 만큼 안 그래도 불안정한 서버에 부하를 많이 거므로 그리 추천하지는 않는다. 아예 저주, 소금절이로 죽이는게 빠르다.[60] 이 때문에 가끔 데일리 런 중 희귀 포켓몬들이 올라오면 공략 영상이 아닌 포획 영상이 올라올 때도 있다. 난수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데일리 런 특성상 개체값도 당연히 고정이기 때문에, 포획 영상 역시 한 번만 참고하면 된다. 또한, 스타팅으로 주는 포켓몬은 잡은 것으로 취급되지 않기에 강력한 포켓몬이 스타팅으로 나온다고 해서 그 개체가 등록이 되는 것도 아니다.[61] 포켓로그에서는 40웨이브가 하루에 해당하며, 낮(day)이 15웨이브, 황혼(dusk)이 5웨이브, 밤(night)이 15웨이브, 새벽(dawn)이 5웨이브인 사이클로 돌아간다.[62] 마휘핑은 진화 시점의 바이옴에 따라 폼이 달라진다.[63] 원래는 왕의징표석을 지닌 상태에서 연결의끈을 사용해야 했으나, 패치로 왕의징표석 없이 진화할 수 있게 바뀌었다.[64] 선두로 나가서 포켓몬을 쓰러트리거나, 선두로 나가서 야생 포켓몬을 포획하거나, 교체되어 잠깐이라도 배틀에 참여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처리된다. 배틀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경험치만 얻는 경우에는 오르지 않는다.[65] 파티 전원의 레벨을 올려주는 더이상한사탕도 동일한 수치의 친밀도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파티 전원의 친밀도가 동시에 오르게 된다.[66] 부활의씨앗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밀도가 감소하지 않는다.[67] 암컷이면 가디안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수컷 가디안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암컷 킬리아만 가디안으로 진화할 수 있다.[68] 수컷이면 얼음귀신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암컷 얼음귀신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수컷 눈꼬마만 얼음귀신으로 진화할 수 있다.[69] 라란티스는 본가와 진화 조건이 같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73] 맘모꾸리는 본가와 진화 조건이 같다.[74] 본 게임에서 유전자쐐기가 모든 포켓몬에 대응하는 도구가 되었기 때문에 합체에는 다크스톤/라이트스톤이 사용된다.[75] 전설 업! 뽑기에서는 202/256 확률.[76] 타입:널은 준전설이지만 5코스트인 관계로 레어알에서 나온다.[77] 유일한 10코스트 포켓몬인 무한다이노는 가챠 배출 대상 외다.[78] 극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네크로즈마의 4번째 기술은 짜랑고우거의 전용기인 소울비트이다. 해당 기술은 HP를 1/3 소모해 공격/특공/방어/특방/속도를 랭크업하는데, 네크로즈마는 자체 회복기(아침햇살, 달빛)를 보유한 데다 랭크업 수치만큼 공격력이 증가하는 기술인 어시스트파워까지 자력습득하므로 이 둘이 조합되면 그대로 게임이 터진다.[79] 이 문서의 무한 모드 추천 포켓몬에 쓰인 딜러들이나 인터넷 등에서 보이는 티어표의 S~A 정도의 포켓몬. 주로 강력한 광역기와 높은 속도를 바탕으로 무한 모드의 초중반, 경우따라 후반까지 써먹기에 이들이 있으면 게임 난이도가 무지하게 쉬워진다.[80] 한 라운드 내에서 연속으로 리롤 시 가중치 감소 보정으로 인해 등장 확률이 점점 낮아져 3번째 리롤 시 등장하지 않게 된다. 알 바우처 일반은 1번만 리롤해도 등장하지 않게 된다. 매 웨이브마다 가중치 감소 보정이 초기화된다.[81] 메가링, 다이맥스밴드, 테라스탈오브.[82] 팔데아지방 사천왕처럼 기존 타입을 가진 포켓몬을 테라스탈시키는 소위 자속 테라로만 사용한다.[83] 대도시, 연구소 그리고 정글이 이에 해당하며, 모두 기본 MIDI 음원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84]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에는 딱히 이름이 등재되어 있지 않은데, 곡 제작에 참여한 인물들 전원이 이미 블랙·화이트 부분에 이름이 등재되어 있기 때문에 넣지 않은 듯하다.[85] 슈퍼 뮤직 컬렉션에서는 주로 일반적으로 게임을 진행할 때 흘러나오는 BGM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는데, 아래 BGM 리스트에도 초반에 도착할 확률이 높은 바이옴이 먼저, 그 이후에 도착할 확률이 높은 바이옴이 후반에 비치되어 있다. 전설의 포켓몬 전투 테마처럼 초반부터 흘러나오는 경우도 있으나 그러할 확률이 극악인 BGM의 경우, 그만큼 더 후반에 비치되어 있다. 3번째 라이벌 전투 테마의 경우는 145 웨이브에서 먼저 흘러나오기에, 원래는 180 웨이브부터 흘러나오는 사천왕과 챔피언 전투 테마 이전에 비치되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공식 슈퍼 뮤직 컬렉션에서는 '결전'이라는 단어가 제목으로 사용된 전투 테마의 경우 최대한 리스트 후반에 비치되는 경향이 있기에 여기에서도 이가 반영되었다.[86] 원작 시리즈에서는 하나지방 출신의 야생 포켓몬 전투 테마로만 사용되나, 해당 작품에서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첫 5 웨이브의 야생 포켓몬 전투 테마로 사용되었다.[87] 원작 시리즈에서는 하나지방 출신의 트레이너 전투 테마로만 사용되나, 해당 작품에서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모든 트레이너의 전투 테마로 사용되었다.[88] 라이벌과의 마지막 전투인 195 웨이브 이외의 모든 라이벌과의 전투 직전에 흘러나온다.[89] 8, 25, 5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E4] 해당 지방의 사천왕 전투 테마로도 사용되었다.[E4] [E4] [93]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5세대 이후 지방인 하나지방, 칼로스지방, 알로라지방, 가라르지방 그리고 팔데아지방 출신의 체육관 관장 전투 테마로도 사용된다.[MP]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Mixed로 바꾸면 변경된다.[MP] [96] 원작 소드·실드에서는 체육관 관장의 남은 포켓몬 수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가 달려졌지만, 이 작품에서는 남은 포켓몬 수에 상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곡의 분위기가 바뀐다.[MP] [98] 소드·실드와 비슷하게 원작 스칼렛·바이올렛에서는 체육관 관장의 남은 포켓몬 수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가 달려졌지만, 이 작품에서는 남은 포켓몬 수에 상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곡의 분위기가 바뀐다.[99] 9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100] 전용 전투 테마를 가지고 있지 않은 환상과 준전설 포켓몬 전투 테마이다.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이와 상관없이 모든 환상과 준전설 포켓몬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104]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이 Consistent일 경우.[MP] [MP] [DP] 해당 곡이 처음 등장한 건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지만, PokéRogue 공식 크레딧에는 이 곡이 재사용 된 적이 있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곡이라고 서술되어 있다.[MP] [DP] [MP] [MP] [MP] [MP] [MP] [115] 전용 전투 테마를 가지고 있지 않은 초전설 포켓몬 전투 테마.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이와 상관없이 모든 초전설 포켓몬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MP] [MP] [MP] [DP] [MP] [124] 해당 곡이 처음 등장한 건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이지만, PokéRogue 공식 크레딧에는 이 곡이 재사용 된 적이 있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곡이라고 서술되어 있다.[MP] [MP] [MP] [MP] [MP] [MP] [MP] [MP] [MP] [134]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모든 사천왕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MP] [MP] [140] 원작 시리즈에서 블랙 2·화이트 2 PWT 버전 전투곡이 존재하는 곡들 중, 유일하게 PWT 버전이 아닌 블랙·화이트 전투곡을 사용한다.[141]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는 5세대 이후 지방인 하나지방, 칼로스지방, 알로라지방, 가라르지방 그리고 팔데아지방 출신의 챔피언 전투 테마로도 사용된다.[MP] [MP] [MP] [MP] [MP] [MP] [148] 191 ~ 194 웨이브의 엔드 바이옴 테마이다.[149] 145, 19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150] 196 ~ 199 웨이브의 엔드 바이옴 테마이다.[151] 무한다이노 전투 이외에도 195 웨이브 라이벌 전투 직전에 라이벌의 테마 대신 흘러나오기도 한다.[152] 무한다이노가 무한다이맥스를 할 때부터 흘러나오기 시작한다.[153] Not implemented[154] Partially implemented[155] 덕분에 디메리트라고는 겨우 pp 5뿐인 120 위력을 난사하는 군침도는 기술이 되었다.[156] 파일:포케로그_오류.png[157] 실제로 업데이트 내용중 일부는 개발진의 자체 개발이 아니라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일부 유저들이 자발적으로 오픈 소스를 참고하여 만든 자료를 공유받은 개발진들이 이중 쓸만한 것을 추려서 같이 업데이트 한 것이다. 포켓로그가 무료 웹게임 치고는 이례적으로 업데이트 내역이 많고 빠른 것도 이런 연유로, 결국 검사과정을 거쳐야 한다지만 개발과정을 생략한다는 것 자체만으로 상당한 시간적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었다.[158] 기술 유불리 표시, 알 천장 시스템 등[159] 처음에는 부유(땅 무효)나 저수(물 무효)등, 특성으로 타입 상성이 변화하는 경우까지 고려해서 계산되었으나, 이후 패치로 본가와 동일하게 기본 타입 상성 기준으로 배율을 표기하고, 실제로 특성 효과에 해당하는 기술로 타격한 이후 제대로된 배율이 표기되도록 변경되었다.[160] 제작진이 밝힌 바에 따르면 특히나 한국쪽 서버 트래픽량이 1등이라고 한다.#[161] 만약 광고를 달거나 과금 시스템을 추가하는 순간 영리성이 생겨 게임프리크쪽에서 소송을 걸 여지가 생긴다.[162] 한글 번역본에서는 "(누적 배틀 승리 횟수) 전투에서 승리하세요!"로 오역되었다.[163]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개조 롬. 포켓로그의 포켓몬 융합에 해당되는 퓨전 진화체가 나온다.[164] 한글 번역본은 "집에서 인피니트 퓨전을 즐겨보세요!".[미번역] 한글 번역본에서는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166] 최종보스 무한다이노를 쓰러트릴 경우 나오는 대사이다. 한국어판에서는 "고무적이군." 으로 번역.[미번역] [168] 한글 번역본에서는 "오렌지 주스!"로 원문의 오타가 반영되지 않았다.[미번역] [170] 의역으로, 원문의 Difficulty Spikes는 난도가 갑작스럽게 급상승하는 것을 뜻한다.[171] 한글 번역본에서는 "무한 플래시게임 기반!"으로 오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