龍 용 룡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c1d1f> 龍,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c1d1f> 16획 | ||||
고등학교 | |||||||
竜 | |||||||
일본어 음독 | リュウ, リョウ, リン | ||||||
일본어 훈독 | たつ | ||||||
龙 | |||||||
표준 중국어 | ló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龍은 '용 룡'이라는 한자로, '용', '미르', '임금'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선 U+9F8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月卜尸心(YBYSP)으로 입력한다.머리에 辛(매울 신) 모양 장식이 있는 뱀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이다. 용은 상상의 동물이라 상형자로 만들기 어려워서 머리에 辛 모양 장식이 있는 뱀을 본땄다.
십이지에서 용은 龍이 아니라 辰(별 진)을 쓴다.
용이라는 뜻 외에도 임금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곤룡포(袞龍袍), 용안(龍顔) 같이 임금과 관련된 물건에 자주 붙는 한자이다.
획수가 제법 많지만 파자하여 立月卜己三[1]이 되므로, 이를 기억하면 쓰는 법을 외우기가 약간 더 쉬워진다.
일본 신자체에서 쓰이는 竜은 龍의 고자(古字)이기도 하다.
또한 일본에서는 구자체 龍과 신자체 竜이 인명과 일상생활에서 둘 다 많이 쓰인다. 비슷한 예로 '못 택'(澤, 沢)이 있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4.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획수가 많은 부수들이 그렇듯이 부수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龍을 제외하면 龐(어지러울 방)이 방통처럼 인명에 조금 쓰이는 정도이다. 그 외에 잘 쓰이진 않지만 龕(감실 감), 龔(공손할 공), 龑(고명할 엄) 따위 한자가 있다. 龍이 형부가 아닌 성부인데 龍부로 분류된 자가 많은 편이다.
음부로 쓰일 땐 '룡'이나 '롱'의 음이 된다. 해당하는 글자 중 한자검정시험에 출제되는 한자로는 籠(대바구니 롱), 壟(밭두둑 롱), 瓏(옥 소리 롱), 聾(귀머거리 롱), 朧(흐릿할 롱), 瀧(비 올 롱), 隴(고개 이름 롱) 등이 있다. 龐(어지러울 방), 寵(사랑할 총) 등도 성부가 龍이지만 음이 조금 달라졌다. 襲(엄습할 습)은 원래 음부가 龍이 아니고 龍 2개인 龖이나 나중에 간략화한 것이다.
획수가 가장 많은 글자로 龍자 4개를 모아둔 𪚥(수다스러울 절)이 있다. 획수는 64획이다.
5. 성씨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20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만 4483명, 전체 122위인 성씨이다. 자세한 건 용(성씨) 문서 참조.
6. 용례
6.1. 단어
- 용(龍)
- 공룡(恐龍/恐竜)
- 교룡(交龍/蛟龍)
- 교룡기(交龍旗)
- 계룡(鷄龍)
- 복룡(伏龍)
- 비룡(飛龍)
- 백룡(白龍)
- 와룡(臥龍)
- 용검(龍劍)
- 용궁(龍宮)
- 용궐(龍闕)
- 용문(龍紋/龍門)
- 용봉탕(龍鳳湯)
- 용소(龍沼)
- 용수(龍壽/龍樹/龍鬚)
- 용안(龍眼/龍顔)
- 용왕(龍王)
- 용포(龍袍)
- 익룡(翼龍)
- 적룡(赤龍)
- 청룡(靑龍)
- 황룡(黃龍)
- 해룡(海龍)
- 흑룡(黑龍)
6.2. 고사성어/숙어
6.3. 인명
6.3.1. 실존인물
- 성이 용씨인 사람 전부
- BSL白龙
- G-DRAGON의 본명 권지용(權志龍)
- 김성룡(金成龍)[A]: 대한민국 제10대 공군참모총장
- 김성룡(金成龍)[A]: 바둑기사
- 김용수(金龍洙)
- 김응용(金應龍)
- 리셴룽(李顯龍)
- 마룽(马龙)
- 박용택(朴龍澤)
-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 사쿠마 류토(作間龍斗)
- 사토 류가(佐藤龍我)
- 송위룡(宋威龙)
- 시메카케 류야(七五三掛龍也)
- 쑨룽(孙龙)
- 안용복(安龍福)
- 엄용수(嚴龍洙)
- 우용곡(禹龍谷)
- 원희룡(元喜龍)
- 이룽(一龙)
- 이승만의 초명인 이승룡(李承龍)
- 정진룡(丁鎭龍)
- 주일룡(朱一龙)
- 청루이룽(成瑞龙)
- 필릭스의 한국어 이름 이용복(李龍馥)
- 하룡룡(何龙龙)
- 한용운(韓龍雲)
6.3.2. 가상인물
- 나루호도 류노스케(成歩堂 龍ノ介)
- 나루호도 류이치(成歩堂 龍一)
- 라인만의 통칭 잠룡(潛龍)
- 롬팽(龍鳳)
- 류가죠 나나나(龍ヶ嬢 七々々)
- 류 하야부사(龍隼)
- 린 히류(鱗 飛竜)
- 우류 타츠오미(瓜生 龍臣)
- 이즈나마루 메구무(飯綱丸 龍)
- 진금룡(秦金龍)
- 진은룡(秦銀龍)
- 진동룡(秦銅龍)
- 타츠모토 마사유키(龍本 雅幸)
- 키류 쿠로(鬼龍 紅郎)
- 초거룡 가야르도(超巨龍)
6.4. 지명
- 검룡소(儉龍沼)
- 경기도 용인시 (京畿道 龍仁市)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慶尙南道 昌原市 鎭海區 龍院洞)
- 공룡능선(恐龍陵線)
- 공룡로(恐龍路)
- 구룡산(九龍山)
- 대구광역시
-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
- 서울특별시 용산구(特別市 龍山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문동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1~6가
- 서울특별시 관악구 청룡동
- 용아장성(龍牙長城)
- 일본 이바라키현 류가사키시(日本 茨城県 龍ケ崎市)
- 중국 헤이룽장성(黑龙江省)
- 충청남도 계룡시(忠淸南道 鷄龍市)
- 홍콩 구룡반도(香港特別行政區 九龍半島)
- 황룡사(皇龍寺)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용성리(龍城里)
6.4.1. 철도역
6.5. 창작물
- 고룡종 (古龍種)
- 용환사 (龍喚士)
- 용감수경(龍龕手鏡)
- 용계사 (龍契士)
- 용성쌍의록(龍城雙義錄)
- 푸른 눈의 백룡 (青眼の白龍)
- 붉은 눈의 흑룡 (真紅眼の黒龍)
- 정룡 (征竜)
- 가면라이더 류우키 (仮面ライダー 龍騎)
- 동방홍룡동 ~ Unconnected Marketeers. (東方虹龍洞)
- 이즈나마루 메구무(飯綱丸 龍)
- 용과 같이 (龍が如く)
6.6. 기타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여담
龍은 16획으로, 부수 중 두 번째로 획수가 많은 제부수 한자이다. 첫 번째는 17획의 龠(피리 약).같은 한자를 네 개까지 합쳐서 다른 한자를 만들 수 있는 한자 중 하나이다.[4]
龍, 龖, 龘, 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