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7:20:04

오익창

오익창
吳益昌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출생 1557년(명종 12년)
전라도 무장현
(現 전라북도 고창군)
사망 1643년(인조 21년)(향년 79세)
본관 함양 오씨
공훈 익사원종공신(翼社原從功臣)
격원(格遠)
사호(沙湖)
묘소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성산리
부모 부친 오인(吳寅)#
모친 전주 이씨
배우자 함풍 이씨
서산 유씨
자녀 장남 오전(吳腆)#
차남 오엽(吳曄)

1. 개요2. 생애3. 저서4. 사당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오익창(吳益昌)은 1557년(명종 12년) 전라도 무장현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유원(裕遠), 호는 사호(沙湖)이다. 참판 오치선(吳致善)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진사 오인(吳寅)이다. 1579년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다.#

2. 생애

1589년 기축옥사의 억울한 죽음에 대하여 상소를 올려 신원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1597년 명량 해전 당시 통제사 이순신이 전선 12척만 거느린 것을 본 전라도 연해민들이 피란길에 올랐으나, 이들을 설득하여 피란선을 동원하여 수군의 후방을 지원하였다. 또한, 의복과 군량을 공급하는 한편, 솜이불을 모아 물에 적셔 배에 펼쳐 철환을 막게 하였다.

광해군 대 1613년 임해군 역모 사건을 평정한 공로로 익사원종공신(翼社原從功臣) 1등에 참록되었다. 이이첨의 실정에 회의를 품었고, 공조정랑에 있던 오익창은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심원동(深源洞)에 기거하며 시를 짓고 교육에 힘썼다. 1627년 정묘호란 때 왕이 강화도로 피란하자, 도내에 격문을 보내 식량을 모아 강화도로 운반하였다.

1643년(인조 21년) 심원면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3. 저서

문집으로『사호집(沙湖集)』 3권 2책이 있다.[1]

4. 사당

1713년(숙종 39년) 전라도 유림의 공의로 죽산사(竹山祠)[2]를 건립하여 배향하였다.

5. 둘러보기

임진왜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ddd>전쟁·정벌교전세력
대마도 정벌 (제2차, 제3차) 1396, 1419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제1차 파저강 야인 정벌 1433여진족
제2차 파저강 야인 정벌 1437여진족
4군 6진 개척 1434 ~ 1443여진족
모련위 정벌 1461여진족
정건주위(세조) 1467여진족
정건주위(성종) 1479여진족
정니마군 1491여진족
정서북로구 1492여진족
삼포왜란 1510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사량진 왜변 1544왜구
을묘왜변 1555왜구
니탕개의 난 1583여진족
녹둔도 전투 1587 ~ 1588여진족
임진왜란 1592 ~ 1597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정유재란 1597 ~ 1598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제2차 당포 해전 1604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일본 (도쿠가와 정권)
사르후 전투 1619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흥양 해전 1622파일:네덜란드 동인도 회사.png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정묘호란 162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병자호란 163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가도 정벌 1637모문룡 휘하 명군 잔당
송산 전투 1641명나라
나선정벌 1652 ~ 1658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병인양요 1866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2제국
신미양요 1871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운요호 사건 1875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명나라 국새 인영.svg 명나라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800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colcolor=#800000>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F0C420> 명-호 전쟁
1406 ~ 1407
대우(호 왕조)
영락제의 몽골 원정
1410 ~ 1424
북원
람썬 봉기
1418 ~ 1428
대월(후 레 왕조)
토목의 변
1449
오이라트
경술의 변
1550
몽골 투메드부
임진왜란
1592 ~ 1598
명청 전쟁
1618 ~ 1644
사르후 전투
1619
영원성 전투
1626
송산 전투
1641 ~ 1642
명-네덜란드 분쟁
이자성의 난
1627 ~ 1644
대순 }}}}}}}}}

파일:일본 황실.svg파일:투명.png일본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전근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시대 전쟁·전투 교전 세력
고훈 시대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291년~720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신라-왜 전쟁
364년~404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아스카 시대 이와이의 난
527년
규슈 왜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관산성 전투
554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가야멸망전
562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백강 전투
663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파일:tang_fel2.jpg
가마쿠라 막부 원나라의 1차 일본원정
1274년
파일:원나라 국기.jpg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원나라의 2차 일본원정
1281년
파일:원나라 국기.jpg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무로마치 막부 1차 대마도 정벌
1389년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2차 대마도 정벌
1396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3차 대마도 정벌
1419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임진왜란
1592년~1598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명나라 보.svg
에도 막부 사쓰마의 류큐 침공
1609년
파일:류큐 왕국 국장.svg 류큐 왕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년·1864년
파일:미국 국기(1863-1865).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사쓰에이 전쟁
1863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근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시대 전쟁·전투 교전 세력
메이지 시대 대만 출병
1874년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만 원주민
운요호 사건
1875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동학 농민 혁명
1894년
파일:척왜양창의.svg 동학농민군
청일전쟁
1894년~1895년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의화단 운동
1899년~1901년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러일전쟁
1904년~1905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남대문 전투
1907년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남한 대토벌 작전
1909년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호남계 의병
다이쇼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1918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일본의 시베리아 개입
1918년~1925년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삼둔자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봉오동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청산리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쇼와 시대 만주사변
1931년~1932년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봉천군벌
영릉가 전투
1932년
한중연합군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의용군
쌍성보 전투
1932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열하사변
1933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경박호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사도하자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흥경성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의용군
동경성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대전자령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중일전쟁
1937년~1945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소련-일본 국경분쟁
1932년~1939년
하산 호 전투
1938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할힌골 전투
1939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1945년
태평양 전쟁
1941년~1945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자치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소련-일본 전쟁
1945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40–1945).svg 몽골 인민 공화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현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이승만 라인 분쟁
1952년~1965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년~1956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라제즈드노이호 사건
1953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독도 대첩
1954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년~2011년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파일:투명.png파일:바트당 당기.svg 후세인 정권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日]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성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日]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 농민 혁명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
사고
미군정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 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6.3 항쟁 · 김대중 납치 사건
문민정부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한일관계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3월·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교통 한일 해저터널 ·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항공편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항공편 · 선박편
기타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논란)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서명.svg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


[1] 1773년(영조 49년) 오익창의 7대손인 오성열이 오익창의 글을 모아 목활자로 간행하였다.[2] 1868년(고종 5년) 대원군정책으로 훼철되었다가 1976년 다시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