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12e, #01013a 20%, #01013a 80%, #01012e); color: #ffc224;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조지 1세 | |||
<rowcolor=#ffc224> 초대 | ||||
로버트 월폴 | ||||
조지 2세 | ||||
<rowcolor=#ffc224>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로버트 월폴 | 스펜서 컴프턴 | 헨리 펠럼 | 토머스 펠럼홀스 | |
<rowcolor=#ffc224> 제5대 | 제6대 | |||
윌리엄 캐번디시 | 토머스 펠럼홀스 | |||
조지 3세 | ||||
<rowcolor=#ffc224>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토머스 펠럼홀스 | 존 스튜어트 | 조지 그렌빌 | ||
<rowcolor=#ffc224>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
대 윌리엄 피트 | 오거스터스 피츠로이 | 프레더릭 노스 | ||
<rowcolor=#ffc224>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윌리엄 페티 | 소 윌리엄 피트 | 헨리 애딩턴 | ||
<rowcolor=#ffc224>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소 윌리엄 피트 | 윌리엄 그렌빌 | 스펜서 퍼시벌 | ||
<rowcolor=#ffc224> 제22대 | ||||
조지 4세 | ||||
<rowcolor=#ffc224>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조지 캐닝 | F. J. 로빈슨 | 아서 웰즐리 | ||
윌리엄 4세 | ||||
<rowcolor=#ffc224>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아서 웰즐리 | 찰스 그레이 | 윌리엄 램 | 아서 웰즐리 | |
<rowcolor=#ffc224> 제29대 | 제30대 | |||
로버트 필 | 윌리엄 램 | |||
빅토리아 | ||||
<rowcolor=#ffc224>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윌리엄 램 | 로버트 필 | 존 러셀 | ||
<rowcolor=#ffc224>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조지 해밀턴고든 | 헨리 존 템플 | 헨리 존 템플 | ||
<rowcolor=#ffc224>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
존 러셀 | 벤저민 디즈레일리 | |||
<rowcolor=#ffc224>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벤저민 디즈레일리 | ||||
<rowcolor=#ffc224>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
아치볼드 프림로즈 | ||||
에드워드 7세 | ||||
<rowcolor=#ffc224>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
아서 밸푸어 | 헨리 캠벨배너먼 |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 ||
조지 5세 | ||||
<rowcolor=#ffc224>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 앤드루 보너 로 | 스탠리 볼드윈 | |
<rowcolor=#ffc224>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
에드워드 8세 | ||||
<rowcolor=#ffc224> 제59대 | ||||
스탠리 볼드윈 | ||||
조지 6세 | ||||
<rowcolor=#ffc224> 제59대 | 제60대 | 제61대 | 제62대 | |
윈스턴 처칠 | ||||
<rowcolor=#ffc224> 제63대 | ||||
윈스턴 처칠 | ||||
엘리자베스 2세 | ||||
<rowcolor=#ffc224> 제63대 | 제64대 | 제65대 | 제66대 | |
윈스턴 처칠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알렉 더글러스흄 | |
<rowcolor=#ffc224> 제67대 | 제68대 | 제69대 | 제70대 | |
해럴드 윌슨 | 해럴드 윌슨 | |||
<rowcolor=#ffc224> 제71대 | 제72대 | 제73대 | 제74대 | |
마거릿 대처 | 존 메이저 | 토니 블레어 | 고든 브라운 | |
<rowcolor=#ffc224> 제75대 | 제76대 | 제77대 | 제78대 |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리즈 트러스 | |
찰스 3세 | ||||
<rowcolor=#ffc224> 제78대 | 제79대 | 제80대 | ||
리즈 트러스 | 리시 수낙 | 키어 스타머 | }}}}}}}}} |
아서 웰즐리 관련 틀 | |||||||||||||||||||||||||||||||||||||||||||||||||||||||||||||||||||||||||||||||||||||||||||||||||||||||||||||||||||||||||||||||||||||||||||||||||||||||||||||||||||||||||||||||||||||||||||||||||||||||||||||||||||||||||||||||||||||||||||||||||||||||||||||||||||||||||||||||||||||||||||||||||||||||||||||||||||||||||||||||||||||||||||||||||||||||||||||||||||||||||||||||||||||||||||||||||||||||||||||||||||||||||||||||||||||||||||||||||||||||||||||||||||||||||||||||||||||||||||||||||||||||||||||||||||||||||||||||||||||||||||||||||||||||||||||||||||||||||||||||||||||||||||||||||||||||||||||||||||||||||||||||||||||||||||||||||||||||||||||||||||||||||||||||||||||||||||||||||||||||||||||||||||||||
|
<colbgcolor=#01013a><colcolor=#ffc224> | |||
출생 | 1769년 5월 1일 | ||
아일랜드 왕국 더블린 | |||
사망 | 1852년 9월 14일 (향년 83세) |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켄트주 월머 | |||
재임기간 | 제25대 총리 | ||
1828년 1월 22일 ~ 1830년 11월 16일 | |||
제28대 총리 | |||
1834년 11월 14일 ~ 1834년 12월 12일 | |||
제20대 외무장관 | |||
1834년 11월 14일 ~ 1835년 4월 18일 | |||
제22대 내무장관 | |||
1834년 11월 17일 ~ 1834년 12월 15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1013a><colcolor=#ffc224> 부모 | 父: 개럿 웰즐리 母: 앤 힐트레버 | |
배우자 | 캐서린 파킨햄 (1806년 결혼 / 1831년 사망) | ||
자녀 | 아서, 찰스 | ||
학력 | 이튼 칼리지 (졸업) | ||
종교 | 성공회 (아일랜드 교회) | ||
최종 당적 | |||
작위 | 웰링턴 공작 (Duke of Wellington) | ||
군사 경력 | |||
복무 | 대영제국 육군 | ||
1787년 ~ 1852년 | |||
최종 계급 | 원수 (대영제국 육군) | ||
참전 | 플랑드르 전투 제4차 앵글로-마이소르 전투 제2차 앵글로-마라타 전투 영국 전투 반도 전쟁 코티오테 전투 백일천하 워털루 전투 | }}}}}}}}} |
[clearfix]
1. 개요
공작이 없는 영국은 상상할 수 없다. 그는 신하가 된 자로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위치에, 모두의 위에 우뚝 섰었다. 그는 온 나라에서 존경 받았으며 군주가 신뢰할 수 있는 친구였다. 오늘 눈에 눈물이 흐르지 않은 이가 드물 것이다.
빅토리아 여왕, 웰링턴 공작 사후 추사.
영국의 제25, 28대 총리.빅토리아 여왕, 웰링턴 공작 사후 추사.
영국 육군 원수이자 제1대 웰링턴 공작이며 나폴레옹 전쟁 당시 영국 육군 최고의 지휘관이다. 프랑스 육군의 최대 호적수였으며[1][2] 워털루 전투에서 씬 레드 라인을 위시한 수비적 전술의 극한으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시대를 끝낸 명장이다.
2. 생애
2.1. 나폴레옹 전쟁 이전
더블린에서 앵글로-아일랜드계(Anglo-Irish) 백작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3남이라 영지를 물려받을 가망이 없었고 이튼 스쿨에서 적응도 못 해 일찍부터 육군에 투신했다. 특이한 것은 프랑스 육군사관학교로 유학가서 군사학을 배웠다는 점. 집안이 빵빵한 덕에[3] 영국 특유의 매관 제도를 이용하여 빠르게 진급[4]하여 1794년에는 연대장으로 플랑드르 지방에서 복무하다가, 프랑스 혁명군과 싸우며 공적을 쌓아갔다.1798년 그의 형이 인도 총독[5]이 되자 형을 따라서 인도 주둔군에 복무하며 지방 반란들을 평정하며 형의 후광과 자신의 전과로 소장까지 진급한다. 제4차 마이소르 전쟁에서는 서양식 무기와 군사제도를 받아들여 강력한 군대를 가졌던 마이소르 왕국을 격파하여 사실상 왕국을 멸망시켰고, 특히 1803년 9월 23일 벌어진 아사예 전투에서 5천 명의 병력으로 마라타 동맹의 5만 병력과 싸워 크게 승리했는데 웰링턴 본인은 워털루보다도 이 전투를 자신의 최고 전과로 꼽았다.[6][7] 1805년 본국에 귀국하여 인도에서의 공적으로 기사 작위를 받지만, 본토의 육군고관들에게는 인도 복무기간 중의 성과는 무시당한다. 당시 인도의 군대는 전체적으로 영국군과 싸우면 지기 바빴기에 오합지졸들 부숴놓고 자랑거리가 되느냐는 식의 반응이 나온 것이었다.
1807년 사단장으로 진급하여 프랑스와 동맹을 맺은 덴마크를 침공하는 작전에 참가, 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중장으로 진급했다. 이듬해 1808년 반도 전쟁에서 포르투갈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이 파견한 부대의 선발대 지휘관으로 이베리아 반도로 처음 향한다. 그러나 초전에 아직 소수였던 쥐노 휘하의 프랑스군을 연달아 격파하던 아서 웰즐리는 후속부대와 함께 도착한 상관들의 삽질로 신트라 협약을 맺었는데 쥐노 휘하의 포트루갈 주둔 프랑스군이 포르투갈에서 그냥 물러나는 대신 "자신의 약탈품을 포함해 자신들을 영국 해군이 프랑스로 수송해주는" 협약이었다. 당시 프랑스군은 비메이라에서 크게 패해서 크게 불리한 상황이었다. 즉, 계속 공격했으면 적을 섬멸할 수 있는 상황인데 저런 협약을 맺었다. 따라서 그의 성과가 모조리 날아가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고, 1808년 9월에 이것이 문제가 되어 아서 웰즐리는 그 상관들과 함께 의회 조사를 받기 위해 본국으로 송환되는 수모를 겪게 된다.
2.2. 나폴레옹 전쟁
그러나 후임으로 임명되었던 존 무어 장군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직접 지휘하는 20만 대군에 밀려 퇴각하던 중 전사하자, 웰즐리는 그 후임으로 임명되어 다시 이베리아 반도로 향한다. 이후 연패로 개판이 된 영국군을 추스르고 군기를 확립하며, 포르투갈-스페인 국경에 강력한 요새들을 설치해 프랑스의 침입에 대비했다. 그런데 군의 사기와 전투 능력이 향상된 데 비해 심각한 약탈 행위는 그대로였다. 걸리는 자들은 죄다 교수형에 처했음에도 불구하고[8] 약탈행위가 어찌나 빈번했는지 웰링턴은 이에 질려 본국이나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자기 병사들을 오합지졸, 영국사 최악의 부대, 거지새끼들 등으로 묘사했다.당시 영국+스페인+포르투갈 연합군은 7만 8천 명, 프랑스군은 5만 8천 명이었는데, 연합군은 4,500여 명이 전사했고 프랑스군은 8천여 명 전사에 포로 2천여 명이 나왔다. 나머지는 탈출해서 프랑스 복귀에 성공했다고 한다. 당시 프랑스군이 노략질해가던 스페인의 보화들은 당시 화폐 가치로 최소 5백만 파운드로 추정되고 정확한 액수는 아무도 모른다고 한다. 이 중 웰링턴이 공식적으로 회수한 것은 고작 2만 5천 파운드 정도였고, 영국군 병사들이 약탈한 액수는 대략 1백만 파운드로 추정된다.[9] 이때 프랑스군은 완전히 붕괴해서 부대 유지도 못하고 패주중인 상황이었고, 나폴레옹의 형이자 프랑스에서 스페인 왕으로 세웠던 조세프도 타고 있던 마차가 영국군 기병대에게 따라 잡혀서 영국군이 마차 문을 열었을 때 반대쪽 문, 혹은 뒷문을 열고 튀었어야 했을 정도로 궁지에 몰려 있었다. 그런데 영국군 병사들이 전투는 뒷전이고 사방에 널린 보물들을 챙기느라 정신이 없어서 전과 확대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웰링턴이 빡친 게 돈이 회수가 안돼서뿐만은 아니었던 것이다. 덧붙여 조세프의 마차를 덮쳤던 기병들은 그를 잡는 데는 실패했지만, 그가 마차안에 남겨두고 간 요강을 전리품으로 챙겨 술잔으로 썼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다만 웰링턴이 유독 약탈을 세게 다스린 것은 스페인이 동맹국이었던 게 크다. 즉 어떤 지휘관이 오더라도 제정신이라면 병사들의 약탈을 엄하게 다스렸을 것이라는 이야기. 프랑스에서의 약탈을 내버려뒀다는 것을 보면 확실하다. 아무튼 인도에서 잘 훈련된 군인들을 지휘하다 힘든 경제 사정으로 입대한 군인들을 상대하게 된[10][11] 웰링턴은 문화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1810년 영국군을 포르투갈에서 몰아내기 위해 앙드레 마세나와 장드디외 술트가 포르투갈로 침입해 왔으나, 열세한 병력으로 부사코 전투에서 마세나군과 격돌, 영국-포르투갈군은 1,200명의 사상자가 난 데 반해, 마세나의 부대는 4,500명의 사상자를 내게 만든다. 그리고 그대로 요새선으로 후퇴, 요새를 공격하던 프랑스군은 제풀에 지치고, 식량과 물자는 바닥나고, 지휘부마저 분열되어 퇴각하게 된다.
추격전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고 마세나의 조공인 술트가 다른 쪽 국경에 침입, 바다호즈 요새를 점령했기에 추격을 중단하고 포르투갈로 귀환한다. 확실한 승리를 거두는 데는 실패했지만, 일단 프랑스군은 더 이상 포르투갈 공세에 나서지 못하게 되었고, 영국이 오히려 공세를 가할 수 있는 입장으로 바뀌어, 웰링턴은 스페인 게릴라를 지원하여 프랑스군의 후방을 노리는 한편, 수시로 프랑스군과 교전을 벌여 서서히 이베리아 반도의 프랑스군을 약체화시킨다.
1812년 스페인의 화가 프란시스코 데 고야가 그린 초상화 |
1815년 토머스 로렌스[13]가 그린 웰링턴 초상화 |
2.3. 정치 활동
나폴레옹 전쟁 이후에는 정치가로 변신하여 의회와 내각에서 여러 활동을 한 끝에 1828년에 영국 총리가 된다. 총리 시절 그의 주요 업적으로 아일랜드의 오랜 염원이었던 가톨릭교도의 정치적 자유를 보장하였으나, 그로 인해 자신이 당수이기도 했던 보수주의 여당의 지지를 잃게 된다. 훌륭한 군인일 뿐 정치감각은 별로 없어서 군인 시절 얻었던 인기를 잃고 2년 만에 사임했다.군인 출신이라 그런지 강경한 제국주의자로, 아편전쟁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16] 그냥 지지발언을 했다고 하면 수많은 찬성파 의원 중 한 사람 같아 보이겠지만, 웰즐리는 한때 토리당 대표까지 지냈고 1차 아편전쟁 끝무렵에는 육군 총사령관도 지낼 정도의 쨍쨍한 현역이었다. 아편전쟁 같은 경우는 찬반이 팽팽하게 대립하였는데 훗날 수상을 지내는 윌리엄 글래드스턴[17]을 위시한 온건파에 맞서 당시 수상이었던 파머스턴 자작과 함께 가장 강력한 전쟁 찬성파가 되었다. 이 팽팽한 대립 속에서 아편전쟁 결의안은 결국 271 대 262, 의회에서 겨우 9표 차이로 통과되었다.
한편 1819년 맨체스터에서 보편선거를 요구하는 빈민들의 집회가 벌어지자, 영국 육군이 기병대를 동원해 군중들을 깔아 뭉개 죽이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이 벌어진 장소가 맨체스터의 성 피터 광장이었기에 워털루 전투에 빗대어 피털루 학살(Peterloo Massacre)이라고 욕을 먹었다. 이 피털루 학살은 마이크 리 감독이 피털루라는 제목으로 2018년 영화화되었다. 사실 웰즐리의 입장에선 상당히 억울한 경우인데, 당시 본인은 막 정치에 입문해 병참 관리직을 맡고 있던 상황이라, 학살에 대한 명령권자도 아니고 정치적인 책임자도 아니었다. 하지만 영국 군인들이 동원되는 바람에 워털루의 이름에 먹칠을 한 셈이다. 물론 그의 성격이나 정치적 성향으로 보았을 때, 그가 이 사건의 책임자였다고 해도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총리 시절 있었던(1830년) 스윙 폭동(Swing Riots) 당시 농업 구조 변화와 전쟁으로 세금과 저임금에 시달리던 농업 노동자들이 탈곡기 파괴운동을 벌여 사회가 불안정해졌는데, 거기서 현재 개선할 건 없다고 발언을 해버렸다. 이 발언이 알려지자마자 분노한 노동자들이 런던에 있던 그의 집을 털기도 했다.[18]
1834년에는 윌리엄 램의 휘그당 내각이 로버트 필의 토리당 내각으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이탈리아에 체류하던 필이 귀국하여 총리로 취임할 때까지 임시 총리[19]를 맡았다. 이후 1차 필 내각의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1842년에는 영국 육군 총사령관이 되었으며, 1846년 공직에서 은퇴한다. 당시 기준으로는 워낙 장수했다보니 75세가 된 1844년에는 생전 유일한 사진을 찍기도 했다.[20]
1844년에 찍은 아서 웰즐리의 사진 |
임종한 아서 웰즐리의 데스마스크 |
3. 사생활
3.1. 일화
병사들에게 굉장히 엄격해 별명이 철의 공작(Iron Duke)이었는데, 의외로 다정한 사람으로 보이는 일화도 많이 있다.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귀국하여 길을 가던 중 한 소년이 울고 있는 것이 보여
"이런, 이런, 이건 신사가 할 행동이 아니지. 왜 그렇게 우느냐?."라고 물었다.
"제가 곧 다시 학교로 돌아가게 되는데 제가 학교로 가버리면 아무도 저의 두꺼비를 돌봐줄 사람이 없습니다." 라고 말하고 계속 울기 시작하자, 잠시 생각하던 웰링턴 공작은
"걱정하지 말고 학교로 돌아가거라. 두꺼비의 일은 내가 알아서 처리하마." 라고 대답하고 가던 길을 계속 갔다.
몇 주 후 학교에 돌아가 있던 소년에게 한통의 편지가 전달되었는데 거기엔 영국군의 육군 원수이자 웰링턴 공작인 아서 웰즐리가 소년에게, "두꺼비는 잘 지내고 있음" 이라고 써 있었다고 한다.
"이런, 이런, 이건 신사가 할 행동이 아니지. 왜 그렇게 우느냐?."라고 물었다.
"제가 곧 다시 학교로 돌아가게 되는데 제가 학교로 가버리면 아무도 저의 두꺼비를 돌봐줄 사람이 없습니다." 라고 말하고 계속 울기 시작하자, 잠시 생각하던 웰링턴 공작은
"걱정하지 말고 학교로 돌아가거라. 두꺼비의 일은 내가 알아서 처리하마." 라고 대답하고 가던 길을 계속 갔다.
몇 주 후 학교에 돌아가 있던 소년에게 한통의 편지가 전달되었는데 거기엔 영국군의 육군 원수이자 웰링턴 공작인 아서 웰즐리가 소년에게, "두꺼비는 잘 지내고 있음" 이라고 써 있었다고 한다.
이베리아 반도 전쟁 시절에 숱하게 싸웠던 장드디외 술트가 1838년 빅토리아 여왕의 대관식 때 특별 대사로서 영국에 방문했는데 그를 발견한 웰링턴 공작은 그의 팔을 꽉 붙들었다. 놀란 술트가 그를 쳐다보자 공작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드디어 당신을 붙잡았군."
이베리아 반도에서 술트를 이긴 후 그와 벌인 추격전에서 그를 놓친 일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것이었다. 이후 두 사람은 껄껄 웃으며 그 당시의 추억을 회상했다고 한다.
"드디어 당신을 붙잡았군."
이베리아 반도에서 술트를 이긴 후 그와 벌인 추격전에서 그를 놓친 일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것이었다. 이후 두 사람은 껄껄 웃으며 그 당시의 추억을 회상했다고 한다.
웰링턴 공작이 구제불능이었던 한 병사를 처형하려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너를 교육도 시켜봤고 상담도 해봤다. 그리고 탈영할 때마다 징계도 내리고 감옥에 보내기도 해봤다. 너에게 할 수 있는 것은 전부 다 해봤지만 너는 뉘우치지 않았다. 그러니 이제 너를 사형에 처해야겠다."
그러자 그 말을 듣고 있던 한 장교가 급히 웰링턴에게 말했다.
"장군님, 장군님은 물론 군율에 따라 할 수 있는 것은 전부 하셨습니다. 하지만 장군님께서 이 병사에게 시도하지 않으신 것이 딱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용서입니다."
장교의 말을 들은 공작은 크게 감명받았고,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래, 내가 너를 용서하겠다."
이 일이 있은 후 그 병사는 완전히 달라졌고, 탈영을 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누구보다도 용감한 병사가 되었다고 한다.
"나는 너를 교육도 시켜봤고 상담도 해봤다. 그리고 탈영할 때마다 징계도 내리고 감옥에 보내기도 해봤다. 너에게 할 수 있는 것은 전부 다 해봤지만 너는 뉘우치지 않았다. 그러니 이제 너를 사형에 처해야겠다."
그러자 그 말을 듣고 있던 한 장교가 급히 웰링턴에게 말했다.
"장군님, 장군님은 물론 군율에 따라 할 수 있는 것은 전부 하셨습니다. 하지만 장군님께서 이 병사에게 시도하지 않으신 것이 딱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용서입니다."
장교의 말을 들은 공작은 크게 감명받았고,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래, 내가 너를 용서하겠다."
이 일이 있은 후 그 병사는 완전히 달라졌고, 탈영을 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누구보다도 용감한 병사가 되었다고 한다.
워털루 전쟁에서 승리하고 난 뒤 축하파티가 열렸는데, 한 시골 병사가 손 씻는 물인 핑거볼을[21][22] 멋모르고 마셔 버리자 잔치는 웃음바다가 되었다.
그러자 웰링턴 장군은 "워털루 전투에서 용맹스럽게 싸워 승리를 거둔 저 젊은 병사와 같이 핑거볼로 축배를 듭시다"라고 말하면서 물을 들이켰다. 이 순간 모든 손님이 핑거볼로 축배를 든 후 장내에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졌음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자 웰링턴 장군은 "워털루 전투에서 용맹스럽게 싸워 승리를 거둔 저 젊은 병사와 같이 핑거볼로 축배를 듭시다"라고 말하면서 물을 들이켰다. 이 순간 모든 손님이 핑거볼로 축배를 든 후 장내에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졌음은 말할 것도 없다.
나폴레옹에 관한 흥미로운 일화도 있다.
말년의 아서 웰즐리(월링턴 공작)에게 한 기자가 찾아와 이렇게 물었다. "공작님은 나폴레옹을 워털루에서 이겼는데, 공작님의 군사적 재능이 나폴레옹보다 훨씬 낫지 않나요?" 그러나 웰즐리는 정색을 하며 이렇게 대답했다.
"현재에도, 과거에도, 미래에도, 최고의 전략가 한 명을 꼽으라면 바로 나폴레옹일 것이오."("In this age, in past ages, in any age, Napoleon.")
실제로도 워털루 전투의 승리는 아서 웰즐리만이 아니라 블뤼허 장군의 적절한 증원 도착도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웰즐리 자신도 나폴레옹을 넘어서는 전략가라고 생각했다고 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동시대의 장군으로서 나폴레옹의 재능을 인정했다고 보는 쪽이 더 가까울 것 같다. 예컨대 이베리아 전역 당시 가까운 사람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군의 졸렬한 움직임으로 피해가 컸던 것을 한탄하며 만일 나폴레옹이 상대였다면 아군은 전멸했을거란 식으로 얘기한 적도 있다. 물론 이런 웰즐리의 발언에 대해서는 조금 더 정확한 근거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고, 영국이 나폴레옹을 띄워주는 것은 결국 그를 이긴 대영제국을 에둘러 자화자찬하기 위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그걸 감안해도 나폴레옹의 군사적 재능 자체는 그 시대의 모두가 인정했다.[23] 하지만 군사적 능력은 인정했어도 전반생에 걸친 정직함, 진실성은 부정했는데 비프랑스계를 강조하려고 부오나파르트(Bonaparte)라고 부르기도 했고 그가 나폴레옹을 깐 말로는 "그의 시민, 정치가, 군인으로서의 전 생애가 사기였다(His whole life, civil, political and military was a fraud)고 썼던 부분이 유명하다. #"현재에도, 과거에도, 미래에도, 최고의 전략가 한 명을 꼽으라면 바로 나폴레옹일 것이오."("In this age, in past ages, in any age, Napoleon.")
그 외에도 사랑의 학교에 이런 일화가 소개되었다.
워털루 전투 승리를 기념하는 파티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의 저택에서 열리고 있는데, 파티 도중 웰링턴의 다이아몬드 박힌 은담뱃갑이 사라졌다. 그래서 참석자 모두의 주머니 검사를 하려고 하자 한 중사가 검사를 거부하고 나가버렸는데, 웰링턴 공작은 1년 뒤에 다른 옷 주머니에서 담뱃갑을 발견한다. 도둑이 아니었던 중사가 왜 검사를 거부했는지 알고 싶어 공작이 빈민가에 있는 중사의 집을 찾아갔을 때 알게 된 것은 당시 중사의 주머니에 굶주리는 가족들에게 주려고 챙겨 넣은 빵과 고기가 잔뜩 들어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중사는 대영제국 군인의 명예를 위해 주머니 검사를 받을 수 없었던 것이다.
워털루 전투가 끝나고 세월이 지난 후 다시 워털루를 방문했는데, 네덜란드가 세운 사자의 언덕 때문에 지형이 변한 것을 보곤 "빌어먹을 네덜란드 놈들! 내 전장을 망쳐놨어!"라고 화를 냈다고 한다.[24]
또 '워털루 전투의 승리는 전장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이튼의 교정에서 얻어진 것이다.' 라는 말을 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모교를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연설을 하던 중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여기에서(Here)'라고 말한 것을 그 당시의 교장이 윤색을 가해 글을 쓴게 잘못 알려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1818년에 이튼을 방문했을 때 "나의 용기와 기상은 이 운동장에서 뛰어놀며 얻은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모교에 감사했다고 하는걸 보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3.2. 성격
상술했듯 다정한 일화도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사람들에게 냉담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원래 성격이 인자하고 사교적이었다면 위의 사건들이 딱히 일화로 남지도 않았을 것이다.또, 하인 같은 신분이 낮은 사람들과는 눈도 마주치지 않고 직접 말도 걸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병사들에게 냉혹해서 인기가 없었다.[25]
어느 날, 그가 사람이 없는 호수에서 헤엄을 즐기다가 익사할 뻔 했는데 우연히도 거길 지나던 부하 하나가 그를 구해주었다. 그가 고마워하면서 내가 들어줄 수 있는 것이라면 들어줄테니 말해보라고 하자 그 부하가 말하길 "누구에게도 제가 장군님을 구했다는 걸 말하면 안 됩니다. 제가 맞아 죽을지도 모르거든요."
그 정도가 어느 정도였는가 하면, 한 일화는 웰링턴 장군 이름을 밝히지 않고 유머 이야기로 쓰인다.
한 전투에서 두 병사의 약탈 사실이 적발되자, 그가 내린 처벌은 자신이 매달릴 교수대를 직접 만들고 거기에 매달리는 것이었다. 그러자 두 명 모두 자신이 매달릴 교수대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한 병사가 다른 병사에게 귀가 닳도록 잔소리를 해댔다. “빨리 빨리 만들어! 장군님을 화나게 하면 안 돼!” 그리고 그들은 잽싸게 교수대를 지은 뒤 교수형을 당했다.
워털루 전투에서 자신의 부사령관이었던 옥스브리지를, 자신의 제수씨와 간통을 저지른 일이 있다는 이유로 사람취급도 하지 않았다는 일화로 보아서는 여자관계도 깨끗했을 것 같지만, 사실 전혀 그렇지 않았다. 정부를 여러명 두었는데, 그 중 유명한 사람으로는 캐롤라인 램과 해리엣 윌슨이 있다. 캐롤라인 램은 역시 워털루에서 옥스브리지와 함께 돌격하다 전사한 프레드릭 폰손비의 여동생으로 윌리엄 램의 부인이었는데, 웰즐리와 바람을 피운 것은 오빠인 폰손비가 죽은 직후였고, 그녀는 이미 바이런의 정부이기도 했다. 한편 해리엣 윌슨은 육군 장군이자 크레이븐 백작인 윌리엄 크레이븐의 정부이자 폰손비와도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더 막장인 것은 윌리엄 램은 해리엣 윌슨을 찾아가 관계를 요구하다 거절당하자, 그녀의 따귀를 때렸다는 것이다.
이베리아 반도 전쟁 도중 장드디외 술트와 전투를 벌여서 승리한 적이 있었다. 이 당시 술트가 저녁 식사로 맛있는 스테이크를 먹으려다가 전투가 벌어져 먹지를 못했다. 식초를 넣는 문제와 양념의 종류에 대해서 요리사와 토론까지 벌이면서 받은 메뉴인데 말이다. 그리고 웰링턴이 전투에서 이기면서 그 스테이크 요리가 웰링턴의 저녁식사가 되었다. 근데 웰링턴이 그 스테이크 요리를 한입 먹더니,
"프랑스 요리가 맛있다더니, 정말 맛이 없군. 고기에 뿌려진 양념을 없애고, 대신 식초를 뿌리게."
라고 요리사에게 말했단다. 전투 도중에 식어서 맛이 떨어졌을 가능성을 감안하더라도 괴이한 취향임을 묘사한 것인데, 실제론 술트의 식사를 노획해서 먹은 것은 사실이나 웰링턴이 여기에 대해 음식을 어떻게 해라, 맛이 어떻다라는 식의 반응을 보인 적은 없다. 다만 와인은 꽤나 신경쓴 모양인데 그런데 그것도 영 아닌 것이 영국산 와인만 마셨다나.[26]4. 가족 관계
- 초대 모닝턴 남작, 리처드 콜리 웨슬리(할아버지, 1690 ~ 1758)/ 엘리자베스 세일(할머니, ? ~ ?)
- 제1대 모닝턴 백작, 가렛 웨슬리(아버지, 1735 ~ 1781) / 앤 웨슬리(어머니, 1742 ~ 1831)
- 제2대 롱퍼드 남작 에드워드 파킨햄(장인, 1743 ~ 1792) / 캐서린 룰리(장모, ? ~ ?)
4.1. 현재의 웰링턴 공작
현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Arthur Charles Valerian Wellesley)(1945 ~ )는 9대째로 2014년에 작위를 계승했다. 전직 유럽의회 의원이자 현직 귀족원 의원이기도 하다. 웰링턴 공작부인 안토니아는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 빌헬름 2세의 넷째 손자이자, 빌헬름 폰 프로이센 독일 황태자의 막내 아들인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왕자의 막내 딸로 남편보다 열 살 연하이다. 현 웰링턴 공작부부는 슬하에 2남 3녀를 두고 있다. 자세한 가계도는 호엔촐레른 가문 문서 참고.조상처럼 그도 5개국 귀족 작위를 겸하고 있다.[33] 2010년에 스페인의 시우다드 로드리고 공작위[34]를 생전 상속받았고, 2014년에 부친이 별세하자 영국 워털루 공작은 물론이고 포르투갈의 빅토리아 공작이자 토레스 베드라스 후작이자 비메이로 백작(Duke of Victoria, Marquis of Torres Vedras, Count of Vimeiro),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워털루 공작(Prince of Waterloo)위를 상속받았다.
5. 웰링턴의 흔적
5.1. 현실에서
- 뉴질랜드 수도 웰링턴이 이 사람 이름에서 딴 지명이다.
- 비프 웰링턴은 유럽에서 굉장히 유명한 고급 요리 중 하나이다.[35] 요리 이름에 웰링턴이 붙여진 이유에 대해 몇가지 설이 있다.
- 첫째는 웰링턴 공작이 워털루 전투에서 프랑스를 물리친 이후 영국에서 그의 이름을 딴 많은 것들이 생겨났는데, 요리의 품격과 고급스러움이 공작의 위상과 잘 어울린다는 것.
- 두 번째는 비프 웰링턴이 파이 크러스트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이 웰링턴 공작의 군복 모양과 비슷하고, 크러스트로 둘러싸인 소고기 필레가 웰링턴 공작의 트레이드마크인 군복과 닮았다는 것이다.
- 세 번째로 실제 웰링턴 공작이 이 요리를 전선에서 빵과 함께 구워 스테이크처럼 즐겨 먹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어떤 설이 맞는지 확인할 수는 없다.
- 전쟁 영웅답게 그의 이름을 딴 해군 전함이 여럿 존재했다. 그의 이름을 딴 뱅거급 전열함 웰즐리 함이 1815년 진수되었는데, 백이십년 넘는 세월 동안 영국 해군의 최고참 중 하나로 활동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인 1940년, 나치 독일 공군 슈투카의 폭격으로 침몰했다. 전열함 중 최후로 격침된 전열함이자,[36] 항공 폭격으로 격침된 유일한 전열함으로 기록되었다.
'웰링턴'이나 '아서 웰즐리' 대신 그의 별칭인 '아이언 듀크'를 사용한 전함도 있는데 1912년에 취역한 동명의 슈퍼 드레드노트 함급의 네임쉽 '아이언 듀크',[37] 가장 최신예 함은 1991년에 취역한 23형 프리깃 HMS 아이언 듀크다.
- 전용 찬양곡이 존재하는데 무려 루트비히 반 베토벤이 작곡한 '웰링턴의 승리'. 그런데 워털루 전투가 아닌, 그보다 2년 전 1813년 스페인의 대프랑스 항쟁을 지원하기 위한 비토리아 전투 승리를 기념한 곡이다. 작곡될 당시 나폴레옹은 라이프치히 전투 패배로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고, 이러한 분위기를 타서 인기리에 연주되었는데 웰링턴 본인도 베토벤 같은 대작곡가가 자신을 위한 곡을 작곡했다는 소식에 기분 좋아 했다고 한다.
베토벤은 처음에는 왕정을 무너뜨리고 일반 시민들에게 권력을 이양한 듯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위해 '영웅'을 작곡하였으나 나폴레옹이 황제로 등극하자 실망한 나머지 증오하게 되었다. 그래서 나폴레옹을 무너뜨릴 맞수로 여겨진(그리고 이후 결국 무너뜨린) 웰링턴을 찬양한 것이다. 꽤나 아이러니한 곡절이 있는 셈.
-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에는 웰링턴 공작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문제는 웰링턴 공작이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그리 예뻐하지 않는 잉글랜드인[38][39]이라는 점. 자기네 앞마당에 잉글랜드 영웅의 동상이 떡하니 놓여져 있는 것에 배알이 꼴린 스코틀랜드 시민들은 그렇다고 무식하게 부숴버릴 수는 없고,[40] 대신 머리에 교통 고깔을 씌워놓았다(...). 영어권의 묘사에서 찌질이나 덜떨어지는 사람 또는 수업때 벌을 받는 학생이 dunce(멍청이)라고 쓰여진 고깔모자(dunce cap)를 쓰는 묘사가 있는데 그런 점을 활용한 영국식 조크인 셈. 교통 고깔이 처음 발견된 건 1980년대라니 나름 전통 있는 장난이라 할 수 있다.
행정 당국은 고깔을 벗겼지만 몇 번이고 다시 고깔이 씌워지는 바람에 고깔을 치우는 비용으로만 연간 10,000 파운드나 들어갔다. 결국 보다 못한 글래스고 시의회는 동상 훼손과 시민들이 다칠 것을 우려해 동상을 높이려고 계획한 적도 있으나 '고깔을 지키자'는 글래스고 시민들의 시위에 무려 7만 2천명이나 모이는 바람에(...) 무산되고 말았다. 이후 웰링턴 경 동상의 고깔 씌우기는 글래스고의 명물이 되었다. 웰링턴 공작의 동상은 런던과 맨체스터, 햄프셔 주 등 영국 각지에 있지만 이런 수모를 겪는 곳은 오직 글래스고 뿐이다.
- 조지 4세와 더불어 킹스 칼리지 런던(KCL)의 설립자다. KCL이 설립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KCL 역사 문서 참고하길 바란다. 이러한 연유로 그의 후손인 제9대 웰링턴 공작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KCL 이사회 의장(Chairman of the Council)을 역임했다.
5.2. 대중문화에서
나폴레옹 시대를 다룬 게임에 나올 경우 대부분 나폴레옹 다음가는 능력을 보유한다.- 나폴레옹 전쟁이 배경인 만큼《테메레르 시리즈》에서 등장한다. 영국을 침공한 프랑스군을 대상으로 활약하고, 보수적인 성격을 반영한 것인지 로렌스와 테메레르에 대해서는 못마땅하게 말한다. 그래도 아주 꽉 막힌 게 아니라 용권신장 요구를 일부 받아들이고, 여자인 제인 롤랜드를 상원의원으로 추천한다.
- 영화《워털루》에서 크리스토퍼 플러머가 연기하였다. 매우 귀족적이면서 냉철하게 나온다. 전투 전 병사들 사기를 올려주려 직접 등장한 '나폴레옹을 저격해도 될까', 라는 부하 장교의 말에 저격은 너무 야만스럽다고 일갈한다. 문제는 이런 양반이 저격 전문 부대인 51 라이플 연대를 운용하고 있었다.[41]
웰링턴이 약탈을 엄금했다는 데서 온 듯한 개그신이 하나 있다. 비 오는 날 병사들을 순시하다가 눈에 띄게 긴장하여 자신에게 인사하는 병사를 보고 "귀관은 군장을 풀어보시오." 명령하는데, 알고보니 그 병사는 새끼 돼지를 약탈하여 데리고 있었다. 병사가 능청스럽게 "이게 왜 여기에 있는지 모르겠다, 어쩐지 등이 가렵더니!"고 하자 어디서 그 돼지를 얻었냐고 묻는다. 그러자 병사는 돼지가 나에게 왔다고 변명하는데 약탈은 사형으로 다스린다고 하니 겁에 질린 병사가 '새끼 돼지가 길을 잃었길래 보고하려고 했다'고 변명한다. 웰링텅은 어이가 없어 껄껄 웃으면서 병사를 상병으로 진급하라고 지시하고는 떠난다.[42] - 버나드 콘웰 경의 소설인《샤프 시리즈》에 등장한다. 주인공 리처드 샤프의 은사로서, 인도에서 샤프에게 목숨을 구해진 후 그를 전폭적으로 지지를 해준다.
- 소설《혼블로워》에 가상의 여동생인 바바라가 주인공인 혼블로워와 결혼한다. 직접 나오지는 않으나 여동생을 통해 많이 언급된다.
- 《랑펠로》에서 능력 A가 넷인 인물은 나폴레옹과 웰링턴 둘뿐이다. 셋인 인물은 메테르니히 뿐이고 피트, 다부, 카를, 쿠투조프같은 인물들도 둘 뿐.
나폴레옹 : Politics B Finance C Supply B Build A Leader A Infantry A Cavalry C Artillery A
웰링턴 : Politics B Finance B Supply A Build A Leader A Infantry A Cavalry B Artillery B - 게임《토탈 워: 나폴레옹》에서 영국군 원수로 등장. 각 나라 별로 한 명씩 있는 원수[43] 중 한 명이며 만렙에 가까운 지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처음 영국에 주어지는 육군 지휘관들의 능력이 죄다 고만고만해서 다른 장군들[44]을 고용하기 전까지는 프랑스를 상대로 이리저리 굴려질 운명. 물론 다른 장군들이 있어도 맹활약을 하나 일단 전장에서 한 번 당하고 나면 능력치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만 영국은 초기 영토가 섬 뿐이고 해상도 장악하고 있으므로 프랑스에 대한 공격만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초반에는 웰링턴 한 명으로도 충분하다.
- 패러독스 인터랙티브 게임사에서 개발한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4에서 게임 극후반기(1790년대) 잉글랜드로 플레이를 하여 대영제국까지 등장시키는 경우, 아서 웰즐리(웰링턴 공작) 이벤트로서 등장한다. 장군 능력치 6/6/5/4로 게임 등장 실존 장군 중 최상위 능력이다.
- 보드게임《나폴레오닉워》에서 장군의 능력은 전투 능력-지휘 능력으로 돼 있는데, 나폴레옹이 4-8으로 최고이고 웰링턴이 4-6으로 그 다음이다.[45] 이 작품의 후속작은 《웰링턴》인데 이베리아 반도 전쟁의 1812년에서 1814년을 다루고 있고 당연히 주인공. 술트와 함께 독보적인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웰링턴만을 위한 이벤트 카드도 따로 존재한다.
- 영화《007 리빙 데이라이트》에서 휘태커(조 돈 베이커)의 관사에 침입한 제임스 본드(티모시 달튼)와 총격전을 벌일 때 웰링턴 흉상 뒤에 숨은 본드를 비아냥거리며 놀리다가 본드가 설치해놓은 만능 열쇠고리 폭탄이 터지며 흉상에 깔려 최후를 맞는다.[46]
- 중국 SRPG《성녀전기》에서 앤 웰즐리로 여성화되어 등장한다(!) 본작의 네임드 여캐중에선 유일한 TS 캐릭터인데 이름은 큰 누나인 앤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초반에 라이벌 분위기를 풍기며 등장하나 본격적으로 맞붙는 건 중반부터이며 최종장에서 상대하는 적 중 하나이다.프랑스는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한 인물이 여러명 나오는데 프랑스의 적에서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한 네임드 캐릭터는 이사람 한명 뿐이다. - 대체 역사소설 《효명세자와 함께하는 조선 생활》에선 조선을 청나라와 이간질시켜 전쟁을 유도하고 전쟁에 필요한 차관으로 조선을 빚더미에 앉혀 자연스럽게 식민지로 흡수하려는 흉계를 꾸몄으나, 애초에 영국을 전혀 믿지 않던[47] 조선의 대응과 그 과정에서의 혐성질[48], 그리고 상상이상으로 오합지졸인 청나라 군대[49]와 조선의 초강수[50]로 인한 조선의 대승, 그에 비해 임칙서와 향용들의 죽음을 각오한 자폭 공격에[51] 최신예 철갑선 2척이 대파당하는 큰 피해를 입어 사실상 패전하고 조롱거리로 전락한 영국 시민들의 폭동으로 결국 내각은 책임지고 총사퇴를 감행하고, 본인은 의회에 남아 욕받이로 전락하는 비참한 신세가 된다.
- 나폴레옹 전쟁 도중에 좀비 아포칼립스가 도래했다는 배경의 로블록스 게임인 《Guts & Blackpowder》에서 신문 언급으로만 등장한다. 배경이 좀비가 창궐하여 유럽국가들이 거의 망해가는[52] 시점이다. 대영제국 국민들 사이에서도 역병의 피해자가 언데드이며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이라는 여러 소문이 떠돌자, 웰링턴 공은 대중에게 연설을 통해 이러한 소문이 떠도는 것에 대해 분노를 표명하였다고 한다.
- 와킨 피닉스가 열연한 나폴레옹에서는 슈렉 시리즈의 차밍 왕자 성우로 열연한 배우 루퍼트 에버렛이 연기했다.
6. 기타
- 영국의 웰링턴 공작위(1814), 포르투갈의 빅토리아 공작위(1812), 스페인의 시우다드로드리고 공작위(1812), 네덜란드의 워털루 공작위(1815)까지 4개국에서 작위를 받아 공식 칭호가 굉장히 길다. 칭호는 다음과 같다.[53]
Marquess Douro, Earl of Wellington,
Viscount Wellington and Baron Douro,
Knight of the Most Noble Order of the Garter,
Knight Grand Cross of The Most Honourable Order of the Bath,
One of Her Majesty's Most Honourable Privy Council, and
Field Marshal and Commander-in-Chief of Her Majesty's Forces.
Field Marshal of the Austrian Army,
Field Marshal of the Hanoverian Army,
Field Marshal of the Army of the Netherlands,
Marshal-General of the Portuguese Army,
Field Marshal of the Prussian Army,
Field Marshal of the Russian Army,
and
Captain-General of the Spanish Army.
Prince of Waterloo, of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Duke of Ciudad Rodrigo
and Grandee of Spain of the First Class.
Duke of Victoria, Marquess of Torres Vedras, and Count of Vimiera in Portugal.
Knight of the Most Illustrious Order of the Golden Fleece, and of the Military Orders
of St. Ferdinand and of St. Hermenigilde of Spain.
Knight Grand Cross of the Orders of the Black Eagle and of the Red Eagle of Prussia.
Knight Grand Cross of the Imperial Military Order of Maria Teresa of Austria.
Knight of the Imperial Orders of St. Andrew, St. Alexander Newski, and St. George of Russia.
Knight Grand Cross of the Royal Portuguese Military Order of the Tower and Sword.
Knight Grand Cross of the Royal and Military Order of the Sword of Sweden.
Knight of the Order of St. Esprit of France.
Knight of the Order of the Elephant of Denmark.
Knight Grand Cross of the Royal Hanoverian Guelphic Order.
Knight of the Order of St. Januarius and of the Military Order of St. Ferdinand and of Merit of the Two Sicilies.
Knight or Collar of the Supreme Order of the Annunciation of Savoy.
Knight Grand Cross of the Royal Military Order of Maximilian Joseph of Bavaria.
Knight of the Royal Order of the Rue Crown of Saxony,
Knight Grand Cross of the Order of Military Merit of Wurtemberg.
Knight Grand Cross of the Military Order of William of the Netherlands.
Knight of the Order of the Golden Lion of Hesse Cassel, and Knight Grand Cross of the Orders of Fidelity and of the Lion of Baden.
Fellow of the Royal Society, Chancellor of the University of Oxford, Honorary Member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Lord Lieutenant of Hampshire, Lord Warden of the Cinque Ports.}}}||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아서, 웰링턴 공작 및 웰링턴 후작도루 후작 · 웰링턴 백작
웰링턴 자작 및 도루 남작이시며
가터 기사단이시며, 바스 훈장 대십자장을 수훈하시고
여왕 폐하[54]의 가장 고결한 추밀원 위원 중 한 명이시자
또한 육군 원수 및 여왕 폐하의 육군 총사령관이시고
오스트리아 육군 원수 · 하노버 육군 원수
네덜란드 육군 원수 · 포르투갈 대원수
프로이센 육군 원수 · 러시아 육군 원수
그리고 스페인 육군 총사령관이시며
네덜란드 연합왕국의 워털루 공[55]
스페인 왕국의 시우다드로드리고 공작[56] 및 스페인 그란 디(대귀족) 일등급
포르투갈 왕국의 비토리아 공작[57], 토레스베드라스 후작[58] , 비메이로 백작[59]이시자
스페인 왕국의 황금 양모 기사단 기사이시며
성 페르난도 군사 훈장 및 성 헤르메네길도 훈장
프로이센 왕국의 검은 독수리 대십자장, 붉은 독수리 대십자장
오스트리아 제국의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훈장 대십자장
러시아 제국의 사도 성 안드레이훈장, 성 알렉산드르 넵스키훈장, 성 게오르기훈장
포르투갈 왕국의 탑과 검 군사훈장 대십자장
스웨덴 왕국의 왕립 검 훈장 대십자장
프랑스 왕국의 성령 훈장
덴마크 왕국의 코끼리 기사단
하노버 왕국의 왕립 겔프 기사단
양시칠리아 왕국의 성 제나로(야누아리오) 군사훈장 및 성 페르디난도와 공로훈장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안눈치아타(성모 마리아) 최고 민사훈장
바이에른 왕국의 막시밀리안 요제프 왕립 군사훈장 대십자장
작센 왕국의 왕립 운향 왕관훈장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무공훈장 대십자장
네덜란드 왕국의 빌럼 군사훈장 대십자장
헤센 대공국의 왕립 금사자 기사단 훈장
바덴 대공국의 충실한 사자훈장 대십자장을 수훈하셨으며
왕립학회 회원, 옥스퍼드 대학 총장이시며
영국 토목학회 명예 회원, 햄프셔 주지사이시고 5항(港) 총감[60]이시다. }}}||
- 각종 매체에서 역대 명장을 100명 정도 뽑을 때 아서 웰즐리는 대부분 상위권에 속한다. 대충 명장 순위 2~30위 언저리 정도.
- 영국이 자랑하는 또다른 명장 호레이쇼 넬슨을 1805년 런던서 딱 한 번 만난 적이 있다. 처음엔 넬슨이 웰즐리를 못 알아봐 거만하게 굴었지만 그의 신분을 안 후엔 즐겁게 대화했다고. 두 사람은 모두 국장으로 장례식을 치른 후 세인트 폴 대성당에 나란히 잠들어 있다.
- 영국의 제 50대 총리이자 1차 세계대전 당시 외무장관으로 재임했던 아서 밸푸어의 대부이기도 하다.
[1] 주요 업적으로 토레스 베드라스 방어선을 구축하고 마세나를 물먹인 것과 워털루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이 도착할 때까지 프랑스군의 파상공세를 버텨낸 것이 있다. 그래서인지 방어에만 강하다는 이미지가 있는데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서 보여준 전과를 보면 공격적인 전략과 전술도 충분히 구사할 줄 알았다.[2] 대표적인 예시로 1812년 살라망카 전투에서 수비하는 척하며 (웰링턴의 측면을 공격해서 연합군을 후퇴시키려던)마르몽을 방심시킨 뒤 언덕 너머에 숨어있던 영국군 3사단과 포르투갈 기병여단을 돌격시켜 역으로 프랑스군의 측면을 공격한 전술과, 1813년 비토리아 전투에서 게릴라와의 공조를 통해 조제프 보나파르트의 군대의 후퇴를 강요하여 비토리아까지 후퇴시킨 후 적 증원이 오기 전에 선제 공격을 가하여 프랑스군을 궤멸시킨 전략안이다. 후퇴를 강요시키면서 스페인 북부의 항구도시들을 탈환하여 해상 보급로를 줄인 것은 덤. 제해권 장악으로 해상보급이 가능한 영국군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전략이었다.[3] 정확히는 웰즐리의 아버지가 생존했을 때는 그럭저럭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으나, 부친의 사망으로 가세가 기울어 막 임관했을 무렵에는 항상 돈 걱정을 하면서 지냈다. 훗날 웰즐리는 이 때를 회고하기를 "나는 종종 돈이 부족할 때가 있었지만 결코 무력하게 빚더미에 올라앉지는 않았다."라고 했다. 이후에 그의 부인이 되는 캐서린 페이큰햄과 교제하려 할 당시에는 그녀의 남동생이 가난하고 빚이 있으며 장래도 불투명하다며 반대해서 열받은 나머지 아끼던 바이올린도 불살라버렸을 정도였다.[4] 돈은 큰형으로부터 빌렸다고 한다.[5] Governors of the Presidency of Fort William (Bengal)로 벵골지역에 있던 윌리엄 요새의 지사였다. 인도 총독의 전신격이 되는 지위로, 당시에는 동인도 회사를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었다.[6] 마라타는 인도 중부에 있던 국가이다. 인도군이라고는 하나 이들은 유럽인들에게 훈련받아 유럽군대와 같이 싸울 수 있었다. 아사예 전투 승리 후 전리품인 대포를 조사해보니 프랑스 표준 방식으로 운용했다고 한다. 이 전투에서 인도군은 우월한 숫자의 총병과 포병을 운용했고, 영국은 중기병으로 이를 격파했다.[7] 이 아사예 전투의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아사예 전투 당시 웰링턴은 9500명의 군대를 가지고 전통적인 방식대로 무장한 2만 명의 마라타군 보병과 4만 명의 기병 및 유럽식으로 훈련받은 1만 800명의 보병들로 이루어진 총 7만 800명의 마라타 군대와 정면으로 대결을 벌여 이겼다. 이는 웰링턴이 뛰어난 지휘관이고 영국군 병사들이 엄격한 훈련과 군기를 갖춘 덕분도 있었지만, 결정적인 원인은 마라타군 내부의 심각한 분열 때문이었다. 당시 마라타 군대는 라고지 본슬레와 신디아 등 두 명의 장군이 지휘하고 있었는데, 신디아와 불화를 빚었던 본슬레가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도망치는 바람에 마라타군이 혼란에 휩싸여 정면으로 돌격해오는 영국군의 공세를 제대로 막아내지 못했던 것이다. 출처: 지도에서 사라진 나라들/ 도현신 지음/ 서해문집/ 222~224쪽[8] 전사자들의 시체를 뒤지는 행위도 교수형에 처했다고 한다.[9] 심지어 영국군 95 연대의 에드워드 코스텔로라는 병사는 개머리판 몇번 휘둘러 1천 파운드를 털었다는 무용담 아닌 무용담도 구체적으로 전해질 정도다. 사실 100만 파운드를 약탈한 영국군 병사들은 세번째 약탈자들이었는데, 첫 번째는 물론 영국군에게 뒷통수 맞고 패주하는 와중에도 부지런히 챙길 건 챙겨갔던 프랑스 병사들이고, 두 번째는 주변에 살던 비토리아의 주민들이었다. 팀킬과 살인 약탈 방화가 난무하고 무지한 병사와 주민들이 명화백의 그림들을 뜯어서 은그릇과 보석을 포장하는 데 사용하는 등 완벽한 개판이었다.[10] 이베리아에서 철수하던 프랑스군의 뒷통수를 노려 그동안 약탈했던 스페인의 보물들도 버리고 도망가게 만들었던 비토리아 전투에서는, 병사들의 엄청난 약탈에 제대로 화가나 '술이나 쳐마시러 입대한 거지새끼들'이라고 했다 욕을 먹었다. 그런데 이 말이 과장이 아니라 당시 영국 육군에 입대한 병사들 중 약 80%는 다른 직업을 구하지 못한 실업자이거나, 아니면 빈민가 출신이어서 엄격한 통제가 없으면 곧바로 주변 민간인들을 상대로 술주정이나 약탈 같은 행패를 부릴 만큼 군기가 문란했다.[11] 삶의 질이 19세기에 비해선 올랐다고 평가되는 21세기에서도 장교가 아니라 사병으로 직업군인이 되는 이들은 경제적 약자가 다수인데, 그때라고 다르진 않았다.[12] 이때 아서 웰즐리의 활약은 이베리아 반도 전쟁 항목에 조금 더 자세히 나와 있다.[13] Thomas Lawrence, 영국의 초상화 화가[14] 영국 내 수여받은 대표적인 영지로는 스트래터필즈 세이(Stratfield Saye) 지방이며 규모는 약 5,000에이커(약 20km²)이다. 이밖에도 웰링턴 공작 런던 저택으로 사용된 앱슬리 하우스(Apsley House)가 있는 애스톤 지역이다.[15] 당시 상금 액수는 600,000파운드로 현재 가치로 따지면 수억 파운드에 해당된다.[16] 이것 때문에 중국은 아서 웰즐리를 안 좋게 보는 편이다.[17] 당시 재선의원[18] 런던에 있던 그의 집은 아직도 남아있다.[19] 28대 총리[20] 이와 비슷하게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도 말년에 사진 자료를 2장 가량 남겼다.[21] 원래 서양에서는 음식을 그냥 손가락으로 집어먹었다. 음식을 찍어먹는 포크는 10세기에 동로마 제국에서 처음 생겨났지만 서유럽에는 18세기 무렵에야 일반화되었는데, 그냥 음식을 편하게 손가락으로 집어먹으면 될 것을 왜 굳이 포크로 불편하게 찍어먹느냐는 불만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심지어 포크를 써서 음식을 찍어먹으면 남자답지 못하다는 편견도 강했다. 이런 이유로 지금도 격식을 갖춘 고급 서양식 레스토랑에는 핑거볼이라고 하여 손가락을 씻는 용도의 물이 담긴 그릇이 나오는데, 원래 서양에서 음식을 손가락으로 집어먹고 난 후에 손가락을 물에 담가 씻던 습관을 반영한 흔적이다. 어찌되었건 유럽 밖에서는 생소한 문화이고 현대엔 상수도의 발달로 인해 유럽인들도 이런 레스토랑에 자주 갈 정도의 경제력이 아니면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거기다 진짜 격식있는 핑거볼은 그냥 맹물만 덩그러니 내주는게 아니라 레몬과 각종 향료를 같이 띄워주기 때문에 진짜 마시는 음료로 착각할만도 하다.[22] 사실 이 일화 말고도 핑거볼에 대한 일화들은 다양해서 엘리자베스 2세와 어떤 중국 고위 관료가 만나 함께 식사를 하다가 그 중국 관료도 이 병사처럼 핑거볼을 마셔버리자 그것을 본 엘리자베스도 그를 망신주지 않기 위해 아무 말 없이 핑거볼을 들었다는 일화가 있다.# 형식적인 예도 중요하지만, 상대방에 대한 배려도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화.[23] 심지어 나폴레옹 때문에 군대가 망하고 나라가 망하고 직장을 잃어버린 클라우제비츠나, 덤으로 목숨마저 잃은 샤른호르스트 같은 사람들도 나폴레옹을 미치광이 전쟁광이라고 욕할지언정, 그가 전술의 천재라는 것은 부정하지 않았다. 웰링턴 자체가 고지식한 군인 타입인지라 상대를 높이면서, 자기를 높이는 식의 교묘한 말을 하는 타입으로 보기도 어렵다.[24] 이쪽은 레 미제라블에서 언급되는 일화.[25] 물론 군대에서 부하에게 인기있을 장군이 그렇게 흔하진 않다. 비단 군대라는 걸 빼고 보더라도 아랫사람의 입장에서 필연적으로 자기들에게 일을 시키거나 늘리는 윗사람을 좋게 보긴 힘들다.[26] 나폴레옹과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나폴레옹 역시 음식을 제대로 즐기기보다는 항상 빠르게 식사했고 딱히 고급 와인을 좋아하지도 않았다.[A] 겸 제2대 모닝턴 백작[28] 인도 총독과 아일랜드 총독을 지내고 백작 작위를 후작으로 승격시킬 만큼 나름 상당한 커리어를 쌓았다.[29] 그의 손자인 5대 백작이 1863년 사망하여 대가 끊기는 바람에 2대 웰링턴 공작 리처드 이후로는 웰링턴 공작이 모닝턴 백작위를 계승한다.[30] 상술했듯 캐서린에게 일찌감치 청혼했으나 가족의 반대가 있었다. 이후 결혼하는 데 성공하지만 첫만남부터 10년 뒤에나 결혼해서인지 사이가 안 좋았다. 슬하에 두 명의 자녀를 낳았으나 사실상 따로 살았다. 아이러니하게 결혼을 반대했었던 에드워드 페이큰햄이 웰즐리 부부의 사이가 원만하도록 가교 노릇을 했다고.[31] 이 에드워드 페이큰햄은 이베리아 반도 전쟁 당시 웰즐리의 부하로 있다가, 1815년 앤드루 잭슨을 전국구 스타로 만들어 준 미국의 뉴올리언스 전투에서 전사한다. 여담으로 에드워드 페이큰햄의 웰즐리에 대한 평을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용감한 바보였다.[32] 형에게 자녀가 없어 이후의 웰링턴 공작은 모두 그의 후손이다.[33] 아서 웰즐리가 네덜란드의 귀족작위를 받은 이후 벨기에가 갈라져나왔지만 작위의 효력을 마찬가지로 인정해주었다.[34] 다만 영국의 작위 계승법은 살리카법인 반면 스페인의 작위 계승법은 절대적 맏이 상속제로 개정되었기 때문에 영국의 작위 계승법이 절대적 맏이 상속제로 개정되지 않는다면 추후 시우다드 로드리고 공작위와 웰링턴 공작위는 각각 현 공작의 장손녀(공작의 장남의 첫째)와 장손자(공작의 장남의 둘째)에게 분리되어 상속될 예정이다.[35] 우리에게도 이름이 널리 알려진 고든 램지의 시그니처 요리.[36] HMS 푸드로얀트는 1949년 자침, HMS 빅토리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37] 유틀란트 해전 당시 영국 대해군 총기함.[38] 정확히는 아버지 대에 아일랜드로 이주한 잉글랜드인인데, 아일랜드 출신이라는 걸 자랑스러워 하지 않았다고. 작위를 받을 때 아일랜드에 관련된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성을 냈다[39] 정확히 말하면 웰링턴의 형의 일화라 한다. 이 당시 아일랜드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명목상 별개의 나라였다. 그런데 웰링턴은 훗날 총리 시절에 가톨릭을 해방시켜 아일랜드 내 인기는 또 높다. 아일랜드 더블린에도 동상이 있다.[40] 사실 나폴레옹 전쟁 당시 스코틀랜드 연대도 영국군 소속으로 열심히 싸웠고, 그 중에서도 79와 92 하이랜더 연대는 워털루 전투 당시 가장 격전을 치른 부대 중 하나였다.[41] 당시 지휘관 저격은 실제로 비열한 행동으로 취급받았다. 영국군의 라이플 연대는 미국 독립전쟁에서의 영향으로 만들어졌고, 그 외에도 전투중에 지휘관급이 저격당해 사망하는 일도 꾸준히 발생했지만(대표적으로 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프랑스가 승리한 가장 큰 요인이 프로이센의 사령관급 지휘관 여러명이 저격당해 지휘부가 혼란에 빠진 것이었다) 그렇다고 대놓고 상급지휘관을 저격하는 건 금기였다. 가장 큰 이유는 정치적 대화 상대를 남겨야 한다는 것과(특히 나폴레옹은 추종하는 세력이 많은 만큼 더더욱 죽이기 곤란하다. 나폴레옹이 유배지에서 죽은 후에도 혹시나 암살이라도 당해 폭동이 일어나지 않을까를 걱정할 판이었으니..) 귀족 중심이었던 지휘관들간의 계급적 유대감에 의해서였다.[42] 이 장면과 이어서 나오는 장면으로 추측하면 병사들이 자신을 두려워하고 자신의 명령에 따를 것이라는 확신과, 두려움에 떨면서도 어떻게든 논리적인 대답을 한 것을 인정해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후의 전투에서 이 병사는 자기 할 일을 다 했다.[43] 전장에서 쓰러져도 부상으로 처리되어 수도에서 부활한다. 이외의 장군들은 얄짤없이 전사 처리(...) 프랑스의 경우 당연하게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44] 토머스 픽튼이라든지 칼 베레스포드 등 괜찮은 장군들도 있다.[45] 3-6인 다부, 술트, 쿠투조프가 그 다음이다.[46] 비아냥거릴 때 휘태커가 했던 말이 "꼴에 같은 영국인이라고 웰링턴 뒤에 숨었나. 웰링턴은 나폴레옹을 잡겠다고 워털루에서 벨기에 용병까지 데려다 썼다지." 였다.[47] 효명세자가 빈민가의 실태에 충격받은 게 컸다.[48] 임칙서와의 협상으로 아편을 금지 목록으로 지정하고 온갖 방법을 동원해 밀수해 임칙서의 성질을 긁으면서 전쟁 명분을 만들어 내려 했으나, 임칙서가 초인적인 인내력으로 참아내자 작전을 바꿔 밀수 도중 실수인 척 조선에 파는 머스켓을 보여줘서 임칙서가 조선이 청나라와 전쟁을 준비 중이라는 사실을 눈치채버린다. 덕분에 조선의 대청전략의 기본이었던 '청나라가 병력을 모으기 전에 선제공격해서 북경 함락'은 무용지물이 되어버리고, 추가로 베트남에 있던 프랑스 함대에 철갑 증기선을 보내 견제함으로써 프랑스가 조선에 지원하는 것도 막아버렸다.[49] 참고로 아편전쟁이 일어날 당시 청나라 군대는 말을 타려다가 떨어질 만큼 전투력이 하락해 있었으며 실제 아편전쟁의 상황이 반영되어 청나라의 지휘관이 조선의 대포가 강력한 건 양기를 모아 주술을 걸었기 때문이라는 소리까지 하며 여성의 속옷을 매달고 오물을 발라놓은 모습을 본 조선 쪽이 어이없어 했고 결국 백린탄을 날려 태워버린다.[50] 순조가 직접 나서서 최전선에서 친정을 한다는 초강수를 둬가며 최소한의 방어 병력을 제외한 모든 병력을 전부 쏟아부었다.[51] 주인공들이 청나라의 수준으로는 영국의 최신예 철갑선을 격파할 방법이 없다는 걸 알고 그나마 가능성이라도 있는 초대형 자돌폭뢰를 25개나 보내줬다. 처음에는 임칙서도 사용자의 안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자폭 병기를 쓰기 꺼렸지만, 영국의 철갑선을 격파할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걸 깨닫고 고향을 지키기 위해 자원한 향용들에게 눈물을 흘리며 자폭 공격을 지시했다. 주인공들도 자폭병 기가 최선이었다고 한다.[52] 1815년에 프랑스의 수도가 함락하고, 러시아 제국과 북유럽 국가들은 소식이 없다. 이 외에도 바이에른 왕국, 작센 왕국도 안전하지 않으며 1813년에 이베리아 반도에서도 좀비가 창궐하는 바람에 대영제국군이 산 세바스티안 공성전 중, 철수하였다.[53] 출처: 런던 가제트 1852년 12월 6일 웰링턴 공작 사망 관보 https://www.thegazette.co.uk/London/issue/21388/page/3563[54] 빅토리아 여왕[55] 1815년 7월 워털루 전투 승리로 수여[56] Ciudad Rodrigo,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관문 역할을 했던 요새로 1810년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1812년 웰즐리(당시 웰링턴 백작) 지휘 하의 영국군에게 함락됨, 1812년 1월 수여[57] 1812년 12월 수여[58] 반도 전쟁 당시 웰링턴이 구축한 전선 이름, 1812년 수여[59] 1811년 10월 수여[60] 원문은 Lord Warden of the Cinque Port로 영국 남동부 연안에 위치한 5개의 항구인 헤이스팅스(Hastings), 롬니(Romney), 하이드(Hythe), 샌드위치(Sandwich), 도버(Dover)를 관리·감독하는 직책을 의미함. 1829년 1월 20일 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