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22:20:03

KTX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첫 고속철도 차량 모델에 대한 내용은 KTX(차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세계의 고속철도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 파일:CRH 로고.svg
파일:CRH(푸싱호 계열) 로고.svg

파일: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 로고.svg홍콩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파일:NHSRCL 로고.svg 파일:타이완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afrosiyob.jp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하라마인 고속철도 로고.svg 파일:알 보라크 로고.svg 파일:Whoosh.jpg
유럽 · 북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프랑스·스위스
파일:TGV inOui 로고.svg
파일:OUIGO 로고.svg
파일:Renfe_AVE.svg 파일:TGV 리리아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LeFrecce.jpg
파일:italo.png
파일:Avanti West Coast.png 파일:LNER Logo.png
파일:GWR 로고.svg 파일:East_Midlands_Railway.png
파일:YHT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네덜란드·벨기에·오스트리아·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노르웨이·덴마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ICE 로고.svg 파일:sj2000.png 파일:삽산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오스트리아·체코 러시아·핀란드
파일:체코국철.png 파일:Railjet 로고.svg 파일:allegrotrain.png
(영업중단)
프랑스·영국·벨기에·독일·네덜란드 벨기에·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svg 파일:fyra-logootje.png
(폐지)
파일:NS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철 로고.svg Intercity Direct
파일:aplogo1.pn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발트3국(폴란드)
파일:acela.png 파일:브라이트라인 로고.svg EIP 파일:RBLOGO.png
파일:Texas_Central_logo.png* 파일:CAHSRA.png
음영 : 건설 중 · 예정. 그 외의 로고 미정 목록은 해당 목록 참조. }}}}}}}}}
KTX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KTX BI.svg파일:KTX BI_White, Red.svg 파일:SRT BI.svg파일:SRT BI_White.svg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 여객열차 등급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05bac><colcolor=#fff>
고속
KTX, KTX-산천, KTX-청룡, SRT(SR 운영)
준고속 KTX-이음
특급 ITX-청춘
급행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특급/급행 광역전철
보통 일반 광역전철
관광 틀 참고
폐지 관광호, 비둘기호, 통근열차, 통일호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05bac><colcolor=#fff>
-1969
특급열차 보급열차 준급열차 보통열차
1969-1974 관광호 특급열차 보급열차
1974-1977 새마을호
1977-1982 우등열차 특급열차 보급열차
보통열차
1982-1984
1984-2000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
2000-2004 -
2004-2009 파일:KTX BI.svg -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2009-2010
파일:누리로 BI.svg
2010-2012 파일:KTX-산천 BI.svg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
2012-2014 파일:ITX-청춘 BI.svg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파일:누리로 BI.svg
2014-2021 무궁화호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2021-2023 파일:KTX-이음.png 파일:ITX-청춘 BI.svg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2023-2024 새마을호 무궁화호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파일:ITX-마음 BI.svg
2024-현재 파일:KTX-청룡 bi.svg 파일:KTX-이음.png 파일:ITX-청춘 BI.svg 새마을호 무궁화호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누리로 BI.svg
파일:ITX-마음 BI.svg }}}}}}}}}
<colbgcolor=#003da5><colcolor=#fff> 한국고속철도
韓國高速鐵道 | Korea Train eXpress
파일:KTX BI.svg파일:KTX BI_White, Red.svg
운영사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2004년 4월 1일 ([dday(2004-04-01)]일, [age(2004-04-01)]주년)
열차 등급 고속열차, 준고속열차
운행 노선
[ 펼치기 · 접기 ]
* 경부고속선 계통
사용 차량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110000, 140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준고속]
한국철도공사 160000호대 전동차
사용 예정 차량 [펼치기 · 접기]
EMU-370(KTX 대체분)
1. 개요2. 역사
2.1. 명칭 선정
3. 특징4. 차량5. 운용6. 노선 및 운행 정보
6.1. 운행계통
6.1.1. 현행
6.2. 역별 정차 구분6.3. 운임6.4. 특별 배차
6.4.1. 패스(pass)
6.5. KTX 마일리지6.6. 객실서비스
6.6.1. 무선인터넷(Wi-Fi)6.6.2. 특실
7. KTX특송8. 차내방송
8.1. 영상 안내방송8.2. 정차역 음성 안내방송
9. 문제점10. 사건 사고11. 역별 승하차 통계12. 통일 이후 예상13. 기타14. 관련 문서15. 창작물에서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KTX가 고객을 만나기까지
KTX 20주년 기념 홍보영상

한국철도공사[6]가 운영하는 고속철도준고속철도 브랜드이자 최고 등급의 열차.[7]

과거의 경부선, 경부고속도로처럼 대한민국 교통 전반에 새로운 시대를 연 존재이다[8].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이 서울-부산 5시간 시대를 열었다면, KTX는 그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하여 서울-부산 2시간 반 시대를 여는 혁명을 일구어냈다. 철도에서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일반선 열차의 영문명에서 Express를 빼앗아[9] 대한민국에서 빠른 교통수단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국내선 항공편을 상대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10][11]

2024년 4월 1일에 개통 20주년을 맞이했다.[12]

2. 역사

파일:KTX_개통식.jpg
KTX 개통식
대한뉴스 제 1912호-경부 고속 철도 기공식[13] 개통식 영상
현대로템의 개통 축하 신문 광고

공사는 1992년 6월 30일에 기공하여, 2004년 4월 1일개통되었다. 기공부터 개통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당장 천안 지역에 신천안역(가칭)에서 대전역을 잇는 시험선 34km를 건설할 때만 하더라도 기공식을 개최할 땅이 없어 임시로 땅 주인에게 땅을 빌려서 기공식 행사를 할 정도였다고 한다.

당초에는 1999년이나 2002년 개통을 목표로 했지만 사업비 예측 실패, 건설사 사정, 심지어 IMF까지 터지면서 공사가 느려진 것이다. 아무튼 공사 도중 외환위기가 터지는 바람에 예산이 뭉텅이로 깎여버려 동대구 - 부산 구간 철로는 기존 구간과 달리 값비싼 고속선[14]을 깔지 못하고 일반선으로 다니면서 150km/h가 넘는 속도로는 달리지 못했었다. 하지만 아래에서 언급하듯이 2단계 구간이 개통된 후에도 일반선 경유 열차는 유지되고 있는데 연선 수요가 꽤 되기 때문이다. 아무튼 당시의 자금 상황으로 인해 고속철도 사업이 전면 중단되는 최악의 사태만은 피했으니 다행. 다만 일반철로와 번갈아 운행되는 바람에 KTX의 바퀴 마모[15]는 빠르게 진행되어 정비소요는 늘어났다. 일반철로와 궤간은 표준궤로 동일하지만, 바퀴가 올라가는 강철 I빔의 규격이 다르다.[16] 다만 최근에 건설되거나 건설 중인 신규철도노선이나 복선전철화 및 선형개량노선의 경우는 고속선과 동일한 레일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는 경부고속선 대전, 대구 도심구간의 개통으로 서울 시내구간과 일반선 경유 열차에만 한정된 얘기. 물론 대전역, 동대구역은 KTX 필수정차역[17]이라 미리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다, 시내구간의 소음문제를 생각하면 경부고속선 최초 개통시 대전, 대구 도심구간이 함께 개통됐다고 해도 해당 구간을 고속으로 달리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당시 고속철도 건설을 담당했던 인물들의 회고가 담긴 책(꿈의 실현, 고속철도 시대를 열다)에 의하면 KTX 사업은 1970년대 중반 박정희 대통령이 유관 부서에 검토를 지시했던 '서울-대전 간 급행 고속전철 건설 방안'이 그 시초라고 증언하고 있다. 실제로 고속철도 사업 타당성 조사를 위해 IBRD와 프랑스 알스톰, 일본국유철도(현재의 JR그룹)가 방한했다고 전한다. 다만 이 당시의 서울 - 대전 간 급행 고속전철은 그저 한국 고속철의 겉부분이나 일부 영역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1970년대 당시 계획된 한국형 신간선이 현재의 KTX 사업에 가깝다. 당시 일본국유철도신칸센으로 적자 탈출을 하는 모습을 보고 한국형 신간선 계획이 나왔으며 경부 신간선과 호남 신간선, 경전 신간선이 계획되었다. 말 그대로 당시 철도청의 체질 개선을 목표로 이루어진 일련의 계획들이 현재 한국고속철도 사업의 뼈대를 이룬 것이다.

차량 선정 당시 고속철도 시스템을 가진 단 3개의 국가였던 일본, 독일, 프랑스가 치열하게 경쟁했다. 일본은 당시 최신형인 300계를 한국 사양으로 개조한 커스텀 형식의 차량을 제안했었다. 차량 폭이 3100mm인 2+2 배열의 차량으로 총 좌석 수는 1000석 내외로 하고, 모터의 출력을 상승시켜 영업최고속도인 300km/h까지 나오도록 만든 차량이었다. 그러나 이는 실차가 아닌 베이퍼웨어였다. 또한, 차량 선정 당시 일본의 최신형 차량은 300계였고 300계의 최고영업속도는 270km/h에 설계최고속도는 285km/h로 자신들도 시험용 차량이 아닌 영업 차량으로는 300km/h를 내본 적이 없었다. 또한 고상홈 문제와 중검수의 한국 자체 실시에 부정적이었고, 라이센스 생산은 전부 불허하고 전량 일본 생산 후 도입을 고집하는 등 기술이전 또한 부정적인 것은 마찬가지였기에 사업 목적에 완전히 역행하는 조건을 내걸고 있다고 판단한 한국 정부에 의해 3파전에서 가장 먼저 탈락했다. 일본 측 인터넷 게시글이나 자료에서는 한국 내 반일감정 때문에 탈락했다는 주장이 많고 일부 한국 고속철도 개발사업 참여진도 그러한 증언을 했으나, 공식적으로는 틀린 주장이다. 자세한 것은 대한민국의 고속열차 개발사를 참고하자.

독일은 제안 차량이 ICE 2의 개발형이었다. 3개국 중 기술적 스펙은 가장 좋았고 기술 이전, 차관 등 각종 조건도 일본보다는 조금 나았지만 그나마도 프랑스가 파격적인 조건을 들이밀어 탈락됐다. 에세데 사고 때문에 탈락된 것이란 루머도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차량 도입 계약은 1994년에 체결됐고 에세데 사고는 1998년에 일어났다. 물론 ICE 차량으로 결정이 났다면 사고로 인해 안전성 문제가 불거져 차량 도입이 늦어졌을 수는 있다.

프랑스는 당시 알스톰에서 일본, 독일 대비 파격적인 수준의 기술 이전과 라이센스 생산 허용 조건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는 차량 도입을 계약할 때 단종된 구형 기종인 TGV 레조를 떠넘기기 식으로만 생각했던 것이었고,[18] 프랑스 현지 기술진도 기술을 배우러 간 한국 측 기술진에게 처음에는 기술을 가르쳐 줘도 소화해 내지 못할 것이라고 여기는 거만한 태도로 대했다고 한다.

하지만 반드시 본전을 뽑아내겠다는 한국 측 기술 연구진의 끈질긴 물밑 교섭 끝에 고속철도에 대한 각종 저작권, 기술 도입 중에 새로 발견된 신기술에 대해서는 한국 측이 그 권리를 선점하는 등, 각종 유리한 조건을 모두 따오는 것에 성공했다. 당시 알스톰 사내에서도 한국 측을 너무 얕보고 계약을 해버렸다는 반응이 있었다고 전해지면서 공장에 칸막이까지 치는 등 갈수록 방어적이고 신경질적인 태도로 변했다고 한다. 그래서 차량을 들여오면서 프랑스 측이 제공을 거부한 기술은 사실상 거의 리버스 엔지니어링하다시피 개발해야 했던 부분도 있었다. 이 때문에 KTX가 한국으로 인도되어 들어왔을 때, 정작 프랑스 현지에서는 알스톰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고 실제로 알스톰 회사의 주식까지 폭락했다고 한다.당시 뉴스 프랑스가 병인양요 때 훔쳐간 외규장각 도서를 반환해준다는 조건으로 TGV를 수입했다는 루머는 사실이 아니다. 그래서, 프랑스 TGV가 낙찰된 것은 운용 경험, 금융 조건, 경제성, 사업 일정, 기술 이전 등 여러 면에서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우위를 차지했고 무엇보다도 차관 조건이 가장 파격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프랑스와 손을 잡은 것은 기술 이전 외에 운용 경험도 큰 이유를 차지했다. 특히 프랑스 고속철도는 한국과 비슷한 수도권 집중 방사형 체제[19]로 구성되어 있어서 역시 서울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한국 철도망의 구조와 맥이 통했다. 당시의 한국은 단순히 차량만 수입한 게 아니라, 이와 연계되는 차량 및 선로의 유지보수 시스템까지 같이 도입했는데, 프랑스는 이런 파리 중심 방사형 고속철도망을 유지하기 위해 빠른 시간 내에 선로를 보수하고 철수하는 시스템이 발전한 반면에 전국이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독일은 아예 한 구간을 틀어막고 보수를 하는 시스템이라 한국의 사정에는 맞지 않은 상황이었다.

알스톰은 자회사 EUKORAIL(유코레일. 이후 알스톰 한국 법인으로 사명 변경)을 세워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금성산전, 삼성전자, 금성전선, 일진 등 한국 7개 업체, 추가 프랑스 2개 업체와 한국TGV컨소시엄을 만들어 KTX를 들여왔다.[20]#
산천 출시 당시 홍보영상 개통 10주년 홍보영상

어쨌든 이 기술들을 토대로 한국 측 기술 연구진들은 차기 시험 모델인 HSR-350X와 양산차인 KTX-산천을 뽑아내는 데 성공했다. KTX-산천 1호기 출고 당시 기념으로 초청되었던 프랑스 측 인사는 뭐 씹은 표정이었다고 전해진다. 프랑스는 고속철도 기술 수출 당시 핵심기술은 가르쳐주지 않는 등, 한국 고속철도 자체 개발에 불성실하고 그다지 협조적이지 않았는데, 프랑스가 제공한 기술을 뽑아먹을 대로 다 뽑아내고 다음 고속열차는 강화된 제품으로 자체 생산까지 해 버렸으니 그럴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후에도 400km/h대 고속열차 개발을 위한 모델인 HEMU-430X동력분산식 고속열차 양산차인 KTX-이음으로 더더욱 발달한 제품을 뽑아내는 데 성공한다. 이쪽 역시 HSR-350X는 놔두고 아예 처음부터 새로 개발한 물건에 가까워 관절대차 같은 TGV의 흔적도 아예 완전히 사라졌다.

2024년 4월 1일 개통 20주년을 맞이하였다.

2.1. 명칭 선정

KTX라는 명칭은 1999년 8월 25일에 확정되었다. Express train이 아닌 Train express가 된 까닭은 그저 어감이 좋아서라고 한다. 높으신 분들이 KTE[21]로 하려 했으나, 당시 실무진들이 죽을 힘으로 설득해서 KTX가 되었다는 카더라가 있다. 원래 초대 KTX 차량이 TGV를 베이스로 제작된 것이라 명칭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그냥 TGV라고 했었다.

하지만 낭설과 다르게 KTX란 브랜드가 확정되기까지 굉장히 우여곡절이 많았다.
1994년 국민 공모전 수상작
코리아 특급 무지개 특급
고속철도 건설공단은 차기 고속철도 명칭을 확정짓기 위해 국민 공모전을 진행했고, '코리아 특급'이 우수작, '무지개 특급'이 가작으로 입선되었다. 하지만 둘 다 별로라는 이유로 국민 공모전 수상작들을 전부 폐기했다.

결국 건설공단은 국민 아닌 전문가들의 의견이 필요하다 판단해 1995년에 광고회사인 '한컴'에 차기 고속철도 명칭 작명을 의뢰한다.
1995년 한컴 발주 결과
가리온 아리온 슈렉스 한빛
앙상블 미래스타 KDR
내부심사를 해봤더니 7개 모두 다 별로라는 결론이 나와 결국 당시 국내 최고의 광고회사였던 제일기획에 고속철도 브랜드 작업을 의뢰한다. 건설공단은 새로운 국민 공모와 공단 내부 공모서 선정된 이름 800여 점 이상을 전부 제일기획에 전달했다. 제일기획은 소비자 심층심리 유형 분석을 통해 매우 과학적이고 엄밀한 방법으로 차기 고속철도 브랜딩을 시작했다.
1998년 제일기획 발주 결과
소비자 집단 최적 명칭
시간 중시형 비호, 마하, 축지, SPEX
진보 및 혁신 추구형 Z-Trak, Blue Trak, eBird, 솔마로
다양한 성향의 고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이름 KTX, ZeBis, Z-Trak, SPEX, ViHO
하지만 특정 성향의 고객만을 타게팅한 이름은 다른 성향의 고객들에게는 이름이 별로라 느껴졌으므로, 결국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이름 5개를 간추려 상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적합한 이름을 찾지 못해 결국 1999년 국민 공모전을 다시 한 번 하기로 결정한다. 교수 심사 과정에서 KTX라는 약칭이 너무 짧다는 이유로 'KoTeX'라는 이름도 제안되었지만, 생리대 브랜드와 겹친다는 이유로 기각됐다.
1999년 국민 공모전
고려선 꼬레 미래로21 밀렉스
익스프레스타 코레이서 타키온 해모수
SUN21
국민 공모전에서 9가지 이름이 선정되었다.
그간 제안되었던 우수 명칭을 전부 모아, 1999년 최종 심사에 들어간다.
1999년 최종안
KORIENT UNIEX KTX eBird
Intex-K KOSPEX 온누리 비호
미래로

TGV, 인터시티익스프레스 등 해외의 고속철도 브랜드와 유사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X가 강조되어 신속함과 첨단성이 강조되며 강한 악센트 때문에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KTX가 최종 이름으로 확정된다.

KTX(100000호대) 이후로 도입된 KTX-산천, KTX-이음, KTX-청룡 차량의 명칭은 공모 이후에 결정됐다.
KTX-산천
KTX-이음
KTX-청룡

3. 특징

한국철도공사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광명역 환승주차장 등의 사례를 봐도 그렇다. 그리고 경부선 KTX는 한국철도공사의 모든 일반 노선과 열차 운용을 통틀어서 유일하게 흑자를 내기도 했다. 실제로 고속선으로 KTX가 개통된 도시의 경우 항공 수요를 다 뺏어오기도 한다.[22] 경부고속선 1단계 개통 때에는 대구국제공항의 수요가 급락, 결국 김포 - 대구 노선을 단항시키는 위업을 달성했다. 그리고 2단계 개통 때에는 울산공항의 수요가 급락했다. 물론 이 수요는 KTX가 대부분 흡수. 단, 서울-부산은 거리가 400km가 넘는 관계로 20%의 항공 수요가 항상 유지되고 있다.

개통 당시 최저운임은 10,600원이었으나 너무 비싸다는 지적에 2005년 7,000원으로 줄이고, 이후 2007년 7월 8,100원으로 올렸다가 2011년 11월부터 8,400원으로 올라 지금에 이르고 있다. 기본요금 거리는 80km이다. 개통 당시보다 내려간 최저운임에 비해 km당 운임률의 경우 개통 당시보다 올랐는데, 개통 당시 서울-부산간 KTX 운임은 45,000원이었으나 고속선 연장 및 운임 인상으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계속 59,800원이다. 이 요금은 물가 상승이나 타국의 요금과 비교해보면 무척 저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서울-천안아산 구간은 개통시보다 더 저렴하다. 수익을 위해 KTX 편성을 늘리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이용 가능한 무궁화호 노선을 줄여버리고, 심지어 2019년 말 야간열차마저 폐지시켰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난도 있다. 사실 이 부분은 논란이 많은데, 무궁화호 감축의 경우 노후화로 인한 점진적인 폐차가 진행 중이기에 상대적으로 공기수송을 하는 수요가 적은 벽지노선을 줄이는 것이고, 야간열차 폐지의 경우는 밀양역에서 주간에 작업을 실시하다 발생한 사상사고가 더 큰 이유라고 보는 쪽도 있다.

현재 KTX 특실은 일반실 운임의 40%를 할증하는데 할증요금이 4,800원보다 적으면 일반실 운임에 특실 최저요금을 더해서 수수한다.[23] 최저운임이 부과되는 구간 중 가장 가까운 구간은 서울용산의 3.2km이다.[24] 참고로 KTX의 고속선 구간 운임에는 VAT(부가가치세)가 함께 부과된다.

영업최고속도는 305km/h지만 고속선에서 250 ~ 300km/h 사이로 주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 열차가 지연되고 있거나, 전반적인 KTX 운행 상황이 양호한 경우에는 300 ~ 305km/h로 달리며[25], 250km/h 이상으로 주행시, 객실 모니터 좌측 상단에 월일시 자막이 주행속도로 바뀌어 표기된다.[26] 한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잠시 KTX 안내방송이 나올때도 속도계도 잠시 꺼진다. 시계도 마찬가지. 이건 SRT도 마찬가지. 이 동안은 속도계 어플로 속도를 측정해야 된다. 그리고 현재 속도계는 KTX 모니터에 안나와 속도계 어플로 속도를 측정해야 된다. [27]

파일:attachment/KTX_carbon.jpg
2012년에는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았다. 상징적으로 서울-부산 구간을 받은 듯한데, 승객 1인당 서울-부산 간 편도로 KTX를 이용하면 9.98kg밖에 안 된다고 한다. 참고로 서울-부산 구간을 내연기관차로 이동하면 68.46kg의 이산화 탄소가 배출된다. KTX가 내연기관차의 14.6%(약 1/7) 정도의 이산화 탄소만 배출하는 셈이다. 녹색철도 코레일이라는 말에는 다 이유가 있다.

4. 차량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고속철도차량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5f5f5,#333> 운행중 파일:KTX BI_White, Red.svg 100000호대
파일:KTX-산천 BI_White.svg 110000호대 · 140000호대
파일:KTX-이음 BI_White.svg 150000호대(준고속)
파일:ktx-청룡 bi_white.svg 160000호대
파일:Untitled-1.png 120000호대 · 130000호대
미운행 파일:Untitled-1.png 1X0000호대(도입 예정)
연구 단계 HSEMU-370 · EMU-400 · HTX(하이퍼튜브)
연구 종료 HSR-350X · HEMU-430X
콘셉트 VHST-600X }}}}}}}}}

<nopad> 파일:TGV.jpg 파일:KTX-산천.jpg
KTX KTX-산천(전기형)
파일:KTX-산천 140151.jpg 파일:KTX-OO no.505.png
KTX-산천(후기형) KTX-이음
파일:KTX-청룡 602.jpg
KTX-청룡

아래 투입차량 항목의 3자리 번호는 열차번호(예매화면에서 보는 3 또는 4자리[28] 숫자)가 아니라 편성의 번호이다.[29]
ABCDEF호 라는 차량번호[30]의 BCD 부분이다. 고속철도차량은 A는 1로 고정, EF는 편성차량의 개별객차번호이다.[31] 차량번호와 열차번호 차이 KTX-산천 140000호대 출고를 전후로 차량번호가 개편되었다.

KTXKTX-산천의 경우, 동력차의 측후방에 한국철도공사의 캐치프라이즈가 쓰여져 있다. 이는 참여정부 시절 KTX가 첫 개통한 후부터 붙여지기 시작했는데[32], 처음에는 개통 당시 국가브랜드였던 '다이나믹 코리아(Dynamic KOREA, 2004~2010)'였다가[33] 이후 '세계 1등 국민철도(2010~2012)', '고객 환경 미래와 소통하는 국민기업 코레일(2012~2014)', '사람 세상 미래와 함께하는 국민행복 코레일(2014~2018)', '대한민국의 내일 - 국민의 코레일(2018~2023)' 등 한국철도공사 홍보문구로 계속 바뀌어 왔다. 현재는 한국철도공사의 비전이기도 한 '새로 여는 미래교통 - 함께 하는 한국철도'(2023~현재)가 붙어있었으나 2024년에는 KTX 개통 20주년을 기념하여 기념 슬로건인 'KTX 개통 20주년 - KTX 20년의 가치, 100년의 행복'이 붙어있다. 2025년부터 다시 비전으로 환원될 것으로 보인다.

5. 운용

KTX는 고속전용선에 한해 단선병렬로 운영한다.[45] 평소에는 좌측통행의 일반 복선처럼 쓰지만, 원칙적으로는 어느 선로로든 쌍방통행이 가능한 방식. 우측통행을 하거나, 심하게는 아예 선로 두 가닥을 똑같은 방향으로만 운용해도 역주행이 아니라는 뜻.

이렇게 운용하면 한쪽 선로가 사고 등으로 인해 막혔을 경우, 반대편 선로를 이용해 단선 운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복선에 비해 훨씬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다. 광명역 KTX 탈선사고 당시 경부고속선이 손상되자 급하게 한쪽만 우선 복구한 뒤 모든 열차를 해당 선로로 통행시키는 교행 방식으로 운행했던 것이 그 예. 그래서 주요 역에는 반대편 선로로 들어가는 분기기가 있어 정차 직전에 반대편 선로에서 나와 역에 정차할 수 있다.[46]

국내에서 이 차량을 운전하기 위해서는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가 있어야 한다.

차량들은 주로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관리한다. 그밖에 호남고속선에서는 호남철도차량정비단이 있으며, 경강선의 강릉차량사업소[47]와 중부내륙선의 부발차량사업소[48], 그리고 망우선의 이문차량사업소[49]도 정비를 맡는다. 또한 경부고속철도의 성격이 아닌 동해선 KTX경전선 KTX가 개통하면 울산차량사업소에서 추가적으로 준고속 KTX 차량의 중정비를 담당할 예정이다.

KTX 차량별 배속 차량기지 정리 [펼치기 및 접기]
* 수도단 본단: 001~046호, 101~124호, 401~407호, 409~415호, 601~602호 편성

6. 노선 및 운행 정보

<nopad> 파일:HSR2024.png
2024년 5월 현재 기준 고속철도 노선도[50]

열차번호는 2004년 개통 때부터 2006년까지는 경부선은 #000번대, 호남선은 #200번대를 사용했으나, 2006년 12월 개정 이후 #000번대 열번을 폐지하고 경부선 #100번대/호남선 #500번대로 개정하여 2020년까지 사용했으며, 2021년 중앙선 KTX 개통으로 경부고속선 KTX에 다시 #000번대가 부여되었다. 중앙선 KTX에 #700번대가 부여되면서 원래 #700번대를 사용하던 전라선 KTX의 열번이 #500번대로 변경되었고, 호남선 KTX의 열번이 #400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4월 개통 이후 서울 - 부산 무정차 직통 KTX가 있었지만 [51]수요 부족으로 7개월 만에 사라지고 동대구 정차 열차로 변경되었다.[52] 당시 소요시간은 2시간 34분이었고, 상행, 하행 각 2회로 총 4편을 운행했었다. 2010년 12월 1일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이후 무정차 KTX가 재신설되었고 2015년 3월까지 운행되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간 17분이 걸렸다. 하지만 4월 2일 시간표 개정으로 다시 폐지되었다. 사실 2010년 12월 1일 운행 당시에는 2시간 8분이었으나, 경주, 울산 분기기 문제로 인한 서행과 그 외 요인 등으로 시간이 조금씩 늘어났다. 보통 전 구간 고속선 경유 기준으로 2시간 30 ~ 40분대로 소요되는 열차가 가장 많이 배치되어 있으며, 고속선 상의 전 역[53]을 정차하는 2시간 50분대 열차가 하루에 한 편 있다.

경부선에서는 2 ~ 3시간에 1대 정도로 구포를 경유하는 열차수원역을 경유하는 열차가 있는데[54], 구포를 경유하는 열차는 동대구 이남으로는 기존 경부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경부고속선 2단계를 이용하는 열차보다 시간이 더 걸려서 약 3시간 정도 걸리고, 수원을 경유하는 열차는 서울에서 대전까지 기존 경부선을 이용해 약 3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같은 일반선 이용인데도 시간 차이가 20분 정도 나는 이유는 동대구 - 부산 거리가 서울 - 대전 거리보다 가깝기 때문이다.[55] 한때는 서울과 부산을 오갈 때 평일 기준으로 할인카드에 수원 경유 열차를 선택해 무인발매기 등 각종 할인을 받으면 무궁화호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가격으로 휠씬 빠르고 쾌적하게 갈 수 있었으나, 현재는 파격가 할인으로 미리 끊어놓지 않았다면 이렇게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KTX를 탄 다음 환승하는 승차권에서 환승열차의 요금이 할인되는 구간이 있다. 물론 대전, 대구 시내 구간이 개통된 후에는 서울 - 부산 간 소요시간이 2시간 30분으로 다시 크게 줄어들었다. 광명 출발이면 2시간 10분대도 가능하다.

호남선, 전라선에서는 3 ~ 4시간에 1대 꼴로 서대전을 경유하는 열차가 있다. 서대전을 경유하는 열차는 오송에서 호남고속선을 이용하지 않고 대전조차장역까지 경부고속선을 이용하고 익산까지선 일반선으로 이용하기에 호남선 기준 목포까지 약 3시간 30분 - 3시간 40분이 걸리고 여수까지는 3시간 30분이 걸린다. 서대전 경유 KTX는 주로 익산에서 시·종착하고, 목포 및 여수엑스포행이 가끔 있고 서대전 착발이 소수 있다. 그리고 이 열차들은 새벽이나 밤 시간대 열차가 아니더라도 할인이 된다.

그리고 승차율이 저조하거나 일찍 예매하는 열차들에 대해서는 최대 20%까지 할인된다. 그냥 승차권 예매를 했을 때 "파격가 할인" 같은 할인 승차권은 최대 30%까지 할인한다! 주로 2일 전에 예매했을 때까지 되고 그 이후로는 5% ~ 10% 할인도 양반일 정도로 보기가 힘들다. 가끔씩 이 할인가 확인을 통해 열차 좌석 점유율(?)[56]을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매우 이른 새벽 시간대나 오후 9시 이후의 열차는 20% 할인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리고 금요일 ~ 일요일에는 할인을 보기가 매우 힘들다. 다만 새벽 시간대나 오후 9시 이후 열차는 제외.

코레일에서 2019년 3월부터 일부 KTX 열차에 한해 승객 대피 도우미를 시범 운영하고, 4월부터 모든 KTX 열차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대피도우미석은 KTX, KTX-산천, KTX-청룡에서만 운영하고 있다.[57]

6.1. 운행계통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설명은 모든 차량의 운행계통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20량 1편성 KTX의 운행계통에 대한 내용은 KTX(차량) 문서
5번 문단을
부분을
, KTX-산천의 운행계통에 대한 내용은 KTX-산천/운행계통 문서
2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KTX-이음의 운행계통에 대한 내용은 KTX-이음 문서
7.4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KTX-청룡의 운행계통에 대한 내용은 KTX-청룡 문서
5.2.1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계통
경부고속철도[a] | 서대구 경유 KTX, SRT | 구포 경유 KTX | 김천, 구미 경유 KTX
호남고속선
계통
호남고속철도[b] | 서대전 경유 KTX | 광주 착발 KTX
경인지방
경유
행신발 KTX | 수원 경유 KTX | 인천국제공항선 KTX
준고속철도
중앙선
계통
강릉선 KTX[c] | 중앙선 KTX
경인지방
경유
행신발 KTX | 중부내륙선 KTX
신설 예정
수원발 KTX | 인천발 KTX(고속선) | 경강선 KTX(송도/수서~원주/강릉) | 춘천속초선 KTX
동해선 KTX | 서해선 KTX | 경전선 KTX | 남부내륙선 KTX, SRT | 충북선 KTX
추진 중
인천국제공항발 KTX(제2) | 부전역 착발 KTX | 삼척역 착발 KTX
일러두기
취소선은 폐지된 운행계통. 단독 문서가 있는 운행계통만 표기함.
참고
[a] 진주행(경전선)·포항행(동해선) 포함 | [b] 전주행(서대전 경유)·여수행(전라선) 포함
[c] 경강선, 영동선 이용. 경강선의 열차는 맞지만, 중앙선의 성격이 더 강한 열차. (영동선 KTX는 쓰이지 않는 용어임.) | [d] 호남고속철도와 준고속철도의 교집합 운행계통
}}}}}}}}} ||

6.1.1. 현행

2024년 5월 1일 기준이다. 파란색 바탕은 KTX, KTX-산천, KTX-청룡이 운행하는 고속철도, 하늘색 바탕은 KTX-이음이 운행하는 준고속철도이다. 큰 범위로서는 001~300 열차번호의 경부고속철도, 401~600 열차번호의 호남고속철도, 701~900 열차번호의 준고속철도가 있다.[58]
<rowcolor=#ffffff> 노선 기점역 종점역 운행거리 개통일
경부고속선 행신·서울 대전·동대구·부산 행신~부산 432.3km 2010년 11월 1일
경부선 (수원 경유) 서울 부산 서울~부산 423.9km 2010년 11월 1일
경부선 (구포 경유) 행신·서울 부산 행신~부산 417.0km 2004년 4월 1일
경전선 행신·서울 마산·진주 행신~진주 459.8km 2010년 12월 15일
동해선 행신·서울 포항 행신~포항 384.5km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선 행신·서울·용산 광주송정·목포 행신~목포 388.7km 2015년 4월 2일
호남선 (서대전 경유) 행신·서울·용산 서대전·익산·목포 목포~행신 417.3km 2004년 4월 1일
전라선 행신·서울·용산 여수엑스포 행신~여수엑스포 409.7km 2015년 4월 2일
전라선 (서대전 경유) 용산 전주·여수엑스포 용산~여수엑스포 420.2km 2011년 10월 5일
중앙선 서울·청량리 안동 서울~안동 235.3km 2021년 1월 5일[59]
경강선 행신·서울·청량리 강릉 행신~강릉 234.2km 2017년 12월 22일
영동선 서울·청량리 동해 서울~동해 257.0km 2020년 3월 2일
중부내륙선 판교 충주 판교~충주 98.6km 2021년 12월 31일[60]

=====# 열차번호 #=====
[머리글자]

=====# 이용선로 #=====
====# 개통 예정 #====
<rowcolor=#ffffff> 노선[각주] 기점역 종점역 운행거리 개통예정
중부내륙선 충주 문경 39.2km 2024.11.30.
중앙선·동해선 서울/청량리 부전 442.3km 2024.12.21.[80]
경전선 부전 순천 171.2km 2026년
동해선 부전 강릉 363.9km 2025년 이후[81]
동해선·대구선 동대구 311.9km
호남고속선 (2단계) 무안공항 경유 선로 신설[82] 77.9km 2025년
서해선 대곡 홍성 136.7km 2026년 3월[83]
수인선·경부선 송도[제2공항] 부산 418.7km 2026년[A][86]
수인선·호남선 목포 386.3km
경부선 (수원발) 수원 부산 375.5km 2026년[A]
호남선 (수원발) 목포 342.7km
동해선·경강선[88] 동해 삼척 [89]
장항선[90] 홍성 익산 98.3km 2027년
동해선 제진 강릉 103.3km
경춘선·춘천속초선[91] 용산 속초 191.7km
문경선·경북선[B][93] 문경 김천 82.3km 미정
(설계중)
남부내륙선[B] 서울 거제 TBD
남부내륙선·경전선 마산 TBD
충북선[95] 목포 강릉 572.6km
수서광주선[B] 수서 경기광주[97] 19.2km
경전선 순천 광주송정 108.2km
경부선 부전 정차 -
호남선 서대전 연무대[98] - 2027년 이후
수인선[99]·경강선[100] 송도[제2공항] 강릉 243.3km 2029년 12월
원주[102] 136.1km

====# 폐지 #====
<rowcolor=#ffffff> 노선 기점역 종점역 운행거리 폐지일자 비고
경부선 (김천, 구미 경유) 대전 동대구 160.0km 2010년 11월 1일 [104]
호남선 (광주역 착발) 광주 - 2015년 4월 2일 [105]
경전선 함안 정차 중단 - 2015년 4월 2일 [106]
경부선 (중간역 무정차) 서울 부산 417.4km 2015년 4월 2일 [107]
경부선 (광명 착발) 광명 - 2016년 12월 9일
강릉선 (상봉 착발) 상봉 - 2018년 초 [108]
경부선 (용산 착발) 용산 - 2018년 7월 1일 [109]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2터미널 강릉 283.8km 2018년 9월 1일 [110]
인천국제공항선 (임시) 인천공항2터미널 광주송정 368.3km 2019년 8월 19일 [111]
경부선 (수원 경유) 서울 부산 423.9km 2025년 폐지 예정 [112]

6.2. 역별 정차 구분

2023년 12월 28일 기준. 연청색 바탕은 필수 정차역을, 흰색 바탕은 선택 정차역을 의미한다.

6.2.1. 고속철도

000번대, 100번대, 400번대, 600번대 편성 차량이 운행하는 계통이다. 첫차 및 막차로 운행하는 대전역 착발 KTX와 서대전역 착발 KTX를 제외한 모든 열차는 동대구역부산역 또는 익산역광주송정역을 필수로 정차한다. 또한 500번대 편성 차량이 운행하는 준고속 계통은 일부 청량리역 착발이 존재하지만[113], 고속철 계통은 전 열차가 서울역 또는 용산역을 정차한다.
6.2.1.1. 경부선/경전선/동해선 계열
경부선/경전선/동해선 정차역 구분
<rowcolor=#ffffff> 경부고속선 경부선(수원 경유) 경부선(구포 경유) 경전선 동해선
행신 행신
서울
광명 영등포 광명
천안아산 수원 천안아산
오송 오송
대전
김천(구미)
서대구 (통과) 서대구
동대구
경주 경산[114] 포항
밀양 밀양
울산 물금 진영
구포 창원중앙[부분필수]
부산 창원[부분필수]
마산[117]
진주
6.2.1.2. 호남선/전라선 계열
호남선/전라선 정차역 구분
<rowcolor=#ffffff> 호남고속선[호남고속][119] 호남선(서대전 경유)[서대전] 전라선[호남고속] 전라선(서대전 경유)[서대전]
행신
서울
용산
광명
천안아산
오송
공주 서대전 공주[123] 서대전
계룡 계룡
논산 논산
익산
정읍 김제 전주
정읍 남원
장성 곡성
광주송정 구례구
나주 순천
목포 여천
여수EXPO

6.2.2. 준고속철도

KTX-이음 운행의 특징이다.서대동부용익광 열차와 마찬가지로 KTX-이음에도 최속달 열차가 존재한다.
6.2.2.1. 중앙선 계열
중앙선 정차역 구분
<rowcolor=#ffffff> 서울역 착발 (복합열차) 청량리 착발 (단편성)
서울[124] 미정차
청량리
미정차 상봉
양평
서원주[125] 미정차
원주
제천
단양
풍기
영주
안동
6.2.2.2. 강릉선 계열
강릉선 정차역 구분
경강선 영동선
<rowcolor=#ffffff> 행신 착발 서울역 착발 청량리 착발 서울역 착발 청량리 착발
행신 -
서울[복합서울] - 서울[복합서울] -
청량리
미정차 상봉
미정차 덕소[금토일] 미정차 덕소[금토일]
양평
미정차 서원주[복합서원주] 서원주[부분필수][복합서원주]
만종 만종 만종[부분필수]
횡성 횡성
둔내 둔내
평창
진부
강릉 정동진
- 묵호
동해
6.2.2.3. 중부내륙선
일부정차역 자체가 없다. 따라서 중부내륙선은 단일 노선의 모든 KTX 열차가 전역 정차하는 한국 철도 역사상 최초의 경우가 되었다.
중부내륙선 정차역 구분
<rowcolor=#ffffff> 중부내륙선
판교
부발
가남
감곡장호원
앙성온천
충주
살미[11월]
수안보온천[11월]
연풍[11월]
문경[11월]
====# 폐지된 노선 #====
경부선 (김천, 구미 경유)
서울 광명 천안아산 대전 김천 구미 동대구(종착)
호남선 (광주역 착발)
용산 광명 천안아산 오송 서대전 계룡
논산 익산 김제 정읍 장성 광주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국제공항 ~ 부산·진주·포항·목포·여수·강릉)
인천공항T2 인천공항T1 검암 서울 강릉·부산 방면 →
용산 목포·여수 방면 →

6.3. 운임

KTX의 운임 및 요금
구분 까지 기본운임 km당 운임 특실 요금[138] 우등실 요금[139]
일반선 80km ₩ 8,400 ₩ 108.02/km 구간운임의 40% 구간운임의 20%
준고속선 60km ₩ 140.91/km 구간운임의 40% 구간운임의 20%
고속선 50km ₩ 164.41/km 구간운임의 40% 구간운임의 20%
  • 이용구간에 따라 기본요금 거리가 달라질 수 있음(일반선-고속선 연계이동 및 일반열차 환승 등)
  • 중간 정차역이 2개 이하인 경우 0.6% 할증[140]
  • 특실·우등실 요금은 100원 단위에서 반올림 후 적용
  • 부당요금: 부정한 방법으로 할인요금 지불, 운임 미지불, 정기 승차권 부정 사용, 불법 발권 등 정당하지 못한 승차권
  • 벌칙: 부가운임 수수 혹은 법률조치(구류, 징역, 과료의 형)

6.4. 특별 배차

국군수송사령부가 KTX 일부 편성의 일반실 객차를 통째로 빼내서 군전세객차로 운영하고 있다. 아무나 그냥 타는 건 아니고, 대령 이하 전 장병 및 2급 이하 대한민국 군무원만 국방수송정보시스템(dtis)에서 승차권을 신청한 후 좌석이 배정되면 승차확인증을 뽑아서 TMO로 가야 한다. 인트라넷, 인터넷 모두 가능하므로 행정병 등이 아니라도 이용 가능하며 경부선, 호남선, 강릉선 구간에서 운영 중이다.

정부세종청사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을 위해 KTX 2칸을 전세내서 서울 - 오송 구간 운행 중. 운행 시간은 서울 기준 6시 56분과 7시 27분. 요금은 원래 운임의 3분의 1밖에 안 된다. 그걸 알고 그렇게 오송행 티켓을 끊어서 맘대로 악용했다간 공권력의 철퇴와 함께 짤리는 것도 슬픈데 연금마저 대폭 깎여버리는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상황을 겪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 열차들은 운행 시간이 오전이다. 제일 늦은 열차가 광명 기준 7시 47분. 이건 공무원들에게 주는 코레일톡 + 전용 아이디가 있어야 저값으로 발매가 되고 나머지 열차는 본인 아이디를 써서 표를 끊어야 한다. 공무원 전용 좌석을 구매할 수 있는 멤버십 번호로는 해당 열차만 결제가 가능하다. 특히 7시 47분차는 경쟁률이 쎄다. 특히 비나 눈이 오는 날에는 6시 열차도 경쟁률이 어마무시하다. 이유는 2016년 연초에 세종청사 셔틀버스가 논산천안고속도로 정안 나들목[141] 부근 눈길에 미끄러져 사고가 나서 공무원 몇 명이 크게 다치거나 사망했기 때문. 9시 뉴스에도 나온 대형사고였다.

대통령 전용의 KTX 특동도 있다. 항목 참조.

6.4.1. 패스(pass)

KTX를 이용할 수 있는 패스로는 문화누리레일패스가 있다. 문화누리레일패스는 기초생활수급자와 법정 차상위계층만 이용 가능하고, 그 외의 발권 자체가 막혀 있으니 사실상 보통 사람들은 이용 불가. 가격은 59,800원(2일)/74,800원(3일)으로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만 발급가능한 문화누리카드로만 결제가능하다. 2010년 겨울 내일로 시즌에는 KTX도 이용가능한 KTX 내일로도 내놓았지만 영 실적이 좋지 않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가격으로 당시 일반 내일로가 54,700원이었는데 KTX내일로는 178,200원이었다. 3배 이상 비쌌으니 잘 팔릴 리가 없었던 것. 결국 2011년 여름 내일로부터는 KTX 내일로를 없애버렸다. 비싼 값 때문에 실패했으니 앞으로도 일반인을 위한 KTX 패스가 나올 일은 없을 듯했으나 2017년 프리미엄 내일로를 내놓으면서 다시 KTX 탑승가능 패스가 나왔다. 하지만 2010년에 나왔던 KTX 내일로와는 달리 평일[142] 한정으로 역 매표창구에서 좌석 지정을 받아야 하며 그것도 2회만 지정 받을 수 있다. 프리미엄 내일로의 가격은 110,000원(5일)/120,000원(7일). 하지만 이것마저 영 판매량이 좋지 않았는지 2018년 여름 내일로부터는 폐지되었다. 대신 KTX표를 구매할 경우 60% 할인을 받을 수 있게 했다. 할인은 1일 1회 가능하며 최대 3회까지 받을 수 있다.

2020년부터 판매하는 내일로 2.0의 경우 패스 사용 기간중 최대 2회까지 무료로 좌석지정이 가능하다. 단 1일 2회 지정은 불가능하다.또한 KTX 입석도 불가능하다. 만약 연휴나 기차 수요가 많은 기간일 경우 내일로가 사용가능한 기차 출발 1주일 전엔 대부분의 좌석이 이미 매진이 뜸으로(서울-부산 기준) 이럴때 내일로를 사용해 KTX를 타는건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6.5. KTX 마일리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문서
번 문단을
마일리지 제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6. 객실서비스

6.6.1. 무선인터넷(Wi-Fi)

2024년 기준 KTX Wi-Fi는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다.
옛날에는 천 원짜리 무선인터넷 카드를 구매한 뒤 스크래치 부분을 긁어내면 1일용 아이디가 나와서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의 유료 서비스였고, 특실에서는 승무원에게 요청하면 무료로 제공했었다. 언제 긁든지 로그인 후 당일 이용이 가능했기에 1일 왕복이라면 1회 구입만으로도 왕복 이용이 가능했었고, 굳이 당장 안 쓰더라도 특실에 승차할 때 받아둔 후 다음에 일반실에 승차할 때 필요하면 이용할 수도 있는 구조였으나 2011년 8월 11일부터 Wi-Fi 서비스가 전면 무료로 개방되었다.#[144]

파일:attachment/KTX_WIRELESS_SPEED.jpg
과거 속도는 이랬었는데 2012년 하반기에 LTE망을 사용하는 AP로 교체되어 기존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빨라지고, AP도 더 촘촘히 설치되었다. 다만 기기 하나당 30MB까지만 쓸 수 있으나 재접속하면 계속 쓸 수 있었다. 지금은 용량 확충 덕분에 용량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145]

예전까진 2개 객차 간격으로 AP가 설치되어 있어 Wi-Fi를 이용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이용하는데 제약을 두지 않았지만 2012년 즈음부터 20MB로 사용 용량을 제한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20MB만 사용 가능하다고 솔직하게 했지만 반발이 많았는지 최근에는 1시간 이내의 웹서핑, 10분 이내의 동영상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고 돌려 말하고 있다. 당연히 사용 가능 용량은 20MB 그대로였다. 20MB로 1시간이나 웹서핑을 하는 건 글만 있는 웹서핑 했을 때나 가능한 이야기고, 평균적으로 20분 내외로 전부 소진해버린다. 2014년 기준으로 용량이 30MB로 올랐지만 속도가 지독히 느리고 연결이 불안정했었고 2016년 1월 경부터는 별도의 앱 필요 없이 Wi-Fi에 접속한 후 보여지는 캡티브 포탈에서 5초 정도 광고를 시청한 후 와이파이 접속이 되도록 바뀌었고 용량 제한도 없어졌지만, 20분마다 새로 광고를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역시 2개 객차에 AP 1대로는 빠른 속도를 장담할 수 없었지만 2017년 3월 경 한국철도공사에서 KTX 와이파이에 대해 대대적인 수술을 거행했다. 기존과 달리 무려 1개 객차에 2대의 AP가 설치 되었으며, 인터넷 용량 역시 월 50TB에서 월 130TB로 늘어나 기존에 비해 속도가 무척이나 빨라졌다. 특히 KTX-1 2호차는 좌석 수가 적고, 입석승객이 없는 만큼 거의 빛의 속도라고 한다.

6.6.2. 특실

파일:KTX1특실(빨).jpg 파일:KTX_first_20200215.jpg
KTX 특실 KTX-산천 특실
파일:ktx-1_first_class_mineral_vending machine.jpg 파일:ktx 2020.07.02.jpg 파일:KTX산천 특실물품.jpg
KTX-1 생수 자판기 (과거) KTX-1 생수 자판기 (현재) 특실서비스 물품

일반석의 운임요금보다 약 40% 비싼 좌석이며 이용 시 아래의 특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입석 승객은 특실에 빈 자리가 있더라도 이용을 할 수 없는 곳이다.

7. KTX특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TX특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차내방송

8.1. 영상 안내방송

차내 통로에 설치된 모니터로 안전 관련 안내방송, 정차역 안내방송, 그리고 연합뉴스에서 제공하는 영상이 나온다. 사용 운영체제는 Windows 7. 'KTX PLAYER 4'라는 전용 프로그램[150]에 열번을 넣으면 자동 작동.[151] 연합뉴스TV 뉴스뿐만 아니라 CJ E&M, SPOTV, STN SPORTS 등의 방송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들도 나온다. 문제점은 같은 걸 다시 틀어 주고, 스포츠 경기를 보여 줄 때도 1달 전 것을 틀어 준다.

2006년쯤부터 2010년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전까지는 출발시에 굿모닝 KTX라는 영상이 나왔다.


현재 출발시 차내영상에는 애니메이션 'KTX 미니' 캐릭터들이 나온다.

8.2. 정차역 음성 안내방송

정차역 자동안내방송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는데, GPS가 먹통이 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재생한다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안내방송/열차 문서 참고.

9.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고속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사건 사고

11. 역별 승하차 통계

KTX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노선
1위 서울 96,757명 35,301,726명 경부·경전·동해·호남·전라·강릉·중앙
2위 부산 36,101명 13,176,739명 경부
3위 동대구 34,875명 12,729,321명 경부·경전·동해
4위 광명 32,107명 11,718,886명 경부·경전·동해·호남·전라
5위 대전 31,778명 11,598,989명 경부·경전·동해
6위 용산 29,451명 10,749,689명 호남·전라
7위 천안아산 23,784명 8,681,331명 경부·경전·동해·호남·전라
8위 오송 23,035명 8,407,689명 경부·경전·동해·호남·전라
9위 광주송정 13,322명 4,862,628명 호남
10위 울산 12,090명 4,412,746명 경부
11위 청량리 10,556명 3,852,992명 강릉·중앙
12위 익산 8,442명 3,081,416명 호남·전라
13위 강릉 7,613명 2,778,738명 강릉
14위 포항 7,490명 2,733,945명 동해
15위 전주 6,609명 2,412,111명 전라
16위 김천(구미) 5,998명 2,189,256명 경부·경전·동해
17위 경주 5,900명 2,153,350명 경부
18위 행신 5,702명 2,081,388명 경부·경전·동해·호남·전라·강릉
19위 창원중앙 5,199명 1,897,770명 경전
20위 순천 4,697명 1,410,722명 전라
21위 목포 4,688명 1,711,130명 호남
22위 수원 4,346명 1,586,356명 경부
23위 서대구 3,462명 1,263,497명 경부·경전
24위 서대전 3,369명 1,229,791명 호남·전라
25위 여수엑스포 3,185명 1,162,665명 전라
26위 만종 3,156명 1,152,120명 강릉
27위 마산 2,524명 921,385명 경전
28위 구포 2,444명 891,933명 경부
29위 정읍 2,129명 777,215명 호남
30위 나주 2,074명 756,839명 호남
31위 여천 1,666명 608,079명 전라
32위 원주 1,634명 596,390명 중앙
33위 밀양 1,615명 589,587명 경부·경전
34위 진주 1,578명 575,965명 경전
35위 양평 1,561명 569,943명 강릉·중앙
36위 영등포 1,489명 543,615명 경부
37위 안동 1,463명 534,164명 중앙
38위 제천 1,392명 508,030명 중앙
39위 남원 1,325명 483,580명 전라
40위 상봉 1,286명 469,461명 강릉·중앙
41위 물금 1,193명 3,579명 경부
42위 창원 1,095명 399,711명 경전
43위 진부 1,069명 390,012명 강릉
44위 영주 997명 363,772명 중앙
45위 판교 982명 3,928명 중부내륙
46위 동해 977명 356,646명 강릉
47위 진영 813명 296,853명 경전
48위 공주 787명 287,088명 호남·전라
49위 평창 743명 271,045명 강릉
50위 논산 736명 268,707명 호남·전라
51위 횡성 723명 264,022명 강릉
52위 계룡 719명 262,445명 호남·전라
53위 묵호 512명 186,983명 강릉
54위 정동진 420명 153,390명 강릉
55위 둔내 383명 139,701명 강릉
56위 경산 352명 128,560명 경부·경전
57위 단양 321명 117,178명 중앙
58위 구례구 291명 106,266명 전라
59위 부발 289명 105,619명 중부내륙
60위 서원주 280명 102,358명 강릉·중앙
61위 충주 269명 98,048명 중부내륙
62위 곡성 257명 93,847명 전라
63위 풍기 196명 71,525명 중앙
64위 김제 83명 30,215명 호남
65위 장성 66명 24,039명 호남
66위 감곡장호원 47명 17,247명 중부내륙
67위 앙성온천 21명 7,722명 중부내륙
68위 덕소 19명 6,762명 강릉
69위 가남 7명 2,698명 중부내륙

12. 통일 이후 예상

파일:1503453231.jpg
[152][153]

대한민국 주도로 통일된다면 철도만 까는 것이 아니라, 전력 공급을 위한 공사가 선행되어야 한다.[154] 일단 경부고속철도, 수색-광명 고속철도와 직결이 예정되는 경의고속철도의 건설이 가시화 될 것이다. KTX의 경로는 광명 - 서울 - (행신)[155] - 개성 - (해주)[156] - 신사리원 - 신평양 - 안주 - 정주 - 신의주[통일]가 가능성이 높으며, SRT의 경우는 수서 - 삼성 - 서울[158] - 대곡[159] - 개성 - (해주) - 사리원- 평양 - 신안주 - 정주 - 신의주[통일]의 경로로 예상할 수 있다. 함경도 쪽으로도 고속철도를 공급하며 또다른 관문이 될 수 있는 경원/동해-함경선(나진 방면)으로도 경원/동해-함경고속철도(또는 경라고속철도, 동해고속철도 등) 건설이 예상되며, 경로는 크게 서울(or 수서 - 삼성) - 청량리광운대(동해선에서는 부산 - 속초) - 원산 - 함흥 - 성진 - 청진 - 나진으로 될 가능성이 크다.

통일 이전에 북한이 중국일대일로 등의 지원을 받아 고속철도를 건설하는 가능성도 존재하는데, 만약 이렇게 되면 중국은 북한에 중국철로고속의 중국식 규격으로 된 고속철도를 건설할 공산이 크다. 때문에 북한의 고속철도 건설을 중국이 선수친다면 일부 철덕들은 통일이나 북한 개방 시 남측의 KTX와의 규격 차이로 호환이 곤란해질 것이라는 예상도 있지만, 북한과 이어지는 만주지역의 고속철도는 CRH5가 다니고 이것은 알스톰에서 파생된 차종이라서 KTX와 뿌리가 같으므로 호환성이 좋을 수도 있다.

이 부분의 내용은 본문인 남북통일/인프라 문제/교통으로.

13. 기타

다큐멘터리로는 Discovery 채널에서 방영된 KTX 다큐멘터리(Man Made Marvels, 경이로운 건축물)와 KBS 신화창조의 비밀의 시험선 건설과 HSR-350X 개발기가 있으며 2017년 다큐 3일에서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의 모습을 담았다.

개통 초창기엔 무궁화호, 통일호에 익숙한 사람들이 300km/h가 찍히는 모니터를 보고 기립박수를 치기도 했었다.

대한민국 철도는 KTX 개통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할 정도로 영향력이 엄청나다. 철도청이 공사화를 빨리 추진했던 것도 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공사화를 완료하려던 목적이었을 정도이니… 또한 KTX가 개통되면서 열차 운행은 모두 KTX에 맞춰지게 되었고 이 때문에 기존 특급의 위치에 있었던 새마을호무궁화호는 개통 하루만에 일반 완행 수준으로 격하되어[161]코레일에게 찬밥 신세를 받았다. 또한 KTX가 개통되던 해에 서울역, 부산역, 대전역, 동대구역 등이 개통에 맞춰 신역사를 지었고 이후 수원역, 부전역, 대구역, 안양역 등 다른 역들도 전부 기존 역사를 허물고 신역사를 짓는 등 KTX 개통에 맞춰 세련된 이미지를 갖추기 위해 노력했다.

파일:attachment/120127_09_2_1.jpg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경부고속도로 옆에 있던 광고판. 경부고속도로 신탄진IC에서 2km정도 북쪽(대전과 청주의 경계선),[162] 경부고속선과 만나는 지점에 있었다. 꽉 막힌 명절 연휴[163]에 저 광고판 앞에 막혀 있는데 위의 경부고속선을 KTX가 쏜살같이 지나가는 걸 보고 있으면 뒷골이 아파온다는 점에서 한국철도공사한국도로공사에 벌인 티배깅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다. 이후 광고계약이 끝나면서 2024년 현재는 다른 광고가 걸려 있다. 이외에도 소리없이 달리는 선로위의 비행기 KTX라는 광고도 있었는데, 이 광고는 경부고속도로 김천-구미 사이 구간에 설치되었다.

개통 초기에 YTN의 두 기자가 서울에서 대전까지 각각 KTX와 고속버스를 비교 체험하기도 했었다.체험! 고속철 VS 고속버스 ① 체험! 고속철 VS 고속버스 ② 체험! 고속철 VS 고속버스 ③(PC에서만 재생 가능)

여행 중 KTX 안에서 혹은 KTX 정차역에서 지갑 등을 분실해서 해당 역에서 습득해 보관중일 경우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KTX 정차역까지 KTX를 통해 무료로 분실물을 배송해 주기도 한다. 의외로 택배 배송은 불가능하다고 하며, 환승을 해야만 도달할 수 있는 역이여도 배송이 가능하다.(예시: 강릉역에서 대전역일 경우 서울역을 거쳐서 배송)

차량 모델에 상관없이 역에 진입해 브레이크를 잡을 때 고주파의 금속 마찰음이 굉장히 크게 난다. 차음 성능이 강력한 인이어 이어폰을 끼고 있어도 뚫고 들어올 정도다.

일반선 경유 노선(수원/구포/서대전 경유)보다 바로 다음에 출발한 전용선 노선이 보통 더 빨리 도착한다. 돈 아끼는 것보다 시간 아끼는 것이 더 중요하면 좀 기다려서라도 전용선 노선 타자. 그러나 전라선 KTX는 거의 대부분 다음에 출발한 기차는 서대전 경유와 무관하게 어쨌든 더 늦게 도착한다. 아무튼 소요시간을 잘 보고 예매해야 한다.

2020년 9월 1일 BTS 방탄소년단 멤버 정국의 생일 축하와 더불어 빌보드 차트 1위를 축하하기 위해 20량짜리 KTX 열차 전체가 축하 메시지로 도배되었다. KTX 열차에 광고가 랩핑된 건 2013년 이후 처음이다. 지하철역 광고판 등 유명인의 생일을 축하하는 광고가 게재되는 사례는 많으며, 2013년에도 SKT의 LTE-A를 부분랩핑하여 광고했지만, KTX 열차 전체에 랩핑 광고를 해달라는 제안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한다. 이를 두고 코레일 내부에서도 공기업에서 상업성이 담긴 광고를 싣는 것에 대해 찬성과 반대 측으로 나뉘었지만 갑론을박 끝에 해당 광고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코로나 19로 경영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한류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우세했다고 전했다.KTX랩핑광고

장기기증된 장기를 KTX에 싣고 가는 경우도 있는데 촉박할 경우 역에 전화해 출발 시각을 늦춰 달라고 부탁하는 경우도 있다. 시간 안에 이식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요청하는 것이다.

2023년 6월 8일, "소년원에 가고 싶다"는 이유로 경주역에서 서울 방향 선로 위에 돌덩이를 올려놓은 10대가 철도안전법 위반 혐의로 소환 조사를 받았다. 직원이 CCTV로 발견하여 선로 위 돌덩이를 제거해 큰 사고가 일어나진 않았지만, 만약 돌덩이를 치우지 않았더라면 정말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했다. 실제로 돌덩이를 치운 후 1분도 되지 않아서 SRT 열차가 지나갔다. #

KTX의 영업 시간은 매일 04:45(월요일 82열차)부터 익일 01:11(주말 97열차)까지 운행하며, 열차 지연 발생시 01:00 이후 운행이 가능하다.

14. 관련 문서

15. 창작물에서

16. 둘러보기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 여객열차 등급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05bac><colcolor=#fff>
고속
KTX, KTX-산천, KTX-청룡, SRT(SR 운영)
준고속 KTX-이음
특급 ITX-청춘
급행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특급/급행 광역전철
보통 일반 광역전철
관광 틀 참고
폐지 관광호, 비둘기호, 통근열차, 통일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FFD918; border-right: 10px solid #FFD918"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FFD918><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
여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정책 및 방향 주 5일 근무 제도 · 햇볕정책 · 4대 개혁 입법 · 언론개혁 · 행정수도 이전과 지역 균형 발전 · 검사와의 대화 · 법학전문대학원 · 한미 FTA · 지역주의 타파 · 비전 2030 · 국방개혁 2020 · 한국우주인배출사업 · 대학구조개혁 · 행정중심복합도시(정부세종청사) · 혁신도시 · 2기 신도시 · 종합부동산세 · 이라크 파병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 킬체인 · 6자회담 · E-X · KHP · SAM-X · 개인회생제도 · 국민참여재판 · 제주 해군기지 · 성매매 특별법 · 의학전문대학원 · 인터넷 실명제 · 현금영수증 · 인천대교 · 제3경인고속화도로 · EBSi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평가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 논란이 있는 평가
타임라인
2003년 2003년 재보궐선거 · 불법 대북송금 사건 · 부안사태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 행정수도 이전 추진 · 사스 국내 유입 · 이라크 전쟁 파견 동의안 통과 · e지원 도입 ·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도입 · 법학전문대학원 도입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 · 고건 권한대행 체제 · 룡천역 열차 폭발사고 · 한칠레 FTA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 · KTX 운행 시작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일본 문화 개방 · 환생경제 · 주 5일 근무 제도 시행 · 수능 9등급제 발표 · 4대 개혁 입법 · 질병관리본부 설립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파견 · 김선일 피랍 사건
2005년 한국철도공사 발족 ·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 · 2005년 재보궐선거 · 대연정 파동 · 호주제 민법 개정안 통과 · 530GP 사건 · 삼성 X파일 사건 · 8·31 종합부동산 대책 · 농민시위 · 2005년 APEC 대한민국 부산 정상회의 · 황우석 배아줄기세포 논문
2006년 국민과의 인터넷 대화 · 한일관계에 대한 특별 담화문 · 대포동 2호 발사 사건 · 2006년 재보궐선거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논란 · 헌재소장 공석 사태 · 남북출입사무소 설립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북한 1차 핵실험 · 방위사업청 개청 · 대추리 사태 · 11.15 부동산 대책 · 사학법 재개정 논란
2007년 한미 FTA 타결 · 2007년 재보궐선거 ·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 남북열차 시험운행 · 참여정부 청와대 기자실 통폐합 논란 · 샘물교회 선교단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 · 2007 FIFA U-17 월드컵 대한민국 · 참여정부 평가포럼 · 10.4 남북공동선언 · 신정아 게이트 · 수능 등급제 시행 ·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 · 호주제 폐지 ·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노무현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노무현 참고
}}}}}}}}}}}}





[1] 금천구청 이북 호남고속선 계통 포함 모든열차, 수원 경유, 구포 경유 열차[2] 광주송정 이남, 서대전 경유 열차[준고속] [준고속] [준고속] [6] 개통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7] 준고속열차인 EMU-260이 KTX-이음이라는 명칭을 받아 KTX 카테고리 내로 편입되면서 준고속철도 브랜드도 겸하게 되었다. 물론 이는 대한민국 철도사업법 상 기준이며, 국제철도연맹 기준으로는 개량된 일반선에서 200km/h 이상 주행가능할 경우 고속철도라 규정하므로 그냥 통칭해 고속철도 브랜드라 해도 문제는 없다. 실제로 고속철도 브랜드 달고 다니는 준고속철도가 세계에도 생각보다 많기도 하고 말이다. 실제로 KTX-이음의 출발 안내방송도 KTX-1, KTX-산천과 마찬가지로 "우리 열차는 OO역까지 가는 고속열차입니다"라고 송출된다.[8] 경부선이 개통됨으로서 도보를 통해 부산까지의 먼거리(‘천리길’)를 단 몇시간으로 단축시켰고, 경부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장거리 여객운송및 물류이송이란 신개념을 탄생시켰다면 KTX의 출현은 그야말로 전국의 1일 생활권이라는 혁신을 이뤄낸 것이라는 평가를 얻기에 충분하다.[9] 이후 새마을호 계통 열차는 ITX-새마을, ITX-마음 도입으로 Express가 돌아오긴 했다.[10] 실제로 KTX 개통 이후 대구국제공항목포공항은 직격탄을 맞아 김포행 직항이 단항하는 등 위기를 맞았다.[11] 기본적으로 한국은 제주도를 제외하곤 항공편이 이익을 보는 구조가 되지 못하는 것이 뛰어난 도로망과 촘촘하게 이어진 육로여객체계가 압도적인 효율성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미국이나 일본처럼 항공으로 가야 커버가 가능할 정도의 국토 면적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항공업이 발전할 수 있는 요소가 없기도 하다. 다만 통일 후에라면 남북으로 넓은 한반도의 지형상 항공업이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아주 없는것은 아니다.[12] 개통 20주년을 맞아, KTX-청룡 신규 명명, KTX 46편성, KTX-산천 38편성에 'KTX 개통 20주년, KTX 20년의 가치, 100년의 행복' 이라는 랩핑을 각 차량에 적용하였다.#[13] 대한뉴스의 지도를 보면 지금의 경부고속선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실제 경부고속선은 대한뉴스의 지도와는 달리 천안아산역대전역 사이 구간이 청주(오송역) 쪽으로, 경주역부산역 사이 구간이 울산(울산역) 쪽으로 약간 꺾여 있다.[14] CWR(연속용접레일)이란 것으로, 기존 철로와 달리 이음매가 없어 진동 등이 적다.[15] 약 7cm 정도 마모되면 교체해야 한다.[16] 이는 위의 디스커버리 다큐에서도 나온다.[17] 지금은 폐지되었지만 과거에는 대전역동대구역을 모두 무정차 통과하고 곧장 부산역으로 가는 편성과 동대구역만 중간정차 후 부산역으로 가는 편성이 있기는 했다.[18] 정확히 따지자면 TGV 레조는 1992~1996년에 생산되었기 때문에 1994년 당시에는 구형 기종은 아니라지만, 얼마 있지 않아 신형 기종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구형 기종인 셈이었다. 그렇다고 KTX가 그렇게 구형 차량은 아니었던 게, 당시 기존 레조는 물론이고 이후 만들어진 TGV 듀플렉스 차량에도 없었던 외부 행선 LED 안내판을 TGV 계열 차량 중 처음 도입했고, 일부 전장품을 듀플렉스 차량과 공용, 회생제동 추가 등 오리지널 레조보다 상당히 개량돼 도입된 차량이다. 즉, 레조에서 듀플렉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단계의 차량이라 볼 수 있다.[19] 이후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기는 하지만 이 역시 부산을 중심으로 한 방사형 체제다. 그리고 이와 연관된 것도 KTX-이음이 다닐 경전선동해선, 중앙선밖에 없다.[20] 계획상, 동력차는 대우와 현대가 5:5, 보조 동력차(부스터 카)는 한진이 전부, 객차는 현대, 대우, 한진이 4:4:2로 제작할 예정이었지만 이후 전부 현대가 제작하게 되었다. 이유는 빅딜.[21] 아이다라는 모형회사에서 만든 짝퉁 KTX모형은 KTE로 표기되어 있다.[22] 서울-울산 항공점유율 65% → 26%, 서울-부산 항공점유율 45~48% → 21~26%.[23] KTX 특실로 승차권을 끊으면 최소 13,200원이다.[24] 벌칙으로 인하여 특실을 탄 유튜버의 후기로는 "전철도 환승할인 받으면 참 좋다. 신형열차도 있고." 라는 반응을 보였다.[25] 지연이 심할 땐 시속 315km/h까지 올리기도 한다. 이는 고속선용 TVM430의 300km/h 진행신호에서 비상제동이 체결되는 한계속도이다. 참고로 KTX의 설계 최고속도는 330~350km/h이다.[26] KTX-1은 터널 진입시, 고속주행이라 하더라도 월일시로 바뀌며, KTX-산천은 터널 내에서도 주행속도가 나온다.[27] 터널 안에서는 측정이 불가능하다.[28] 임시열차[29] 예시: 3자리 번호와 6자리 형식
046: 고속 046호편성, 1C1046편성, or Set KTX 046
124: 산천 124호편성, 1C2024편성, or Set KTX 124
415: 원강 415호편성, 1C5015편성, or Set KTX 415
519: 이음 519호편성, 1C6019편성, or Set KTX 519
602: 청룡 602호편성, 1C7002편성, or Set KTX 602
[30] 코레일에서는 6자리 규격을 만들어 모든 차량에 붙였다. 승하차문 주변 또는 객실 사이 통로에 적혀있다.[31] 예시
100952: KTX 9편성 PC2(하행쪽 동력기관차)
111703: KTX-산천 17편성 T3 3호차(특실)
150201: KTX-이음 2편성 T1 1호차(우등실 및 상행쪽 운전실)
160157: KTX-청룡 초도편성 M'2 7호차(하행쪽 팬터그래프 동력객차)
[32] 개통 전 시운전 때부터 개통 직후 극초창기 시기까지 한국철도공사의 CI를 포함하여 아무것도 붙어있지 않은 상태로 운행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서 붙여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사진과 동영상을 찾는 것도 굉장히 드문 일이다.[33] 디자인 변경이 한 차례 있었다. 처음에는 흰색 바탕에 글자만 쓰여져 있었으나 2006년경부터 2010년 초까지 주황색이 들어간 역동적인 디자인으로 바뀌었다.[34] KTX 최초 개통인 2004년부터 운행했던 차량들이다.[35] TGV형 전동차와 100번대 산천이 예비차 없이 다소 빡빡하게 운행되는 상황인 데다 2, 300번대가 주식회사 SR이 운행하는 SRT로 차출되었다. 결국, 청량리역에 정차하는 모든 KTX 노선(중앙선, 경강선, 영동선)에는 KTX-이음이 투입됨에 따라, 이 차량들은 고속선 투입 차량으로 차출되었다. 어차피 중앙선과 경강선에서는 최고 260km/h 이상 속도를 낼 수 없기 때문이다.[36] 2024년 10월 기준. 521호기가 520호기보다 먼저 반입되어 시운전을 진행하고 있다.[37] KTX 및 KTX-산천과 마찬가지로 고속철 운행 목적으로 도입을 하고 있다. 이 차량은 송도/수원발 KTX 개통 및 남부내륙선 KTX 개통에 대비하여 30개 편성이 추가로 도입될 예정이며, SR도 14개 편성을 발주했다. (03~32편성)[임대] 코레일이 소유 중이지만, (주)SR에 임대하여 SRT로만 운행된다.[임대] [40] 해당 차량의 열 개 편성은 SRT 순수 도입분 차량이다.[41] 편성번호 미정[42] 자회사의 순수 증차분이다. 130000호대와 마찬가지로 KTX 운행이 아닌 SRT로서의 운행만 투입 예정이다.[43] 현재 연구중[44] KTX-이음을 기반으로 만든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2세대 고속열차. 7량 편성으로 총 42량을 현대로템에서 제작 및 수출할 예정이다.[45] KTX가 입선하는 다른 일반선이나 준고속용 선로, 도심 구간은 일반적인 복선 방식.[46] 물론 선두 열차 사고 시 앞 열차를 추월할 수 있도록 운행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기는 중간중간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런 상황 시 사실상 단선에 양방향으로 오고가는 열차의 속도 관제는 TVM430 시스템이 모두 관리한다.[47] 경강선과 영동선(지선)에 투입되는 차량을 주박 및 경검수. 원래 140000호대가 정비를 받았지만, 2021년 8월 이후부터 KTX-이음 차량으로 변경.[48] 중부내륙선 계열. 2021년 12월 31일에 부발~충주 간 KTX 노선이 개통함에 따라, KTX-이음 150000호대 전동차들의 주박 및 경정비를 담당한다. 중부내륙선에 차출되는 부발차량사업소 배속 차량은 분기별로 편성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49] 주로 중앙선 계열 KTX-이음 차량들이 배정되어 있다.[50] 다만, 경부선의 신경주역은 경주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1] 참고로 개통 초기에는 용산 - 광주 무정차 직통 KTX도 있었으나 이 역시 몇 개월 못 가 폐지되었다.[52] 이 열차 역시 얼마 안 가 사라졌다.[53] 서울, 광명, 천안아산, 오송, 대전, 김천(구미), 동대구, 경주, 울산(통도사), 부산[54] 수원, 구포를 둘 다 경유하는 KTX는 없다.[55] 보통 구포 경유 KTX로 동대구 - 부산은 1시간 15분이 소요되며, 수원 경유 KTX로 서울 - 대전은 1시간 40 ~ 45분이 소요된다.[56] 승차율이 매우 저조할수록 할인율이 높아진다.[57] 과거에 경강선에 KTX-산천이 운행한 시절에는 비상구 좌석이 있었다. 하지만 중앙선 KTX 개통 이래로 KTX-이음으로 바뀌고 나서는 준고속 KTX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구매할 수 없게 되었다.[58] 하지만 준고속철도는 고속철과 다르게, 계속적으로 열차번호 조정이 있을 예정이다. 여러 준고속철도 노선의 개통과 직결 사업이 추진 및 착공되고 있기 때문이다.[59] 청량리 ~ 안동 구간 개통일이며 일부 열차의 서울 연장은 2023년 12월 29일에 개통했다.[60] 부발 ~ 충주 구간 개통일이며 판교 구간 연장은 2023년 12월 28일에 개통했다.[61] 다만, 앞에 머리글자가 앞에 붙으면 아무 상관이 없다.[62] 118열차 대신 P505로 운행한다.[63] 491이 그 유명한 ‘용익광‘ KTX이다.[901] 열차는 H901(고양기지 —> 광명), 901(광명 —> 익산), J901(익산 —> 여수엑스포)으로 운행 후 506열차로 운행되는 열차이다.[902] 열차는 071(월), 111/067(화~일), 902(부산 —> 대전) 운행 후 118열차로 운행되는 열차이다. 118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월요일에는 J902(대전 —> 서울) 운행한 후 015열차로 운행한다. 월 운행 스켸쥴 : 902, J902, 015, 030, 043, 058, D58 (30열차는 금~일 45열차로 운행한다. 평일에는 586열차가 P45, 045로 운행한다.)[66] 474열차로 운행이 끝난 후 J474(익산 —> 동익산)운행후 하루 주박한 후 912(동익산 —> 고양기지) 운행.[67] 914(광주기지 —> 익산),911(익산 —> 목포)운행 후 406열차로 운행[68] (월~목)H933(고양기 —> 오송), (1일 주박 후)903(오송 —> 부산),(금~토)H933(고양기 —> 오송), D413(오송 —> 고양기), H935(고양기 —> 오송), J904(오송 —> 대전), 904(대전 —> 오송), 903(오송 —> 부산),(일)H933(고양기 —> 오송), D931(오송 —> 고양기/서울)[69] 월~목은 D904(오송 —> 부산기지), 금~일은 903(오송 —> 부산)[70] (금~토)H935(고양기 —> 오송), J904(오송 —> 대전), 904(대전 —> 오송), 903(오송 —> 부산),(월~목)H935(고양기 —> 오송), J904(오송 —> 대전), 904(대전 —> 오송), D904(오송 —> 부산기지)[71] 938은 원래 있었으나 사라졌다.[머리글자] D : 기지입고/시발역 회송(여객), H : 기지출고(여객), J : 정비 및 정비회송 또는 임시회송, P : 여객운행을 종료하고 다음운행을 위해 지정된 역으로 회송하는 열차, G : 사고회송[73] 주중 청량리 착발 열차가 부활했기 때문에, 서울역착발 열차가 청량리착발 열차로 편성교환 회송열차가 운행되고 있다.[74] 중, 경검수 및 차량 입출고.[75] EMU-260 차량은 고속선 ATC 신호장치가 취거됐기 때문이다.[강릉] 실제적으로 금요일과 주말에는 KTX-이음 역시 많은 편성이 투입되기 때문에 강릉착발 열차가 동해착발 열차로 편성교환이 이루어진다.[강릉] [78] 광명 착발 KTX가 폐지됨에 따라 이 선로는 1호선 광명셔틀 전동차의 방향 전환을 위해서만 쓰이고 있다.[각주] 각주에는 관련 직결 편성을 서술함.[80] 일단 저 날에 중앙선 전 구간이 개량되고 동시에 KTX-이음이 부전까지 일부(상행 3회, 하행 3회) 연장된다. 하나, 중앙선 KTX에 나오듯 시설개량 문제로 KTX가 대부분 구간에서 제 속도를 내는 건 2025년 말에나 가능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동대구행은 미정.[81] 일단 2024년 말이 선로 자체의 개통일이긴 하나, KTX 제작이 동해선 완공시점보다 늦어져서 투입시점이 늦어지고 일반열차부터 당분간 운행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동해선 문서 삼척~강릉 문서에 나오듯 2024년은 물건너갔다.[82] 광주송정역~목포역 구간은 일반선으로 운행 중이고, 여기 기재된 것은 무안공항역을 경유하는 고속선을 신설한다는 것이다.[83] 신안산선 원시역~서화성역 구간 공사 지연으로 서화성~대곡역까지의 운행은 최소한 2026년 3월으로 밀렸다. 김포공항역은 일반열차 겸용 스크린도어가 설치됐고 대곡역은 KTX 승무원 숙박시설 건설 예정.[제2공항] 제2공항철도 개통 및 인천공항 착발 KTX가 부활한다면, 기점역이 영종도로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되고 있다.[A] 일부 복합열차 운행으로 경부 및 호남선 동시 개통이 확정된 상태.[86] 열차 제작 지연으로 1~2년 밀릴 가능성이 있다. # 이후 역 공사가 2027년 완료될 것으로 공시돼 연기 가능성이 더욱 커진 상황. 문서 참조.[A] [88] 2025년 이전 동해~삼척 구간 전철화 완공을 앞두고 있고 편성 연장을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했다. [89] 2025년 내로 전철화가 완공돼 개통시 다이어만 짜면 바로 운행이 가능해서 그 직후나 근래 삼척 연장이 개통될 전망이다.[90] 복선전철화 이후 위의 서해선 KTX와 직결운행 예정이다. 다만 노선 통합은 아직 발표하지 않아 확실한건 아니다.[91] 춘천속초선 문서에 나오듯 속초역에서 선로가 동해선 부전 방향으로 바로 이어져 양양, 강릉으로 직결 운행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B] 차후 중부내륙선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93] 경부선을 통해 구미역, 동대구역 방면으로 직결 편성을 운영하는 계획이 공개됐다. 경북선 항목 참조.[B] 차후 중부내륙선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95] 호남고속선~오송연결선~충북선~봉양연결선~중앙선~원주연결선~경강선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서 '강호축(X축)'을 만드는 사업이다.[B] 차후 중부내륙선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97] 이후 그대로 경강선을 타고 강릉으로 가거나, 경강선으로 원주까지 가서 중앙선-동해선을 타고 부전까지 가거나, 부발역에서 중부내륙선-남부내륙선을 타고 문경,김천,거제까지 갈 수 있다.[98] 서대전역 종착편성을 연장하는 사업.[99] 월곶역 직결[100] 송도부터 강릉 또는 제진까지 철도노선으로서의 전체 구간을 운행하는 계통이다. 물론 현재 경강선 KTX 노선이(801~900) 운행하고 있지만, 이 열차는 서원주역에서 중앙선과 직결하는 서울역 또는 청량리 착발인 노선이다. 즉 경강선보다는 중앙선의 성격이 강한 KTX만 운행하고 있다. 전체 구간 노선이 개통하기 위해서는 성남여주선 구간과 원주강릉선 구간의 연결고리 역할인 여주원주선과 제일 서쪽 구간인 월곶판교선의 개통이 필요하다. 또한, 효울적인 운행을 위하여 서원주역의 교차 문제도 해결해야 할 것이다. 이 노선이 개통하면 경강선의 광역철도와 준고속철에는 대규모의 운행 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제2공항] [102] 중앙선의 원주역에서 시발 및 종착하는 KTX가 추가적으로 생길 예정이다.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는 송도-강릉 열차와 송도-원주 열차가 각각 11회, 각각 98분 간격이라고 나왔다. 향후 이 열차의 비슷한 성격으로 중앙선+동해선 직결 KTX (청량리↔부전)에는 영주역 회차 열차도 생길 예정이다.[103] 해당 문서에 나오는 일부 노선이 확실히 SR에서 운행하는 것으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본 문서에는 완전히 누락된 관계로 만약을 위해 서술함.[104] 대전에서 동대구까지 고속선이 아닌 일반선을 이용하던 노선으로, 김천구미에 정차했으며 하행은 부산까지 가지 않고 동대구역에 종착했다. 고속선 상에 김천(구미)역이 생긴 이후로는 폐지되었다. 애초부터 김천(구미) 개통 이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기로 되어 있던 열차였다. 폐지 12년 후인 2022년 영동터널 KTX 탈선 사고로 인해 대전~동대구 구간 고속선 운행이 전면 중단되면서 KTX 및 SRT가 일반선으로 우회하며 김천(구미)를 대신해 김천, 구미에 정차한 적이 있다.[105]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광주광역시의 KTX 정차역이 광주송정으로 일원화되면서 광주 착발 계통은 폐지되었다. 광주가 광주송정보다 도심 접근성이 좋고 이용객도 더 많았기에 광주시에서는 광주 착발 존치를 원했으나 호남고속선이 일반선의 광주선 분기점을 지나지 않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였다. 그나마 SRT 개통 이후에는 광주송정역 KTX 시간에 맞추어 두 역을 오가는 셔틀열차를 운행중이다. 셔틀열차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시간표는 광주선 항목 참고.[106] 2013년 하루 평균 이용객이 39명(...)에 불과할 정도로 수요가 처참했다. 결국 정차를 시작한 지 3년도 되지 않아 다시 통과역이 되었다.[107] 운행 당시에는 대전역과 동대구역을 통과하는 유일한 편성이었으며 상행은 열차번호 1번, 하행은 2번을 배정받았다. 2017년에 부활 계획이 있었지만 안전 문제 및 선로 용량 포화 문제로 인해 무산된 듯하다.[108]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만 운행했다.[109] 2016년 12월 9일부터 서울에서도 호남선을, 용산에서도 경부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용산 착발 경부선 계통은 수요 저조로 1년 반만에 사라졌다. 반면 서울 착발 호남선 계통은 현재까지도 운행하고 있는데, 이는 서울역의 도심 접근성이 용산보다 훨씬 좋기 때문이다. 서울보다 용산으로의 접근성이 좋은 지역으로는 경의중앙선이 다니는 고양시, 파주시 주민들 정도가 있지만 이들은 행신에서 행신발 KTX를 이용한다.[110] 9월 1일은 공식 폐지일이고, 사실은 3월 23일부터 차량 정비를 핑계로 무기한 중단에 들어가 있던 상태였다. 또한 기타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전라선 계통은 이보다 앞선 2월 1일 폐지되었다.[111]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단을 위한 임시열차로 운행했고, 대회가 끝나자마자 칼같이 다시 폐지했다.[112] 수원발 KTX가 개통하면 폐지될 예정이다.[113] 그 결과 서울역 또는 행신역으로 갈 수 없다.[114] 왕복 3회(102,105,110,203,208,209열차) 정차[부분필수] (현재) 2024년 기준으로, 경전선 KTX는 창원시 소재의 창원역과 창원중앙역 두 곳 중 한 곳에, 영동선 KTX는 경강선(본선)과 다르게 원주시 소재의 서원주역 또는 만종역에 두 곳 중 한 곳에 반드시 정차한다.[부분필수] [117] 한때 마산역과 진주역 사이 함안역에도 선택정차하였으나 수요 저조로 2015년 정차 중단하였다.[호남고속] 오송역부터 익산역 또는 광주송정역까지 고속선을 경유한다.[119] 2024년 5월 기준으로 호남고속철도에서는 해당 계통에서만 KTX-청룡 열차가 월~목 왕복1회 광주송정역 회차편성으로서 운행하고 있다.[서대전] 대전조차장역부터 서대전역, 익산역, 또는 목포역까지 일반선을 경유한다.[호남고속] [서대전] [123] 하행은 제 521, 제 541,제 523 세 열차를 제외하고 전부 정차한다.[124] 서울역과 서원주역은 중앙선 복합열차의 필수정차역인 동시에, 중앙선의 복합열차만 정차하는 특징이 있다.[125] 서울역과 서원주역은 중앙선 복합열차의 필수정차역인 동시에, 중앙선의 복합열차만 정차하는 특징이 있다.[복합서울] 중앙선 열차와 연결된 열차는 모두 서울 착발이다.[복합서울] [금토일] 금요일과 주말에만 정차한다.[금토일] [복합서원주] 중앙선 열차와의 분리 및 연결을 하는 열차는 필수적으로 정차한다.[부분필수] [복합서원주] [부분필수] [11월] 2024년 11월 30일 개통 예정[11월] [11월] [11월] [138] KTX-1, KTX-산천에만 있다. 기본 요금은 4,800원.[139] KTX-이음, KTX-청룡에만 있다. 기본 요금은 3,000원[140] 현재 적용되는 구간은 용산~광주송정(목포), 용산~서대전 뿐이다.[141] 거기서 얼마 안 가면 세종청사다.[142] 월~목요일[143] EAP: PEAP방식, ID: wifi, PW: wifi. iOS 사용자는 추가로 radius 인증서를 신뢰해야 한다.[144] 참고로 역에서 노트북을 5,000원에 빌릴 수 있다. 내리는 역에서 반납하면 된다. 그러나 반납 시간이 밤 10시 이후이면 불가능하다.[145] 원래 객차 2개를 공유기 1대로 커버했었는데, 이제는 객차 1개에 공유기 2대로 거의 4~5배 가까이 사용용량이 늘어났고 1대당 총 데이터량까지 확충했다.[146] 특실은 일반실 운임에 1.4배를 가산하지만 우등실은 1.2배만 가산하여 징수한다. 또한 특실은 1+2 비대칭 배열이지만 우등실은 일반실처럼 2+2 대칭 배열이다. 다만, KTX-이음과 KTX-청룡의 차량 전폭이 약 20~30cm 더 넓은 만큼, '좁다'라는 느낌은 받을 수 없는 것이다.[147] 일반 KTX 창문은 직사각형 형태이고, 맨 뒷자리 한정으로 KTX-이음과 마찬가지로 창문이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다.[148] 정말이다. 앞좌석과 뒷좌석은 1달 전에도 가장 먼저 매진되는 경우가 많다.[14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승무원이 객실을 돌며 특실물품과 함께 지급하였으나, 이후엔 전부 셀프 서비스로 변경되었다. 셀프서비스로 인해 일반 고객이 가져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150] 당연히 일반인은 구할 수 없다.[151] 예전에는 Windows 2000, Windows XP를 사용했었으나 객실 모니터와 방송용 컴퓨터를 교체하면서 Windows 7으로 변경되었다. 무궁화호는 여전히 Windows XP 사용 중.[152] 여기에는 광명역~개성역 거리가 82km, 개성역~신의주역 거리가 376km라고 적혀 있지만, 이는 잘못된 표기이며 실제 거리는 광명역~개성역 거리는 72.8km, 개성역~신의주역 거리는 약 430km이다.[153] 이는 경의선의 총 연장과 광명역~서울역 거리의 합을 기반으로 나오는 거리.[154] 사실상 이게 난공사가 될 전망이다. 통일 이후 북한 내의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져야 하는것이 첫째 조건이므로.[155] 수색-광명선 완공 이후에는 실질적인 기점으로 될 가능성이 높다.[156] 현 경의선(평부선)과 마찬가지로 개성에서 금천-평산-봉산 축선을 거쳐 사리원으로 가는 안과, 위의 지도와 같이 해주를 경유하는 안의 2가지가 제안되어 있다.[통일] 이후 압록강철교를 거쳐 중국까지 갈 것이다.[158] 단 서울역은 이미 KTX가 존재하기에 통과할 가능성이 더 높다.[159] 여기까지 GTX A선과 공유한다. 다만 대곡역 역시 인근 행신역의 존재로 인해 통과할 수도 있다.[통일] [161] 특히 새마을호는 당시의 무궁화호 급으로 정차역이 많아지며 소요시간 또한 무궁화호와 별반 차이가 없어졌다.[162] 행정구역 상으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양지리에 있다. 사실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부산 방향으로는 처음, 서울 방향으로는 마지막으로 만나는 지점이기도 하다.[163] 마침 이 구간은 명절 때마다 전통적인 헬게이트가 열리는 회덕 분기점이 멀지 않은 지점이다.[164] NewGRF를 적용해야 된다. KTX, KTX-산천, SRT에 KTX-이음까지 있다.[165] 고속열차가 나오는데, KTX 산천을 모티브로 했다.[166] 꼬마버스 타요와 합체된 애니메이션인데, 등장인물들중 씽씽이 또한 KTX 산천을 모티브로 했다.[167] 주인공인 민호와 김범이 유미를 찾으러 갈때 주인공들의 발이 되어주는 것으로 등장. 여담이지만 드라마 배경 상 개통 2~3주년이 되었기에 시트 면장식에 "KTX" 라고 적혀있다.(현재는 코레일 로고가 적혀있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