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9:29:42

구 안동 김씨

상락 김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김선평을 시조로 하는 김씨에 대한 내용은 신 안동 김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240><tablebordercolor=#dcffff>
파일:안동 김씨 종문.svg
(舊/先) 安東 金氏
(구/선) 안동 김씨
}}}
관향 <colbgcolor=#fff,#191919>경상북도 안동시
도시조 김알지(金閼智)
비조 김부(金傅)
시조 김숙승(金叔承)
중시조 김방경(金方慶)
집성촌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원주시, 춘천시
충청남도 아산시, 천안시
경상북도 경주시, 안동시
부산광역시
황해도 해주시, 개풍군
인구 519,719명(2015년)
사이트 안동김씨대종회
1. 개요2. 역사3. 인물
3.1. 정재계 인사3.2. PD3.3. 작가3.4. 연예인3.5. 체육인3.6. 인터넷 방송인
4. 분적(分籍)된 김씨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순왕(敬順王)의 손자 김숙승(金叔承)[1]을 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일반적으로 안동 김씨로 칭하나, 신 안동 김씨(후 안동 김씨)와의 구별을 위해 구 안동 김씨(선 안동 김씨)라고 하기도 한다. 고려 후기 몽골과의 전쟁과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에서 맹활약한 명장이자 수상격인 문하시중·첨의중찬을 지낸 김방경(金方慶)이 중시조이다.[2]

2. 역사

고려 공민왕신돈을 탄핵하고 고려가 망하자 첩첩산중에 은거한 충신 김사렴과 그의 아우이면서 조선 왕조 1등 개국공신 김사형의 아이러니한 이야기가 유명하다. 김사렴으로부터 안렴사공파, 김사형으로부터 익원공파가 분파하였다. 진주 대첩김시민(金時敏) 목사(牧使), 강홍립이 이끌고 출정했던 후금 정벌군의 전선 지휘관으로 훗날 명나라로부터 백작 작위를 받는 김응하 등도 모두 선 안동 김씨다. 김시민, 김응하는 모두 충무공의 시호를 받았다.[3] 현재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인물로는 김구 주석이 있다.

선 안동 김씨는 조선 중기 이후 몰락에 가까운 위기에 처하는데 그 중심에는 김자점(金自點)이 있다. 김자점(金自點)은 1623년 3월(광해군 재위 15년)에 이괄과 함께 인조반정을 일으켜 정 6품직에 오르고 후에 승정원동부승지가 된다. 병자호란(丙子胡亂)때 도원수가 되어 토산 전투에서 대패하자 삭탈관직 당하고 호란이 끝난 뒤 조야의 처벌 요구로 유배당한다. 1639년(인조 17년) 사면되고 1640년(인조 18년) 복직되지만 효종 때 산당 세력에게 탄핵당해 1650년 파직되고 강원도 홍천으로 유배당한다. 이에 앙심을 품고 청나라에 '효종이 북벌론을 지지하고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한다' 밀고하여 나라에 큰 혼란을 불러오게되는데, 다행히도 이경석, 이시백 등의 활약으로 청나라 군대를 돌려보낸다. 이후 김자점은 전라도 광양으로 유배당하지만 그 후에도 손자며느리인 효명옹주 저주사건, 아들과 손자들의 군사반란이 발각되면서 역모죄로 사형당하고 가문은 몰락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지낸 김구가 바로 김자점의 방계 후손인데, 백범 일지에서 집안이 '상놈의 패를 찼다'고 언급하는 사건이 이것이다.

그러나 김자점의 정치적 몰락으로 인해 가문이 몰락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후에도 좌승지 김구만(龜萬)뿐만 아니라, 삼도수군통제사가 총 9명[4], 도승지, 병조참판을 역임한 김광국(光國) 등이 있는 것을 보면.[5]

3. 인물

3.1. 정재계 인사

3.2. PD

3.3. 작가

3.4. 연예인

3.5. 체육인

3.6. 인터넷 방송인

4. 분적(分籍)된 김씨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선도성모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만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장인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선성왕 흥렴왕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의흥왕
 
양부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wiki style="margin:-5px -10px"[왕조 보기]
[朴] 밀양 박씨 왕조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昔] 경주 석씨 왕조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추존 국왕 및 왕족
[범례]
세로선(│): 장인·사위 관계 / 가로선(─): 형제자매 관계 / 적색 두 줄 선(=): 혼인 관계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족보 및 씨족원류에 따르면 김숙승은 경순왕과 낙랑공주 왕씨의 넷째 아들인 김은열(金殷說)의 차남이라 한다.[2] 김방경(金方慶)의 동생인 김현경의 손자 김영규(최영규)는 수성 최씨의 시조가 되었다.[3] 유독 한 분이 넘사벽으로 유명하지만 조선의 충무공은 모두 9명이다[4] 김영수, 김응해 등[5] 물론 그동안 떵떵거리며 살던 사람들 입장에선 몰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