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21:08:13

대체역사물/작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체역사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체역사소설 목록에 대한 내용은 대체역사물/소설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기준을 정하지 않되 분쟁 발생 시 존치측이 입증 책임을 지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기준을 정하지 않되 분쟁 발생 시 존치측이 입증 책임을 지기
토론 - 예시 이미지는 공식에 한정해 등재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미국
1.1. 소설1.2. 영상1.3. 만화1.4. 게임
2. 유럽
2.1. 소설2.2. 영상2.3. 게임2.4. 기타
3. 일본
3.1. 소설3.2. 영상3.3. 만화3.4. 게임
4. 한국
4.1. 소설4.2. 영상4.3. 만화·웹툰4.4. 게임4.5. 기타
5. 중국
5.1. 영상5.2. 게임
6. 중동
6.1. 영상
7. 시리즈·프로젝트8. 그 외 관련 문서

[clearfix]

1. 미국

1.1.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체역사물/소설 목록 문서
번 문단을
서양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영상

1.3. 만화

1.4. 게임

2. 유럽

2.1.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체역사물/소설 목록 문서
번 문단을
서양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영상

* Мы из будущего
러시아 영화. 2편까지 있으며 1편은 2008년, 2편은 2010년에 개봉하였다. 영어 제목은 《We are from the future》로 한국말로는 '우리는 미래에서 왔다' 정도로 해설할 수 있다.

현대 러시아인 4인방[11][12]이 옛 전쟁터에서 유물을 파거나 리인액트를 하다가 과거 독소 전쟁 한복판으로 넘어가는 내용이다. FPS 게임이나 하면서 놀거나 철없이 SS 군복을 입으며, 전쟁 놀이하는 자들에게 대조국 전쟁에서 독일군에 맞서 우리 할아버지들이 어떻게 싸워서 이 땅을 지켰는지 왜 지금의 우리는 그것을 잊는지 그것에 대한 교훈적인 영화이다. 다만, 저예산 영화인 지라 연출과 기갑차량을 중심으로 한 중장비 소품에 대해선 허술한 티가 팍팍 난다.
그러나 역사가 변하지 않으므로 평범한 시간여행물이지 대체역사물로 보기 힘들다.

2.3. 게임

2.4. 기타

3. 일본

3.1.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체역사물/소설 목록 문서
번 문단을
일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영상

3.3. 만화

3.4. 게임

4. 한국

4.1.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체역사물/한국/소설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영상

4.3. 만화·웹툰

4.4. 게임

4.5. 기타

5. 중국

5.1. 영상

5.2. 게임

6. 중동

6.1. 영상


7. 시리즈·프로젝트

AA 작품에 대한 서술은 AA작품의 등재기준에 대한 토론에서 이루어진 합의에 의해서 서술됩니다.

8. 그 외 관련 문서



[1] 통신기술이나 전자장비 같은 과학기술 부문의 묘사, 현실에서는 21세기가 되기도 전에 망해버린 소련, 팬암, 아타리가 영화 속의 21세기 초 사회에서는 건재한 모습 등등.[2] 만약에 이 대체역사가 작중에서 확인된다면 원더우먼을 포함한 DCEU 전체가 대체역사 세계관으로 확정될 것이다.[3]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부인 샤론 테이트를 살해한 찰스 맨슨 일당이 샤론 테이트의 집 대신 주인공 집에 갔다가 주인공에게 끔살당해 샤론 테이트가 무사히 살아났다.[4] 당연히 모든 전기 동력원이 개발살나는 바람에 원시적인 삶을 누리면서 점령군에게 지배당하고 있다.[5] 즉, 미국이 이렇게 어이없이 망한 건 1970년대 이후 히피들의 자유화 때문이라는 류의 대사들.[6] 나름 데탕트를 추구하려던 소련 정부가 강력하게 비판했고, 앞의 이유로 보수와 진보 모두 비판을 받았었던 이유가 있다.[7] 사진을 보면 둘이 대단히 닮아서 아직도 같은 사람으로 오인하는 배우들인데 같은 작품에 출연했다.[8] 지미 카터 대신 에드워드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었다.[9] 시네마틱 트레일러에선 택시 기사였다. 자는 도중에 독일 공수부대원의 협박에 쿨시크하게 반격해서 제압해 버린다. 인게임에서는 독일군의 침공을 피해서 건물 사이 구름다이에 착륙한 공수부대원을 제압하고 무기를 얻게 된다. 폭격으로 동료 노동자들이 낙사하는 와중에 침착하게 대피하고 시민들이 대피할 시간을 벌어주며 저항군에 합류하게 된다.[10] 소련의 경우 아르덴 공세에 성공한 독일과 연합군이 강화 조약을 맺으려 하자 연합군에서 탈퇴하여 3파전으로 치닫게 된다.[11] 두 명은 2편에서도 이동을 했으나 한 명은 배우가 교체되었다.[12] 1편에 나온 소대장과 여인도 46분 부분 정도에서 나온다.[13] 역사가 바뀌는 부분이 있다는 게 아니고 지금까지의 역사들은 템플 기사단암살단의 전쟁으로 벌여진 역사라는 거다.[14] 그러나 이는 실제 역사를 다룬 어쌔신 크리드 3의 DLC고, 주인공이 환상을 본다는 설정이다.[15] 원래 베를린에서 영미독프소 평화회담을 열었는데 동부전선의 군단을 그대로 밀고 들어왔다가 격퇴당한다.[16] 1904년에 주인공인 카라가 첩보활동을 하는데 MI6 출신이다.[17] 일단, 북한김씨일가가 다스리는 체제가 아니라, 평범한 공산주의 국가로 나온다.[18] 즉, 일제강점기가 아예 없었다는 설정이다. 작중에서도 1919년에 있었던 황실 관련 사건이 언급되는데, 실제 역사에서의 1919년은 다들 알다시피 3.1 운동이 있었던 해다.[19] 나라의 판도를 의미하며 EU4에서 유행한 밈이다.[20] 마리 왕비(마리 앙투아네트), 프린세스 시씨(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 클레오파트라(클레오파트라 7세), 예카테리나 여제(예카테리나 2세), 황금 시대(마리 드 메디시스, 퐁파두르 부인, 마담 조프랭 등), 완벽한 폭풍(대항해시대의 실존 해적들) 등[스포일러] 작품 도입부에서 어린 시절의 무스타파 케말이 나무에 올라가 놀다가 떨어지는 모습이 나온다. 그런데 영화 마지막엔 떨어져 죽은 줄 알았던 무스타파 케말이 깨어나서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다시 뛰어 노는 모습이 나온다. 이 장면에서 나오는 목소리는 무스타파 케말 본인의 연설이다.[22] 한국의 창작물에서도 가끔 볼 수 있는 '미국 애들 하는 짓을 보면 아니꼽긴 하다' 정도의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