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20:42:00

인 ○○ 노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아웃 ○○ 노선
,
,
,
,
,

1. 개요2. 김포시3. 안양시4. 용인시5. 광명시6. 수원시7. 구리시8. 남양주시9. 의정부시10. 고양시11. 동두천시12. 화성시13. 안산시14. 시흥시15. 그 외 지역 업체의 인 ○○ 노선16. 과거에 있었던 사례17. 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18. 항공19. 철도20. 인 ○○ 노선이 아닌 경우

1. 개요

파일:in-and-out-line.jpg
차적지(면허지)를 1정류장 이상 관통하지만, 양측 기종점이 면허지에 존재하지 않는 노선을 의미한다. 아웃 노선과의 완전한 반의어는 아니다.[1] 버스 동호인 사이의 은어다.

폐선되거나 변경된 노선은 (♨) 표시.

아웃 ○○ 노선도 같이 참고할 것.

2. 김포시

인김포 노선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원래 검단김포시 지역이었으나 인천으로 넘어가면서 인 김포 노선이 많이 늘어났으며, 특히 김포시가 선진그룹 독점 지역이고 옆동네 인천광역시의 북부도 선진의 세력이 막강한지라 인 김포 노선이 인천 북부(부평구/계양구/서구/강화군)와 서울특별시 강서구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3. 안양시

인 안양 노선은 그 주변 지역이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 광명시, 서울특별시금천구 등이 안양과 이웃하던 옛 시흥군과 관련이 있다. 이들이 시흥군의 공중 분해에 따라 과거 이 업체1988년 본사를 안산시로 이전하면서 아웃안양 노선과 비교하면 사뭇 다를 수도 있다. 이들 모두 독과점 지역으로 봐야 한다. 그래서 이 지역은 경기남부의 인김포 버스 노선 격으로 봐야 한다.

4. 용인시

광교영업소의 위치는 수원시지만, 노선들이 모두 용인시 수지구와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삼고 있으며 공공버스 노선으로 전환돼서 인 용인 노선이 상당히 늘어났다.

5. 광명시

6. 수원시

7. 구리시

경기여객 소속 노선들은 대부분 남양주나 아웃광주 출신 노선들로, 남양주시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이 대부분 인 구리 노선이 되었으며, 갈매동 기점 노선들을 신설하면서 그냥 구리 노선들도 늘어나긴 했다.

8. 남양주시

9. 의정부시

10. 고양시

11. 동두천시

12. 화성시

13. 안산시

14. 시흥시

15. 그 외 지역 업체의 인 ○○ 노선

16. 과거에 있었던 사례

17. 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업체명 가나다순. 전환시외를 제외한 고속면허 버스는 전국구를 사업단위로 하므로 여기서는 적지 않는다. 차적지는 도(道) 단위로 하며 남북도 모두 중간에 걸치는 노선은 특별히 표기한다.

18. 항공

일반적으로 항공 노선은 외국과 외국 사이에 자국을 경유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버스의 인 노선이 성립할 수 없다. 같은 항공사끼리 환승이 되기 때문에 굳이 이런 식의 노선을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굳이 인 노선과 유사한 패턴을 찾자면 자국 - 외국 - 자국 노선이 있겠다. 버스로 치면 서울-성남-서울 노선인 452번과 같은 패턴.

그러나 예외로 아에로플로트가 있는데, 런던 - 나리타, 파리 - 나리타, 로마 - 나리타의 3개 항공편이 모스크바를 경유하는 단일 항공편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기체는 모스크바에서 교체되는 방식이다.

자국 - 외국 - 자국 노선의 경우 인 미국, 인 프랑스 노선이 대표적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인 영국 노선이 홍콩에 들렸던 사실도 있다.

19. 철도

20. 인 ○○ 노선이 아닌 경우



[1] 인 노선과 아웃 노선은 양측 기종점이 모두 면허지 바깥에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단지 면허지 안에서 해당 노선이 지나가는 정류장이 있느냐(인 노선) 아니냐(아웃 노선)의 여부 차이만 있다.[2]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규정으로는 주 수요처와 관계없이 차고지만 기점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부 기점이 있는 지자체의 면허가 되었는데, 이 두 노선만은 예외. 당시에는 수원시 구간도 용인시에서 지원을 해줬다.[3] 문의행 제외[4] 특이한 점이라면, 양주시를 2번이나 경유했다는 것이다.[5] 운행이 중단된 51번과는 달리, 60번은 롯데마트와 장림을 오가는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6] 이후 다시 오송읍으로 연장되었으나, 청원군이 청주시에 통합된 이후이다.[7] 대원버스의 일부 차량이 용인시 면허인 경기 78 아로 되어 있다. 이 노선에서도 일부 차량이 용인시 번호판을 달고 다니긴 한다.[8] 심야노선 한정으로, 주간 노선은 아웃 경남에 해당했다.[9] 하지만 거의 3대중 2대의 비율로 도봉산행이 오고, 2대중 1대의 비율로 온수행이 오는 데다가, 까치울역 ~ 석남역 구간은 경기도인천광역시로부터 위탁관리를 하기 때문에 애매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암역은 의정부시이지만 서울교통공사 관할이므로 '인서울교통공사'는 되지 못한다.[10] 사실 기점에서 한 정거장만 가면 바로 계양구다. 대장동(차고지) - 부천 - 여의도 행선지는 동사의 83번이 쓰고 있기 때문에 차별성을 위해서 이렇게 운행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