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9:47:24

미키 신이치로/출연작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키 신이치로

1. 개요2. 애니메이션3. TV/WEB 애니메이션
3.1. 20세기3.2. 21세기3.3. 2000년대3.4. 2010년대3.5. 2020년대3.6. OVA/극장판
4. 게임5. 외화 더빙6. 특촬7. 오디오 드라마8. 기타

1. 개요

일본의 성우 미키 신이치로의 출연작을 설명하는 문서.

2. 애니메이션

3. TV/WEB 애니메이션

3.1. 20세기

3.2. 21세기

3.3. 2000년대

3.4. 2010년대

3.5. 2020년대

3.6. OVA/극장판

4. 게임

5. 외화 더빙

6. 특촬

7. 오디오 드라마

8. 기타



[1] 이 때는 거의 10대 톤에 가까운 젊은 소년 연기를 선보였다.[2] 무인편 한정으로 김일 성우랑 겹친다.[3] 우에자와 준의 아버지. 작중 시점에서는 이미 고인으로, 아들과는 달리 성을 가타카나로 표기한다.[4] 구판은 오오카와 토오루.[5] 바로 위 불 쏘는 대령님과 비슷한 능력자인데다 그 대령 한판 성우동생성우다.[6] 3화정도 나오는 단역인데, 록온 스트라토스 성우장난을 끼얹은 캐릭터다.[7] 로이역으로 출연하는 마지막 작품.[8] 캐릭터 세부 항목을 눌러보면, 미키 신이치라고만 나온다. 제멋대로 개명했다?![9] 게임에서는 나오지 않아 묻혔지만 5 드라마시디 한정으로 항삼세명왕 역도 맡았다. 사실 여기서 전작의 팔엽 성우들은 모두 명왕과 사신을 맡았는데 게임에 나온 사신 성우를 제외한 나머지 성우들은 명왕을 맡은 걸 모르는 경우도 많다.[10] 드라마CD. 그리고 진짜로 배역 이름이 저렇다.[11]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이 캐릭터 컨셉 역시 '저격병'이다.[12] VISCO사에서 1996년에 아케이드로 출시한 슈팅게임.[13] 버전 4 ~ 버전 8까지.[14] Fate/stay night Realta Nua, Fate/hollow ataraxia, Fate/unlimited codes, Fate/Tiger Colosseum, 타이가 콜로세움 어퍼, 캡슐 서번트, 좌충우돌 화투 여행기, Fate/Grand Order. 오리지널 Fate는 CV가 없으니 제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