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998,#49aaff><tablealign=center> | 고양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3300[통]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 |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현대백화점)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5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15~25분 | 주말배차 | 30~35분 | ||
운수사명 | 명성운수 | 인가대수 | 8대[2] | ||
노선 | 대화동 - 송포파출소,송포농협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 - 대화역 - 주엽역 - 강선마을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역 - 대곡역 - 행신동 - 서정마을 - 화도교 - 항공대학교 - 화전동행정복지센터 - 덕은동 - 덕은교,은평공영차고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모래내시장 - 사천교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앞 → 연세로·스타광장 → 현대백화점 →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 연희동대우아파트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이후 역순 |
2. 개요
명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48km이다. 전체 정류소 목록3. 역사
- 2022년 5월 23일 개통하였다. 기존에 파행운행 중이던 72번을 정상화하는 일환으로써 인가대수는 72번에서 8대, 투입차량은 11번, 66번, 72번, 999번 출신 휴차들 총 8대를 가져와서 분리신설하였다.[3]
- 2022년 7월 18일부터 8월 20일까지 하수관로 공사로 인해 기존 '화전역앞 ~ 화전동행정복지센터'(화랑로 경유) 대신 항공대입구(중) 정류장(중앙로 경유)으로 우회운행하였다.
4. 특징
- 66번 대비 수색 이후로 신촌까지 운행하긴 하지만, 그와 다르게 거리비례 노선이다.
- 차고지 바로 옆에 대화고등학교가 있어 1000번과 함께 하교 시간대 학생들의 발이 되기도 한다. 이는 과거 72번이 가졌던 특징을 계승하는 것이기도 하다.
- 전체적으로 배차간격이 긴 편에 속하며, 특히 주말에는 상당히 길기 때문에 이용 시 버스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4.1. 시간표
2022년 5월 26일 기준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홍대입구역[A]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화전역,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1] 대곡역이 ‘화전역’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2] 토,휴일 6대 운행[3] 72번을 1대로 남겨두는 이유는 고정적인 첫차 승객 때문이라고 한다.[4] 서정마을까지는 100% 운행구간이 동일하지만 75번이 화랑로로 한번 빠진다. 또한 1000번은 연세대앞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하지만, 75번은 연세대학교앞 가변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5] 66번의 경우 대화역부터 가좌역까지 정차 정류장이 99% 동일하다. 운행 구간은 75번이 화랑로로 잠깐 빠지는 걸 제외하면 동일하다.[6] 한때는 운행중단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사실상 폐선이라고 한다.[A]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하차[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