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하 공공기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국전력공사 |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국남동발전 | 한국남부발전 | 한국동서발전 | |
한국서부발전 | 한국중부발전 | 한국전력기술 | |
한전원자력연료 | 한전KDN | 한전KPS | |
한전MCS | 한국전력거래소 | 한국가스공사 | |
한국가스기술공사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대한석탄공사 |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
한국세라믹기술원 | 무역안보관리원 | 한국제품안전관리원 |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광해광업공단 | 한국디자인진흥원 |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한국무역보험공사 | 한국산업단지공단 | |
한국석유공사 | 한국석유관리원 | 한국에너지공단 |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한국전기안전공사 | |
한국지역난방공사 | 한국에너지재단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 강원랜드 | ||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4098><tablebgcolor=#004098> | 한국전력공사 그룹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발전사 | |||||||
그룹사 | ||||||||
[1] | [2] | |||||||
기타 | ||||||||
스포츠단 | ||||||||
,[1] 민영화했지만 그룹사로 분류한다. [2] 한일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로 분류한다., | }}}}}}}}} |
<colbgcolor=#004097><colcolor=#fff> 한국남부발전 KOSPO | |
정식 명칭 | 한국남부발전주식회사 |
한자 명칭 | 韓國南部發電株式會社 |
영문 명칭 | Korea Southern Power Co., Ltd. |
설립일 | 2001년 4월 2일 |
설립목적 | 전력공급 안정, 미래 지속성장 추구, 국민경제 발전 기여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 관한 법률 |
업종명 | 화력 발전업 |
대표자 | 김준동 |
주무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
모회사 | 한국전력공사 |
주요 주주 | 한국전력공사: 100% |
기업 분류 | 시장형 공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2,649명(2021년 4분기 기준) |
자본금 | 2,386억 9,947만 5,000원(2021년 기준) |
매출액 | 연결: 6조 482억 7,963만 9,180원(2021년 기준) 별도: 5억 6,719억 8,908만 3,016원(2021년 기준) |
영업이익 | 연결: 529억 6,668만 7,205원(2021년 기준) 별도: 197억 5,163만 465원(2021년 기준) |
순이익 | 연결: -1,147억 3,060만 3,432원(2021년 기준) 별도: -1,133억 5,217만 3,429원(2021년 기준) |
자산총액 | 연결: 11조 8,230억 8,531만 594원(2021년 기준) 별도: 11조 3,509억 8,422만 839원(2021년 기준) |
부채총액 | 연결: 7조 4,987억 9,400만 2,858원(2021년 기준) 별도: 7조 998억 8,053만 2,750원(2021년 기준) |
부채비율 | 연결: 173.41%(2021년 기준) 별도: 167.01%(2021년 기준) |
자회사 | 코스포서비스 |
| |
미션 | 친환경 전력공급을 기반으로 미래 에너지산업을 선도하여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
비전 | 디지털 혁신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선도하는 국민기업 |
소재지 | 본사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30~35층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 |
관련 웹사이트 | |
한국남부발전(주) 공식 홈페이지 한국남부발전노동조합 공식 홈페이지 | |
공식 SNS | |
한국남부발전(주) 웹진 한국남부발전(주) 공식 유튜브 한국남부발전(주) 공식 인스타그램 한국남부발전(주) 공식 페이스북 | |
관련 전화번호 | |
대표전화: 070-7713-8000 | |
|
[clearfix]
1. 개요
▲ 한국남부발전(주) 공식 홍보영상 |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30~35층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에 위치한 한국남부발전(주) 본사 사옥 |
Smart Energy, Better Life
한국남부발전(주)의 슬로건
1999년 1월 21일,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전력산업 구조개편 기본계획인 한국전력공사의 발전부문 및 배전부문의 민영화 계획과 2000년 12월 23일자로 의결·공포된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관한법률'에 따른 한국전력공사의 물적분할에 의해 2001년 4월 2일에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한국남부발전(주)의 슬로건
총 발전설비용량은 11,215MW이며 대한민국 내 전력공급의 9.6%를 담당하고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가 최대주주로 100%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2. 역사
1961년, 기존에 남한지역에 남아있던 3개 전력회사(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를 통합시켜서 만든 한국전력주식회사에서 시작된다. 이후 전력산업구조개편에 따라 발전부문은 한국전력으로부터 따로 떨어져 나오게 되었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사실 구조개편의 목적은 전력시장 민영화에 있었다.당시 한국전력 자체만 놓고보자면 국내 1위의 매출과 이익을 내고 있는 명실상부 현재 삼성전자와 같은 취급을 받는 대기업이었고 민영화를 시키기에 너무나 대규모의 기업이었기에 3단계에 거쳐 전력산업구조개편을 하게 된다. 2001년에 1단계로 발전 및 송,배전을 담당하고 있던 한국전력공사에서 5개 발전사인 남부, 남동, 동서, 서부, 중부발전으로 발전부문이 분사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다만 그 이상의 시장분할은 반발이 심한것과 더불어 국내 시장에 있어 시장분할은 문제점이 많아 1단계에서 보류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3. 역대 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한국남부발전 역대 사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초대 이임택 | 2대 김상갑 | 3대 남호기 | 4대 이상호 | 5대 김태우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6대 윤종근 | 7대 신정식 | 8대 이승우 | 9대 김준동 | }}}}}}}}} |
- 이임택 (2001~2004)[외부]
- 김상갑 (2004~2008)[외부]
- 남호기 (2008~2011)[한전]
- 이상호 (2011~2014)[내부]
- 김태우 (2014~2016)[내부]
- 윤종근 (2016~2017)[한전]
- 이종식 사장대행 (2017~2018)
- 신정식 (2018~2021)[외부]
- 이승우 (2021~2024)[산업부]
- 김준동 (2024~현재)[산업부]
4. 발전소 현황
코어발전소인 하동발전본부를 중심으로 6개의 화력발전소와 제주와 태백에 풍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당사는 국내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전기공급업(통계청 표준산업분류표상 중분류 코드번호 : D35)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서, 정부의 전력사업구조개편에 의해 2001년 4월 2일에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이라 함)로부터 상법상 물적분할의 방법으로 분리 발족한 6개 발전회사 중 하나로서 한국전력공사가 10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주요 사업내용은 전력자원의 개발 및 판매이며 당사는 전기사업법 제31조의 규정에 따라 생산된 전기를 전력거래소를 통해 한국전력공사에 판매하고 있다.
또한, 해외 종속회사를 통해 해외자원을 개발함으로써 당사의 발전연료인 유연탄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뿐만 아니라 해외발전회사의 발전설비 운전과 유지보수 용역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Global Top 10 Power Company'를 구현하고 '세계발전회사의 모델'이 되기 위해 녹색신성장산업, 해외사업 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하동빛드림본부 (석탄 / 4,000MW / 1~8 호기 / ‘09년 준공)
- 삼척빛드림본부 (석탄 / 2,044MW / 1~2호기 / ‘17년 준공)
- 남제주빛드림본부 (중유 / 200MW / 1~2호기 / ‘07년 준공, LNG / 146.2MW / 1CC / ‘20년 준공 )
- 신인천빛드림본부 (LNG / 1,800MW / 1~4CC / ‘97년 준공)
- 부산빛드림본부 (LNG / 1,800MW / 1~4CC / ‘04년 준공)
- 영월빛드림본부 (LNG / 848MW / 1CC / ‘10년 준공)
- 안동빛드림본부 (LNG / 417MW / 1CC / ‘14년 준공)
- 신세종빛드림건설본부(LNG, 수소 혼소 / 630MW + 340Gcal/h(열병합) / 1CC / '24년 준공)
- 한림빛드림발전소 (LNG / 105MW / 1CC / ‘97년 준공)
5. 기타
남부발전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한전에서 분사당시 하동화력을 Core 발전소(=대규모 석탄화력 발전소. 당진, 태안, 보령, 하동, 삼천포, 영흥화력을 의미)로 하고 그 외 발전소들을 배정받았는데 하동화력이 우리나라 남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남부발전으로 명명되었다.민자사업으로는 풍력(태백풍력, 창죽풍력), 태양광(KnH솔라, 부산솔라, KS솔라, 전남솔라), 집단에너지(대구그린파워, 내포그린에너지), 복합화력(KOSPO영남파워)가 있다.
한국남부발전(주)의 청평양수발전소를 분할하여 한국수력원자력(주)로 합병함(분할합병일자 : 2011.1.1)
한전에 포함된 에너지관련 공기업을 가리켜 전력그룹사라고도 한다
6. 노동조합 현황
참고7.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 ||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공기업 ] | <colbgcolor=#003764> 시장형 공기업 (14개) | |
산업통상 자원부 | 강원랜드, 한국가스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 한국지역난방공사 | |
국토교통부 |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 |
준시장형 공기업 (18개) | ||
기획재정부 | 한국조폐공사 | |
문화체육 관광부 | 그랜드코리아레저 | |
농림축산 식품부 | 한국마사회 | |
산업통상 자원부 | 대한석탄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KPS | |
환경부 | 한국수자원공사 | |
국토교통부 | 에스알,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 |
해양수산부 | 해양환경공단 | |
방송통신 위원회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 [ 준정부기관 ]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12개) ||
- [ 기타공공기관 ]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타공공기관 (240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