籠毛與 美籠母乳 布久思毛與 美夫君志持 (こもよ みこもち ふくしもよ みぶくしもち) 此岳尓 菜採須兒 家吉閑 名告紗根 (このをかに なつますこ いへきかな なのらさね) 虛見津 山跡乃國者 押奈戶手 吾許曾居 (そらみつ やまとのくには おしなべて われこそをれ) 師吉名倍手 吾己曾座 我許背齒告目 家呼毛名雄母 (しきなべて われこそませ われこそはのらめ いへをもなをも) |
바구니 / 바굼 들고 / 호멩이를요 / 호멩이를 들고 이 언덕에서 / 나물 캐는 애 / 집안 말해요 / 이름 말해요 (소라미츠)[1] / 야마토란 나라는 / 모두 통틀어 / 내가 다스리네 모두 통틀어 / 내가 지배하네 / 짐이야말로 밝힐까[2] / 집안도 내 이름도 |
만요슈, 1권 잡가(雜歌) 제1수 泊瀨朝倉宮御宇天皇 (太泊瀨稚武天王) 天皇御製歌 위키문헌 (pdf, 왼쪽), 이연숙 역.[3] |
1. 개요
[ruby(萬葉集, ruby=まんようしゅう)] / 만엽집 / Man'yōshū일본의 8세기 나라 시대에 편찬된, 일본 최고(最古)의 시(와카) 모음집이다. 한국에서는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어 만엽집이라고도 한다.
2. 내용
만요슈(만엽집)의 엽(葉)의 의미를 '코토노하(言の葉)', 즉 말(言葉, 코토바)이라고 풀이한 설도 있고 이야기나 시의 비유라고도 하는 설도 있다. 어쨌든 만요슈는 '많은 시를 엮은 책'이라는 뜻이다.기존에 있던 가집들을 참고하여 다양한 노래를 모으고 정리한 책이다. 판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책 20권에 시가 약 4516수 정도 있다. 시와 노래들의 제작 시기는 5세기부터 759년까지 350여 년에 걸치지만, 대부분은 7세기 초반에서 8세기 중반에 지어졌다. 아직 가나가 없는 시기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향찰과 비슷하게 일본어 발음을 한자를 빌려 표기하는 '만요가나'로 쓰여, 고대 일본어를 연구할 때 매우 가치가 높은 자료이기도 하다. 하지만 만요가나의 발음이 완전히 해명되지 않은 탓에 현대 일본어로도 여러 가지 번역이 공존하며, 개중에는 현대까지도 그 정확한 의미가 불분명한 것들도 있다.
시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유교, 도교의 내용을 차용한 것도 있으며, 후기의 작품에서는 불교의 내용을 반영한 것도 보인다. 또한 그와 더불어서 신토와 일본의 천황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다. 만요슈 20권을 한 번에 편찬하지 않은 듯하다. 시들을 모으다 보니 분량이 늘어나 권수도 그에 맞춰 늘렸다고 추측한다. 그리하여 수집자와 편찬자가 누구인지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당시 황가가 편찬에 크게 관여한 듯하며 마지막 편집자가 오토모노 야카모치라는 것이 현대의 통설이다. 책마다 문체, 만요가나의 사용법 등이 차이가 나는 부분이 일부 존재하는데, 이 역시도 만요슈가 오랫동안 여러 사람의 손으로 집필된 탓이다.
3. 해외 번역
그 방대한 양[4] 때문에 현재 영어와 중국어, 프랑스어, 체코어, 한국어로만 완역본이 있다. 한국어로는 이연숙 교수가 2018년을 끝으로 6여 년에 걸쳐 완역하였으며, 원본 20권을 한국어역 14권에 담아 출간하였다. 2024년 현재 E-Book과 종이책으로 구입 가능한데, 일부 품절/절판이 있다.4. 한국어와의 관계
일본 국내외의 권위자들 중에서 만요슈의 많은 노래가 중국만이 아니라 한반도, 특히 백제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고 분석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고전 일문학 연구의 권위자인 알렉산더 보빈 또한 만요슈의 일부 텍스트가 한국어계 어휘를 차용한 것이라는 분석을 했다. 대충 한국 가요에 영어 단어가 섞이는 수준의 차용이라는 것. #보빈은 661년에 지어진 만요슈 1권 제9수 중 "莫器圓隣之大相七兄爪謁氣"라는 난해 구절을 고대 한국어 "*nacokʌ-s tʌrari thi-ta-po-n[i]-isy-a-ca mut-ke(저녁 달을 쳐다보며 물었네)"에 가깝게 읽을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실제로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센가쿠(仙覚, 1203~1273)가 주석을 달아 "夕月の仰ぎて問ひし(저녁 달을 우러르며 물었네)"라고 해독한 내용과 일치하므로 신빙성이 높은 가설이다. 한편 언어학 유튜버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은 전반적인 논지에 동의하면서도 보빈의 해독이 지닌 몇 가지 오류[5]를 지적하고 새로운 해독을 제시한 바 있다. #
만요슈가 사실은 한국어 시집이며 한국어로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 주장을 한 사람은 5공 시절 공연윤리위원장이었던 이영희로, 1990년대 조선일보에 '노래하는 역사[6]'라는 이름으로 그 내용을 연재한 적도 있다. 하지만 고대 한국어가 어떠한지에 대한 통일된 학설도 없는 상황에서 자의적으로 해석한 주장에 가까우며, 언어학적 근거가 극히 빈약하여 일찍이 논파되었다. 즉 논할 가치도 없는 낭설에 불과하다.
이와는 별개로 한국의 국문학자들은 이런 방대한 자료가 남아 있다는 것에 부러움을 느끼고 있다. # 현재 한국의 고대 시인 향가가 겨우 26수[7]만 전해지고 있어 고대 한국어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만약 한국에서도 만엽집처럼 한글 창제 이전의 옛 시가 4천 수씩이나 남았더라면 과거의 어휘는 물론 문법이나 활용 등 연구할 수 있는 분야가 지금보다 훨씬 방대해졌을 것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이런 고전 문헌들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이 발달했다. 신라의 향찰을 해석할 때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 언어학자 오구라 신페이가 만요가나와의 유사점에 착안하여 처음으로 향가 해석을 시도했다는 사실[8]에 자극받은 양주동 박사가 한국인으로서 처음으로 향가 해석을 시도하기도 했다.
5. 기타
한국으로 치면 삼대목쯤 되는 위치에 있는 책이다.初春令月、氣淑風和、梅披鏡前之粉、蘭薰珮後之香。[9][10]
초봄의 길한 달, 기운 상서롭고 바람 평온하니, 매화는 거울 앞 가루를 날리고, 난초는 살결 같은 향을 풍기네.
《만엽집》 제5권 〈매화의 노래(梅花の歌)〉 32수 서문 中
현 일본의 연호인 레이와(令和, 영화)는 만요슈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그동안 일본의 연호가 중국 고전들에서 따온 것과 달리, 처음으로 일본의 고전에서 따온 연호라 많이 회자되었다. 다만 해당 구절은 중국 후한의 학자인 장형이 쓴 시를 각색한 시에서 나온 문구이다.초봄의 길한 달, 기운 상서롭고 바람 평온하니, 매화는 거울 앞 가루를 날리고, 난초는 살결 같은 향을 풍기네.
《만엽집》 제5권 〈매화의 노래(梅花の歌)〉 32수 서문 中
6. 관련 항목
7. 둘러보기
[1] '마쿠라코토바'로, 와카에서 다음 구절에 올 특정 단어를 이끌어내기 위한 시구이다. 즉, '소라미츠'라는 말의 다음 구절은 반드시 '야마토(やまと)'라는 단어로 시작해야 한다. 와카를 짓는 시인들 사이의 무언의 약속이 하나의 기법으로 굳어진 것. 마쿠라코토바 자체의 의미는 미상이다.[2] 임금이 집안이나 이름을 말하는 일은 많이 없으므로 '짐에게만 말해주련'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3] 이연숙(2012), '한국어역 만엽집 1'. 원문의 글자수를 반영하여 번역하였다.[4] 총 20권에 수록된 시가만 4500수가 넘는다. 현대의 책 기준으로 해도, 만요가나 원문+현대어 해석+역주가 달려있는 일본 현지 서적들의 분량도 가볍게 10권이 넘어간다.[5] '之'는 문맥 상 센가쿠 주석의 속격 표지 'の'에 대응되므로 '티'의 음차자로 보기 어렵다는 점, '謁'을 '湯'으로 교정하고 한국어 '물[水\]'과 연관지어 '묻'으로 읽은 것은 '물'의 말음이 삼국시대부터 ㄹ이었기 때문에 무리한 가정이라는 점 등이다.[6] 이 책 자체는 조금만 일본 고문학에 관심이 있어도 불쏘시개 서적임을 알 수 있다. 마쿠라코토바를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내용을 음탕하게 바꾸는 등 악의적으로 폄하한 부분이 많다.[7] 위서일 가능성이 높은 《화랑세기》 필사본에 수록된 2수는 당연히 제외한 값이다. 화랑세기 필사본의 향가에는 '~다고(如久)'나 '~뇨(奴)'처럼 근대 한국어에 이르러서야 등장하는 문법적 요소가 다수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서적이 박창화의 창작이라는 학설에 힘을 실어준다.[8] 小倉進平(1929), 「鄕歌及吏讀の硏究」(향가 및 이두의 연구)[9] 가키쿠다시분(書き下し文), 즉 한문을 일본어 어순으로 풀어쓰는 방식으로는 「[ruby(初, ruby=しょ)][ruby(春, ruby=しゅん)]の[ruby(令, ruby=れい)][ruby(月, ruby=げつ)]にして、[ruby(氣, ruby=き)][ruby(淑, ruby=よ)]く[ruby(風, ruby=かぜ)][ruby(和, ruby=やわら)]ぎ、[ruby(梅, ruby=うめ)]は[ruby(鏡, ruby=きょう)][ruby(前, ruby=ぜん)]の[ruby(粉, ruby=こ)]を[ruby(披, ruby=ひら)]き、[ruby(蘭, ruby=らん)]は[ruby(珮, ruby=はい)][ruby(後, ruby=ご)]の[ruby(香, ruby=こう)]を[ruby(薰, ruby=かお)]らす。」[10] 한국식 한자 발음은 이렇다. "초춘영월 기숙풍화 매피경전지분 난훈패후지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