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신국 ||
장여좌 | 장영준 | 장응규 | 장의선 | 장의찬 | 장의천 | 장이호 | |
장익부 | 장익수 | 장익염 | 장익준 | 장인국 | 장인서 | 장준하 | |
정광호 | 정일형 | 정재관 | 조봉호 | 조신성 | 조응삼 | 조희제 | |
지복영 | 차경수 | 차경신 | 차경현 | 차금봉 | 차도순 | 차도연 | |
차동석 | 차병곤 | 차병규 | 차병률 | 차병선 | 차병한 | 차봉엽 | |
차연욱 | 차영철 | 차영필 | 차왈보 | 차용목 | 차운흥 | 차원몽 | |
차은표 | 차인범 | 차일빈 | 차재문 | 차정룡 | 차정섭 | 차정집 | |
차진규 | 차진하 | 차치명 | 차학구 | 채경묵 | 채경옥 | 채규대 | |
채남섭 | 채덕만 | 채덕승 | 채동집 | 채동환 | 채복만 | 채봉선 | |
채봉준 | 채수반 | 채영서 | 채영찬 | 채용환 | 채운걸 | 채이석 | |
채정옥 | 채중보 | 채창헌 | 채태묵 | 채한석 | 천경도 | 천보락 | |
천성십 | 천순호 | 천홍태 | 최갑룡 | 최능익 | 최윤동 | 최효일 | |
탁성룡 | 탁영조 | 탁일청 | 탁창국 | 탁한종 | 패트릭 도슨 | 편군선 | |
편덕렬 | 플로이드 윌리엄 톰킨스 | 하덕근 | 하돌임 | 하상태 | 하승현 | 하영옥 | |
하운택 | 하찬린 | 하한서 | 한갑복 | 한경서 | 한경석 | 한경천 | |
한경희 | 한계석 | 한국언 | 한국원 | 한규량 | 한규순 | 한금원 | |
한기석 | 한기악 | 한기안 | 한대홍 | 한덕용 | 한도원 | 한동진 | |
한득주 | 한락산 | 한면각 | 한명만 | 한명순 | 한문기 | 한문백 | |
한사빈 | 한성수 | 허석 | 홍원유 | 홍원표 | 황석 | 황직연 | }}}}}}}}}}}}}}} |
성명 | 한경희(韓敬禧) |
이명 | 한영삼(韓榮三) |
생몰 | 1881년 11월 5일 ~ 1935년 1월 4일 |
출생지 | 평안북도 용천군 외상면 남시리 |
사망지 | 북만주 우수리 강 |
추서 | 건국훈장 애국장 |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장로회 목사. 1996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1881년 11월 5일 평안북도 용천군 외상면 남시리에서 태어났다. 1907년 7월 창신학교 속성과에 입학해 6개월 만에 졸업했고, 1910년에 평양장로회 신학교에 입학하여 1914년 5월 15일에 졸업했다.이후 평북장로회에 의해 만주 중동선 일대로 파견되어 1년간 선교 활동을 전개했고, 같은 해 10월 유하현 삼원보 대화사에 예배당을 설립했다. 1917년부터 평북노회의 선교 활동을 그만두고 삼원보 일대 다섯 교회의 목사로서 목회활동을 전개했으며, 1919년 국내에서 3.1 운동이 발발하자 삼원보에서도 이에 호응하는 만세시위를 주도했다.
1924년 8월 정의부 계통 학교인유하현 삼원보 소재 동명학교 교장에 취임하여 1928년 음력 6월 사임할 때까지 민족교육을 실시했으며, 이후에도 학생들에게 목회 활동과 민족교육을 병행하다 1929년 1월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그해 3월 22일 신의주 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한국장로교회에서 활동하던 그는 1933년 북만주로 파견되었다. 이때 친구들은 그 일대는 공산당과 비적들이 많아 위험하니 가지 말라고 만류했다. 하지만 그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나라를 잃고 해외에 망명하여 슬퍼하는 동포에게 복음을 전하여 새 생명을 주고 위로하며 독립정신을 키워주는 만주선교가 나의 사명이다”
이후 북만주 일대에 부임한 그는 한인 동포들을 일일이 찾아가서 복음을 전했다.1935년 1월 1일, 그는 교인 4명과 함께 북만주 호림현 지방교회 순방길을 떠났다. 그러다가 1월 4일 우수리 강변을 지나던 중 40여 명의 공산당원들에게 체포되었다. 그들은 한경희를 붙잡아 일본의 스파이라는 누명을 씌우고 2시간 동안 고문했지만 별다른 증거를 찾지 못하자 그와 4명의 교인을 총살하고 시체를 얼음물 속에 집어넣었다. 이 사실은 그의 둘째 아들 한순옥이 삼촌에게 보낸 편지가 한국장로교회 총회장 이인식 목사에 의해 기독신문에 게재되면서 알려졌다.
한경희의 첫째 아들 한청옥은 공산주의에 감화되어 삼원보를 중심으로 공산 활동을 전개했고 민족주의자들을 상대로 수차례 정치 테러를 자행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 회의 도중 한 청년에 의해 피살되었다. 둘째 아들 한순옥도 처음에는 공산당원이었지만 부친이 참살당한 후 교회로 돌아왔고, 1944년 만주신학교를 졸업한 뒤 평북 양시교회의 부목사로 봉사했다가 8.15 해방 후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을 따라 들어온 공산당원들에게 피살되었다고 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6년 한경희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