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1:51:03

인종 차별

레이시즘에서 넘어옴
파일:차별.png
차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형태 구조적 차별 · 내면화된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민족/국민 정체성 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아랍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반화) · 코리아인*(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사회문화 계급(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성노동자(SWERF)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성소수자 동성애(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미소지니 · TERF) · 혐오 수사(비하명칭)
종교 기독교(공포증 · 가톨릭) · 불교 · 이슬람(공포증(히잡))
특성 (남성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모발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체제화 · 흑인) · 자폐 · 장애(혐오 · 청각)
차별 관련 사상 대한족주의 · 동화주의**(마스킹 · 일코 · 커버링) · 반젠더주의 · 반지성주의 · 백호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부미푸트라 정책 · 인종 분리주의(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족벌주의 · 푈키셔 내셔널리즘 · 혈통주의(한 방울 원칙 · [혈통적] 한민족주의)
대책 다문화주의 · 다양성(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비만 수용 운동) · 민권 운동(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관련 주제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모범적 소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스테레오타입 · 싫어할 권리 · 억압 · 역차별 · 우요쿠단타이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단체 · 증오 발언(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마름)) · TERF의 섬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또한 ethnic Korean (한민족) 뿐 아니라 비한민족 계열 대한민국/북한 국적자도 넓은 의미의 Korean에 포함된다. }}}}}}}}}
파일:DurbanSign1989.jpg
"더반시 법령 제37조에 따라, 더반 해수욕장
오직 백인으로 분류된 사람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음을 알립니다.
"
1989년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백인 전용임을 알리는 남아공 더반의 해수욕장 표지판
위부터 영어, 아프리칸스어, 줄루어가 써 있다.

1. 개요2. 역사3. 사회 심리학적 원인 분석
3.1. 대한민국3.2. 일본3.3. 중국3.4. 미국3.5. 유럽3.6. 러시아와 주변 구소련 국가3.7.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3.8. 라틴 아메리카3.9. 동남아시아 국가
4. 특수한 경우5. 같은 인종 간 차별6. 관련 어록7. 인종 차별 또는 인종 갈등을 소재로 한 창작물8. 관련 사건9. 인종 차별주의자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 Racism

인종 차별 또는 인종주의는 피부색 등 생물학적 특징으로 구분되는 특정한 인류 집단이, 다른 인종이라고 생각하는 인류 집단에게 행하는 차별적 행위를 말한다.

인종 차별의 근간에는 인종적, 생물학적 특징에 따라 고등 인간과 하등 인간이 구별된다는 인종주의 사상이 있다. 인종주의자들은 고등하다고 규정한 인종의 열등하다고 규정한 인종에 대한 착취, 정복 등을 정당화한다. 그러나 여러 인종 간의 생물학적, 해부학적, 사회 문화적 연구에 따라 이들의 주장은 비과학적인 주장임이 밝혀졌다.[1]

특정 국가/지역/인종의 사람들이 범죄나 민폐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는 확증편향적 선입견을 바탕으로 생기기도 하다. 특정한 인종이나 지역을 꼽아서 그쪽 사람들은 죄다 민폐라는 식.[2]

인종 차별에는 적대감, 비하뿐만이 아니라 특정 인종은 특정 능력이 우수할 것이라 여기는 선입견도 포함될 수 있다.[3]

피부색에 의한 차별을 인종 차별의 시작으로 보고 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국가 차별, 민족 차별, 언어 차별 등 겉으로 드러나는 소수자를 향한 모든 차별을 포함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인간 차별 역시나 인종 차별의 범주로 들어가게 된 것. 과거에는 피부색에 의한 인종 차별이 법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인종 차별을 반대하는 인권 운동은 수십 년 전의 흑인 인권 운동가들이 주목을 많이 받고 있으나, 기존의 보수적인 틀에 대항해서 싸운 백인 지식인들 또한 인권 운동에 크게 공헌을 했다.

UN에서는 인종 차별을 막기 위해 매년 3월 21일을 ‘세계 인종 차별 철폐의 날’로 지정했다.

2. 역사

피부색에 따른 인종 차별 등 근대적 형태의 인종 차별은 근대 중기인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형성되었다. 특히 아프리카에 노예 무역의 규모가 커지고 산업화된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중반 사이에는 골상학이라는 인종에 대한 유사 과학이 등장하여 활발해졌다.

인종 차별사에서 유명한 것은 역시 19세기 중반까지도 노예제를 공식적으로 유지했고, 그 노예제를 둘러싼 여러 이유로 남북 전쟁이라는 내전까지 치렀던 미국의 사례가 꼽힌다. 노예제 철폐에서 한 세기가 지난 1960년대까지도 주별 자립권과 인종 분리라는 미명하에 관습적인 차별이 이루어졌고, 현재도 하나의 사회적 이슈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문제이기 때문. 따라서 여기서는 부득이 미국 및 몇몇 서구 선진국들로 주제를 한정하기로 한다.

보통 인종이라는 것이 처음으로 부각된 것은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 경영 과정에서였다고 알려져 있다. 백인들은 인종 간의 관계를 위계 서열화 하여 자신들의 착취를 정당화했다. 그 인종 간의 차이는 우열 관계로 특히나 생득적인 우열 관계로 설명되어서, 예컨대 유색 인종들은 IQ가 더 낮다느니, 생물학적으로 열등한 종자들이라느니 하면서 백인들끼리의 자화자찬을 즐겼다. 따라서 이런 열등한 종자들과의 접촉은 하등의 좋을 것이 없고 생활하는 구역, 이용하는 교통수단, 이용하는 식당, 앉는 자리, 취업 분야 등에서 아예 공식적으로 차별정책을 만들어서 확실하게 구분하려고 했다. 책 ‘사라, 버스를 타다’에서 묘사된 것처럼 버스에 유색 인종을 위한 자리가 따로 있었던 시절이 있었고, 화장실도 유색 인종 전용이 있었으며, 유색 인종 전용 식당이 있는 등 현재의 기준으로 따지면 단체로 거품 물고 쓰러질 골 때리는 정책들이 사회적으로, 법적으로 문제 되지 않던 시절이 있었다. 따라서 오늘날 보기에는 극심하게 차별적인 경향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 홀로코스트의 충격에 치를 떨던 20세기 중엽의 지식인들은 나치 독일이 아리아인 중심주의에 골몰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종 차별과 인종 개량이 나쁜 것이라는 인식을 갖기 시작했다. 이것은 자문화 중심주의(Ethnocentrism)의 맥락에서 처음으로 설명이 시도되어서, 예컨대 "우리 영국인은 이렇게 좋지만 너희 그리스인은 저렇게 열등하지" 같은 식의 생각을 설명하는 방법을 인종 수준까지 확대하자는 것이었다. 특히 1950년테오도르 아도르노와 함께 미국의 정신 분석학자들이 펴낸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라는 책에서는, 파시스트들이 인종 차별적 행태를 보이는 것을 정신 분석의 관점에서 "엄격하고 무서운 아버지에 대한 동일시"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그 후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을 통해 인권에 대한 감수성이 커진 미국 사회에서는 다민족 단합과 국가 발전을 위해 이제 더 이상 공식적인 인종 차별 정책을 펼쳐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제도적 영역에서 흑인들과 라틴계 등에 대해 선택의 자유를 제약하지 말자는 것이다. 특히 1967년의 흑인 폭동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듬해에 발표된 보고서 《Report of the 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Civil Disorders》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Racism"이라는 단어가 공적인 의미를 갖고 정립되어 사용되었다. 이제 공공연히 "흑인 출입 금지", "채용 자격 조건: 백인일 것" 같은 식의 조건을 내거는 사례는 세간의 지탄과 손가락질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도 많은 사람들은 미국 사회에서 인종 차별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고 느껴 왔다. 공적인 영역에서는 일단은 사라졌지만, 사적인 방식으로는 아직도 여전히 인종 간의 '미묘한(subtle)' 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사내 규정을 바꿔서 유색인이 취업 시 불이익을 받도록 만든다든지, 서비스 업종에서 유색인에겐 미묘하게 불친절하게 대한다든지 하는 방식이다. 사실 문화에서도 이런 면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영화를 보자면 시리어스 맨이라든지 스트리트 킹, 아웃브레이크, 폴링 다운, 투혼, 퀘스트, 똑바로 살아라, 스타스키와 허치 등 유머도 아니고 차별적 발언을 하며 극딜하는 영화가 많다. 물론 반대로 특정 유색 인종을 선호하는 경우도 생긴다. 예를 들어 동양인이 일 처리나 사원 관리 면에서 더 수월하다는 편견을 가지고 동양인들을 위주로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몇몇 사람들은 법적으로 인종 차별이 금지되었으니 이제 인종 차별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인종, 다른 국적, 다른 문화가 부딪치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인종 차별은 존재한다. 인도카스트 제도도 법적으로는 금지되었지만 여전히 출신 성분으로 사람 차별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법적으로는 금지되어 있어 겉으로는 보이지 않아서 꼬집기 힘들지만 존재하는 형태. 호주만 봐도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백호주의 때문에 인종 차별자가 널려있다. 법이 금한다 한들 사람 개개인이 가진 편견과 선입견(심지어 종교관이 들어간 경우도)을 강제할 도리는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때문에 부모나 주변인들의 인종 차별적 마인드에 적잖은 영향을 알게 모르게 받아, 자신도 모르게 인종 차별을 습관적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 법적으로 인종 차별이 금지되자 간접적인 방법으로 유색 인종을 고용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예로 흑인은 된다고 하는 대신 곱슬머리는 안 된다고 한다거나. 직접적으론 안 해도 간접적으로 인종 차별적 언행을 에둘러 한다든가. 헝거 게임의 영화판에서 일부 캐릭터가 흑인으로 나오자 몇몇 팬들이 항의한 일도 있다. 헝거 게임 시리즈의 경우, 원작에서 캐릭터들이 명백하게 백인이나 동양인이었던 것을 흑인으로 바꿔버린 것이라면 캐릭터성 자체를 바꿔버리는 것이지만, 원작 헝거 게임은 등장인물이 무슨 인종이다를 딱 찝어서 정하지 않았다. 등장인물이 어떤 인종으로 나오더라도 별 시비 걸릴 거리가 없었던 상황.

더 최근엔 '불문주의적 인종 차별(Color-blinded racism)'이라는 개념도 떠오르고 있다. 너도 나도 '인종 차별은 나쁜 것이다'라고 교육받고 살아오다 보니 아무도 인종 차별적인 행위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건 좋은데[4], 그 결과 인종에 관련된 이야기 자체를 아예 사회적으로 묻어버리려고 하는 경향이다. 인종 차별을 안 하려고 하다 보니 아예 인종에 대해서 처음부터 말을 안 꺼내게 되는 것. 특히 인종의 도가니를 표방하는 미국의 경우 "에이 왜 그래, 우리 모두 미국인이지 인종이 어딨어!"라고 말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장려되는데, 물론 기존의 인종 차별보다는 바람직하긴 하지만 그 결과 유색 인종들의 삶의 경험과 문화적 차이, 사회적 필요에 대해서는 까맣게 잊고 살아가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래서 이 점에 대해서는 인종의 모자이크를 표방하는 캐나다가 그나마 더 낫다고 한다. 다문화주의를 국가적으로 장려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부모님의 언어를 배워서 집에서는 그 언어로 대화하라'고 가르치고, 파티를 할 때 각자의 민족적 요리를 준비해 온다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고. 그럼 그쪽에서는 인종 차별이 없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5]

북미에서 대두되는 새로운 용어로는 '힙스터 인종 차별(Hipster Racism)'이 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지적이나 유머러스하거나 동정적인 척하며 다른 인종이나 문화를 까내리는 것이다. 한마디로 정리해서 은연중에 인종 차별스러운 코멘트를 날리면서 "이건 풍자야"라면서 변명하는 것. 대표적으로 Rucka Rucka Ali가 있다. Diet Racism 영상으로.[6]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학술적 근거와 제도적 장치로 인종 차별을 막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인종 간 평등이 아닌 특정 인종을 위한 특권을 부여하는 적극적 우대조치와 같은 역차별 역시 점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7]

앞서 설명한 북미 지역 외에 유럽 지역의 경우 과거 식민 제국이자 미국과 강력한 동맹 관계이고 유럽 연합에 가입된 1세계 출신 서방 국가인 독일,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와 과거 식민 제국은 아니었지만 이민자들과 다문화를 포용 정책을 내세운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룩셈부르크, 스위스, 오스트리아[8]는 현대 사회에 들어서 다문화, 다민족, 다인종을 포용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비백인 이민자와 토착 민간 경제와 교육 격차 때문에 북미권에서 관측되는 불문주의적 인종 차별이 심각한 수준이다. 표면적으로는 인종 차별 하면 안 된다는 인식은 북미 지역과 거의 똑같지만 정작 스포츠와 연예계, 3D 업종, 일부 서비스업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비백인 이민자들이 현지 백인들과 어울리면서 같은 직장에서[9] 일하기가 결코 쉽지 않은 편이며, 여기에 유럽 문화와 상당히 이질적인 이슬람, 힌두교 문화권과 동아시아 문화권 이민자들이 들어오면서 사회적 갈등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추세이다.[10] 이 중에서 본국에서 교육열이 높은 동아시아권과 유럽 문화와 접점이 어느 정도 있는 아프리카[11], 중남미권은 최소한 언어적인 문제가 적고 유럽의 공교육이 무료라는 점 때문에 교육의 혜택은 보고는 있지만 이슬람 문화권의 경우 문화도 언어도 이질적이고 부모들도 자녀들이 교육을 받고 유럽 사회에서 정착하기보다는 본인들처럼 종교적인 삶을 살길 더 원하다 보니 현지어를 배울 기회가 적어지고 현지어를 배우지 못하다 보니 다른 문화권 출신보다도 사회적으로 동화되는 것이 더더욱 어렵다.

그나마 북아프리카권은 이슬람 문화권인 동시에 불어가 통용이 잘되는 편이라 프랑스는 그나마 다른 유럽보다 나을지 모르겠지만 이 역시 프랑스 현지인들과 이민자들 간 교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따로 자기들끼리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사회적으로 분리가 되어있으며 거기다 북아프리카 이민자들에게 있어서 프랑스의 세속주의 문화는 적응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아무리 언어가 같다고 한들 사회적 갈등의 해결은 갈 길이 멀어 보인다.

그리고 포르투갈은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 이슬람 이민자의 비율이 적고 대부분이 포르투갈어가 가능하고 기독교 문화가 주 베이스라 비백인 이민자들도 국가 사회에 나름 동화가 잘된 편에 속하고 표면적으로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 문화적 갈등이 적어 유럽 국가 중에서 인종 차별이 가장 적다고 알려진 편이지만 포르투갈 역시 상기에 언급한 유럽 국가들 중에서는 그나마 상대적으로 낫다는 것뿐이다. 오히려 최근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계 이민자들이 대거 들어오자 다른 유럽 국가들에게서 관측되는 토착민과 문화적 배경이 다른 이민자들 간 갈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그나마 감소하는 듯하다가 인종 차별 사건 비율이 역대 최악으로 돌아갔다. 물론, 피해자는 대부분이 아시아인, 특히 중국인과 비슷한 모습의 동아시아인동남아시아인이 상당수다.

3. 사회 심리학적 원인 분석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배척
, 배타성
,
,
,
,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20세기 중엽에는 사람들의 인종 차별을 추적하고 포착하기 위해 상당히 직접적이고 직설적인 방식, 즉 "공공연한"[12] 인종 차별을 연구했다. 예컨대 설문 조사를 할 때 사람들에게 "귀하는 버스 좌석을 흑백 분리를 하는 데 동의하십니까?" 같은 문항들을 질문하는 식.(...) 그런데 이것이 그 당시만 해도 꽤나 적절하게 선정된 문항이었고, 또 실제로 사람들의 인종 차별에 대해서 상당히 잘 드러내는 경향이 있었다. 문제는 그 이후부터였다. 인권 의식이 성숙해지고 평등주의의 가치가 사회에 뿌리내리면서, 사람들이 이제는 너 나 할 것 없이 그런 문항들에다 전부 "아니오"라고만 응답하게 되었다. 설령 실제로는 내심 그런 걸 원할지라도, 겉으로는 "내가 나쁘게 보이면 안 될 텐데..."라고 생각하여 일부러 칭찬 받을 만한 쪽으로 응답하게 되는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이 작동한 것이다. 이래서야 사람들의 "진짜 속마음"을 파악하는 건 불가능할 터였다.

시대가 변했지만 여전히 인종 차별은 존재하고, 기존의 설문지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면,[13] 무엇을 바꾸어야 할까? 사회 심리학자들 중 일부는 설문지의 문항을 바꾸기로 했다. 데이비드 시어스(D.O.Sears)나 존 맥코나헤이(J.B.McConahay) 같은 사람들은 아직까지 잔존해 있는 인종주의를 찾기 위해 보수주의자들에게로 눈을 돌렸다. 이들이 제시한 이론상징적 인종주의 이론(Symbolic Racism Theory)과 현대적 인종주의 이론(Modern Racism Theory)은[14] "인종주의는 이제 과거의 산물이다", "흑인들은 충분히 노력하지 않는다", "흑인들은 요구하는 것이 너무 많다", "흑인들은 부당하게 많은 것을 받아 챙기고 있다" 인식을 질문했다. 이 질문지들은 흑인 정치인에 대한 호감도, 인종 차별적 정책에 대한 지지도, 유권자 투표 양상 등을 잘 예측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이론은 비판도 굉장히 많이 받았다. 보수주의자면 무조건 비난할 차별주의자냐는 것이다. 예컨대, 보수주의자들은 흑인뿐만 아니라 백인들에게도 공평하게 노력드립을 칠 수 있는 것인데, 흑인에게까지 노력드립을 쳤다고 인종 차별이라고 볼 수 있느냐는 것. 리 주심(L. Jussim), 필립 테틀록(P. Tetlock) 등 이런 불만을 제기하는 학자들의 공격은 일반인들의 짐작을 초월할 정도로 맹렬했고, 이 비판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그런데 다른 한편에서는 설문지를 바꿀 게 아니라 연구 방식 자체를 바꾸기로 한 사람들도 있었다. 집단 심리학 연구자인 존 도비디오(J. Dovidio)와 새뮤얼 개르트너(S. L. Gaertner)는 아직까지 잔존해 있는 인종주의를 찾기 위해 거꾸로 리버럴들에게로 눈을 돌렸다. 이들이 제시한 이론인 혐오적 인종주의 이론(Aversive Racism Theory)은[15] 인간의 태도에는 "겉마음 다르고 속마음 다르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속마음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좀 더 무의식적이고 반사적이며 즉각적인 반응의 속도를 잴 필요가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활용된 것이 바로 "암묵적 연합 검사"(IAT; Implicit Association Test). 공공연한 차별 이면에 존재하는 암묵적인(Implicit; Covert) 차별을 연구하려면 피검자의 반응 속도를 밀리초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했다.

혐오적 인종주의는 현대 사회 심리학계에서 인종 차별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하고 폭넓게 합의된 이론적 조망이다. 이에 따르면, 심지어 자기 자신을 평등주의자라고 자처하는 리버럴들조차도 암묵적인 수준에서는 막연하게나마 인종 차별적인 경향을 보일 수 있다. 특히나 이들은 자신이 진심으로 편견으로부터 자유롭다고 믿기 때문에, 자신이 도덕적이고 선한 사람으로 보이게 하고자 애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들은[16] 유색 인종에 대해 입 밖으로 표현하지 않는 "부정적인 생각과 느낌"(Negative Thoughts and Feelings)을 갖고 있으며, 상황이 애매모호하고 다른 동기로 위장이 가능할 때 이를 저도 모르게 드러내게 된다는 것이다. 많은 연구들은 대학교 신입생 선발, 신입 직원 채용, 배심원 판단, 인종 간 도움 행동[17]을 배경으로 이를 확인해 왔다. 이 분야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인종 차별에 강하게 반대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평소에 인종 차별주의자들은 상종 못 할 인간이라고 한 사람들이 실제로 인종 차별적인 말을 한 사람과는 잘만 일했다는 내용. 물론 이에 대해서도 비판은 있어서, 암묵적으로 부지불식간에 드러나는 인종 차별만 가지고 어떻게 우리 사회에 차별이 "만연하다"고까지 말할 수 있겠느냐고 비판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2000년대 이후로는 미시 공격성(Microaggression)이라는 새로운 용어도 학계에 나타났다. 당초 이것은 언중 사이에서 알음알음 쓰이던 것인데[18] 이것이 상담 심리학계로 흘러들고, 다시 사회 심리학계의 문을 두드리게 된 것. 상담 심리학자들은 점점 더 많은 상담가들이 인종적 차별로 인해 우울증을 호소하는 유색 인종 내담자들을 만나고 있음을 발견했고, 또 그만큼이나 상담 도중에 상담가가 별생각 없이 툭 던진 한마디 말에 이중의 상처를 받고 돌아가는 내담자들도 존재함을 알고 충격에 빠졌다. 결국 이들은 당사자의 입장에서 소소하고 일상적인 차별의 경험을 담아낼 이론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접근의 방식을 달리하는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내야 했던 것. 이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한 "상황이 애매모호하고 다른 동기로 위장이 가능할 때" 은근슬쩍 드러나는 차별에 대해서도 유색 인종 등의 사회적 약자들은 큰 고통을 느낀다. 그냥 덮어놓고 이것저것 "이거 나만 불편해?" 가 아니라, 일상 속에서 빠르게 스치는 대화 속에서 '뭐지? 방금 그거 날 차별하는 게 맞나? 내가 뭐라고 대답해야 하지? 웃고 넘길까? 내가 과민하게 보이면 어쩌지? 내가 제지해도 효과가 있을까?' 하고 고민하다가 어색한 웃음과 함께 대응할 때를 놓치는[19] 상황을 설명하는 게 바로 미시 공격성 이론이다. 하지만 양적 연구과학성에 대한 거부와 불분명한 개념 정의, 질적 연구 특유의 주관성, 일반화 문제, 그리고 성급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로 인하여 비판도 많이 받고 있는[20] 미완의 이론이기도 하다.

3.1.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인종 차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일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인종 차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중국

2021년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소셜 미디어에서 인도 코로나 사태를 조롱하는 게시물이 올라와 국제적인 논란으로 비화되기도 했다.네이버 뉴스 댓글과 자웅을 겨루는 중국 공산당 소셜 미디어 애초에 코로나가 중국산 바이러스인 걸 떠나서 국가 기관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고인드립을 시전했다.

중국의 여론에서도 흑인동남아인에 대한 혐오 정서를 드러내는 편이다. 그런데 골 때리는 것은 백인을 선망하여 백인의 정자를 기증받는가 하면, 단순히 '흑인은 열등하다'는 주장을 펼치는 걸 넘어서 범죄율이나 지능 통계 같은 자료[21]나 여러 유사 과학적인 주장[22], 그리고 자국에서 활동하는 흑인들의 마약 밀수 범죄 및 이성과의 교제[23] 및 이를 통한 에이즈 전파 등을 이유로 혐오나 차별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예전에 중국의 세제업체 “俏比洗衣溶珠” 광고에서 흑인의 입에 세제를 넣고 세탁기에 돌리자 중국인으로 변하는 광고를 제작한 적이 있었는데, 이것을 본 유명 나이지리아계 유튜버인 KSI가 이를 보고는 '흑인이 더러워서 하얀 동양인 남자로 변해야 해?'라고 하면서 의자를 걷어차고 욕을 했고 이 광고는 세계적으로도 비난을 받았다. 결국 업체 측은 공개적으로 사과를 하였다. 참고로 해당 광고는 2007년 헨켈 이탈리아의 의류 염색제 브랜드인 콜로레리아 이탈리아나(Coloreria Italiana)의 네로(Nero) 광고를 표절한 것이다(...)[24]
Stay Classy CHINA - Blackface on CCTV Chinese New Year Gala

CCTV 춘절 특집 방영에서 블랙페이스를 해서 논란이 일었다. #

케냐가 중국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인에게 케냐인은 원숭이에 불과하다.는 망언을 뱉은 중국인이 케냐에서 추방된 사례도 있다. #

중국의 인종 차별주의자들은 인터넷상에서 중국 소수 민족에 대해 차별적, 혐오적 발언을 일삼기도 하는데 회족이나 위구르족에 대해 돼지고기도 안 먹는 놈들이라며 까기도 하며, 위구르 수용소에 대해서도 적극 옹호하며 수용소를 지적하는 해외 언론들에 대한 악플 테러가 많이 일어난다.

3월 7일 자격 이민에 대한 영주권 발급 요건을 완화하고자 하는 법을 사법부(중국 법무부)를 중심으로 추진하려고 하자 중국 네티즌들의 엄청난 반발로 해당 법안 추진 자체가 취소되었다. 검열로 지워진 댓글들이 가관이었다. 원문, 번역

이갈로의 인종차별 고백, "중국에서 온갖 이름으로 불렸다"

2008년 중국 유학생들이 티베트 인권 운동가들한테 오성홍기가 걸린 막대기로 때리고 찌르고 해서 경찰까지 얼굴을 크게 다쳤다.#

2020년 4월에 광저우의 맥도날드 매장이 흑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안내문을 붙여서 중국 국내외로 비난을 받자 맥도날드에서는 해당 매장을 폐쇄시키고 사과했다. 아프리카인과 중국인 간의 혼혈인 여성이 중국 TV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하자 그녀를 모욕하는 악플들이 달리기도 했다.# 또한 광저우에서 공안과 맥도날드 직원들이 흑인을 이유 없이 집과 매장에서 강제로 쫓아내는 사건이 발생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이 중국 정부에 항의했다.# 그래서 광둥성 지방 정부는 인종 차별을 근절하기 위한 대책에 나섰다.#

중국공산당의 소수 민족 탄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국/인권 문서로.

3.4. 미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인종 차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흑인 민권 운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국기의 불명예' 사진에 접기 문법을 적용하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국기의 불명예' 사진에 접기 문법을 적용하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976년, 『국기의 불명예』 (The Soiling of Old Glory)
{{{#!folding 오해의 소지가 있는 폭력적인 사진으로 열람에 주의 [펼치기 · 접기]
파일:attachment/인종차별/Pulitzer.jpg
흑인 학생과의 통학 버스 이용을 반대하는 17살 백인 고등학생 시위자들 중 조셉 레이크스(Joseph Rakes)가 미국의 상징인 성조기로 29세 흑인 변호사 테드 랜즈마크(T. Ted C. Landsmark, 1946~)를 공격하려는 장면을 찍은 스탠리 포먼(Stanley Joseph Forman, 1945~)의 1977년 퓰리처상 수상작이다. 1976년 4월 5일, 미국 보스턴에서 촬영.
사건 이후 몇몇 폭행 가담 학생들은 징역형 처벌을 받았다. 레이크스는 성조기를 휘두르기만 했을뿐 실제로 가격하진 않았지만 막대기류는 흉기에 포함되므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1983년, 레이크스는 여동생의 남자친구를 폭행 살인하여 기소된 바 있다. #, # 이후 1988년 혐의가 취하된 이후 위험한 폐기물을 다루는 노동자로 일하다가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가정을 꾸렸다. 레이크스는 2008년 인터뷰에서 국기 사건에 대해 "아무 생각도 없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땐 끝날 때까지도 몰랐다. 단지 사진작가의 손이 빨랐던 것 같다"는 말을 남겼다.
}}}

대표적인 다인종 국가로, 인종차별의 역사가 긴 만큼 다른 국가에 비해 인종차별이 이슈가 되는 경우도 많고 흑인 민권 운동이나 인종 폭동을 비롯한 대형 사건도 빈발했으며, 심지어 전쟁까지도 치른 바가 있다. 물론 이로 인해 오히려 다른 국가에 비해 인종차별에 민감하고 사회적인 기제도 체계적으로 마련된 만큼, 상당히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3.5. 유럽

"이탈리아 밀라노 거리에 관광을 간 20대 남성이 흑인 괴한들의 폭행을 당했다"고 2024년 1월 23일 보도되었다. 괴한 8명은 A 씨 등 한국인 4명에게 인종 차별적인 발언과 행동을 하며 달려들었고, 캡사이신 성분으로 추정되는 스프레이를 뿌리는 등 폭행을 저질렀다. 또 다른 한 명은 휴대폰을 빼앗아 달아났다.

한국인 피해자 관광객 남성 A 군은 "멀리서 원숭이 소리를 내며 다가오고 '니하오', '칭챙총'이라고 했다"며 "넘어뜨린 후 목걸이를 채가고, 눈을 벌려서 스프레이를 뿌리고 다른 한 명은 휴대폰을 가져갔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A 씨는 400만 원 상당 도난 피해를 본 것으로 전해졌다.
네이버 뉴스#
미국에 비해 인종차별로 인한 범죄의 강도는 낮으나, 일상에서의 차별은 오히려 심하다고 볼 여지가 있다.

유럽의 증오 범죄는 미국보다 그 강도는 확실히 낮은 편이다. 일단 사회 안전망이 잘 발달되어 있어 양극화가 미국처럼 극심하지 않고, 총기 소지가 불법인 데다 치안 문제도 경범죄와 타겟의 인종을 가리지 않는 테러가 주류인지라 강력 범죄는 찾아보기 어렵다. 반대로 강력 범죄가 적기에 미국과 달리 경찰의 과잉 진압 문제도 거의 없다.#

그러나 소수 인종을 대상으로 한 자잘한 폭행 사건과 헤이트 스피치 소식은 끊이지 않고 들려오며, 특히 거주민 전부가 백인인 도서 지역으로 가면 거리낌 없이 차별적인 발언을 내뱉는 행태를 쉽게 목격할 수 있다. 또한 굳이 직접적인 상해를 가하지 않고 은근히 무시하는 경우도 많다. 먼나라 이웃나라 독일 편에서도 나온 튀르키예인인 척 변장하고 식당에서 주문했는데 일부러 상대 안 하고 기다리게 하다가 나중에는 나가라고 협박하는 방식은 유명하다.

미국의 인종 폭동과 같은 대형사건이 적어서 그렇지 저런 일상적인 인종차별은 미국보다 심한 편인데, 대표적으로 유명 축구선수 비니시우스 주니오르가 경기 중 심한 인종차별을 당해 논란이 된 사건이 있다. 비인기 구단도 아닌 대도시 발렌시아를 연고로 한 발렌시아 CF와의 원정 경기에서 흑인이라는 이유로 '원숭이'나 '검둥이'라는 야유를 당하고, 심지어 쓰레기 투척까지 당했다. 미국의 경우 NFL이나 MLB 경기 중에 이런 식의 인종차별 행위가 벌어지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25] 명문 구단인 레알 마드리드 CF 소속의 스타 축구선수가 이 정도의 심한 인종차별을 당하는 마당에 일반적인 이민자나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인종차별은 어느 정도일지 대강 짐작이 가능하다.

미국과 유럽 인종 차별의 가장 큰 차이는 역사적 배경에 있다. 미국이란 국가의 근본은 이민자들의 집합소나 마찬가지고, 예나 지금이나 인종 간 갈등으로 크고 작은 내홍을 겪고 있기 때문에 인종 차별을 향한 경각심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인이 차별받았기 때문에, 혹은 차별의 다음 타겟이 되지 않기 위해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이는 경우가 매우 많다.[26] 따라서 미국은 어지간히 막 나가기로 작정하지 않는 한, 인종 차별을 티 나게 하진 않는다. 직장·가게에 지금 인종 차별하냐고 클레임을 걸 경우 웬만해선 가게와 종업원에서 즉각 사과하고 태도를 개선할 정도고, 문제가 커져 'racist'로 찍힐 경우 한동안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런 인종 차별의 현장을 목격한 주변 미국인들이[27] '지금 인종 차별을 하냐? 잘못한 것도 없는 사람인데 제정신이냐'처럼 같이 항의에 동참해 주기도 할 정도. 당장 What Would You Do?와 같은 프로그램만 봐도 인종 차별 발언을 하거나 타 인종에 대한 불쾌함을 표현하는 배우를 대부분의 손님들이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즉각 제지하거나 최소한 불쾌하고 역겨운 표정을 짓는다.

반면 유럽은 미국에 비해 인종 다양성이 낮고,[28] 인종 간 충돌과 혐오 범죄의 규모가 비교적 작았기 때문에 아직 시민들이 인종 차별의 심각성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스위스, 벨기에처럼 국토가 작고 폐쇄성이 높은 국가나 프랑스처럼 자국 문화, 혹은 언어에 대한 자긍심이 높은 사회일수록 인종 차별이 심한 편. 2019년 미국은 18,302건의 증오 범죄가 발생했지만, 같은 해 영국은 무려 99,401건의 증오 범죄가 발생하였다.[29] 두 나라의 인구수 차이는 5배나 되니, 인당 약 16배 많이 발생한 것이라 볼 수 있다.[30]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소수 인종, 특히 동양인에 대한 차별이 한층 더 심해졌다. 당해 베를린에서 한국인 유학생을 상대로 폭행을 동반한 증오 범죄가 발생했는데, 출동한 경찰이 오히려 '코로나 언급은 인종 차별이 아니다', '한국처럼 작은 나라에서 왔으면 참아라'식의 발언을 했다.[31] 여기에 몇몇 유럽인들은 아시아인뿐 아니라 여타 제3세계 사람들을 향한 혐오 발언을 서슴지 않기도 했다. 같은 해 4월에는 프랑스의 일부 의사들이 방송에서 백신 개발에 있어 아프리카에서 현지인들로 임상 실험을 하자고 발언하여 소셜 미디어는 물론 언론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그들은 마스크도 없고 치료법도 미흡하기 때문에 좋은 연구 대상이 될 것이며, 이는 매춘부들을 통해 에이즈를 연구한 것과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당연히 프랑스 국내는 물론 아프리카 내 수많은 국가들에서도 엄청난 공분을 사기도 했다.[32]

동유럽의 경우 다른 인종들과 어울려 살아 본 경험이라도 있어 인종 차별이 그나마 덜한 서유럽 나라들과 달리, 다른 인종들과 살아본 경험이 거의 없고 백인들과 유대인들끼리만 어울려 살아서 인종 차별이 더욱 심한 편이다. 서유럽이야 예전부터 식민지 출신 사람들의 이주와 접촉이 많았지만, 이쪽은 거의 대부분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등 다른 나라들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피지배 민족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냉전 시대 소련의 영향력으로 공산화된 이후 베트남, 북한, 중국, 중앙아시아 같은 공산권 나라들에서 유학생들이 동유럽으로 유학을 오기도 했지만, 그래도 서유럽에 비하면 백인, 유대인 외 인종에 대한 적응감은 몹시 약하다. 특히 동유럽권 나라에 갔다 온 한국 여행객들의 증언만 봐도, 여행 와중에 현지인들에게 인종 차별과 약간의 홀대를 경험했다는 이야기들이 있다. 게다가 폴란드는 2010년 이후 제노포비아 범죄가 10배 이상 증가하기도 했다.# 이들 나라에서는 유색인들에게 범죄를 가하거나 홀대하는 인종 차별주의자들이 많은데, 이쪽 지역 자체가 전반적으로 50년 동안 민족주의를 억지로 억눌렀던 사회주의에 대한 반발로 냉전 이후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민족주의가 서방보다 훨씬 더 강하다.

최근에는 유럽 난민 사태와 지속적인 이민의 유입, 그리고 높은 출산율로 인해 무슬림의 인구비중이 높아지면서 무슬림에 대한 증오범죄가 매우 심해지는 추세이다. 유럽 각지에서 아랍계나 아프리카계[33]에 대해 혐오정서와 차별이 확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영국에서 전국적인 규모의 반무슬림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3.6. 러시아와 주변 구소련 국가

러시아는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동양인에 대한 차별은 낮은 수준인데, 이는 러시아가 다민족 국가이며 여러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식민지배 하여 편입했고, 주변에 아시아 국가들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보니 아시아인들의 유입이 잦았기 때문이다. 더 멀리 갈 것 없이 러시아엔 고려인 말고도 동아시아인과 외모 구분이 매우 어려운, 이전부터 시베리아라는 거대한 지역에 거주하던 동양계 소수 민족들이 있다.[34] 러시아는 오래 전부터 몽골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 역사가 있고[35], 러시아 요리 중에는 아시아 요리에서 영향을 받은 것도 많다. 대충 서구권에서 동아시아인을 보면 높은 확률로 저 사람은 외국인이겠구나 하고 판단하는 반면 흑인은 현지인인지 아프리카 본토에서 온 여행객인지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처럼[36], 러시아에서는 흑인을 보면 높은 확률로 저 사람은 외국인이겠구나 하고 판단하는 반면 동아시아인은 현지인인지 동아시아 본토에서 온 여행객인지를 구분하지 못하는 편이다.[37] 실제로 어느 주러시아 공사는 러시아 길거리를 돌아다니다 러시아어로 자신에게 길을 묻는 슬라브인들을 빈번하게 마주한 적이 있다고 한다. 명백히 백인이 아닌 동아시아인임에도 현지인이겠거니 하고 생각했다는 뜻이다. 관련 링크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인종 차별이 없는 것은 절대 아니고, 동양인에 대한 범죄는 꾸준히 있어왔다. 러시아가 그나마 동양인에 대한 차별이 덜한 것은 마치 미국 내 흑인만큼 인종 문제에서 높은 우선순위에 있기 때문이다.

동양인은 확실히 다른 유럽국가에 비하면 러시아에서 대접이 좋은 편인데, 당장 현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에서 장기간 국방장관으로 재임했던 정권 실세 세르게이 쇼이구부터가 동양계이며 이외에도 러시아 정부와 의회의 고위직에 동양계 인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애초에 소련을 건국한 블라디미르 레닌부터가 동양계 혼혈이었다. 다른 유럽국가와 달리 동양계와 러시아 백인의 통혼도 잦은 편이고, 우랄 산맥 이동의 지역에서는 확실히 동양계 혈통이 섞인 러시아인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문화예술계에서도 러시아의 전설적인 국민가수로 통하는 고려인 출신 빅토르 초이를 비롯하여, 현역으로 활동하는 인물들 중에서도 동양계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렇듯 러시아 내에서 동양계의 비중이 작지 않고 오랜 시간 교류하며 사회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탓에, 동양인이 확실히 '이방인'으로 대접받는 다른 유럽국가에 비해 차별정서가 덜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허나 동양인과 달리 러시아 내에서 쉽게 볼 수 없는 흑인의 경우에는 심하게 차별받는데, 미국은 물론이고 다른 유럽 국가들, 특히 중서유럽 국가들에 비하면 확실히 심한 편이다. 영국이나 프랑스, 벨기에, 독일과 같은 중서유럽 국가들의 경우 오래 전 식민지배하던 국가들로부터 유입된 이민자들로 인해 흑인들과의 교류가 잦았던 반면, 러시아아프리카와의 교류가 거의 없었으므로 흑인을 접할 일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알렉산드르 푸쉬킨과 같이 흑인임에도 러시아에서 위인으로 대접받고 있는 인물도 있다.

3.7.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

서아시아북아프리카에서도 인종 차별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아랍 백인(비다니)와 아랍 흑인(수다니) 사이의 대립이 있다.

중동에서도 인종 서열 의식이 있는데, 주로 걸프 아랍 왕정 국가에게 이주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일어난다.#

걸프 국가의 근로 시장에서 극소수 백인과 동양인들은 우대해 주지만, 근로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스리랑카, 예멘, 이집트, 수단, 인도네시아, 필리핀 출신 근로자들은 온갖 노동 착취와 구금, 월급 삭감과 같은 인권 침해를 일삼고 있다.

3.8. 라틴 아메리카

인종 차별이 매우 심한 곳이다. 앵글로아메리카와 달리 중남미 지역에서는 일부 지역(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남미 남부백인 주류 국가군)을 제외하고 이베리아계 유럽인(스페인인, 포르투갈인)과 아메리카 원주민(인디오) 및 흑인 등 타 인종과 광범위한 인종 혼합 및 혼혈화가 이뤄진 것은 사실이나, 이것이 북미 지역에 비하여 유럽인들의 인종 차별 의식이 덜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실제로 다민족 국가이며 혼혈화가 많이 이뤄진 브라질조차도 흑인계 브라질인들은 심하게 차별받는 게 현실이라고 한다. 동영상 속 브라질 출신 청년들의 말에 따르면 흑인계 브라질인들은 아무 죄가 없어도 범죄자로 취급받아 경찰서에 끌려가는 일이 자주 있다고 할 만큼 브라질 내의 인종 차별은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한다. 즉, 한국인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혼혈화가 많이 이뤄진 라틴 아메리카조차도 인종 차별은 여전히 심각하다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의 결정적 차이는 북아메리카인들이 인종 간 이종 교배, ‘잡종’을 금기시했다는 점이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인종 간 결합의 현실을 일찍부터 인정하여 새로 형성된 다양한 인종(유럽 백인과 인디언 사이에 태어난 메스티소, 크리올흑인 사이에 태어난 물라토, 인디언과 흑인 사이에 태어난 잠보)을 사회에 흡수하여 점점 더 복잡한 계층제를 형성했다. 피사로도 잉카족인 이네스 우아일라스 유판키(Inés Huayllas Yupanqui)를 아내로 맞았다. 두 사람은 도나 프란시스카(Doña Francisca)라는 딸을 낳았다. ...... 미국에서는 반대로 인종 간 결혼을 금지하기 위해 (또는 최소한 그런 조치의 합법성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였다. 이는 부분적으로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의 실질적 차이를 낳은 원인 중 하나다.
-니얼 퍼거슨. 『시빌라이제이션』. 구세희 김정희 번역

명백하게 법으로 금지했다기보다는 북미 사회의 경우 백인의 인구 비중이 높았기 때문에 유색 인종들이 사회적 소수자로서 입지가 매우 취약했다면 라틴 아메리카 사회의 경우 백인이 사회적 입지가 우월한 것은 마찬가지였으나, 인구 비중으로 따지면 백인이 소수였다. 결과적으로는 북미 사회에서 백인과 유색 인종 사이의 혼혈이 금기시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대항해 시대 라틴 아메리카로 이주한 스페인인, 포르투갈인들은 현지에서 노예와 결혼하는 일이 흔해서 메스티소, 물라토, 삼보 등의 용어로 부르는 혼혈인들이 탄생했는데, 사회적 계급이 인종을 상당히 따라가는 인종 위계 사회였다. 즉 스페인 본토 백인(페닌술라르)-식민지 태생 백인(크리오요)-백인에 가까운 외모의 혼혈인(카스티소)-인디오에 가까운 외모의 혼혈인(메스티소)-흑인에 가까운 외모의 혼혈인(물라토)-인디오-흑인(노예)의 철저한 인종 등급이 있었고, 혼혈인의 수와 혼혈 유형이 다양하고 세대를 거듭하다 보니 옛날처럼 단순한 구별을 못하는 것뿐이지, 오늘날에도 중남미는 사회 상류층을 백인이 거의 독점하고 백인에 가까울수록 대접받는다.

혼혈인이 인구 다수인 중남미 여러 나라들이 있지만, 대통령 등 국가 지도층은 거의 백인 또는 백인에 가까운 혼혈인이며 아예 외모가 백인이면 그냥 백인으로 생각한다.[38] 원주민계 국가 원수가 배출된 나라는 볼리비아페루원주민 인구가 특히 많은 나라 중에서도 각별하게 예외적인 경우이다. 애초에 중남미 국가들의 독립 자체가 스페인 본토 백인들의 식민지 백인들에 대한 백인들 간의 차별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것이고 토착 원주민이나 흑인은 오히려 대우가 나빠졌으며, 자기들은 백인이 주류고 주류여야 한다고 고집하는 남부 3개국(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에서는 스페인 식민 지배에서 독립 이후 미국의 북미 원주민 학살과 비슷하게 자국 내 남미 원주민에 대한 대대적인 절멸 정책을 실시했다.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경우 무력을 동원해 테우엘체, 오나, 알랄카루페, 마푸체 같은 자국 내 원주민들을 대량 학살하거나 황무지로 추방하였고,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팔레스타인, 시리아 같은 유럽이나 중동 국가들의 이민자들을 대규모로 받아들여 지금도 인구의 90%~60% 이상이 코카소이드들이다. 우루과이는 국토 면적이 방대하여 원주민들이 극소수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아르헨티나, 칠레와 달리[39] 영토 면적이 작아 백인들의 토벌과 학살에 거의 멸족되어 버려 아르헨티나, 칠레와 같이 원주민들도 극소수조차 남아있지 않는 실정이다. 즉 이들 나라의 대부분은 소수 백인이 다수의 혼혈인 및 유색 인종에 대해 우위에 있으며, 백인에 가까울수록 프리미엄이 주어지는 인종 위계 사회이다. 이들 나라의 중심부와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원주민들 여럿에게는 여전히 종족 말살 전쟁이 진행 중이라는 고발도 있다. 이런 게 너무 흔해서, 절망에 빠진 과라니족 사람들의 집단 자살 같은 것은 큰 뉴스거리도 되지 못하고 있다.

동아시아인에 대한 차별 또는 얕보는 태도도 특기할 만한데, 과거에는 백인 주류인 남부 3개국 정도가 알려졌었지만, 최근에는 3개국 대신 오히려 원주민, 혼혈인들이 더 많은 곳에서 인종 차별이 불거지고 있다.[40] 2010년대 들어서 한국에서도 이 지역의 인종 차별이 주목받고 있는데, 우선 한국에서 데뷔한 혼성 그룹 KARD브라질 방송에서 대놓고 인종 차별을 당했다. 보물찾기 시리즈 중 브라질에서 보물찾기에서는 '브라질에는 인종 차별이 없다'고 표기한 장면도 있지만, 실제로 인종 차별이 굉장히 많으므로 명백한 오류다.

스페인어권 중남미에서는 '동아시아인들은 눈이 작다'고 비하하는 눈 찢는 흉내(이른바 눈찢)를 내는 짓을 상당히 빈번하게 하는 편인데, 문제는 정작 당사자들이 이걸 지적받으면 "라틴 문화권에선 인종 차별적 뉘앙스가 없는 친근함의 표시나 가벼운 장난일 뿐"이라고 일축해 버린다는 것이다. 사실 이들이 정말 "장난"으로 한 건지도 의문이지만, 설사 "장난"이라도 인종 차별의 범주에 들어간다는 사실에 대한 자각이 없다. 일단 아시아인 자체가 해당 국가들에서 극소수라 문제 발언을 해도 정치적, 사회적으로 뒤탈이 없는데다가 아직까지도 눈에 띄는 인종 위계 사회인 까닭에, 아시아인은 (당연히) 백인, 흑인 아래인 인종이고 백인과 다른 생김새는 놀려도 당연하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즉, 이들의 인종 차별이 상대의 출신국에 따라 차별하는 것보다는 일차적으로 보이는 외모에 기인하는 면이 크다는 것인데, 가난하다고 차별하는 게 아니라 이질적으로 생겨서 차별하는 것에 더 가깝다고 본다는 것이다. 주요 비하 표현이 동양인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눈 찢기인 점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이외에 동양인을 싸잡아 chino(어원은 중국인을 가리키는 chino) 또는 chinito(뒤에 지소사 -ito가 붙은 어형)라고 부르는 문제가 있는데, 이 단어의 경우는 상대를 이런저런 형용사를 붙인 별명으로 부르는 경우[41]가 많은 히스패닉 문화의 특성상 듣는 사람이 특별히 기분나쁨을 느낄 만한 상황인가에 달려 있으며, 의도된 차별 표현인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다. 물론 친하지도 않은 상대를 경멸적 어감을 담아 부른다면 인종차별 단어가 맞다.[42] 이것은 지역적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데 따른 무지도 한몫 하는데 여기서는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등의 개별 나라를 구분하는 인식이 없어 chino, chinito 등으로 싸잡는데, 이들의 동아시아인 비하 레파토리 중 하나는 눈찢 및 그로 인해 외모가 구별이 안 되고 죄다 똑같다는 거지만, 외모로 구별 안 되는 건 자기들도 마찬가지로 외모만 보고 멕시코인지 콜롬비아인지 알 수도 없을 뿐더러, 나라 수는 많은데 쓰는 언어나 문화는 죄다 스페인어 또는 포르투갈어/이베리아 문화뿐이므로 오히려 획일성이 크다. 정작 동아시아 지역은 인종보다는 개별 국가 및 언어/문화가 모두 다르므로, 같은 인종이라는 의식보다는 개별 국가의 사람이라는 의식이 큰 편이다. '나는 한국인/일본인이다' 같이 인식하지, '나는 동아시아인/동양인이다'라고는 잘 인식하지 않는다는 소리다.

그 밖에 교류가 거의 없고 역사적으로 척진 일이 없는데도 이런 우월의식이 있는 것은 19세기20세기 초 중국에서 중남미 지역으로 대규모 이민이 이뤄진 점에서 찾는 의견도 있다. 당시에는 중남미 지역의 상태가 지금보다 괜찮았으므로 쿨리로 일하는 경제 이민자의 열악한 입지상 현지인들이 동양인을 얕보는 원인이 되었다는 것.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면 가난한 상태에서 온 아랍계 이민자 후손들은 거의 차별하지 않는 상황이 설명이 잘 되지 않는다. 오히려 자기들이 유럽 2라고 생각하는 지역민들이 아편 전쟁이나 러시아시베리아 식민 같은 "같은 백인들의 업적"을 들으면서 우월 의식을 키웠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다만 아랍인은 인종적으로 중남미의 기원인 남유럽과 비슷해서 외형상으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라틴아메리카의 아랍계 이민자는 대단히 많다. 아랍 이외의 지역에 사는 아랍계 중 가장 수가 많을 정도고, 남미 사회에 대한 적응도도 높은 편. 실제로 아랍계 이민자들 대다수는 이슬람이 아닌 가톨릭을 믿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아랍계는 사회적으로 성공을 거둔 경우도 많다. 대표적으로 전 브라질 대통령미셰우 테메르, 전 아르헨티나 대통령 카를로스 메넴, 전 에콰도르 대통령 압둘라 부카람, 현 엘살바도르 대통령 나이브 부켈레, 콜롬비아 출신 가수 샤키라 등이 아랍 이민자 출신이다. 이처럼 인종적으로도 구분이 어렵고 문화적으로도 남미 사회에 잘 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동양인과는 비교하기 어렵다. 미국만 해도 인도계 백인들을 제외하면 중동 백인들도 백인 취급한다. 더구나 인도계 백인들도 외모가 비슷하면 차별이 적다.

사실 중남미의 백인 혼혈인 메소티소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럽 백인이라고 여기며, 유럽이 제국주의 시절에 세계를 지배한 서구 문명사에 동질감을 느끼기 때문에 그들의 시각에서 동양인들은 모두 자신들(유럽계)보다 열등한 인종으로 여긴다는 분석도 있다.# 동아시아인 관점에서는 유색인종이기 때문에 그들이 같은 유색인종인 동양인을 차별하고 비하한다는 것에서 괴리감이 생긴다. 물론 진짜 혈통이야 어쨌든 겉보기에는 백인과 다를 바 없는 메스티소가 많으므로 그들은 자신들을 동양인과 같은 유색인종으로 묶으려는 의견에는 동조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3.9. 동남아시아 국가

미얀마에서는 사회를 지배하는 다수민족인 버마족이 소수민족인 카렌족, 카친족, 아라칸족, 샨족, 로힝야족을 상대로 군대를 동원하여 학살과 탄압 등의 인종차별을 일삼고 있다. 그나마 카렌족, 카친족, 아라칸족, 샨족 같은 경우는 학살과 탄압을 자행하긴 해도 미얀마 국민으로 인정하는 분위기이지만,[43] 생김새도 미얀마 여타 민족들과 다른 벵골인 계통의 로힝야족은 아예 미얀마 국민으로도 인정하지도 않으며 혈통, 언어가 비슷한 방글라데시인도로 돌아가라고 사회적인 압박이 심하다.[44]

인도네시아는 영토도 워낙 넓고 그 안에 사는 소수민족들도 워낙 많다보니 소수민족들끼리 서로 증오하고 싸우는데, 대표적인 예가 바로 보르네오 섬에 사는 다약인과 다른 민족들이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보르네오 섬에 마두라인들을 집단이주시키자, 여기에 반발한 다약인들이 몽둥이죽창으로 무장한 채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마두라인들을 마구잡이로 죽여서 그들의 몸을 토막내어 다리 난간에 걸거나 길거리에 전시하는 등의 끔찍한 만행을 저지르는 일도 있었다.#1, #2, #3 또한 인도네시아가 1960년대에 들어서 강제로 합병한 뉴기니 섬의 서쪽인 서파푸아는 아직도 인도네시아로부터 분리독립을 하겠다고 반발하고 있고, 이를 인도네시아 정부가 군대를 동원해서 억누르고 있으며, 심지어 외국인들이 이 서파푸아 독립 운동을 알까봐 아예 외국인들은 서파푸아로 못들어가게 막을 정도이고# 한때 인도네시아의 식민지였던 동티모르에서는 인구의 4분의 1이 죽는 엄청난 학살극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에 오래 전부터 정착한 중국계 이민자들인 화교에 대해서 인도네시아인들이 갖는 증오심도 대단히 큰데, 1740년부터 인도네시아에서는 반 화교 폭동이 자주 일어났고#, 심지어 1998년 5월에 있었던 반 화교 폭동 때에는 화교 여성들이 인도네시아인 폭도들한테 집단 성폭행을 당했다는 증언도 많다.#

캄보디아인들은 이웃나라인 베트남에게 침략과 차별을 당한 역사가 있어 베트남을 극렬히 증오하는데[45],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길거리에서, 그것도 백주대낮에 베트남인이 캄보디아인 20여 명한테 집단구타를 당하고 죽은 사건이 2014년에 벌어지기도 했다. #

베트남몽족 같은 자국 내의 소수민족들을 강제로 동화시키려는 억압적인 정책을 펴왔는데, 이런 억압에 반발한 몽족들이 베트남 전쟁미군의 도움을 받아 군대를 만들어 북베트남에 맞서 싸우자, 베트남 전쟁이 끝난 이후 베트남 공산당은 미군에 협조한 약 10만 명의 몽족들을 몽땅 잡아들여 강제수용소에 가두어 굶어죽게 하는 식으로 더욱 악랄하게 탄압하였다.[46]

싱가포르정부 차원에서는 절대로 중국계 싱가포르인만 우대하지 않고 다인종/ 다문화 조화를 강조한다. 되려 정치는 소수민족을 우대하여 싱가포르 대통령은 소수민족들이 대거 당선되기도 하며[47] 인종차별적 헤이트 스피치는 엄벌하고 싱가포르인들도 금기시한다. 바로 위 말레이시아와는 완전 다르다.[48] 하지만 다른 나라도 다 그렇듯이 철 없고 미성숙한 학생들은 무슨 욕이던 한다만 대신 그만큼 징계를 혹독하게 받는다.[49]

물론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높은 경제력과 학업 성취도 때문에 상대적인 소외계층인 인도계, 말레이인 등의 소수민족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기는 한다만 타 국가들처럼 국가 차원의 차별이 없어 덜하다. 싱가포르 정부는 절대 배타적이지 않으며 말레이시아나 브루나이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상상조차 못한다. 공교육이 발달되어 있는지라 인도계나 말레이인들도 교육만 잘 받으면 얼마든지 탑클래스가 된다.[50] 변호사 중에서도 이슬람 법을 전문으로 다루는 말레이인 변호사는 흔히 찾아볼 수 있다.[51]

그러나 싱가포르도 정부 차원은 아니라도 자국민 소수민족이 아닌 후진국 출신인 주로 인도/방글라데시 출신의 건설 노동자나 필리핀/인도네시아 가사 도우미외국인 노동자들은 인종차별을 겪기도 하는데 위의 타 국가들처럼 막 대놓고 차별하는 편은 아니고 알게 모르게 당하는 편에 가깝다 보면 된다.[52]

특히 비자/싱가포르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비자 종류부터 선진국 출신 외국인과 대부분의 외국인 노동자는 전혀 다르며 경찰들도 유독 외국인 노동자다 싶으면 자꾸만 검문하며 귀찮게들 구는데 이것이 어떻게 보면 교묘한 인종차별이라는 지적도 있다.

그리고 필리핀 출신 가사 도우미들에 대한 교묘한 민간 차원의 차별이 있어 콘템플라시온 사건 등 문제가 일어나기도 했다.[53]

그나마 정부 차원에서 헤이트 스피치를 막고 외국인을 받으며 배타적이지 않아 그나마 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비교가 불문이고 오히려 동북아권 및 서양권 국가들보다는 훨씬 나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3.9.1. 말레이시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인종 차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종차별이 상당히 심한 국가로, 이쪽은 아예 국가 차원에서 인종차별적 정책을 자행한다.

4. 특수한 경우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이후 남아공이나 로버트 무가베 집권 이후 짐바브웨에서는 오히려 역으로 흑인들이 백인들을 차별하는 현상이 벌어져, 상당히 많은 수의 백인이 호주, 뉴질랜드, 영국과 같은 타국으로 이민을 가 백인 비율이 많이 줄었다.[54]

미국 본토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선 법적/사회적으로 금기시된 백인의 인종차별이 줄어든 자리를 흑인의 백인을 제외한 타 인종에 대한 인종차별이 대체하기도 한다. 가령 흑인이 히스패닉계, 혹은 동양계 미국인을 차별한다.

하와이에선 미국의 다른 지역과는 반대로 백인이 인종차별당한다. 이유는 과거 백인들이 아시아계 + 폴리네시아하와이 원주민들을 차별해가면서 지배했었던 가슴 아픈 역사가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하와이 문서나 백인계 하와이인 문서를 참고하는게 좋다.

비슷하게 중부와 북부 시베리아의 경우 마찬가지로 백인이 차별당한다. 이 지역의 원주민 비율이 60%에 달하기 때문. 또한 2019년에 키르기스인이 현지인 여성을 성폭행한 사건을 계기로 분노한 시민들이 중앙아시아 이민자들이 운영하는 과일 및 채소 가판대를 때려부수는 사건도 있었다. 어떤 이는 가게로 들어가 살해 협박을 하기도 했다.#

러시아 연방투바 공화국에서는 1990년 대규모 독립시위가 일어났으며, 이것이 반백인 폭동으로 번져 1991년에는 한 해동안 백인이라는 이유로 168명이 살해당했다. 1993년까지도 혐오범죄와 테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러시아군을 파견하여 겨우 진압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초까지도 티베트 불교로 개종하지 않은 백인에 대한 혐오범죄가 지속되었다.

일본의 대표적 극우이시하라 신타로는 서양인들의 유도를 짐승들의 싸움으로 묘사하였다.# 이건 인종 비하 발언. 뿐만 아니라 일본 극우들은 인종차별이라는 단어도 이상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일본 극우 인사들은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하는 행위나 일본의 전쟁범죄 찬양 등의 행위를 사과 혹은 비판하는 행위를 인종차별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주에 위안부 평화비 설치가 추진되고 있을 때 일본 교민단체라는 작자들이 위안부 소녀상 설치는 인종차별이라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고 #, 또 성우 카야노 아이야스쿠니 신사 참배 논란에 휩싸인 이후 트위터로 사과문을 발표하자 일본회의 회원 하시모토 코토에(橋本琴繪)가 카야노 아이는 인종차별주의자(레이시스트) 라는 망언을 하기도 했다. (#) 참고로 저 하시모토 코토에는 일본 경찰의 터키 쿠르드족 남성에 대한 공권력 남용 논란 때도 쿠르드족인지 아닌지는 관계가 없다. 오히려 시위대가 일본 경찰관을 차별하고 있다 라는 헛소리도 했는데, 이렇게 일본 극우들은 과연 인종차별이라는 단어의 뜻을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는 있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인종차별이라는 단어를 이상하게 사용해 대고 있다. (日 경찰, 쿠르드족 남성 과잉진압 논란…‘흑인 사망’ 닮은꼴 사건)

또 다른 나라로 이주했을 때 그곳에 이미 살고 있던 교포가 인종차별 발언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미국으로 건너갔는데 그곳의 한국인이나 중국인이 그 사람 보고 '너 정말 아시아인 같다'라고 말하는 것. 애초에 얘들은 인종차별이라고 생각을 못하는 데다가, 자신도 아시아인이니 인종차별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막상 말하는 교포는 별 생각없이 말한 것일 수도 있지만, 그 말을 듣는 아시아인 입장에서는 아시아인이 아시아인을 보고 아시아인 같다고 말하며 은근히 비웃는 듯한 인상을 받을 수도 있다. 진짜 아시아인인지가 궁금했다면 "혹시 저랑 같은 아시아인이신가요?"라고 정중하게 물어봐야 아귀가 맞다. 다만 저런 말을 한다고 해서 악질적인 인종차별이라는 말은 생각하지 말자. 보통 교포들이 이민 혹은 유학으로 온 사람들을 보고 저런 말을 할 때는 기본 영어 실력에는 문제가 없으나 고급 어휘 및 속어에 익숙하지 못한 모습을 보일 때 혹은 문화적 차이에 상대적으로 덜 적응되었을 때 나오는 말이기 때문이다. 솔직히 영어를 너무 못하면 처음부터 "아 얘는 외국인이구나"라고 바로 느끼기 때문에 저런 말을 들을 일도 없다. 그래서 미국의 교포들은 이런 사람들에게 FOB(fresh off boat), '갓 배에서 내렸다'라는 뜻으로 미국에서 태어나서 자라지 않은 모든 사람들을 가리키는 표현을 쓴다.

진짜로 외국인에 대해 무지하거나 문화적 차이로 인해서 인종차별로 여겨질 만한 표현이나 행동을 하는 사례도 있다.[55] 튀르키예의 예를 들면, 이곳 사람들은 동양인에 대해 'çekik gözlü'(째진 눈을 가진)이란 표현을 정말 흔하게 사용한다. 이 나라는 눈이 너무 큰 여자에 대해 "눈이 밤톨 같다"며 추녀의 기준으로 삼기 때문. 그래서 çekik gözlü라는 단어를 쓰는 튀르키예인에게 화내면서 그거 인종차별적인 단어다라고 지적하면, "그래? 진짜 몰랐어. 미안해."라고 사과하거나, "튀르키예에선 이거 칭찬하는 말인데"라고 한다. 실제로 튀르키예인들끼리도 이 표현을 자주 쓴다. 그 외에 흑인에게 "초콜릿"(Çikolata)이라고 부르거나,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해 "붉은 피부를 가진 사람"(Kızılderili)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 또한 인종차별적인 성격과는 거리가 있다. 튀르키예인들이 진짜로 경멸적인 표현을 쓰고자 할 때는 'Pis Araplar(더러운 아랍 새끼들)' 식으로 직접적으로 욕설이 들어간 표현을 쓴다.[56]

우리나라도 비슷한 경우가 있는데, 비정상회담을 봐도 백인 패널들이 처음에 한국인들이 자기보고 얼굴 작다고 한 것을 칭찬으로 받아들이지 않고,일부러 도발해서 시비거는 것인가 했다고 한 바 있다.[57] 미국에서도 백인들에게 아주 흰 피부를 가졌다 하는 것을 방구석 외톨이라고 놀린다고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 외의 소수집단에서 다른 소수자를 배척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대표적으로 LGBT+집단에서의 인종차별도 이슈가 되는데, 대개 이 집단에서도 다른 인종들보다 백인 남자/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이 케이스의 경우는 다른 LBT 집단보다 게이의 경우가 가장 심하다고 한다.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도 매우 자세히 설명이 되어있는 이슈이다. 비하명칭을 보면 아시아인을 좋아하는 아시아인, 백인을 좋아하는 아시아인, 흑인을 좋아하는 아시아인을 비하하는 명칭이 모두 존재한다. 한 기관에서 설문조사를 했을 때 아시아인들의 82%가 백인 LGBT 구성원으로부터 인종차별을 겪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

5. 같은 인종 간 차별

한국에서는 "인종"차별이라는 단어 때문에 서로 다른 인종끼리 차별하는 것을 인종차별이라고 인식하거나 서구권에서 "Racism"이란 단어는 꼭 인종이 달라야만 해당하긴하나, 같은 인종끼리 성격,특성,문화를 주로 차별하는 경우가 있다.

같은 인종이라도 보이지 않는 서열은 존재하기 마련인데, 백인을 예로 들자면 주로 동유럽 계열 백인이 주로 차별의 대상이 된다. 아무래도 동부 유럽 국가는 서유럽이나 북미에 비해 가난한 국가들이 많고 그렇다보니 동유럽 사람들도 서유럽과 북미에 가서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따라서 서유럽 백인들과 북미 백인들은 동유럽 백인들을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특히 세르비아, 루마니아발칸 반도 국가들 국민들에 대한 "집시"라는 비하적 표현이 유명하며, 폴란드는 아예 폴란드에 대한 비하가 서구권 인터넷에서 밈으로 쓰일 정도로 무시 당하는 빈도가 많다.

현재는 선진국이 되었지만, 아일랜드이탈리아는 과거 별명이 "White Nigger" 였을 정도로 유럽인들에게 굉장히 무시받았다.[58]

흑인 역시 같은 흑인이라도 피부색에 따른 차별이 있다. 주로 흑백 혼혈과 같은 흑인 중에서도 비교적 피부색이 밝은 흑인이 완전히 검은 피부의 흑인을 무시하는 경우가 있으며 검은 피부의 흑인도 흑백 혼혈 흑인들은 진정한 흑인이 아니라며 폄하하기도 한다.

동양인도 마찬가지인데 주로 동북아시아 사람들은 동남아시아인을 무시하는 경향이 어느정도 있다. 같은 동북아인들 끼리도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들끼리 서로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59]

6. 관련 어록

20세기 전반에 걸쳐 화두가 되었던 논제이자, 지금까지도 그 폐단이 쉽사리 끊어지지 않고 있는 인종 차별의 특성상 많은 어록들이 존재한다.
사람이 사람을 미워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피부색이 그에 포함될 수는 없다.
- 피 위 리즈
흑인도 백인도 인간으로서 평등하며, 미국 시민으로서 백인 사회 속에서 완전히 동화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비폭력적인 수단으로, 끈기 있게 인종 문제를 호소하고 해결합시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나의 네 자식들이 이 나라에 살면서 피부색으로 평가되지 않고 인격으로 평가받게 되는 날이 오는 꿈입니다.
- 마틴 루터 킹
모든 세계와 세계의 인종은 누구나 평등하고 자유로운 권리를 가질 자격이 있다. 모든 세계의 인종은 특정 인종을 향해서 차별적인 행위를 삼가야 하며 서로 간의 이해를 통해서 화합해 나가야 한다.
- UN
올림픽 정신에 있어서 인종 차별은 있어서는 안 될 행위이며, 모든 국가의 선수들은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선의의 경쟁을 통해 나라와 민족 간의 우정을 다지도록 해야 한다.
- IOC
'캐시어스 클레이'는 백인들이 내 노예주에게 준 이름이다.
지금부터 난 자유롭고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으므로, 난 노예가 아니므로,
백인들의 이름을 반납하고 아름다운 아프리칸의 이름을 선택한다.

나는 당신들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챔피언이 되겠다.
베트콩들은 우리를 깜둥이라고 욕하지 않는다.
베트콩과 싸우느니 흑인을 억압하는 세상과 싸우겠다.
- 무하마드 알리
우리는 인종 차별 시대의 흑인이다. 우리는 정치 기구와 사회 제도가 인종 차별주의에 뿌리박고 있고, 또 경제 기구가 인종 차별주의에 의해서 길러진 사회에 살고 있는 흑인 대중이다.
- 말콤 엑스
우리는 결코 분리된 청중에게 연주하지 않을 것이며, 이대로 공연하지 않을 것입니다.

- 존 레논
20세기의 문제는 컬러 라인이 문제다.
- 뒤 보아(미국의 작가)
이제 인종과 나라의 차별은 가장 적합하지 않은 사람들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 에릭 호퍼(미국의 철학자)
요컨대 나는 아무에게나 나를 안고 키스해 달라고는 하지 않는다. 그저 보통 인간으로서 공평하게 다루어 주길 바랄 뿐이다.
- 루이 암스트롱
전쟁터에서의 개인호와 묘지에는 백인이나 유색인의 표시가 없다.
- 존 F. 케네디
우리를 인간처럼 대우하라. 그러면 위험이 없고, 우리 모두가 함께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 것이다. 우리는 당신들과 같지 않기 때문에 감동되기 어렵고, 자비롭지 못하고, 용서 못 한다. 백인들이 귀를 기울이면 이 나라는 참으로 행복해질 것이다.
- D.워커(미국의 흑인 해방 운동가)
흑인을 무색게 하는 최선의 방법은 백인에게 순수한 마음을 가지게 하는 일이다.
- 토머스 페인(미국의 정치가)
난 태어났을 때부터, 검은색이다.
내가 자라도, 검은색이고, 내가 햇빛 아래 있어도 검은색이고,
내가 아파도 검은색이고, 내가 죽을 때에도 검은색이다.
그리고 너희 백인들.
너희는 태어날 땐 분홍색이고, 너희는 자랄 때 흰색이고,
너희가 태양 아래 있으면 붉은색이고, 너희가 감기에 걸리면 파란색이고,
너희가 무서워하면 노란색이고, 너희가 아프면 녹색이고, 너희가 죽으면 회색이다.
그런데, 너희들은 왜 나만 유색 인종이라고 말하는가?
- 영국 버밍엄(Birmingham, England), 에드워드 6세 스쿨(King Edward VI School) 학생의 시, "유색인"(Coloured)[60]
흑인은 흑인이다. 특정한 관계 속에서만 그는 노예가 된다.[61]\
-카를 마르크스, 「임노동과 자본」 中
정의가 피부색을 차별하지 않을 때까지, 교육이 인종을 상관하지 않을 때까지, 기회가 인간의 피부색을 고려하지 않을 때까지는, 노예 해방은 단지 선언일 뿐 사실이 되지 못한다.
- 린든 존슨

7. 인종 차별 또는 인종 갈등을 소재로 한 창작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8. 관련 사건

인종차별 여부에 논란·논쟁 중인 사건과 이 사건을 빌미로 백인소수민족(한인 등)에 대한 인종혐오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표시.[68]

9. 인종 차별주의자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대안 우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eee> 관련 주제 고립주의(반세계화 · 불개입주의) · 고보수주의 · 내셔널리즘(네오내셔널리즘 · 백인 민족주의) · 네오파시즘 · 호모포비아 · 반유대주의(시오니스트 반유대주의) · 반이슬람 · 보우소나루주의 · 신반동주의 · 안티페미니즘(MGTOW · 레드필) · 우익대중주의 · 음모론 · 이슬람공포증 · 인종 차별 · 정체성 정치 · 테러리즘 · 트럼프주의(MAGA 공산주의)
사건사고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 2022년 버팔로 총기난사 사건 · 2023년 브라질 의회 점거 폭동 · 게이머게이트 ·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 테러 · 버지니아 샬러츠빌 폭동 · 텍사스 월마트 총기 난사 사건 · 피츠버그 총기난사 사건
음모론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부정선거 음모론 ·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부정선거 음모론 · 문화적 마르크스주의 · 유대인 음모론(유대인 배후자본설 · 유대 볼셰비즘) · 유라비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음모론 · 피자게이트 · 백인 제노사이드
상징/용어 based · Cuckservative · Libtard · Safe space · Snowflake · Social Justice Warrior · 로버트 E. 리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켈트 십자가 · 페페 더 프로그
인물 Negative XP · TheQuartering · Tom MacDonald · 나오미 자입트 · 나이젤 패라지 · 닉 푸엔테스 · 데이비드 듀크 · 도널드 트럼프 · 라이언 키넬 · 로라 루머 · 로렌 서던 · 로렌 첸 · 리처드 스펜서 · 마일로 야노풀로스 · 마조리 테일러 그린 · 마크 다이스 · 벤 게리슨 · 블레어 화이트 · 스티브 배넌 · 알렉산드르 두긴 · 알렉스 스타인 · 알렉스 존스 · 앤드류 테이트 · 오웬 벤자민 · 자이르 보우소나루 · 잭 포소빅 · 제러드 테일러 · 카야 레이첵 · 팀 풀 · 이안 마일스 청 · 앤드루 브레이트바트 · 스톤토스
관련 집단 4chan(/pol/) · Alt-lite · Autistic dark web · Geeks and Gamers · Identitarian movement · MGTOW · The Fandom Menace · QAnon · soyjak.party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민주주의를 위한 포럼 · 부갈루 보이즈 · 브레이트바트 뉴스 · 아메리칸 르네상스 · 와패니즈 · 인셀 · 인포워스 · 전통주의노동자당 · 참정당
한국에의 영향 일베저장소 · 디시인사이드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1] 인종주의, 21세기 정치학 대사전[2] 이러한 유형은 방관자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 때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누군가에게 이를 보고 전부가 다 그런 것은 아니라며 전체로 싸잡아서 비난하지 말라는 비판을 들으면 안 하는 쪽도 방관을 했으니 죄가 있다는 식으로.[3] 즉 랩 잘하는 흑인에 대한 호감도 흑인들 입장에서는 우리가 랩 잘하는 인종이라는 선입견을 가진것으로 여길 수 있다. 가령 '흑인들 대화에 비트만 깔아도 랩이 된다'라든가. 흑형도 우리는 흑인들을 친근감 있게 부른다고 하지만 흑인들에겐 인종 차별 발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4] 이게 서구권에서는 인종 차별 교육이 굉장히 잘돼서 일반적으로 수준이 높은 학교의 애들은 누군가 농담으로라도 "백인은 우월해"라고 하면 인종 차별주의자라며 비난하는데, 이 racist라는 어감이 거의 한국의 "찐따"+"일베충"+"역센징", 일본의 "넷 우익"+"혐한 초딩", 중국의 "분청"에 대응된다.[5] 캐나다에서도 20세기까지 기독교회를 중심으로 원주민과 기타 소수 민족의 땅을 빼앗고 죽였다. 근대 정부가 들어선 이후로는 언어와 문화까지 탄압해 왔고, 비백인들은 백인들과의 경제적 격차도 심해지고 그들에게 깊은 원한을 품게 되었다. 이를 화합시키고자 등장한 것이 모자이크 정책이다.[6] Diet Coke가 진짜 콜라보다 칼로리는 낮지만 사실상 콜라인 점에 빗대어, 정도가 덜하다고 해서 인종 차별주의가 아닌 게 아닌 걸 풍자한 것.[7] 하버드 대학교는 어퍼머티브 액션에 대한 소송에서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25,000,000 달러를 소송 비용으로 소모하기도 했다.#[8] 물론 타 대륙에 위치한 국가들 대상으로 식민 제국을 건설하지 않았을 뿐 주변 유럽 국가 대상으로 식민 지배를 하였다.[9] 전문직, 고소득 직종[10] 그나마 아프리카와 중남미는 기독교 문화가 대세이기 때문에 문화적인 이질감은 자체는 아시아권보다는 적은 편이다. 무엇보다 인도유럽어족의 언어가 이들 국가의 공용어라는 것은 덤.[11] 이것도 부모나 조부모들이 유럽 사회에 먼저 정착하여 이들의 후손인 2, 3세대 이민자들에게나 해당되지 전부가 혜택을 보는 것 또한 아니다. 당장 사하라 사막과 지중해를 목숨 걸고 유럽으로 건너온 불법 이민자들은 노숙자 신세이고 본인틀이 탈출한 본국에서 교육이라는 것을 받아본 적도 없어서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조차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이 당장 유럽 사회에 동화가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특히 프랑스어권인 서아프리카 출신 중에서는 프랑스어를 말로만 할 줄 알지 당장 본국의 문맹이 상당히 높아서 프랑스어를 읽을 줄 모르는 경우도 많다. 그래도 기본 베이스가 사회의 하층민으로 시작했던 미국보다는 나은 편인데, 최근에 들어온 불법 이민자들만 아니면 짧게는 300년 전 길게는 500년 전부터 정착해서 살고 있는 흑인들의 후손이나 백인 기득권들과 접점이 있는 아프리카 독재자 측근들의 계층의 자녀인 경우에는 유럽에서 대학을 다니면서 교육의 혜택을 볼 수 있어 그나마 유럽이 미국보다는 사회 통합이 잘된 편이다. 물론 사회 통합이 잘되었다는 것이지 흑인에 대한 인종 차별이 없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유럽에서는 흑인보다 무슬림과 집시가 더 많이 차별받기 때문에 흑인이 그나마 상대적으로 덜 받는 것뿐이다.[12] 영어로는 Explicit; Overt 등의 어휘로 표현된다.[13] 정확히 말하자면 아주 무용해진 것은 아니며, 연구 목적과 대상에 따라 여전히 쓰일 수도 있다. 예컨대 "이런 극단적인 생각에 대놓고 동조하는 사람들이 A 집단보다 B 집단에 더 많다"는 식으로 비교하거나, "10년 동안의 정기적 조사에 따르면 이런 주장에 대한 찬성론자 비율이 1.3%에서 2.5%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라는 식으로 장기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쓸모가 있다.[14] 이 둘은 학술적으로는 깊이 들어가면 서로 다른 이론이다.[15] 오해가 없도록 말하자면, 여기서 말하는 "혐오"는 오늘날 문화 비평 분야에서 흔히 일컫는 정동(Affekt)으로서의 혐오가 아니라, 오히려 행동주의 학파의 용어로서의 혐오다. 특이한 음식을 맛보고 나서 우연히 배탈이 나면 그 후로는 그 음식은 냄새만 맡아도 구역질이 난다는 맛 혐오 학습(Taste Aversion Learning)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행동주의 심리학이 아니더라도, 한국인들의 특기 아닌 특기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시선 회피(Gaze Aversion)를 생각해 보면 된다. 무언가를 참아내지 못하고 피해 도망친다는 의미가 바로 여기서 말하는 혐오다. 아닌 게 아니라 혐오적 인종주의의 대표적인 예시가, 흑인과 대화할 때 유독 말을 더듬고 눈을 깜박이며 안절부절하는 백인 리버럴의 모습이다.[16] 엄밀하게 지적하자면 "모든" 리버럴들이 전부 잠재적 차별주의자라는 마구잡이식 공격이 절대 아니다. 많은 연구들에 따르면 리버럴들 중의 30~40% 정도는 진심으로 언행이 일치하는 평등주의적인 사람임을 확인하고 있으며, 나머지 혐오적 인종주의자들도 자신의 언행 불일치를 깨달았을 때 죄책감을 느끼고 이를 고치고자 노력한다고 한다. 문제는 이걸 공개적으로 지적하고 망신을 주거나 "You racist!"라는 식으로 건수 하나 잡아서 몰아가게 되면, 이들은 자신의 긍정적인 이미지가 깨질까 두려워하여 자기방어적인 적개심을 드러내게 된다는 것. 연구자들이 신신당부하는 것 중 하나가 그런 막무가내로 이들을 고쳐주려고 들지 말라는 것이다.[17] 특히 새뮤얼 개르트너의 박사 논문은 오늘날에도 많이 회자되곤 하는 유명한 사례다. 전화기 너머로 도움을 요청하는 다급한 목소리가 걸걸한 흑인 억양으로 들려올 때, 보수주의자들은 그 사람에게 혼자 힘으로 어떻게든 해보라고 말하며 넘겼고, 단지 백인의 단정한 억양에 대해서만 도와주려 했다. 그런데 리버럴들의 반응은 상당히 뜻밖이어서 학계의 시선을 끌었다. 백인 억양일 때 잘 돕는 건 예상대로였는데, 흑인 억양으로 뭔가 난처해하는 이야기가 들려오기 시작하자, 이들은 "어이쿠, 뭐라는지 잘 안 들리네" 같은 식으로 이래저래 핑계를 대며 전화를 끊었던 것이다![18] 그래도 용어 자체의 역사는 1978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19] 이게 무슨 프로불편러 같은 게 아니라, 이런 경험은 실제로 북미권에서 공부 중인 한인 유학생들도 굉장히 자주 직면하는 문제다. 이 주제 연구들은 대부분 면접법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읽다 보면 말 쉽게 안 통하는 아시아인으로서 절절히 공감되는 증언들이 한둘이 아니다. 아예 대놓고 Yellow Monkey 드립을 치면 차라리 이판사판으로 몰고 갈 수 있어도, 이런 애매모호하게 슬쩍 스쳐가는 차별을 접하면 당혹감을 극복하고 제대로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경험들이 반복되면서 유색 인종들을 움츠러들게 하고 괴롭게 한다는 것이 미시 공격성 이론의 핵심이다.[20] 주요 비판자로는 사이코패스를 연구하는 과학적 회의주의자이자 《유혹하는 심리학》을 저술한 바 있는 스콧 릴리언펠드(S. O. Lilienfeld), 국내에도 《바른 마음》의 저술로 잘 알려져 있는 도덕 심리 및 정치 심리학자인 조너선 하이트(J. Haidt) 등이 있다.[21] 물론 통계 자료가 뒷받침한다고 해도 환경 요인 등을 무시하고 단순히 흑인이 열등하다는 결론을 도출하는 건 분명 잘못된 거다.[22] 대표적인 것으로 제임스 듀이 왓슨의 이론이 있으며, '흑인들은 문명 국가를 세운 적이 없다', '흑인들은 가축을 길들인 적이 없다', '흑인들 중에는 유명 과학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등 뭔가 사람들의 편견에 부합되면서도 사실과는 다른 낭설들이 퍼지는 편.[23] 2019년에 산둥 대학에서 모든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여학생을 학습 파트너로 지정해서 물의를 빚은 바가 있다.[24] 이 광고에선 백인 여자가 남자를 세탁기에 처넣더니 갑자기 힙합이 튀어나고 근육질 흑인 남자가 세탁기에서 나온다. 후속편으로 야한 잡지 보지 말라고 여자가 남자를 세탁기 앞으로 데려가서 혼내자 잡지 표지의 흑인 여자를 생각하고 여자를 세탁기에 처넣었는데 나오라는 흑인 여자가 아닌 그 근육질 남자가 나온다(...) 심지어 쪽~!도 해서 남자를 충공깽에 빠뜨린 건 덤.[25] NBA같은 경우 애초에 흑인이 주류이니 더욱 그러하다.[26] 개중에는 백인들도 있다. 400년간의 미국 계급사에서 같은 백인이어도 민족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받는 사람들의 후손들이 남아 있어서, 백인들 중에서도 인종 차별에 민감한 사람들이 꽤 있다. 특히 이주민들은 이주해 오기 전 살던 땅에서 형성된 민족 정체성이 어느 정도 남아 있기 때문에, 같은 백인들끼리도 이런저런 마찰과 충돌이 생긴다. 현대 미국에서도 잘 살지 못하는 국가 출신의 백인들은 영국계와 프랑스계와 독일계 등에 비해 주류 사회에서 소외되는 경향이 있다.[27] 인종 상관없는 경우가 태반이다.[28] 20세기 중엽부터는 유럽의 인종 다양성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근본이 이민자 국가인 미국과 비교하면 아직 백인 인구가 많이 우세하다.[29] 증오 범죄로 기록이라도 된다는 것 자체가 영국이 정부 차원에서 인종 차별에 대해 신경을 쓴다는 뜻이다. 애초에 정부가 인종 차별이 일어나든 말든 손 놓고 있으면 기록조차 안 남는다. 따라서 이것만으로 미국보다 영국의 인종차별이 심하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30] 해당 통계는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31] 이후 한인 부부가 주독일 한국 대사관을 통해 공식 항의하자 갑자기 경찰은 코로나 언급이 인종 차별에 해당된다면서 말을 바꿨다. 이는 대사관의 항의가 보통 접수국의 외교부로 들어가기 때문인데, 외교부 측에게 항의를 전달받은 독일 내무부에서 베를린 경찰에 다시 공문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 #1 #2 같은 해 4월 11일 프랑스 접경 지대에서 프랑스인을 상대로 한 인종 차별 사건이 발생했을 때는 독일 외무 장관이 직후 트위터에 "독일과 프랑스는 한배를 타고 있다."라며 연대를 호소하였는데, 이번에는 당국의 아무런 입장 표명도 없어서 현지 교민들의 아시아인 연대 호소에 불을 지피고 있다.#[32] #1 #2 #3 자세한 내용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반응 문서로.[33] 북아프리카뿐 아니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도 적지 않은 무슬림이 분포한다. 따라서 아프리카계 중에서도 무슬림이 적지 않다.[34] 대표적으로 부랴트인투바인이 있는데, 현직 러시아 국방장관 세르게이 쇼이구가 투바인이다.[35] 특히 몽골몽골-타타르의 멍에를 거치며 러시아의 문화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36] 특히 과거 아프리카를 식민지로 삼았던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같은 유럽 국가들과 흑인이나 흑인 혼혈이 많은 미국, 브라질 등 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우 흑인들이 위에 언급한 국가들로 여행을 갈 경우 해당 국가의 현지어로 응대받을 확률이 매우 높다.[37] 러시아와 가까운 중앙아시아 국가들만 해도 동아시아인과 구별이 어려운 외모를 가진 사람들이 제법 된다. 카자흐인 등이 그 예시다. 한국인들은 중앙아시아인이라면 서양계나 유라시안 외모를 생각하기 쉽지만 중앙아시아계 중에서도 동아시아계와 외모 구분이 어려운 사람들이 많다.[38] 특히 권위주의 성향일수록 더욱 그러하다. 제툴리우 바르가스자이르 보우소나루(브라질) 그리고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칠레) 등.[39] 그마저도 원주민 언어와 전통 문화들도 사멸, 실전되어 버린 형국이다.[40] 사실 혼혈들도 자신들을 순수 백인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41] 히스패닉 문화권은 상대가 백인에 가깝다면 '흰둥이'를 뜻하는 gringo/gringa, 흑인에 가깝거나 가무잡잡하다면 '검둥이'를 뜻하는 negro/negra 등으로 상대의 생김새 및 정체성을 묘사하는 다양한 형용사를 붙여 부르지만 이런 표현들이 반드시 경멸적 어감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며, 지인이나 가족을 친근감을 담아 그렇게 부르는 경우가 많은 문화를 갖고 있다. 설령 상대가 다소의 기분나쁨을 느끼는 경우가 있더라도 대부분은 단일민족국가라 타문화에 무지한 편인 한국에서 흔히 보이듯이 경멸감보다는 상대 문화권에 대한 무지의 소산에 가까우며, 모욕적인 어감은 거의 없다.[42] 메이저 리그 경기에서 다르빗슈 유에게 눈찢기 제스처를 하고 'chinito'라고 부른 선수가 처벌받은 일이 있다. # 당사자는 아니라고 우겼지만 차별적 제스처에 차별 표현까지 곁들인 정황상 누가 봐도 모욕적인 맥락이었기 때문이다.[43] 실제로 미얀마의 국부아웅 산부터가 소수민족들의 권익을 보장하려고 했다.[44] 아이러니하게도 미얀마의 옆나라인 방글라데시와 인도조차도 로힝야족들을 자국민으로 받으려고 하지 않고 있다.[45] 캄보디아를 망가뜨린 원흉인 크메르 루주도 집권하자마자 가장 먼저 죽인 대상 중 하나가 베트남인, 베트남계였고 모든 캄보디아인들의 철천지 원수 취급받는 지금도 '그래도 크메르 루주가 베트남 놈들 죽인건 잘했다'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들도 있을 정도.[46] 이때 베트남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도망친 몽족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가 바로 그랜 토리노이다.[47] 싱가포르 1대 대통령 유수프 빈 이샥과 현 대통령 할리마 야콥 등이 각각 말레이인인도계 싱가포르인이다. 생각보다 중국계는 대통령이 많지 않았다.[48] 이는 싱가포르가 인종문제로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사실상 쫓겨난 과거 때문에 그렇다. 인종갈등은 망국을 뜻하는 도시국가 특성 상 인종차별이나 혐오에 민감하지 않으면 그게 이상한거다.[49]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경우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교 사이에는 남학생들이 피부가 검은 말레이인이나 인도계 싱가포르인 학생들한테 n word 써서 벌 받는 일이 매우 흔하다. 중국계라도 여학생들은 거의 안 그런다.[50] 그러나 아쉽게도 진짜 성공한 말레이인이나 인도계 싱가포르인들은 소수다. 이들은 그래서 스포츠로 성공하고자 운동 선수로 많이 진출하기도 하는데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의 대부분 선수들이 말레이인이며 중국계는 축구를 험악한 운동으로 여겨 절대 하지 않는다. 싱가포르 축구 스타인 이크샨 판디도 말레이인이고 과거 아시아에서 축구 친선대회 등에 자주 얼굴을 내민 삼술 마이딘 심판도 말레이인이다. 인도계 싱가포르인 중에서는 국가대표에서 스타 플레이어 급 육상 선수들이 꽤 나온다.[51] 당장 현 싱가포르 대통령 할리마 야콥부터 인도계+말레이인 혼혈이다.[52]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나 유럽 등에서 알게 모르게 받는 거와 같다.[53] 사실 필리핀인들은 싱가포르만이 아니라 아직은 선진 개발도상국이지만 부유층이 가사 도우미를 부리는 말레이시아, 아라비아 반도 산유국들이나 가사 도우미의 원조인 호주, 홍콩 등에서도 차별 받는다. 사실 호주나 홍콩에선 더하고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인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사이좋게 필리핀인들을 갈구고 무시한다. 극단적인 사례가 싱가포르에서 살인으로 기소된 콘템플라시온 사건으로 터진 거다.[54] 그래도 아직 사회 기득권층에는 백인이 많다. 백인 비율 감소는 백인 출산율이 흑인보다 낮은 것도 있고, 이민 열풍의 경우 치안 문제(홈랜드나 빈민가에만 거주할 수 있던 흑인들이 대도시 중심부로 이주)로 인한 탓도 크다.[55] 대표적으로 라틴아메리카국가들과 아프리카국가들, 이베리아 반도 국가인 포르투갈스페인 그리고 튀르키예가 이에 속한다.[56] 튀르키예인들은 예로부터 아랍인을 경멸하고 차별해 왔다.[57] 하지만, 우리나라인 대한민국에서는 인종차별을 할때는 얼굴형태와 피부색을 보고 하기보다는 사회경제적 지위여부를 더 많이 따지며 차별하는 편이다.[58] 이에 해당되는 두 나라는 중간에 어떠한 사람이 여러가지 인종하고 합쳐진 혼혈 백인이 아닌 이상 어느 누군가가 'Nigger'라는 표현자체를 사용하기에는 애매하다.[59] 특히 중국인들이 받는 차별이 심하다. 한국에서 일하는 중국인 외노자들만 해도 차별 당하는 경우가 많은 걸 보면 주로 사회 경제적 지위차 이에 관한 수준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0] 이 시는 '아프리카의 한 어린이가 쓴 시'로서 'UN이 선정한 최고의 시'라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UN은 이러한 시를 선정한 적이 없다.[61] 즉, 흑인은 그저 피부가 검은 사람일 뿐이며, 흑인을 노예로 만드는 것은 그의 '동물적 본성' 같은 게 아니라, 총 든 백인들과의 만남을 통해 형성된 특정한 관계, 그런 특정한 조건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그 조건, 그 관계가 달라지면 흑인은 얼마든지 자유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62] 야구 영화이기도 한데, 메이저리그 최초의 흑인 선수였던 재키 로빈슨이 주인공인 영화다. 재키가 선수로 뛰던 시대가 시대인지라 여러 백인들의 그를 향한 인종차별적 행동이 잘 묘사되어 있다.[63] 에덴조약: 미소노 미카, 하누마 마코토[64] 천룡인은 자신들이 신의 후손이며 인간보다 우월하다고 여겨 인간과 공기를 섞는 것조차 거부한다. 인간족 외의 종족에 대한 차별, 특히 어인족, 인어족 등이 크게 차별받는다. 이와 관련해서 어인족이 인간을 대상으로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해당 작품에서 어인족 운동가는 흑인 인권운동가를 상징한다. 대표적으로 피셔 타이거는 온건한 평화주의자 마틴 루터 킹을, 아론은 강경한 폭력주의자 말콤 엑스를 상징한다.[65] 후속작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도 마찬가지다.[66] 출연하는 동양인 선수들의 얼굴을 모두 똑같이 묘사하였고, 이는 '동양인은 모두 똑같이 생겨서 구분을 못한다'라는 대표적인 동양인 인종차별이다. 게다가 영상 제작업체가 프랑스인 것을 보면 사실상 기정사실화이다.[67] 위 작품들과 달리 인종차별이 소재인 것이 아닌 뮤직비디오에 인종차별 논란이 발생하였다.[68] 이런 사건 중 일부는 상습범, 마약사범 등 흉악범경찰의 체포에 불응하고 위협적/폭력적 행동을 하여 발생하는데 그 범인이 흑인이라는 이유과잉체포 논란이 발생한 사례로, 해당 경찰관이 인종차별을 해서 그런 행동을 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는 경우이며(자세한 내용은 해당 사건 문서로.), 오히려 이런 사건들을 빌미로 BLM을 비롯한 단체들이 백인과 비흑인계 소수민족(한인 등) 수많은 무고한 시민들에 대한 화풀이식 인종혐오범죄(약탈, 방화, 폭행 등)를 저지른 경우이다. 물론,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때와 같이 인종에 관계없이 폭도로 돌변한 사례도 있기에 폭도들이 전부 흑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 자세한 내용은 BLM, 미국/인종차별 문서로.[69] 인종차별 가해자로 알려진 쪽이 실제로는 피해자였고, 피해자로 알려진 쪽이 오히려 가해자였다.[70] 당시 심판이 저 흑인놈(that Black one) 이라는 표현을 썼고, 이에 선수들이 "백인은 저 백인놈이라 부르지 않지 않냐"라고 항의하며 퇴장하였다. 의도를 가진 인종 차별이라기 보단 무지에 의한 인종 차별에 가깝지만, 인종 차별로 공식 경기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71] 레알 마드리드의 스타 비니시우스 주니오르가 일부 발렌시아 관중들로부터 인종차별적인 표현을 들었고 네이마르, 킬리안 음바페 같은 현직 축구 스타들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구단들, FIFA의 인판티노 회장, 심지어 브라질 대통령, 스페인 평등부 장관, 그리고 미국 국무부까지 이 차별 행위에 대해서 규탄할 정도로 큰 규모의 사태였다.[72] KKK에서 활동한 적이 있다.[73] 백인의 의무라는 단어를 만든 사란이 바로 이 사람이다.[74] 콩고 자유국 문서 참고[75] 본인의 트위터 계정에서 백인우월주의자들이 쓰는 단어를 사용하였다.[76] 러시아 소수민족들을 폭행하던 네오나치[77] 그의 일기장 곳곳에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발언들이 쓰여져있고 이점이 문제가 되어 케냐에서 간디 동상이 철거되는 일이 생기기도 했다.[78] 혐한 단체인 일본제일당을 창당했다.[79] 2차세계대전 당시 프랑스군으로 참전했던 세네갈 출신 군인들을 무시하던 일화가 유명하다.[80]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인종청소를 지시했다.[81] 홀로코스트의 총 책임자[82] 그의 일기장 곳곳에 중국인, 스리랑카인, 일본인, 아랍인등 아시아인들에 대한 폄하가 적혀있다.[83] 트위터에서 여러 인종차별밈등을 적은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리트윗하는등의 행보를 보인다.[84] 특히 동양인을 극도로 혐오한다.[85] DNA의 발견자로서 유전학의 새 지평을 열었지만 정작 이 둘은 우생학을 신봉하는 인물들이었다.[86] 행정명령 9066호로 인해 추축국 출신 미국인들을 수용소에 강제수용하거나 제시 오언스를 무시하는등의 행보를 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3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